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사야 제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비사야 제도는 필리핀 중부에 위치한 섬들의 집합으로, 필리핀 국기의 별로 상징될 만큼 중요한 지역이다. 어원은 불분명하나, 12세기 중국 기록에서 처음 언급되었으며, 스페인 식민 시대에는 "핀타도스"로 불리기도 했다. 7개의 큰 섬(사마르, 네그로스, 파나이, 레이테, 세부, 보홀)과 수백 개의 작은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세부 시티, 바콜로드 시티, 일로일로 시티 등이 주요 도시이다. 역사는 보르네오에서 파나이 섬으로의 이주 설화와 스페인 식민 지배, 미국 통치, 일본 점령, 독립 이후의 과정을 거쳤다. 행정 구역은 서부, 네그로스섬, 중부, 동부 비사야스로 나뉘며, 16개의 주로 구성된다. 인구는 2020년 기준 약 2천만 명이며, 세부아노어, 힐리가이논어, 와라이어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된다. 비사야인들은 친절하고 종교적인 성향을 가지며, 시누로그 축제, 아티-아티한 축제, 디낭양 축제 등 다양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필리핀의 군도 - 칼라미안 제도
칼라미안 제도는 필리핀 팔라완 주 북부의 군도로, 과거 여러 국가의 영향을 받았고 스페인 식민지 시대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현재는 독특한 자연환경과 난파선 다이빙 명소로 알려져 있다. - 필리핀의 군도 - 디나가트 제도주
디나가트 제도주는 민다나오섬 북동쪽에 위치하며 수리가오델노르테주에서 분리되어 7개의 지방 자치체로 구성, 고유한 동식물과 열대우림을 가진 핵심 생물 다양성 지역으로, 대법원 판결 번복 등 우여곡절을 겪고 필리핀의 새로운 주로 출범하였다. - 비사야스 제도 - 메트로 세부
메트로 세부는 필리핀 세부 시를 중심으로 세부 섬과 막탄 섬을 포함하는 대도시권으로, 비사야 제도와 민다나오 섬 북부의 주요 상업 및 금융 중심지이며, 세부 시는 경제, 문화, 교육, 교통의 중심지, 만다우에 시는 주요 산업 시설, 라푸라푸 시는 막탄-세부 국제공항과 관광 산업이 발달하였다. - 비사야스 제도 - 네그로스섬
네그로스섬은 필리핀 비사야 제도에 있는 섬으로, 필리핀에서 네 번째로 크며, 서쪽에는 네그로스옥시덴탈주가, 동쪽에는 네그로스오리엔탈주가 위치하고, 설탕 생산과 관광 산업이 발달했다. - 동남아시아의 군도 - 말루쿠 제도
말루쿠 제도는 인도네시아 동부에 위치한 1,027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지역으로, 힌두교와 불교의 영향을 받다가 이슬람교가 전파되었고, 이후 포르투갈과 네덜란드의 지배를 거쳐 인도네시아 독립 후 종교 분쟁을 겪었으며 현재는 말루쿠 주와 북말루쿠 주로 나뉘어 농업과 어업을 중심으로 한다. - 동남아시아의 군도 - 순다 열도
순다 열도는 말레이 제도에 위치하며 대순다 열도와 소순다 열도로 나뉘고, 순다 대륙붕 위에 위치하여 화산 활동과 지진이 잦으며, 브루나이, 동티모르,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5개국에 걸쳐 있는 섬들이다.
비사야 제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위치 | 동남아시아 |
군도 | 필리핀 |
주요 섬 | 보홀 세부 레이테 네그로스 파나이 사마르 |
최대 도시 | 세부 시 |
최대 도시 인구 | 964,169명 |
최고봉 | 칸라온 산 |
해발고도 | 2465m |
행정 구역 | 레히온 VI - 서비사야 지방 NIR - 네그로스 섬 지방 레히온 VII - 중앙비사야 지방 레히온 VIII - 동비사야 지방 |
인구 | 21,155,014명 (2021년 기준) |
인구 밀도 | 292명/km² |
별칭 | 비사야인 (현지어로 "Bisayâ") |
민족 | 비사야족 아클라논족 보홀라노족 부투아논족 카피스논족 세부아노족 쿠유논족 에스카야족 힐리가이논족 카라이아족 마스바테뇨족 포로하논족 롬블로마논족 술루드논족 수리가오논족 와라이족 네그리토 (아티족) 기타 민족 |
지리 | |
면적 | 71,503 km² |
2. 어원
비사야 제도의 명칭에 대한 정확한 의미와 기원은 알려지지 않았다. 이 명칭이 최초로 기록된 것은 송나라 시대의 중국 해양 관리 조긍가(趙汝适)가 12세기 후반에 로프에 묶인 철제 투창을 무기로 사용하여 복건성과 澎湖 해안을 습격하면서 ''Pi-sho-ye''로 기록한 것이 아마도 최초일 것이다.[6][7][8]
비사야 제도는 필리핀 중부에 위치하며, 총 면적은 71,503 km²이다. 필리핀 국기의 세 개의 별 중 하나로 상징될 만큼 필리핀 영토에서 중요한 세 개의 블록 중 하나이다.[14] 비사야 제도는 사마르, 네그로스, 파나이, 레이테, 세부, 보홀 등 7개의 큰 섬과 수백 개의 작은 섬들로 구성되어 있다.[14] 주요 도시로는 세부 시티, 바콜로드 시티, 일로일로 시티 등이 있다.[14]
비사야인들은 스페인인들에 의해 온몸에 문신을 하는 관습(바톡(batok))을 언급하며 일반적인 용어인 ''핀타도스(Pintados)''("그려진 자들")로 처음 언급되었다.[9] "Bisaya"라는 단어는 파나이섬의 아티족(Ati people)이 아닌 주민들을 가리켜 스페인어 자료에서 처음으로 기록되었다.[10] 로아이사 원정(Loaísa expedition)(약 1526년), 알바로 데 사베드라 세론(Álvaro de Saavedra Cerón)(약 1528년), 루이 로페스 데 비야로보스(Ruy López de Villalobos)(약 1543년) 원정에서 보고된 대로 민다나오 동부 해안에 "Bisaya"라는 이름의 장소가 적어도 한 번 언급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이 이름은 스페인 식민지 시대 이전부터 비사야인들이 일반적인 자칭어로 이미 사용했을 가능성이 높다.[10] 스페인인들이 1500년대 후반까지 이 용어를 일반적으로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사람들이 수그부아논(Sugbuanon)과 같이 더 구체적인 민족 이름으로 자신을 식별하는 경향이 더 컸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10]
안토니오 데 모르가(Antonio de Morga)의 ''필리핀 제도의 사건들(Sucesos de las Islas Filipinas)''(1609)에서 그는 "''Biçaya''"라는 이름이 ''Pintados''와 동의어임을 명시한다.[11]
{{Blockquote
|text="이 지역 남쪽에는 비사야스 제도, 또는 핀타도스라고도 불리는 섬들이 있다. 수많은 섬들이 있으며 원주민들이 빽빽하게 살고 있다. 가장 유명한 섬들은 레이테, 이바바오(Ybabao), 사마르(Çamar), 보홀(Bohol), 네그로스섬(Negros), 세부(Sebu), 파나이섬(Panay), 쿠요, 그리고 칼라미안 제도(Calamianes)이다. 이 모든 섬들의 원주민들은, 남녀 모두, 잘 생겼고 성격이 좋으며 루손섬과 그 주변 주민들보다 행동이 더 고귀하다.
그들은 머리카락이 다르다. 남자들은 스페인 고대 스타일처럼 큐로 머리를 자른다. 그들의 몸에는 많은 디자인으로 문신이 새겨져 있지만 얼굴에는 문신이 없다. 그들은 귀에 금과 상아로 만든 큰 귀걸이를 하고, 같은 재료로 만든 팔찌를 착용한다. 머리에 두른 화려한 스카프는 터번과 비슷하며 매우 우아하게 묶여 있으며 금테가 둘러져 있다. 또한 헐렁한 칼라 없는 재킷과 타이트한 소매를 입는데, 치마는 다리 중간까지 내려온다. 이 의복은 앞쪽으로 고정되며 메드리냐케(medriñaque)와 색깔 있는 실크로 만들어진다. 그들은 셔츠나 바지를 입지 않고, 치마와 재킷을 벗을 때 사타구니를 가리는 여러 겹의 바하크(bahaques)를 입는다. 여자들은 아름답고 우아하다. 매우 단정하고 천천히 걷는다. 그들의 머리카락은 검고 길며 머리 위에 묶여 있다. 그들의 옷은 허리에 둘러서 아래로 떨어진다. 이것은 모든 색깔로 만들어지며 같은 재료로 만든 칼라 없는 재킷을 입는다. 남녀 모두 옷을 입지 않고 맨발로 다니며 많은 금 목걸이, 귀걸이, 세공된 팔찌를 착용한다.
그들의 무기는 커다란 칼, 창, 카라사스(caraças)로 구성되어 있다. 그들은 루손 주민들과 같은 종류의 배를 사용한다. 그들은 다른 모든 섬 주민들과 같은 직업, 생산물, 수입 수단을 가지고 있다. 이 비사야인들은 농업에 덜 열중하고 항해에 능숙하며 전쟁과 약탈을 갈망하는 민족이며, 이를 망구바스(mangubas)라고 부른다. 이것은 "약탈하러 나가다"라는 뜻이다.
. . .
핀타도스와 비사야스의 언어는 모두 같아서 서로 이야기하거나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문자로 글을 쓸 때 서로 이해할 수 있다. 이것은 아랍 문자와 비슷하다. 원주민들 사이에서 일반적인 글쓰기 방법은 나무 잎과 대나무 껍질에 쓰는 것이다.
|multiline=yes
|author= 안토니오 데 모르가(Antonio de Morga)
|title =''필리핀 제도의 사건들(Sucesos de las Islas Filipinas)''(1609) ''모르가의 필리핀 제도(Morga's Philippine Islands)''(1907) 엠마 헬렌 블레어(Emma Helen Blair)와 제임스 알렉산더 로버트슨(James Alexander Robertson) 번역
|source=[11]
}}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여러 저자들은 "비사야"가 스리비자야라는 역사적 제국의 이름에서 유래했다는 주장을 펼쳤다. 스리비자야는 산스크리트어 용어 "Śrīvijaya"(श्रीविजय)에서 왔으며, 비사야인들이 스리비자야에서 온 이주민이거나 그 지배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 주장은 주로 "Bisaya"와 "Vijaya"라는 단어의 유사성에만 근거한다.[10] 그러나 언어학자 유진 베르스트라엘렌이 지적했듯이, 다른 산스크리트어에서 유래한 차용어가 필리핀 언어에 통합되는 방식을 고려할 때 "Vijaya"는 "Bidaya" 또는 "Biraya"로 변화하지 "Bisaya"로는 변화하지 않는다.[12][13]
이 이름은 또한 보르네오의 비사야인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이 제기되었다. 후자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마라가타스'' 서사시에서 파나이 섬의 조상 이주민들의 기원으로 언급되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역사적, 고고학적, 언어학적 증거는 여전히 부족하다. 보르네오 비사야인과 필리핀 비사야인의 언어는 모두 같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에 속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어떤 민중 영웅(추정상 "Sri Visaya")의 이름이거나 브루나이 술탄이 처음으로 비사야 제도를 방문했을 때 외친 "Bisai-yah!"("얼마나 아름다운가!")라는 감탄사에서 유래했다는 주장도 있다. 이러한 모든 주장은 도전을 받았으며 단순한 추측과 민중어원으로 남아 있다.[10]
3. 지리
2015년 필리핀 인구 조사에 따르면, 비사야 제도를 구성하는 주요 섬들의 인구는 다음과 같다.섬 인구 파나이 4,123,213 네그로스 4,414,875 세부 4,164,535 레이테 2,388,518 사마르 1,751,267 보홀 1,211,000 막탄 467,824 기마라스 174,613 빌리란 171,612 반타얀 136,960 시키호르 95,984 팡라오 79,216 파나온 57,703 파시한 55,180 다람 39,032 포로 36,508 보라카이 32,267 폰손 11,308 마리피피 7,159 리마사와 6,061 호몬혼 4,211 파라산 3,847 바트바탄 2,851 마라리손 750 마니기인 719
4. 역사
1907년 비사야 역사가 페드로 알칸타라 몬테클라로가 저술한 책 『마라가타스』에는 보르네오의 라자 마카투나우의 폭정에서 탈출하여 파나이 섬으로 온 10명의 지도자(다투(Datu))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 지도자들과 그 추종자들은 몰락한 스리비자야 제국과 마자파히트 제국의 후손들로 여겨지며, 비사야인의 조상이라고 전해진다.[22] 이 기록은 필리핀 역사가들에 의해 받아들여져 필리핀 역사에 포함되었다. 그 결과, 보르네오 부족 집단의 비사야 도착 (보르네오의 스리비자야(Srivijayan)의 속국인 비자야푸라(Vijayapura) 출신)은 일로일로 시티의 디낭양 축제, 칼리보, 악란의 아티-아티한 축제, 그리고 안티케의 비니라얀 축제에서 기념된다.[22] 윌리엄 헨리 스콧과 같은 외국 역사가들은 이 책이 비사야 민간 전승을 담고 있다고 주장한다.[23]
현대적인 이론은 현재 인구의 유전자 표지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타이완 출신의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루손 섬을 거쳐 남쪽으로 비사야와 민다나오, 그리고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태평양 제도, 마지막으로 인도양 서쪽의 마다가스카르 섬까지 이동했다는 것이다.[24] 하지만 이 연구는 필리핀의 다른 주로 이주하는 등의 섬 간 이동을 설명하지 못할 수도 있다. 역사학자 에프렌 B. 이소레나는 역사 기록과 동남아시아 태평양 연안의 해류 분석을 통해 타이완의 피세이(Pisheye)와 필리핀 비사야 제도의 비사야(Bisaya)가 밀접하게 관련된 민족이라고 결론지었는데, 비사야인들이 북쪽 해류를 타고 필리핀에서 타이완으로 이동한 후 중국을 침략하고 여름 남쪽 계절풍 기간에 남쪽으로 돌아왔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25]
마젤란 원정대가 마크탄 전투에서 라푸라푸에게 패배한 후, 스페인 국왕 필립 2세는 1543년과 1565년에 미구엘 로페스 데 레가스피를 파견하여 이 섬들을 스페인 식민지로 만들었다. 그 후 비사야 지방과 많은 왕국들이 기독교로 개종하고 서구 문화를 받아들이기 시작했다. 18세기와 19세기가 되자 여러 민족 집단에 대한 식민지화의 영향이 악화되었고, 프란시스코 다고호이의 봉기와 같은 혁명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군도 내에서는 스페인 식민 정부에 맞서 싸운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했다. 주목할 만한 인물로는 테레사 마그바누아, 그라시아노 로페스 하에나[15] 및 일로일로 출신의 마르틴 델가도, 아니세토 락손, 레온 킬랏 및 네그로스 출신의 디에고 데 라 비냐, 세부 출신의 베난시오 자코살렘 페르난데스[16], 그리고 보홀 출신의 두 인물인 1621년부터 1622년까지 탐블롯 봉기를 이끈 탐블롯과 1744년부터 1829년까지 지속된 보홀 반란의 지도자 프란시스코 다고호이가 있다.[17] 네그로스는 네그로스 공화국이라는 형태로 비사야에서 잠시 독립 국가로 존재했지만, 미국이 군도를 점령하면서 필리핀에 다시 편입되었다.
필리핀 혁명 동안 짧은 기간 동안 비사야 연방국이 혁명 국가로 설립되었다. 일로일로를 비사야의 수도로 지정했으며, 비사야 지구 임시 정부(파나이), 네그로스 준주 정부, 보홀 준주 정부, 그리고 혁명 세력의 통제하에 있던 세부 섬으로 구성되었다.[18]
2005년 5월 23일, 당시 대통령이었던 글로리아 마카파갈 아로요가 서명한 ''429호 행정 명령''에 따라 팔라완(고도로 도시화된 수도 푸에르토프린세사 포함)이 미마로파(4-B 지방)에서 서비사야(6 지방)로 이관되었다.[19] 그러나 팔라웨뇨들은 협의 부족을 이유로 이 조치를 비판했으며, 푸에르토프린세사의 대부분 주민과 팔라완 시의 대부분이 미마로파(4-B 지방)에 남기를 선호했다. 결과적으로, 2005년 8월 19일, 대통령의 이행 계획 승인을 보류하는 ''129호 행정 명령''이 발표되었다.[20] 필리핀 선거위원회는 2010년 필리핀 총선 결과를 4-B 지방 결과의 일부로 팔라완을 포함하여 보고했다.[21] 현재, 보류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며, 팔라완과 그 수도는 미마로파(4-B 지방)에 남아 있다.
2015년 5월 29일, 네그로스 오시덴탈(고도로 도시화된 수도 바콜로드 포함)과 네그로스 오리엔탈의 두 개의 주가 네그로스 섬 지방을 형성하기 위해 합쳐졌다. 이는 당시 대통령 베니그노 아키노 3세가 서명한 ''183호 행정 명령''에 따른 것이다. 이로써 전자의 주와 그 수도는 서비사야에서, 후자의 주는 중비사야에서 분리되었다.
2017년 8월 9일,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은 그의 전임자인 베니그노 아키노 3세 대통령이 2015년 5월 29일에 서명한 ''183호 행정 명령''을 폐지하는 ''38호 행정 명령''에 서명했다. 예산관리부 장관인 벤자민 디옥노에 따르면, NIR을 완전히 설립하는 데 필요한 자금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2024년 6월 13일, 시키호르를 포함하여 네그로스 섬 지방이 재설립되었다.
4. 1. 스페인 식민 시대 이전
1907년 비사야 역사가 페드로 알칸타라 몬테클라로가 저술한 책 『마라가타스』에는 보르네오의 라자 마카투나우의 폭정에서 탈출하여 파나이 섬으로 온 10명의 지도자(다투(Datu))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이 지도자들과 그 추종자들은 몰락한 스리비자야 제국과 마자파히트 제국의 후손들로 여겨지며, 비사야인의 조상이라고 전해진다.[22] 이 기록은 필리핀 역사가들에 의해 받아들여져 필리핀 역사에 포함되었다. 그 결과, 보르네오 부족 집단의 비사야 도착 (보르네오의 스리비자야(Srivijayan)의 속국인 비자야푸라(Vijayapura) 출신)은 일로일로 시티의 디낭양 축제, 칼리보, 악란의 아티-아티한 축제, 그리고 안티케의 비니라얀 축제에서 기념된다.[22] 윌리엄 헨리 스콧과 같은 외국 역사가들은 이 책이 비사야 민간 전승을 담고 있다고 주장한다.[23]
전설에 따르면, 보르네오의 영주 마카투나우의 폭정에서 벗어나 10명의 영주와 그 백성이 파나이섬에 도착했다. 그들은 아티족에게 섬에 정착할 것을 허락받고 법전을 만들었다. 이들이 비사야인의 조상이라는 것이다. 그들의 도착을 축하하는 축제가 파나이섬 북부 아클란주의 주도인 칼리보에서 아티-아티한 축제로 열리고 있다.
이러한 전설은 페드로 알칸타라 몬테클라로가 1907년에 원로들로부터 듣고 기록하여 출판한 이야기 『마라가타스』로 유명해졌다. 이후 필리핀 민족주의의 흥륭과 함께 「마라그타스」는 필리핀 민족의 역사관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고, 1960년대까지는 초등학교에서 스페인인 도래 이전 필리핀 역사로 가르쳐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것은 어느 정도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고는 해도 어디까지나 몬테클라로의 이야기이며, 진실된 역사로 받아들일 수는 없다.
현대적인 이론은 현재 인구의 유전자 표지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타이완 출신의 오스트로네시아인들이 루손 섬을 거쳐 남쪽으로 비사야와 민다나오, 그리고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태평양 제도, 마지막으로 인도양 서쪽의 마다가스카르 섬까지 이동했다는 것이다.[24] 하지만 이 연구는 필리핀의 다른 주로 이주하는 등의 섬 간 이동을 설명하지 못할 수도 있다. 역사학자 에프렌 B. 이소레나는 역사 기록과 동남아시아 태평양 연안의 해류 분석을 통해 타이완의 피세이(Pisheye)와 필리핀 비사야 제도의 비사야(Bisaya)가 밀접하게 관련된 민족이라고 결론지었는데, 비사야인들이 북쪽 해류를 타고 필리핀에서 타이완으로 이동한 후 중국을 침략하고 여름 남쪽 계절풍 기간에 남쪽으로 돌아왔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25]
오래전부터 중국·동남아시아·아랍에 이르는 「해상 실크로드」 무역의 중심지였다.
4. 2. 스페인 식민 시대
비사야 제도는 15세기에 이곳을 연이어 방문한 스페인 항해사들과 접촉했다. 1521년 세계 일주 도중 이곳을 방문한 페르디난드 마젤란(Ferdinand Magellan), 1543년에 방문하여 이 제도에 "필리핀"이라는 이름을 붙인 루이스 로페스 데 비야로보스(Luis López de Villalobos), 그리고 1565년에 입항하여 필리핀을 정복한 미겔 로페스 데 레가스피(Miguel López de Legazpi) 등은 비사야 제도를 탐험하고 이를 스페인령으로 만들려고 했다. 특히 레가스피는 비사야 제도의 정복과 식민지화에 성공하여 세부시를 필리핀 최초의 식민 도시로 삼았다. 스페인에 의한 정복도 여기서 시작되었으며, 현재도 스페인 식민지 시대의 종교적·문화적 유산을 많이 남기고 있다.
4. 3. 미국 식민 시대와 독립 이후
1898년 스페인-미국 전쟁에서 스페인이 패배한 후, 필리핀은 미국의 식민지가 되었다. 미국은 필리핀을 통치하면서 비사야 제도의 여러 섬들을 군사적으로 점령하고 통제했다. 1941년 태평양 전쟁 발발 이후 일본 제국이 필리핀을 침공하여 점령하면서, 비사야 제도 또한 일본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필리핀은 1946년 7월 4일 미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비사야 제도는 독립된 필리핀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5. 행정 구역
행정 구역상 비사야 제도는 4개 지역으로 나뉘는데, 서부 비사야스, 네그로스섬 지역, 중부 비사야스, 동부 비사야스이다.
비사야 제도는 16개의 주로 구성되며, 각 주는 주지사가 이끈다. 주지사는 인민 투표로 선출되며, 각 3년씩 최대 3임기까지 역임할 수 있다.
'''서비사야 지방 (Region VI)'''
서비사야 지방(Western Visayas, Region VI)은 팔라완섬, 파나이섬, 네그로스섬 서부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다. 히롱고어가 주로 사용된다. 2005년 5월 23일 팔라완섬이 루손섬 남부 제도로 구성된 미마로파 지방에서 서비사야 지방으로 이관되었으나, 대통령령 시행이 지연되어 아직 미마로파 지방에 속해 있다.
서부 비사야는 파나이섬과 기마라스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역 중심지는 일로일로시이다. 이 지역의 주요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네그로스섬 지역 (NIR)'''
네그로스섬 지역(Negros Island Region, NIR)은 네그로스섬(Negros)과 시키호르섬(Siquijor)으로 구성된다. 임시 지역 중심지는 바콜로드(Bacolod)와 두마게테(Dumaguete)이다. 이 지역의 주는 다음과 같다.
- 네그로스오시덴탈주(Negros Occidental)
- 네그로스오리엔탈주(Negros Oriental)
- 시키호르주(Siquijor)
'''중부 비사야 지방 (Region VII)'''
중부 비사야 지방은 세부, 보홀 섬, 네그로스섬 동부를 주요 지역으로 한다. 중심지는 세부 시이다. 주로 세부아노어가 사용된다. 이 지역의 주는 다음과 같다.
'''동부 비사야 지방 (Region VIII)'''
동비사야 지방은 레이테섬, 사마르섬, 빌리란섬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역 중심지는 타클로반 시이다.[29][30] 주로 와라이어가 사용된다.
이 지역의 주는 다음과 같다:
일부 학자들은 비중심적 관점에 따라 미마로파 지역과 마스바테주가 모두 비사야 지역에 속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마닐라 중심적 관점을 견지하는 일부 정치인들의 주장과 상반된다.[29][30]
5. 1. 서비사야 지방 (Region VI)
서비사야 지방(Western Visayas, Region VI)은 팔라완섬, 파나이섬, 네그로스섬 서부를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다. 히롱고어가 주로 사용된다. 2005년 5월 23일 팔라완섬이 루손섬 남부 제도로 구성된 미마로파 지방에서 서비사야 지방으로 이관되었으나, 대통령령 시행이 지연되어 아직 미마로파 지방에 속해 있다.서부 비사야는 파나이섬과 기마라스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역 중심지는 일로일로시이다. 이 지역의 주요 행정구역은 다음과 같다.
5. 2. 네그로스섬 지역 (NIR)
네그로스섬 지역(Negros Island Region, NIR)은 네그로스섬(Negros)과 시키호르섬(Siquijor)으로 구성된다. 임시 지역 중심지는 바콜로드(Bacolod)와 두마게테(Dumaguete)이다. 이 지역의 주는 다음과 같다.- 네그로스오시덴탈주(Negros Occidental)
- 네그로스오리엔탈주(Negros Oriental)
- 시키호르주(Siquijor)
5. 3. 중부 비사야 지방 (Region VII)
중부 비사야 지방은 세부, 보홀 섬, 네그로스섬 동부를 주요 지역으로 한다. 중심지는 세부 시이다. 주로 세부아노어가 사용된다. 이 지역의 주는 다음과 같다.5. 4. 동부 비사야 지방 (Region VIII)
동비사야 지방은 레이테섬, 사마르섬, 빌리란섬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역 중심지는 타클로반 시이다.[29][30] 주로 와라이어가 사용된다.이 지역의 주는 다음과 같다:
일부 학자들은 비중심적 관점에 따라 미마로파 지역과 마스바테주가 모두 비사야 지역에 속한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마닐라 중심적 관점을 견지하는 일부 정치인들의 주장과 상반된다.[29][30]
6. 인구
비사야 제도의 인구는 필리핀 통계청(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에서 조사한다.[31] 1903년부터 2020년까지 비사야 제도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연도 | 인구 |
---|---|
1903 | 2,863,077 |
1918 | 3,810,750 |
1939 | 5,590,104 |
1948 | 6,414,595 |
1960 | 7,642,073 |
1970 | 9,032,454 |
1975 | 10,133,392 |
1980 | 11,112,523 |
1990 | 12,981,947 |
1995 | 14,158,443 |
2000 | 15,528,346 |
2007 | 17,159,481 |
2010 | 18,003,940 |
2015 | 19,373,431 |
2020 | 20,583,861 |
비사야 제도에는 말레이계의 후손인 비사야인(Bisaya, Visayans)들이 거주한다.
7. 언어
비사야 제도에서는 세부아노어가 가장 큰 모어로, 약 2천만 명의 원주민이 사용한다.[32] 주요 언어로는 서비사야 제도의 힐리가이논어 또는 일롱고어, 중비사야 제도의 세부아노어, 동비사야 제도의 와라이어가 있다. 다른 주요 언어로는 악라논어, 키나라야어, 카피즈논어가 있다. 타갈로그어를 기반으로 한 '국어'인 필리피노어는 널리 이해되지만 간혹 사용된다. 또 다른 공용어인 영어는 더 널리 알려져 있으며, 특히 도시화된 비사야인들에게는 제2언어로 선호된다. 예를 들어, 학교, 공공 표지판, 대중 매체에서는 타갈로그어보다는 영어가 자주 사용된다.[32]
필리핀 비사야어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비사야어(Bisaya)'''라는 단어의 사용에 대해 지속적인 논쟁이 있어 왔다. 비사야어(Bisaya)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필리핀 비사야 지역 사람들뿐만 아니라 루손과 민다나오를 포함한 필리핀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사람들도 지칭한다. 비사야 지역은 힐리게이논어, 세부아노어, 와라이어 등 여러 민족언어 집단과 언어를 포함하며, 같은 어족에 속하지만 서로 다른 언어이고 상호 이해가 되지 않는다.
수년 동안 비사야어(Bisaya)는 필리핀 여러 지역에서 세부아노어(Cebuano)와 혼용되어 사용되어 왔다.[33] 하지만 이러한 사용은 맥락에 따라 다르며 지역에 따라 다양하다. 민다나오와 세부 이외 지역의 세부아노어 사용 정착민들은 세부 사람들과 그들의 방언과 구별하기 위해 자신들과 자신의 언어를 비사야어(Bisaya)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모호성을 해결하기 위해 일부에서는 세부아노어(Cebuano)를 명확히 하기 위해 '''시누그부아농 비니사야어(Sinugbuanong Binisaya)'''(기초 교육에서 사용된 용어)[34]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는 반면, 다른 일부에서는 더 광범위한 용어로 '''비니사야어(Binisaya)'''를 제안한다. 필리핀 통계청(PSA)이 실시한 설문 조사[35][36]와 같이, 두 언어가 상호 이해 가능함에도 불구하고 비사야어(Bisaya)와 세부아노어(Cebuano)를 구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에스놀로그(Ethnologue)는 세부아노어(Cebuano)만을 언어로 분류하고 있다.[37] 서비사야에서는 비사야어(Bisaya)가 힐리게이논어 또는 키나라이아어 사용자를 지칭할 수 있으며, 동비사야에서는 와라이어 사용자를 지칭할 수 있다.
민다나오에서는 루손 출신 이주민 집단과 원주민들이 수년에 걸쳐 주로 세부아노어를 사용하는 사회(혹은 Soccsksargen 지역의 경우 힐리게이논어 사용 공동체)에 동화되었다. 이들 중 많은 사람들이 세부아노어를 배우고 나서 비사야인으로 자신을 확인하지만, 비사야가 아닌 뿌리를 기억하고 조상의 언어를 제2 또는 제3 언어로 유창하게 구사하는 경우가 많다.[38]
8. 문화
비사야인들은 친절하고, 종교적이며, 즐겁고, 활기찬 사람들로 알려져 있다. 그들은 파티를 좋아하고 생일, 졸업, 세례, 결혼식, 공휴일 등을 축하한다. 비사야인들은 이러한 축하 행사 동안 술을 마시고 춤을 추면서 노래 부르는 것을 좋아한다( 가라오케). 할로윈 기간에는 찹쌀로 만든 수만, 사핀-사핀, 비빙카 와 같은 전통 음식을 요리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들은 공동묘지에 있는 사랑하는 죽은 자들을 방문한다. 축하 행사 외에도, 비사야 제도에서는 일로일로 시티 근처 기마라스에서 찾을 수 있는 달콤하고 맛있는 망고가 있다. 화이트 비치 리조트는 보라카이라고 불린다. 이곳은 서비사야의 카티클란주에 위치한 유명한 아름다운 해변이다. 많은 외국인들이 재미있는 여름 활동과 해변가 레스토랑, 바, 기념품 가게가 가득한 이 해변을 방문하기를 좋아한다. 카피스 주 록사스 시에 위치한 필리핀의 해산물 수도도 찾을 수 있다. 새우, 게, 새우, 조개, 생선과 같은 신선한 해산물을 매일 맛볼 수 있다.
비사야인들은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며 축제를 통해 이를 기념하는데, 그들은 로마 가톨릭 또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26][27] 이러한 축제는 성인들을 기리기 위해, 평화와 행복을 공유하기 위해, 풍성한 수확에 감사하기 위해, 그리고 그들의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기념된다. 비사야인들은 비사야 제도의 다른 도시에서 기념되는 다양한 축제로 유명하다.
시누로그 축제는 매년 1월 셋째 주 일요일에 세부 시티에서 열린다. 이 축제는 그들의 성인인 세부의 성자 어린 예수상에게 경의를 표하는 축제이다. 시누로그 축제에는 퍼레이드, 수상 행렬, 춤, 세부 미인 대회, 그리고 때때로 예술 대회가 포함된다. 세부의 일부 지역도 전통 춤을 추고 그들의 수호 성인을 대표하는 플로트 또는 히간테스를 장식하여 축제에 참여한다.
아티-아티한 축제는 시누로그 축제와 마찬가지로 매년 1월 셋째 주 일요일에 열린다. 이 축제는 파나이섬 칼리보, 악란에서 열리는데, 여기는 아에스타스 또는 아티라고 불리는 최초의 원주민들이 정착한 곳이다. 이 축제는 아기 예수와 원주민들의 신비에 헌정된 축제이다. 참여하는 사람들은 몸과 얼굴에 그림을 그리고 원주민 의상과 소품을 착용한다. 이 축제는 며칠 동안 음악, 북, 퍼레이드를 한다.
디낭양 축제는 1월 넷째 주 일요일에 일로일로 시티에서 열린다. 이 축제는 아기 예수인 세뇨르 스토. 니뇨를 기념하는 축제이다. 악란의 아티-아티한 축제와 마찬가지로, 디낭양은 또한 파나이섬에 말레이인들이 들어온 것을 기념하는 아티들의 춤, 화려한 의상, 일로일로 미스를 위한 미인 대회를 포함한다. 사드사드는 장식된 플로트를 싣고 행진하는 행렬이다. 이 도시의 바랑가이에 있는 학교와 사업체들은 이 축제에서 춤 경연대회에 참가한다.[28]
8. 1. 주요 축제
비사야인들은 전통과 문화를 존중하며 축제를 통해 이를 기념하는데, 로마 가톨릭 또는 기독교 신앙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26][27] 이러한 축제는 성인들을 기리기 위해, 평화와 행복을 공유하기 위해, 풍성한 수확에 감사하기 위해, 그리고 그들의 제품을 홍보하기 위해 기념된다. 비사야인들은 비사야 제도의 다른 도시에서 기념되는 다양한 축제로 유명하다.시누로그 축제는 매년 1월 셋째 주 일요일에 세부 시티에서 열린다. 이 축제는 그들의 성인인 세부의 성자 어린 예수상에게 경의를 표하는 축제이다. 시누로그 축제에는 퍼레이드, 수상 행렬, 춤, 세부 미인 대회, 그리고 때때로 예술 대회가 포함된다. 세부의 일부 지역도 전통 춤을 추고 그들의 수호 성인을 대표하는 플로트 또는 히간테스를 장식하여 축제에 참여한다.
아티-아티한 축제는 시누로그 축제와 마찬가지로 매년 1월 셋째 주 일요일에 열린다. 이 축제는 파나이섬 칼리보, 악란에서 열리는데, 여기는 아에스타스 또는 아티라고 불리는 최초의 원주민들이 정착한 곳이다. 이 축제는 아기 예수와 원주민들의 신비에 헌정된 축제이다. 참여하는 사람들은 몸과 얼굴에 그림을 그리고 원주민 의상과 소품을 착용한다. 이 축제는 며칠 동안 음악, 북, 퍼레이드를 한다.
디낭양 축제는 1월 넷째 주 일요일에 일로일로 시티에서 열린다. 이 축제는 아기 예수인 세뇨르 스토. 니뇨를 기념하는 축제이다. 악란의 아티-아티한 축제와 마찬가지로, 디낭양은 또한 파나이섬에 말레이인들이 들어온 것을 기념하는 아티들의 춤, 화려한 의상, 일로일로 미스를 위한 미인 대회를 포함한다. 사드사드는 장식된 플로트를 싣고 행진하는 행렬이다. 이 도시의 바랑가이에 있는 학교와 사업체들은 이 축제에서 춤 경연대회에 참가한다.[28]
8. 2. 기타 문화적 특징
참조
[1]
웹사이트
Visayan Islands
http://www.merriam-w[...]
[2]
서적
Sulu Sea
Encyclopedia of Earth
2011
[3]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429
https://web.archive.[...]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2009-05-18
[4]
웹사이트
Administrative Order No. 129
https://web.archive.[...]
President of the Philippines
2009-05-18
[5]
웹사이트
PSA Makati ActiveStats – PSGC Interactive – List of Regions
https://web.archive.[...]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2015-06-30
[6]
논문
The Visayan Raiders of the China Coast, 1174-1190 AD
https://www.academia[...]
2004
[7]
서적
International Studies in the Philippines Mapping New Frontiers in Theory and Practice
Taylor and Francis
2020
[8]
서적
Taiwan Archaeology Local Development and Cultural Boundaries in the China Seas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22
[9]
서적
Sulod Society: A Study in the Kinship System and Social Organization of a Mountain People of Central Panay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Press
2009-07-31
[10]
논문
The Bisaya of Borneo and the Philippines: A New Look at Maragtas
1974
[11]
서적
Morga's Philippine Islands
https://www.gutenber[...]
Artur H. Clark Company
1907
[12]
논문
Lexical Studies on the Cebuano Language
1974
[13]
논문
Linguistics and Philippine Prehistory
1973
[14]
웹사이트
Iloilo City Population 2023
https://worldpopulat[...]
2023-05-06
[15]
웹사이트
Graciano López Jaena
http://www.univie.ac[...]
2013-07-26
[16]
뉴스
Venancio's Leon Kilat
http://newsinfo.inqu[...]
2013-07-26
[17]
웹사이트
The Dagohoy Rebellion
http://www.watawat.n[...]
2013-07-26
[18]
뉴스
Once, There Was Federal Visayas
http://archives.news[...]
Public Trust Media Group, Inc.
2005-08-01
[19]
웹사이트
Executive Order No. 429 s. 2005
https://www.official[...]
Philippine Government
2005-05-23
[20]
웹사이트
Administrative Order No. 129 s. 2005
https://www.official[...]
Philippine Government
2005-08-19
[21]
웹사이트
Philippine 2010 Election Results: Region IV-B
http://electionresul[...]
Philippine Commission on Elections
[22]
서적
Adventure Guides: East Malaysia
https://books.google[...]
Tuttle Publishing
2000
[23]
문서
(정보 부족)
1984
[24]
논문
A Predominantly Indigenous Paternal Heritage for the Austronesian-Speaking Peoples of Insular Southeast Asia and Oceania
https://web.archive.[...]
[25]
논문
The Visayan Raiders of the China Coast, 1174–1190 Ad
2004
[26]
웹사이트
Visayans in Hawaii, UHM Center for Philippine Studies
http://www.hawaii.ed[...]
2023-05-17
[27]
서적
Filipino Celebration A treasury of feast and festival
Tuttle Publishing
[28]
서적
Popular Festivals in Western Visayas
https://books.google[...]
Center for West Visayan Studies, College of Arts and Sciences, University of the Philippines in the Visayas
1992
[29]
웹사이트
Nene Pimentel gives details on proposal for federalist government
http://news.abs-cbn.[...]
[30]
Youtube
Rappler Talk: Nene Pimentel on federalism, Congress, Duterte's SONA – YouTube
https://www.youtube.[...]
2017-07-25
[31]
웹사이트
Population and Annual Growth Rates for The Philippines and Its Regions, Provinces, and Highly Urbanized Cities
https://web.archive.[...]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32]
웹사이트
The Dialectology of Cebuano
https://mlephil.word[...]
2012-04-03
[33]
웹사이트
The Dialectology of Cebuano: Cebuano, Bisaya, Binisaya
https://binisaya.com[...]
2011-02-10
[34]
뉴스
Learning in Sinugbuanong Binisaya
https://newsinfo.inq[...]
2012-06-04
[35]
웹사이트
Tagalog is the Most Widely Spoken Language at Home (2020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https://psa.gov.ph/s[...]
2023-03-07
[36]
웹사이트
The language landscape of the Philippines in 4 maps
https://stories.thin[...]
2016-08-10
[37]
웹사이트
Cebuano
https://www.ethnolog[...]
[38]
웹사이트
We Who Seek to Settle Problematizing the Mindanao Settler Identity
https://www.academia[...]
2017-12
[39]
웹인용
Population and Annual Growth Rates for The Philippines and Its Regions, Provinces, and Highly Urbanized Cities
https://web.archive.[...]
Philippine Statistics Authorit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