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 1. 개요
- 2. 메달 집계
- 3. 종목별 성적
- 3.1. [[파일:Rowing pictogram.svg|30px]] 조정
- 3.2. [[파일:Boxing pictogram.svg|30px]] 복싱
- 3.3. [[파일:Cycling pictogram.svg|30px]] 사이클
- 3.4. [[파일:Athletics pictogram.svg|30px]] 육상
- 3.5. [[파일:Equestrian pictogram.svg|30px]] 승마
- 3.6. [[파일:Fencing_pictogram.svg|30px]] 펜싱
- 3.7. [[파일:Field_hockey_pictogram.svg|30px]] 하키
- 3.8. [[파일:Judo_pictogram.svg|30px]] 유도
- 3.9. [[파일:Sailing pictogram.svg|30px]] 요트
- 3.10. [[파일:Shooting pictogram.svg|30px]] 사격
- 3.11. [[파일:Swimming pictogram.svg|30px]] 수영
- 3.12. [[파일:Wrestling pictogram.svg|30px]] 레슬링
- 참조
1. 개요
1972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은 서독 뮌헨에서 열린 1972년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조정 종목에서 알베르토 데미디가 남자 싱글 스컬 은메달을 획득하며 아르헨티나 선수단에 유일한 메달을 안겨주었다. 아르헨티나는 총 12개 종목에 92명의 선수를 파견했으며, 조정 외에도 복싱, 사이클, 육상, 승마, 펜싱, 하키, 유도, 요트, 사격, 수영, 레슬링 등 다양한 종목에서 경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2년 아르헨티나 - 1972년 동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1972년 동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은 남자 알파인 스키 종목에 참가하여 남자 대회전에서 토마스 마골(46위), 로베르토 에스칼라(49위), 후안 마누엘 페레즈(55위)를, 남자 활강에는 카를로스 에스피노사와 로베르토 에클레비를, 회전 종목에는 카를로스 페레즈(37위)를 기록했다. - 1972년 아르헨티나 - 우루과이 공군기 571편 조난 사고
우루과이 공군기 571편 조난 사고는 1972년 안데스 산맥에서 발생한 항공기 추락 사고로, 럭비팀을 포함한 탑승객들이 생존을 위해 식인 행위와 같은 어려운 선택을 해야 했으며, 인간의 생존 의지와 윤리적 딜레마를 다룬 영화, 다큐멘터리 등으로 제작되었다. - 197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72년 하계 올림픽 덴마크 선수단
1972년 하계 올림픽에 덴마크는 116명의 선수단을 파견하여 13개 종목에 참가, 닐스 프레드보르가 사이클 스프린트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72년 하계 올림픽 선수단 - 1972년 하계 올림픽 가이아나 선수단
1972년 하계 올림픽 가이아나 선수단은 복싱과 사이클 선수 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 1900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1900년 하계 올림픽에 아르헨티나는 크리켓, 펜싱, 육상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하여 육상과 폴로에서 동메달을 각각 1개씩 획득했으며, 펜싱에서는 에두아르도 카메트와 프란시스코 카메트가 남자 에페 개인전에 출전했다. -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 1908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1908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은 1908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 참가한 선수단을 지칭하며, 피겨 스케이팅 종목에는 출전하지 않았다.
1972년 하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 |
---|---|
기본 정보 | |
NOC | ARG |
NOC 명칭 | 아르헨티나 올림픽 위원회 |
웹사이트 | 아르헨티나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 |
대회 정보 | |
대회 종류 | 하계 올림픽 |
개최 연도 | 1972 |
개최지 | 뮌헨 |
참가 정보 | |
참가 선수 | 92명 (남자 88명, 여자 4명) |
참가 종목 | 12개 |
기수 | 카를로스 델리아 |
성적 | |
순위 | 33위 |
금메달 | 0개 |
은메달 | 1개 |
동메달 | 0개 |
기타 정보 | |
참가 시작 연도 | 1900년 |
하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동계 올림픽 참가 횟수 | 자동 계산 |
관련 정보 | sports-reference.com 자료 개막식에서 입장하는 아르헨티나 선수단 (오른쪽 배경 트랙) |
2. 메달 집계
아르헨티나 선수단은 1972년 하계 올림픽에서 조정 종목의 알베르토 데미디 선수가 남자 싱글 스컬에서 은메달 1개를 획득하여, 총 1개의 메달을 기록하였다.
2. 1. 메달리스트
wikitext메달 | 선수 | 종목 | 세부 종목 |
---|---|---|---|
-- 은메달 | 알베르토 데미디 | -- 조정 | 남자 싱글스컬 |
2. 2. 종목별 메달 집계
wiki종목 | -- 금 | -- 은 | -- 동 | 합계 |
---|---|---|---|---|
-- 조정 | 0 | 1 | 0 | 1 |
합계 | 0 | 1 | 0 | 1 |
2. 3. 종목별 참가 선수
종목 | 참가 선수 | 금 | 은 | 동 | 메달 합계 |
---|---|---|---|---|---|
3 | 0 | 0 | 0 | 0 | |
5 | 0 | 0 | 0 | 0 | |
5 | 0 | 0 | 0 | 0 | |
8 | 0 | 0 | 0 | 0 | |
4 | 0 | 0 | 0 | 0 | |
9 | 0 | 0 | 0 | 0 | |
9 | 0 | 0 | 0 | 0 | |
1 | 0 | 0 | 0 | 0 | |
9 | 0 | 0 | 0 | 0 | |
-- 조정 | 18 | 0 | 1 | 0 | 1 |
5 | 0 | 0 | 0 | 0 | |
16 | 0 | 0 | 0 | 0 | |
합계 | 92 | 0 | 1 | 0 | 1 |
;남자
선수 | 종목 | 예선 | 8강 | 준결승 | 결승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안드레스 칼롱게 | 100m | 10.73 | 4 | 진출 실패 | |||||
200m | 21.39 | 3 Q | 21.11 | 6 | 진출 실패 | ||||
카를로스 달루르조 | 800m | 1:50.6 | 5 | 해당 없음 | 진출 실패 | ||||
나자리오 아라우조 | 마라톤 | 해당 없음 | 기권 | ||||||
라몬 카브레라 | 해당 없음 | 2:42:37.2 | 55 | ||||||
페르난도 몰리나 | 해당 없음 | 2:38:18.6 | 53 | ||||||
아달베르토 스코르자 | 50km 경보 | 해당 없음 | 4:42:41.4 | 28 | |||||
루이스 바리오누에보 | 높이뛰기 | 1.90 | =36 | 해당 없음 | 진출 실패 | ||||
호세 발레호 | 해머던지기 | 60.08 | 30 | 해당 없음 | 진출 실패 |
;여자
선수 | 종목 | 예선 | 8강 | 준결승 | 결승 | ||||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결과 | 순위 | ||
이레네 피처 | 100m | 12.51 | 8 | 진출 실패 |
(내용 없음)
3. 종목별 성적
3. 1. [[파일:Rowing pictogram.svg|30px]] 조정
호르헤 이마스남자 더블 스컬 7:18.28 4 7:22.15 3 진출 실패 라파엘 가르바
라울 마제라티
페드로 유치올리노남자 더블 스컬 8:20.19 5 8:31.51 4 진출 실패 호세 마누엘 부기아
오스카 데 안드레스
토마스 포레이
루치아노 윌크남자 더블 스컬 6:59.72 3 7:12.74 3 진출 실패 우고 아베라스테기
엑토르 비아시니
오스카 데 디오스
후안 카를로스 에스톨
알프레도 마르틴
라울 마제라티
리카르도 호세 로드리게스
이그나시오 루이스
기예르모 세구라도남자 에이트 6:20.31 3 Q 경기 없음 6:47.72 6 진출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