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5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195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한 예선으로, 스웨덴과 서독을 제외한 27개 팀이 참가했다. 27개 팀은 3팀씩 9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러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했으며, 각 조 2위 팀 중 한 팀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잉글랜드, 프랑스,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소련, 유고슬라비아, 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가 각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으며, 웨일스는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본선에 합류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8년 FIFA 월드컵 예선 - 1958년 FIFA 월드컵 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195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을 위해 웨일스와 이스라엘이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렀으며, 웨일스가 승리하여 본선에 진출했다. - 1958년 FIFA 월드컵 예선 - 195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아프리카 지역 예선
1958년 FIFA 월드컵 아시아·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아시아와 아프리카 팀들이 참가하여 4라운드로 진행되었으며, 이스라엘이 최종 예선에서 승리했으나 보이콧으로 인해 웨일스가 본선에 진출했다. -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2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9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위는 본선에 직행, 2위는 플레이오프를 통해 추가 진출팀을 가려 총 15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은 2003년 12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진행되었으며, 개최국 독일을 제외한 51개 팀이 조별 리그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최종적으로 1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1958년 FIFA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1958년 FIFA 월드컵 예선 (UEFA) |
연도 | 1958 |
날짜 | 1956년 10월 3일 - 1958년 2월 5일 |
참가 팀 수 | 27 |
연맹 | 1 |
경기 수 | 54 |
득점 | 228 |
관중 수 | 2784921 |
최고 득점자 | 토미 테일러 (9골) |
이전 시즌 | 1954 |
다음 시즌 | 1962 |
기타 정보 | |
관련 대회 | FIFA 월드컵 예선 (UEFA) |
2. 예선 형식
스웨덴은 월드컵 개최국 자격으로, 서독은 전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 자동 본선에 진출했다. 27개 팀은 3팀씩 9개 조로 나뉘었다. 각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경기를 치렀고, 각 조의 우승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각 조 2위 팀 중 한 팀이 무작위 추첨을 통해 CAF/AFC-UEFA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동독, 아이슬란드, 소련은 처음으로 예선에 참가했다. 알바니아는 UEFA 회원국 중 유일하게 예선에 불참했다.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6조 | 7조 | 8조 | 9조 |
---|---|---|---|---|---|---|---|---|
잉글랜드 | 프랑스 | 헝가리 | 체코슬로바키아 | 오스트리아 | 소련 | 유고슬라비아 | 북아일랜드 | 스코틀랜드 |
아일랜드 | 벨기에 | 불가리아 | 웨일스 | 네덜란드 | 폴란드 | 루마니아 | 이탈리아 스페인 | |
덴마크 | 아이슬란드 | 노르웨이 | 동독 | 룩셈부르크 | 핀란드 | 그리스 | 포르투갈 | 스위스 |
스웨덴은 월드컵 개최국 자격으로, 서독은 전 대회 우승팀 자격으로 자동 본선에 진출했다. 27개 팀은 3팀씩 9개 조로 나뉘었다. 각 팀은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서로 경기를 치렀고, 각 조의 우승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각 조 2위 팀 중 한 팀이 무작위 추첨을 통해 CAF/AFC-UEFA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동독, 아이슬란드와 소련은 처음으로 예선에 참가했다. 알바니아는 UEFA 회원국 중 유일하게 예선에 불참했다.
3. 조 편성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7조 8조 9조 잉글랜드 프랑스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오스트리아 소련 유고슬라비아 북아일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벨기에 불가리아 웨일스 네덜란드 폴란드 루마니아 이탈리아 스페인 덴마크 아이슬란드 노르웨이 동독 룩셈부르크 핀란드 그리스 포르투갈 스위스
4. 각 조별 경기 결과
조 1위 2위 3위 1조 2조 3조 4조 5조 6조 7조 8조 9조
각 조 1위 팀은 195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직행했다. 웨일스는 추첨을 통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4. 1. 1조
- 1956년 10월 3일: 아일랜드 2 - 1 덴마크 (더블린)
- 1956년 12월 5일: 잉글랜드 5 - 2 덴마크 (울버햄프턴)
- 1957년 5월 8일: 잉글랜드 5 - 1 아일랜드 (런던)
- 1957년 5월 15일: 덴마크 1 - 4 잉글랜드 (코펜하겐)
- 1957년 5월 19일: 아일랜드 1 - 1 잉글랜드 (더블린)
- 1957년 10월 2일: 덴마크 0 - 2 아일랜드 (코펜하겐)
'''잉글랜드'''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4. 2. 2조
- ---
- 1956년 11월 11일: 프랑스 6-3 벨기에 (콜롱브)
- 1957년 6월 2일: 프랑스 8-0 아이슬란드 (낭트)
- 1957년 6월 5일: 벨기에 8-3 아이슬란드 (브뤼셀)
- 1957년 9월 1일: 프랑스 5-1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 1957년 9월 4일: 벨기에 5-2 아이슬란드 (레이캬비크)
- 1957년 10월 27일: 벨기에 0-0 프랑스 (브뤼셀)
'''프랑스'''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4. 3. 3조
- 1957년 5월 22일: 노르웨이 1 – 2 불가리아 (오슬로)
- 1957년 6월 12일: 노르웨이 2 – 1 헝가리 (오슬로)
- 1957년 6월 23일: 헝가리 4 – 1 불가리아 (부다페스트)
- 1957년 9월 15일: 불가리아 1 – 2 헝가리 (소피아)
- 1957년 11월 3일: 불가리아 7 – 0 노르웨이 (소피아)
- 1957년 11월 10일: 헝가리 5 – 0 노르웨이 (부다페스트)
'''헝가리'''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4. 4. 4조
일시 | 장소 | 홈 팀 | 결과 | 원정 팀 |
---|---|---|---|---|
1957년 5월 1일 | 카디프 | 웨일스 | 1 – 0 | 체코슬로바키아 |
1957년 5월 19일 | 라이프치히 | 동독 | 2 – 1 | 웨일스 |
1957년 5월 26일 | 프라하 | 체코슬로바키아 | 2 – 0 | 웨일스 |
1957년 6월 16일 | 브르노 | 체코슬로바키아 | 3 – 1 | 동독 |
1957년 9월 25일 | 카디프 | 웨일스 | 4 – 1 | 동독 |
1957년 10월 27일 | 라이프치히 | 동독 | 1 – 4 | 체코슬로바키아 |
체코슬로바키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웨일스는 추첨을 통해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4. 5. 5조
- 1956년 9월 30일: 오스트리아 7 – 0 룩셈부르크 (빈)
- 1957년 3월 20일: 네덜란드 4 – 1 룩셈부르크 (로테르담)
- 1957년 5월 26일: 오스트리아 3 – 2 네덜란드 (빈)
- 1957년 9월 11일: 룩셈부르크 2 – 5 네덜란드 (로테르담)
- 1957년 9월 25일: 네덜란드 1 – 1 오스트리아 (암스테르담)
- 1957년 9월 29일: 룩셈부르크 0 – 3 오스트리아 (룩셈부르크)
'''오스트리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4. 6. 6조
- 1957년 6월 23일: 소련 3 – 0 폴란드 (모스크바)
- 1957년 7월 5일: 핀란드 1 – 3 폴란드 (헬싱키)
- 1957년 7월 27일: 소련 2 – 1 핀란드 (모스크바)
- 1957년 8월 15일: 핀란드 0 – 10 소련 (헬싱키)
- 1957년 10월 20일: 폴란드 2 – 1 소련 (호주프)
- 1957년 11월 3일: 폴란드 4 – 0 핀란드 (바르샤바)
- 1957년 11월 24일: 소련 2 – 0 폴란드 (라이프치히 (동독))
소련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4. 7. 7조
- 1957년 5월 5일, 아테네: 그리스 0 - 0 유고슬라비아
- 1957년 5월 5일, 아테네: 그리스 1 - 2 루마니아
- 1957년 9월 29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1 - 1 유고슬라비아
- 1957년 11월 3일, 부쿠레슈티: 루마니아 3 - 0 그리스
- 1957년 11월 10일, 베오그라드: 유고슬라비아 4 - 1 그리스
- 1957년 11월 17일, 베오그라드: 유고슬라비아 2 - 0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가 본선에 진출하였다.
4. 8. 8조
- 1957년 1월 26일, 리스본: 포르투갈 1 - 1 북아일랜드
- 1957년 4월 25일, 로마: 이탈리아 1 - 0 북아일랜드
- 1957년 5월 1일, 벨파스트: 북아일랜드 3 - 0 포르투갈
- 1957년 5월 26일, 리스본: 포르투갈 3 - 0 이탈리아
- 1957년 12월 22일, 밀라노: 이탈리아 3 - 0 포르투갈
- 1958년 1월 15일, 벨파스트: 북아일랜드 2 - 1 이탈리아
1958년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북아일랜드'''
4. 9. 9조
- 1957년 3월 10일: 스페인 2 – 2 스위스 (마드리드)
- 1957년 5월 8일: 스코틀랜드 4 – 2 스페인 (글래스고)
- 1957년 5월 19일: 스위스 1 – 2 스코틀랜드 (바젤)
- 1957년 5월 26일: 스페인 4 – 1 스코틀랜드 (마드리드)
- 1957년 11월 6일: 스코틀랜드 3 – 2 스위스 (글래스고)
- 1957년 11월 24일: 스위스 1 – 4 스페인 (로잔)
1958년 FIFA 월드컵 본선에 '''스코틀랜드'''가 진출하였다.
5. 대륙간 플레이오프
유럽 지역 예선 각 조 2위 팀 중 한 팀이 무작위 추첨을 통해 CAF/AFC-UEFA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6. 본선 진출국
1958년 FIFA 월드컵 본선에는 다음 12개국이 진출했다.
조 | 국가 |
---|---|
1조 | |
2조 | |
3조 | |
4조 | |
5조 | |
6조 | |
7조 | |
8조 | |
9조 | |
AFC/CAF-UEFA 플레이오프 |
팀 | 진출 자격 | 진출 날짜 | FIFA 월드컵 출전 횟수1 |
---|---|---|---|
개최국 | 1950년 6월 23일 | 3회 (1934년, 1938년, 1950년) | |
전년도 우승국 | 1954년 7월 4일 | 3회 (1934년2, 1938년2, 1954년) | |
1조 우승팀 | 1957년 5월 19일 | 2회 (1950년, 1954년) | |
2조 우승팀 | 1957년 10월 27일 | 4회 (1930년, 1934년, 1938년, 1954년) | |
3조 우승팀 | 1957년 11월 10일 | 3회 (1934년, 1938년, 1954년) | |
4조 우승팀 | 1957년 10월 27일 | 3회 (1934년, 1938년, 1954년) | |
5조 우승팀 | 1957년 9월 29일 | 2회 (1934년, 1954년) | |
6조 우승팀 | 1957년 11월 24일 | 0회 (첫 출전) | |
7조 우승팀 | 1957년 11월 17일 | 3회 (1930년, 1950년, 1954년) | |
8조 우승팀 | 1958년 1월 15일 | 0회 (첫 출전) | |
9조 우승팀 | 1957년 11월 24일 | 1회 (1954년) | |
AFC/CAF-UEFA 플레이오프 우승팀 | 1958년 2월 5일 | 0회 (첫 출전) | |
:
:
7. 득점 선수
득점 | 선수 | 국가 |
---|---|---|
8 | 토미 테일러 | Tommy Taylor|토미 테일러영어 |
7 | 타데 시소프스키 | Thadée Cisowski|타데 시소프스키프랑스어 |
5 | 재키 머디 | Jackie Mudie|재키 머디영어 |
4 | 폴 반덴베르그 | Paul Vandenberg|폴 반덴베르그nl |
타데우스 크라우스 | Tadeáš Kraus|타데우스 크라우스cs | |
존 애티오 | John Atyeo|존 애티오영어 | |
페렌츠 마코스 | Ferenc Machos|페렌츠 마코스hu | |
에드워드 얀코프스키 | Edward Jankowski|에드워드 얀코프스키pl | |
니키타 시모니안 | Nikita Simonyan|니키타 시모니안ru | |
라디슬라오 쿠발라 | Ladislao Kubala|라디슬라오 쿠발라es | |
게르하르트 하나피 | Gerhard Hanappi|게르하르트 하나피de | |
모리스 빌렘스 | Maurice Willems|모리스 빌렘스nl | |
흐리스토 일리에프 | Христо Илиев|흐리스토 일리에프bg | |
장 뱅상 | Jean Vincent|장 뱅상프랑스어 | |
3 | 데르모트 커티스 | Dermot Curtis|데르모트 커티스영어 |
아베 렌스트라 | Abe Lenstra|아베 렌스트라nl | |
누드 판 멜리스 | Noud van Melis|누드 판 멜리스nl | |
지미 맥로이 | Jimmy McIlroy|지미 맥로이영어 | |
아나톨리 일린 | Anatoli Ilyin|아나톨리 일린ru | |
에두아르트 스트렐초프 | Eduard Streltsov|에두아르트 스트렐초프ru | |
데스 파머 | Des Palmer|데스 파머영어 | |
무하메드 무이지치 | Muhamed Mujić|무하메드 무이지치sh | |
한스 부제크 | Hans Buzek|한스 부제크de | |
테오도르 바그너 | Theodor Wagner|테오도르 바그너de | |
2 | 앙리 코펜스 | Henri Coppens|앙리 코펜스nl |
빅토르 메스 | Victor Mees|빅토르 메스nl | |
리샤르 오를랑 | Richard Orlans|리샤르 오를랑nl |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 Георги Димитров|게오르기 디미트로프bg | |
파나요트 파나요토프 | Панайот Панайотов|파나요트 파나요토프bg | |
오베 베크 닐센 | Aage Rou Jensen|오베 베크 닐센da | |
귄터 비르트 | Günter Wirth|귄터 비르트de | |
덩컨 에드워즈 | Duncan Edwards|덩컨 에드워즈영어 | |
셀레스틴 올리버 | Célestin Oliver|셀레스틴 올리버프랑스어 | |
로제 피앙토니 | Roger Piantoni|로제 피앙토니프랑스어 | |
조제프 우일라키 | Joseph Ujlaki|조제프 우일라키프랑스어 | |
차르다시 러요시 | Lajos Csordás|차르다시 러요시hu | |
언도르 히데그쿠티 | Nándor Hidegkuti|언도르 히데그쿠티hu | |
리크하르두르 요운손 | Ríkharður Jónsson|리크하르두르 요운손is | |
토르뒤르 요운손 | Þórður Jónsson|토르뒤르 요운손is | |
토르두르 토르다르손 | Þórður Þórðarson|토르두르 토르다르손is | |
귀도 그라톤 | Guido Gratton|귀도 그라톤it | |
2 | 코르 판 데르 하이프 | Cor van der Gijp|코르 판 데르 하이프nl |
하랄 헤눔 | Harald Hennum|하랄 헤눔no | |
루치안 브리흐치 | Lucjan Brychczy|루치안 브리흐치pl | |
제라르트 치에실리크 | Gerard Cieślik|제라르트 치에실리크pl | |
마누엘 바스케스 | Manuel Vasques|마누엘 바스케스pt | |
알렉산두 에네 | Alexandru Ene|알렉산두 에네ro | |
아나톨리 이사예프 | Anatoli Isayev|아나톨리 이사예프ru | |
이고르 네토 | Igor Netto|이고르 네토ru | |
에스타니슬라오 바소라 | Estanislao Basora|에스타니슬라오 바소라es | |
알프레도 디 스테파노 | Alfredo Di Stéfano|알프레도 디 스테파노es | |
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 | Luis Suárez Miramontes|루이스 수아레스 미라몬테스es | |
요제프 휘기 | Josef Hügi|요제프 휘기de | |
로제 폰란텐 | Roger Vonlanthen|로제 폰란텐de | |
이보르 올처치 | Ivor Allchurch|이보르 올처치영어 | |
클리프 존스 | Cliff Jones|클리프 존스영어 | |
밀로시 밀루티노비치 | Miloš Milutinović|밀로시 밀루티노비치sh | |
로베르트 디엔스트 | Robert Dienst|로베르트 디엔스트de | |
발터 하우머 | Walter Haummer|발터 하우머de | |
1 | 카를 콜러 | Karl Koller|카를 콜러de |
에른스트 코즐리체크 | Ernst Kozlicek|에른스트 코즐리체크de | |
헬무트 세네코비치 | Helmut Senekowitsch|헬무트 세네코비치de | |
카를 슈토츠 | Karl Stotz|카를 슈토츠de | |
오토 발초퍼 | Otto Walzhofer|오토 발초퍼de | |
앙드레 판 헤르페 | André van Herpe|앙드레 판 헤르페nl | |
드니 후프 | Denis Houf|드니 후프nl | |
앙드레 피터르스 | André Piters|앙드레 피터르스nl | |
스피로 데바르스키 | Спиро Дебарски|스피로 데바르스키bg | |
토도르 디예프 | Тодор Диев|토도르 디예프bg | |
이반 페트코프 콜레프 | Иван Колев|이반 페트코프 콜레프bg | |
크룸 야네프 | Крум Янев|크룸 야네프bg | |
블라스타밀 부브니크 | Vlastimil Bubník|블라스타밀 부브니크cs | |
파볼 몰나르 | Pavol Molnár|파볼 몰나르cs | |
안톤 모라브치크 | Anton Moravčík|안톤 모라브치크cs | |
라디슬라프 노바크 | Ladislav Novák|라디슬라프 노바크cs | |
오에 루 예센 | Aage Rou Jensen|오에 루 예센da | |
욘 예센 | John Jensen|욘 예센da | |
만프레트 카이저 | Manfred Kaiser|만프레트 카이저de | |
헬무트 뮐러 | Helmut Müller|헬무트 뮐러de | |
빌리 트뢰거 | Willy Tröger|빌리 트뢰거de | |
자니 헤인스 | Johnny Haynes|자니 헤인스영어 | |
올라비 라흐티넨 | Olavi Lahtinen|올라비 라흐티넨fi | |
마우리 반하넨 | Mauri Vanhanen|마우리 반하넨fi | |
사이드 브라히미 | Saïd Brahimi|사이드 브라히미프랑스어 | |
르네 데뢰드르 | René Dereuddre|르네 데뢰드르프랑스어 | |
마리앙 비슈니에스키 | Maryan Wisnieski|마리앙 비슈니에스키프랑스어 | |
코스타스 네스토리디스 | Κώστας Νεστορίδης|코스타스 네스토리디스el | |
반겔리스 파나키스 | Βαγγέλης Πανάκης|반겔리스 파나키스el | |
보지크 요제프 | József Bozsik|보지크 요제프hu | |
셔더르 카로이 | Károly Sándor|셔더르 카로이hu | |
티히 러요시 | Lajos Tichy|티히 러요시hu | |
조지 커민스 | George Cummins|조지 커민스영어 | |
자니 개빈 | Johnny Gavin|자니 개빈영어 | |
알프 링스테드 | Alf Ringstead|알프 링스테드영어 | |
세르조 체르바토 | Sergio Cervato|세르조 체르바토it | |
디노 다 코스타 | Dino da Costa|디노 다 코스타it | |
지노 피바텔리 | Gino Pivatelli|지노 피바텔리it | |
장피에르 피에들러 | Jean-Pierre Fiedler|장피에르 피에들러lb | |
자니 할스도르프 | Johny Halsdorf|자니 할스도르프lb | |
레옹 레치 | Léon Letsch|레옹 레치lb | |
툰 브뤼셀러스 | Toon Brusselers|툰 브뤼셀러스nl | |
콘 딜런 | Coen Dillen|콘 딜런nl | |
키스 레이버스 | Kees Rijvers|키스 레이버스nl | |
세르바스 빌크스 | Servaas Wilkes|세르바스 빌크스nl | |
빌리 빙엄 | Billy Bingham|빌리 빙엄영어 | |
1 | 토미 케이시 | Tommy Casey|토미 케이시영어 |
윌버 커시 | Wilbur Cush|윌버 커시영어 | |
빌리 심프슨 | Billy Simpson|빌리 심프슨영어 | |
셸 크리스티안센 | Kjell Kristiansen|셸 크리스티안센no | |
긴터 가블리크 | Ginter Gawlik|긴터 가블리크pl | |
마타테우 | Matateu|마타테우pt | |
안토니우 디아스 테이셰이라 | António Teixeira|안토니우 디아스 테이셰이라pt | |
코르넬 카코베아누 | Cornel Cacoveanu|코르넬 카코베아누ro | |
티투스 오존 | Titus Ozon|티투스 오존ro | |
이오시프 페치코프스키 | Iosif Petschovschi|이오시프 페치코프스키ro | |
니콜라에 터터루 | Nicolae Tătaru|니콜라에 터터루ro | |
존 휴위 | John Hewie|존 휴위영어 | |
토미 링 | Tommy Ring|토미 링영어 | |
아치 로버트슨 | Archie Robertson|아치 로버트슨영어 | |
알렉스 스콧 | Alex Scott|알렉스 스콧영어 | |
고든 스미스 | Gordon Smith|고든 스미스영어 | |
겐리흐 페도소프 | Genrikh Fedosov|겐리흐 페도소프ru | |
1 | 발렌틴 코즈미치 이바노프 | Valentin Ivanov|발렌틴 코즈미치 이바노프ru |
보리스 타투신 | Boris Tatushin|보리스 타투신ru | |
유리 보이노프 | Yuri Voynov|유리 보이노프ru | |
미겔 곤잘레스 | Miguel González|미겔 곤잘레스es | |
엔리케 마테오스 | Enrique Mateos|엔리케 마테오스es | |
로베르 발라만 | Robert Ballaman|로베르 발라만de | |
페르디난도 리바 | Ferdinando Riva|페르디난도 리바de | |
데이브 보웬 | Dave Bowen|데이브 보웬영어 | |
멜 찰스 | Mel Charles|멜 찰스영어 | |
1 | 로이 버넌 | Roy Vernon|로이 버넌영어 |
도로사브 크르스티치 | Todor Krstić|도로사브 크르스티치sh | |
알렉산다르 페타코비치 | Aleksandar Petaković|알렉산다르 페타코비치sh | |
자책골 | ||
1 | 에드가르 팔치 | Edgar Falch|에드가르 팔치no (vs 헝가리) |
1 | 레이 다니엘 | Ray Daniel|레이 다니엘영어 (vs 체코슬로바키아)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