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올스타 팀 간의 경기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과 난카이 호크스의 야마모토 가즈토 감독이 각각 팀을 이끌었다. 2경기로 축소되어 진행되었으며, 1차전에서는 퍼시픽 올스타팀의 찰리 루이스가 외국인 선수 최초로 올스타전에 선발 출전했다. 1차전은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고, 2차전은 야마우치 가즈히로의 끝내기 안타로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다. 이 해부터 TV 중계가 시작되었으며, NHK와 니혼 TV에서 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4년 야구 - 윌리 메이스
윌리 메이스는 메이저 리그 역사상 가장 위대한 선수 중 한 명으로 인정받는 미국의 프로 야구 선수로, 뉴욕/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서 중견수로 활약하며 신인왕, MVP 2회, 골든 글러브 12회, 홈런왕 4회, 도루왕 4회, 24회 올스타 선정 등의 기록을 세웠고, 뛰어난 5툴 플레이어로서 "더 캐치"라는 전설적인 수비 장면을 남겼으며, 야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어 두 팀에서 등번호 24번이 영구 결번되었다. - 1954년 야구 - 1954년 일본 시리즈
1954년 일본 시리즈는 주니치 드래건스가 니시테쓰 라이온스를 꺾고 첫 우승을 차지한 야구 경기이며, MVP는 스기시타 시게루, 수위 타자는 히비노 다케시이다. - 1954년 7월 - 1954년 FIFA 월드컵
1954년 FIFA 월드컵은 스위스에서 개최되었고 서독이 우승했으며, 헝가리의 코치시 샨도르가 득점왕을 기록했고, 텔레비전 중계가 최초로 이루어졌다. - 1954년 7월 - 제네바 회담 (1954년)
1954년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 회담은 한국 전쟁 종결 및 한반도 통일, 프랑스령 인도차이나 평화적 해결을 목표로 주요 강대국과 관련국들이 참여했으나 한국 문제 합의에는 실패하고, 인도차이나 문제에서는 베트남 분할을 내용으로 하는 제네바 협정을 체결하여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을 종식시켰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59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의 최고 선수들이 참가한 2경기 시리즈로, 각 리그가 1승씩을 거두었으며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들과 보충 선수들이 참가했고 TV와 라디오로 중계되었다. -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1961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1961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은 퍼시픽 리그와 센트럴 리그 간의 대결로, 1차전과 2차전 모두 퍼시픽 리그가 승리했으며, 각 경기 MVP는 히로세 요시노리와 다미야 겐지로가 각각 차지했다.
1954년 일본 프로 야구 올스타전 | |
---|---|
올스타전 정보 | |
![]() | |
개최 년도 | 1954년 |
감독 | |
센트럴 리그 감독 | 미즈하라 시게루 |
퍼시픽 리그 감독 | 야마모토 가즈토 |
팬 투표 | |
센트럴 리그 최다 팬 투표 선수 | 가와카미 데쓰하루 |
퍼시픽 리그 최다 팬 투표 선수 | 오시타 히로시 |
경기 1 | |
일정 | 7월 3일 |
개최지 | 한큐 니시노미야 구장 |
원정팀 | 센트럴 리그 |
홈팀 | 퍼시픽 리그 |
스코어 | 센트럴 리그 2 - 5 퍼시픽 리그 |
MVP | 나카니시 후토시 |
경기 2 | |
일정 | 7월 4일 |
개최지 | 고라쿠엔 구장 |
원정팀 | 센트럴 리그 |
홈팀 | 퍼시픽 리그 |
스코어 | 센트럴 리그 1 - 2 퍼시픽 리그 |
MVP | 야마우치 가즈히로 |
2. 경기 개요
전년도 일본 시리즈에서 3년 연속 우승한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미즈하라 시게루 감독이 센트럴 리그 올스타팀을 이끌었고, 퍼시픽 리그 3연패를 달성한 난카이 호크스의 야마모토 가즈토 감독이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을 지휘했다. 올스타전 경기 수는 전년도 3경기에서 2경기로 줄었다.
1954년 올스타전에 출전할 선수는 팬 투표와 감독 추천을 통해 센트럴 리그와 퍼시픽 리그에서 각각 선발되었다. 아래 선수 명단에서 굵은 글씨는 팬 투표로 선출된 선수이며, 그 외는 감독 추천 선수이다.
1차전에서는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의 포수 찰리 루이스(마이니치)가 외국인 선수로는 처음으로 올스타전에 선발 출전하는 기록을 세웠다. 루이스는 현재까지 올스타전에 출전한 유일한 외국인 포수이기도 하다. 경기에서는 퍼시픽 리그의 야마우치 가즈히로(마이니치), 센트럴 리그의 후지무라 후미오(오사카), 퍼시픽 리그의 나카니시 후토시(니시테쓰) 등 간판 타자들이 홈런을 기록했다. 이어진 2차전에서는 야마우치 가즈히로가 연장 10회에 끝내기 안타를 기록하며 경기를 마무리 지었다.
3. 출장 선수
한편 센트럴 리그의 나카오 히로시(요미우리)와 퍼시픽 리그의 오가미 다케토시(난카이), 마쓰이 아쓰시(난카이), 히비노 다케시(니시테쓰)는 2경기 모두 출전 기회가 없었다.[2]
3. 1. 센트럴 리그
wikitext
센트럴 리그[3] | |||
---|---|---|---|
감독 | 미즈하라 시게루 | 요미우리 | |
코치 | 아마치 슌이치 | 주니치 | |
마쓰키 겐지로 | 오사카 | ||
투수 | 오토모 다쿠미 | 요미우리 | 3 |
스기시타 시게루 | 주니치 | 4 | |
벳쇼 다케히코 | 요미우리 | 4 | |
가네다 마사이치 | 고쿠테쓰 | 4 | |
하세가와 료헤이 | 히로시마 | 3 | |
곤도 마사토시 | 요쇼 | 첫 출장 | |
나카오 히로시 | 요미우리 | 3 | |
마쓰야마 노보루 | 히로시마 | 첫 출장 | |
포수 | 히로타 준 | 요미우리 | 3 |
노구치 아키라 | 주니치 | 4 | |
도쿠아미 시게루 | 오사카 | 3 | |
1루수 | 가와카미 데쓰하루 | 요미우리 | 4 |
2루수 | 치바 시게루 | 요미우리 | 4 |
3루수 | 우노 미쓰오 | 고쿠테쓰 | 2 |
유격수 | 요시다 요시오 | 오사카 | 첫 출장 |
내야수 | 니시자와 미치오 | 주니치 | 4 |
후지무라 후미오 | 오사카 | 4 | |
히로오카 다쓰로 | 요미우리 | 첫 출장 | |
시라사카 조에이 | 오사카 | 3 | |
외야수 | 가네다 마사야스 | 오사카 | 2 |
요나미네 가나메 | 요미우리 | 3 | |
미나미무라 유코 | 요미우리 | 3 | |
와타나베 히로유키 | 오사카 | 첫 출장 | |
스기야마 사토시 | 주니치 | 3 | |
제니무라 겐시 | 히로시마 | 첫 출장 |
3. 2. 퍼시픽 리그
퍼시픽 리그[3] | |||
---|---|---|---|
감독 | 야마모토 가즈토 | 난카이 | |
코치 | 미하라 오사무 | 니시테쓰 | |
후지모토 사다요시 | 다이에이 | ||
투수 | 가지모토 다카오 | 한큐 | 첫 출장 |
아라마키 아쓰시 | 마이니치 | 3 | |
오가미 다케토시 | 난카이 | 첫 출장 | |
유키 스스무 | 난카이 | 4 | |
니시무라 사다아키 | 니시테쓰 | 첫 출장 | |
가와무라 히사후미 | 니시테쓰 | 첫 출장 | |
다나카 후미오 | 긴테쓰 | 첫 출장 | |
요네카와 야스오 | 도큐 | 3 | |
포수 | C. 루이스 | 마이니치 | 첫 출장 |
마쓰이 아쓰시 | 난카이 | 2 | |
히비노 다케시 | 니시테쓰 | 첫 출장 | |
1루수 | 이이다 도쿠지 | 난카이 | 4 |
2루수 | 모리시타 마사오 | 난카이 | 첫 출장 |
3루수 | 나카니시 후토시 | 니시테쓰 | 2 |
유격수 | 기즈카 주스케 | 난카이 | 4 |
내야수 | L. 레인스 | 한큐 | 2 |
가게야마 가즈오 | 난카이 | 4 | |
고치 다쿠시 | 다카하시 | 첫 출장 | |
이이지마 시게야 | 다이에이 | 3 | |
외야수 | 오시타 히로시 | 니시테쓰 | 4 |
야마우치 가즈히로 | 마이니치 | 첫 출장 | |
벳토 가오루 | 마이니치 | 4 | |
세키구치 세이지 | 니시테쓰 | 첫 출장 | |
구사카 다카시 | 긴테쓰 | 첫 출장 | |
호리이 가즈오 | 난카이 | 3 |
4. 경기 결과
1차전에서는 퍼시픽 리그 올스타팀의 포수 찰리 루이스(마이니치)가 외국인 선수로는 처음으로 올스타전에 선발 출전하는 기록을 세웠으며, 이는 현재까지 올스타전에 출전한 유일한 외국인 포수 기록이다. 경기는 야마우치 가즈히로(마이니치), 후지무라 후미오(한신), 나카니시 후토시(니시테쓰) 등 강타자들의 홈런이 터지는 양상이었다.
2차전에서는 야마우치 가즈히로가 연장 10회에 끝내기 안타를 기록했다.
4. 1. 1차전
1차전에서는 퍼시픽 올스타팀의 포수 찰리 루이스(마이니치)가 외국인 선수로는 최초로 올스타전에 선발 출전하는 기록을 세웠다. 루이스는 현재까지 올스타전에 출전한 유일한 외국인 포수이다. 경기는 양 팀 간판 타자들의 홈런이 터지는 등 타격전 양상을 보였으며, MVP에는 퍼시픽 올스타팀의 나카니시 후토시(니시테쓰)가 선정되었다.4. 1. 1. 상세 정보
- '''스코어보드'''
팀 | 1 | 2 | 3 | 4 | 5 | 6 | 7 | 8 | 9 | R | H | E |
---|---|---|---|---|---|---|---|---|---|---|---|---|
센트럴 리그 | 0 | 0 | 0 | 0 | 1 | 0 | 1 | 0 | 0 | 2 | 4 | 1 |
퍼시픽 리그 | 0 | 0 | 1 | 0 | 0 | 2 | 0 | 2 | X | 5 | 7 | 4 |
- '''승리 투수''': 니시무라 사다아키(니시테쓰) (1승)
- '''패전 투수''': 하세가와 료헤이(히로시마) (1패)
- '''홈런''':
- 센트럴: 후지무라 후미오(한신) 1호(7회 1점, 아라마키)
- 퍼시픽: 야마우치 가즈히로(마이니치) 1호(3회 1점, 오토모), 나카니시 후토시(니시테쓰) 1호(6회 2점, 하세가와)
- '''출장 선수'''
센트럴 리그 | 퍼시픽 리그 | ||||
---|---|---|---|---|---|
타순 | 수비 위치 | 선수 | 타순 | 수비 위치 | 선수 |
1 | 중견수 | 요나미네 가나메 (요미우리) | 1 | 좌익수 | 야마우치 가즈히로 (마이니치) |
2 | 좌익수 | 가네다 마사야스 (고쿠테쓰) | 2 | 유격수 | 기즈카 주스케 (난카이) |
3 | 우익수 | 미나미무라 유코 (요미우리) | 3 | 3루수 | 나카니시 후토시 (니시테쓰) |
4 | 1루수 | 가와카미 데쓰하루 (요미우리) | 4 | 우익수 | 오시타 히로시 (니시테쓰) |
5 | 3루수 | 우노 미쓰오 (고쿠테쓰) | 5 | 중견수 | 벳토 가오루 (마이니치) |
6 | 2루수 | 치바 시게루 (요미우리) | 6 | 1루수 | 이이다 도쿠지 (난카이) |
7 | 유격수 | 요시다 요시오 (오사카) | 7 | 포수 | C. 루이스 (마이니치) |
8 | 포수 | 히로타 준 (요미우리) | 8 | 2루수 | 모리시타 마사오 (난카이) |
9 | 투수 | 오토모 다쿠미 (요미우리) | 9 | 투수 | 가지모토 다카오 (한큐) |
- '''교체 출장 선수'''
- 센트럴: 하세가와 료헤이(히로시마), 스기시타 시게루(주니치) (이상 투수), 노구치 아키라(주니치) (포수)
- 퍼시픽: 니시무라 사다아키(니시테쓰), 아라마키 준(마이니치) (이상 투수)
- '''심판'''
- 구심: 니데가와 노부아키(퍼시픽)
- 루심: 김정무(센트럴), 요코자와 사부로(퍼시픽), 시마 히데노스케(센트럴)
- 외심: 우에다 후지오(퍼시픽), 스기무라 쇼이치로(센트럴)
- '''경기 시간''': 2시간 3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