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76년 아르헨티나 쿠데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6년 아르헨티나 쿠데타는 이사벨 페론 대통령이 실각하고 군부가 권력을 장악한 사건이다. 후안 페론 대통령 사망 이후 이사벨 페론 정부는 정치적 혼란과 경제난을 겪으며 지지 기반을 잃었고, 좌우익 간의 폭력 사태가 심화되었다. 1976년 3월 24일, 군부는 이사벨 페론을 체포하고 계엄령을 선포한 후 언론을 통제하며 정권을 장악했다.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를 대통령으로 하는 군사 정권은 '더러운 전쟁'을 통해 수많은 인권 탄압을 자행했으며, 미국 정부는 정권 교체를 인지하고 묵인했다. 이 사건은 아르헨티나의 민주주의를 훼손하고 인권 유린을 초래했으며, 이후 아르헨티나에서는 쿠데타를 기리는 '진실과 정의를 위한 기억의 날'이 제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쿠데타 - 국가재편성과정
    국가재편성과정은 1976년 아르헨티나 군부 쿠데타로 시작된 권위주의 통치, 반체제 인사 탄압, 신자유주의 정책 추진을 특징으로 하는 시기로, 포클랜드 전쟁 패배와 경제 위기 속에 막을 내린 후 과거사 청산 노력이 이어졌다.
  • 1976년 아르헨티나 - 국가재편성과정
    국가재편성과정은 1976년 아르헨티나 군부 쿠데타로 시작된 권위주의 통치, 반체제 인사 탄압, 신자유주의 정책 추진을 특징으로 하는 시기로, 포클랜드 전쟁 패배와 경제 위기 속에 막을 내린 후 과거사 청산 노력이 이어졌다.
  • 1976년 아르헨티나 - 1976년 동계 올림픽 아르헨티나 선수단
    1976년 동계 올림픽에 아르헨티나는 알파인 스키와 크로스컨트리 스키 종목에 선수단을 파견하여 남자 활강, 대회전, 회전, 15km, 30km 경기에 출전했다.
  • 1976년 분쟁 - 엔테베 작전
    엔테베 작전은 1976년 팔레스타인 인민해방전선과 독일 적군파 테러리스트들이 에어프랑스 139편을 납치하여 우간다 엔테베 국제공항으로 향하게 한 사건에 대해 이스라엘군이 인질 구출을 위해 감행한 군사 작전으로, 인질 구출 성공에도 불구하고 인명 피해와 국제적 논란을 야기했다.
  • 1976년 분쟁 - 국가재편성과정
    국가재편성과정은 1976년 아르헨티나 군부 쿠데타로 시작된 권위주의 통치, 반체제 인사 탄압, 신자유주의 정책 추진을 특징으로 하는 시기로, 포클랜드 전쟁 패배와 경제 위기 속에 막을 내린 후 과거사 청산 노력이 이어졌다.
1976년 아르헨티나 쿠데타 - [전쟁]에 관한 문서
개요
1976년 3월 29일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의 대통령 취임 선서
1976년 3월 29일 대통령으로 취임하는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날짜1976년 3월 24일
장소카사 로사다, 부에노스 아이레스
결과이사벨 페론 축출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가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됨
관련콘도르 작전
더러운 전쟁 (아르헨티나)
냉전
교전 세력
교전 1정부
정의주의당
교전 2군대
[[File:Ejercito argentino escudo.png|20px]] 육군
[[File:Escudo armada argentina banderolas.png|20px]] 해군
[[File:Escudo Fuerza Aérea Argentina (oro).png|20px]] 공군
지원 세력브라질
칠레
미국
지휘관
정부군 지휘관이사벨 페론
군부 지휘관호르헤 비델라
병력 규모
정부군 병력알 수 없음
군부 병력알 수 없음

2. 쿠데타 이전 정세

후안 페론 대통령이 1974년 7월 1일에 사망하자, 그의 아내이자 부통령이었던 이사벨 페론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이사벨리타'라고도 불린 그녀는 국가의 정당한 통치자임을 주장했지만, 빠르게 정치적 권위와 권력을 잃었다. 페론이 부통령을 돕도록 임명한 군 관리 그룹은 악화되는 정치·사회적 분위기를 틈타 통제권을 장악했고, 이는 쿠데타의 발판이 되었다.[12][13][14]

1975년 2월 5일, 독립 작전이 시작되었다. 이 베트남 전쟁 스타일의 작전은 1974년 5월부터 투쿠만 주 정글에 거점을 유지해 온 게릴라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0월에는 전국이 5개의 군사 구역으로 나뉘었고, 각 사령관에게는 신중하게 계획된 탄압을 가할 완전한 자율권이 주어졌다.

12월 18일, 여러 대의 군용기가 모론 공항 및 공군 기지에서 이륙하여 카사 로사다를 공격, 이사벨 페론 정부를 전복시키려 했다. 이 반란은 4일 후 사제의 중재로 중단되었다.

그러나 군은 정부에 충성하는 유일한 장교였던 아르헨티나 공군 사령관 엑토르 포타리오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포타리오는 군부의 탄압 계획에 격렬하게 반대하고 북부 게릴라 거점에 공군을 동원하는 것을 거부하여 육군과 해군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포타리오는 비델라가 권력을 추구하는 데 있어 마지막 장애물이었다.[12][13][14]

1976년 1월까지 투쿠만에서 게릴라의 존재는 몇 개의 소대로 줄어들었다. 한편, 군은 지역 엘리트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칠레 군사 독재, 브라질 군사 독재, 미국 중앙 정보국(CIA), 제럴드 포드 행정부와 함께 권력을 잡기 위한 때를 기다렸다.[12][13][14]

정치학자 스콧 메인워링에 따르면, 쿠데타 이전 몇 년 동안 혼돈과 권력 공백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팽배했다. 좌익과 우익 모두 극심한 급진화가 이루어졌고, 강력한 정치 행위자들은 민주주의 정치 기관에서 지지를 철회했다. 좌우익 양측의 폭탄 테러, 납치, 암살, 공장 점거 등 정치적 폭력이 발생했다. 동시에 후안 페론과 이사벨 페론의 정부는 주요 경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15]

2. 1. 이사벨 페론 정부의 실정

후안 페론 대통령이 1974년 7월 1일 사망하자, 그의 아내이자 부통령이었던 이사벨 페론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이사벨리타'라고도 불린 그녀는 국가의 정당한 통치자임을 주장했지만, 빠르게 정치적 권위와 권력을 잃었다.[16] 그녀는 군부에 의존하여 통치하려 했으나, 이는 쿠데타의 빌미를 제공했다.

정치학자 스콧 메인워링에 따르면, 쿠데타 이전 몇 년 동안 아르헨티나에는 혼란과 권력 공백에 대한 인식이 팽배했다. 좌익과 우익 모두 극심하게 급진화되었고, 주요 정치 세력들은 민주주의 정치 제도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다. 좌우익 양측의 폭탄 테러, 납치, 암살, 공장 점거 등 정치적 폭력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그러나 페론 정부는 이러한 문제뿐만 아니라 경제 문제에도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15]

페론의 권력은 대중의 조롱과 의회 과반수 상실로 인해 더욱 약화되었다. 그녀에 대한 대중적 지지는 페론주의 우익 세력으로 축소되었으며,[16] 1976년 2월에는 세 명의 군 사령관이 그녀에게 대통령직 사임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16]

페론 대통령은 좌익 게릴라 조직인 몬토네로스와 인민혁명군(ERP), 그리고 우익 아르헨티나 반공주의 동맹(AAA) 단체와도 동시에 싸워야 했다. 1975년 3월 20일부터 21일 사이에는 좌우익 양측에서 25건의 정치적 살인이 발생했다.[16] 1975년 5월 말, 사회복지부 장관 로페스 레가가 AAA에 대한 조사를 발표했지만, 550일 동안 단 한 명도 체포되지 않았다. 정부의 미흡한 대처는 대중의 불만을 야기했다.[17]

1976년 3월 말, 현지 언론은 쿠데타가 임박했음을 보도했고, 이는 좌우익 간의 정치적 폭력을 더욱 격화시켰다. 이로 인해 연초부터 3월 말까지 약 165명이 사망했으며, 페론 정권은 이를 막을 힘이 없었다.[17]

2. 2. 군부의 권력 장악 시도

후안 페론 대통령이 1974년 7월 1일 사망하자, 그의 아내이자 부통령이었던 이사벨 페론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러나 이사벨 페론은 정치적 권위와 권력을 빠르게 잃어갔다. 군 관리 그룹은 악화되는 정치·사회적 분위기를 틈타 통제권을 장악했고, 이는 쿠데타의 발판이 되었다.[12][13][14]

1975년 2월 5일, 독립 작전이 시작되었다. 이 작전은 투쿠만 주 정글에 거점을 둔 게릴라를 제거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10월에는 전국이 5개의 군사 구역으로 나뉘었고, 각 사령관에게는 탄압을 위한 완전한 자율권이 주어졌다.

12월 18일, 여러 대의 군용기가 모론 공항 및 공군 기지에서 이륙하여 카사 로사다를 공격, 이사벨 페론 정부를 전복시키려 했다. 이 반란은 4일 후 사제의 중재로 중단되었다.

그러나 군은 정부에 충성하는 유일한 장교였던 아르헨티나 공군 사령관 엑토르 포타리오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 포타리오는 군부의 탄압 계획에 격렬하게 반대하고 북부 게릴라 거점에 공군을 동원하는 것을 거부하여 육군과 해군의 거센 비판을 받았다. 포타리오는 비델라가 권력을 추구하는 데 있어 마지막 장애물이었다.[12][13][14]

1976년 1월, 투쿠만에서 게릴라의 존재는 몇 개의 소대로 줄어들었다. 한편, 군은 지역 엘리트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칠레 군사 독재와 브라질 군사 독재의 군사 독재, 미국 중앙 정보국(CIA), 제럴드 포드 행정부와 함께 권력을 잡기 위한 때를 기다렸다.

정치학자 스콧 메인워링에 따르면, 쿠데타 이전 몇 년 동안 혼돈과 권력 공백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팽배했다. 좌익과 우익 모두 극심한 급진화가 이루어졌고, 강력한 정치 행위자들은 민주주의 정치 기관에서 지지를 철회했다. 우익과 좌익의 폭탄 테러, 납치, 암살, 공장 점거 등 정치적 폭력이 발생했다. 동시에 후안 페론과 이사벨 페론의 정부는 주요 경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15]

2. 3. 좌우익 폭력의 격화

후안 페론 대통령이 1974년 7월 1일 사망하자, 그의 아내이자 부통령이었던 이사벨 페론이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그러나 이사벨 페론은 정치적 권위와 권력을 빠르게 잃어갔다. 군 관리 그룹은 악화되는 정치, 사회적 분위기를 틈타 통제권을 장악했고, 이는 쿠데타의 발판이 되었다.[15]

1975년 2월 5일, 독립 작전이 시작되어 투쿠만 주 정글에 거점을 둔 게릴라를 제거하려 했다. 10월에는 전국이 5개의 군사 구역으로 나뉘었고, 각 사령관은 탄압을 위한 완전한 자율권을 부여받았다. 12월 18일에는 군용기들이 카사 로사다를 공격하여 이사벨 페론을 전복시키려 했으나, 4일 후 사제의 중재로 중단되었다. 군은 아르헨티나 공군 사령관 엑토르 포타리오를 제거했는데, 그는 군의 탄압 계획에 반대하고 공군 동원을 거부하여 비판을 받았다.[12][13][14]

1976년 1월까지 투쿠만의 게릴라는 소규모로 줄어들었다. 군은 지역 엘리트, 칠레 군사 독재, 브라질 군사 독재, 미국 중앙 정보국(CIA), 제럴드 포드 행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권력을 잡을 시기를 기다렸다.[12][13][14]

쿠데타 이전 몇 년 동안 혼돈과 권력 공백에 대한 인식이 팽배했다. 좌익과 우익 모두 극단적으로 급진화되었고, 주요 정치 세력들은 민주주의 정치 제도에서 지지를 철회했다. 좌우익의 폭탄 테러, 납치, 암살, 공장 점거 등 정치적 폭력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후안 페론과 이사벨 페론 정부는 경제 문제 해결에 실패했다.[15]

페론의 권력 상실은 의회 과반수 상실로 심화되었고, 대중적 지지는 페론주의 우익 세력으로 축소되었다.[16] 1976년 2월, 군 사령관들은 그녀에게 대통령직 사임을 요구했다. 좌익 게릴라 조직인 몬토네로스와 인민혁명군(ERP), 우익 아르헨티나 반공주의 동맹(AAA) 간의 게릴라전도 계속되었다. 1975년 3월 20일부터 21일 사이에 25건의 정치적 살인이 발생했고, 좌우익 모두 피해자가 발생했다.[16] 1975년 5월 말, 사회복지부 장관 로페스 레가가 AAA에 대한 조사를 발표했지만, 체포된 사람은 없었다. 1976년 3월 말, 현지 언론은 쿠데타가 임박했다고 보도했고, 좌우익 간의 정치적 폭력은 더욱 심화되어 연초부터 그 시점까지 약 165명이 사망했다.[17]

3. 쿠데타의 전개

1976년 3월 24일 새벽, 아르헨티나에서 군사 쿠데타가 발생했다. 01:00시(현지 시각) 직전, 이사벨 페론 대통령은 군부에 의해 체포되었고, 03:10에는 모든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이 중단되었다. 정규 방송은 군가로 대체되었고,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장군, 에밀리오 에두아르도 마세라 제독, 오를란도 라몬 아고스티 준장이 서명한 첫 번째 '공보'가 방송되었다. 이 공보를 통해 군부는 국가를 장악했음을 선포했다.[12][13][14]

계엄령과 군사법이 시행되면서 군의 통제가 강화되었고, 주요 도시에는 군 순찰대가 배치되었다. 쿠데타 당일 아침은 비교적 평온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군부에 의한 구금과 납치가 급증했다. 수백 명의 노동자, 노동조합원, 학생, 정치 운동가들이 체포되어 비밀 구금 시설로 끌려갔다.[12][13][14]

3. 1. 이사벨 페론 대통령 체포

이사벨 페론 대통령은 1976년 3월 24일 01시(현지 시각) 군부에 의해 체포되어 헬리콥터로 엘 메시도르 관저에 구금되었다.[12][13][14] 03시 10분, 모든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이 중단되었고, 정규 방송 대신 군가가 방송되었다. 이후 첫 번째 '공보'가 발표되었다.

계엄령과 군사법이 시행되었고, 군의 순찰은 모든 주요 도시로 확대되었다. 체포는 계속 늘어나, 수백 명의 노동자, 노동조합원, 학생, 정치 운동가들이 집, 직장 또는 거리에서 납치되었다.[12][13][14]

3. 2. 언론 통제와 첫 성명 발표

현지 시각으로 01:00 직전, 이사벨 페론 대통령은 구금되어 헬리콥터로 엘 메시도르 관저로 이송되었다.[1] 03:10에 모든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이 중단되었다.[1] 정규 방송은 군가로 대체되었으며, 그 후 첫 번째 '공보'가 방송되었다.[1]

[...] 국민 여러분께 오늘부터 이 나라는 군 수뇌부의 작전 통제하에 있음을 알립니다. 모든 국민들께 군, 보안 또는 경찰 당국의 조항과 지침을 엄격히 준수하고, 작전 요원의 급격한 개입을 필요로 할 수 있는 개인 또는 집단적 행동과 태도를 피하기 위해 극도로 주의할 것을 권고합니다. 서명: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장군, 에밀리오 에두아르도 마세라 제독 및 오를란도 라몬 아고스티 준장.


계엄령과 군사법이 시행되었고, 군의 순찰은 모든 주요 도시로 확대되었다.[1] 아침은 별다른 사건 없이 지나갔지만, 날이 갈수록 구금은 늘어났다.[1] 수백 명의 노동자, 노동조합원, 학생, 정치 운동가들이 집, 직장 또는 거리에서 납치되었다.[1]

3. 3. 계엄령 선포와 시민 탄압

01:00es (현지 시각) 직전에 페론 대통령은 구금되어 헬리콥터로 엘 메시도르 관저로 이송되었다. 03:10es에 모든 텔레비전 및 라디오 방송이 중단되었다. 정규 방송은 중단되었고 군가로 대체되었으며, 그 후 첫 번째 '공보'가 방송되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국민 여러분께 오늘부터 이 나라는 군 수뇌부의 작전 통제하에 있음을 알립니다. 모든 국민들께 군, 보안 또는 경찰 당국의 조항과 지침을 엄격히 준수하고, 작전 요원의 급격한 개입을 필요로 할 수 있는 개인 또는 집단적 행동과 태도를 피하기 위해 극도로 주의할 것을 권고합니다. 서명: 호르헤 라파엘 비델라 장군, 에밀리오 에두아르도 마세라 제독 및 오를란도 라몬 아고스티 준장.



계엄령과 군사법이 시행되었고, 군의 순찰은 모든 주요 도시로 확대되었다. 아침은 별다른 사건 없이 지나갔지만, 날이 갈수록 구금은 늘어났다. 수백 명의 노동자, 노동조합원, 학생, 정치 운동가들이 집, 직장 또는 거리에서 납치되었다.[1]

4. 언론 보도와 검열

1976년 쿠데타 전후 아르헨티나 언론은 정부의 강력한 통제와 검열을 받았다. 이사벨 페론 정부는 언론 보도를 제한하는 법령을 발표했고, 군사 정부 역시 언론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했다.

페론 정부는 법령 1273호를 통해 국내외 언론 매체가 해외 뉴스 에이전시의 아르헨티나 관련 뉴스를 보도하는 것을 금지했다.[20] 라 프렌사, 라 오피니온 등은 이에 "모호하고, 임의적이며, 터무니없다"며 반발했고, 정부 자금 지원 중단이라는 처벌을 받았다.[21]

군사 정부는 언론 비서 호르헤 루이스 아르기오티를 통해 "성명서 외 내용은 협조를 요청"하며 언론을 통제했다.[22] 그러나 라디오와 텔레비전은 군부 성명을 엄격히 방송한 반면, 외국 기자들은 국제 뉴스에 접근할 수 있었다.

4. 1. 쿠데타 당시 언론 보도

클라린 신문은 1976년 3월 24일, 군부가 이사벨 페론을 대체하며 정부를 장악했음을 확인하는 두 번째 간행물을 발행했다. 군부의 쿠데타는 당일 3시 10분에서 15분 사이에 일어났다.[18] 신문 1면은 권력 공백을 막기 위해 페론을 대체해야 한다는 군부의 이유를 밝혔다. 클라린은 며칠 동안 쿠데타 관련 보도를 이어갔지만, 3월 28일부터는 다른 내용으로 전환하기 시작했다. 클라린은 호르헤 비델라 군사 정부의 새 내각 구성원 명단을 발표했는데, 알바노 아르귄데기, 리카르도 프랑케, 훌리오 고메스, 오스발도 카치아토레, 호세 A. 마르티네스 데 호스, 리카르도 브루에라, 오라시오 리엔도, 훌리오 J. 바르디 등 모두 고위 군 장교들이었다. 3월 28일, 클라린은 군사 정부가 이미 32개국으로부터 아르헨티나 정부로 인정받았다고 보도했다.[19]

4. 2. 군부의 언론 통제와 검열

이사벨 페론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언론 보도는 심각하게 제한되었으며, 이는 아르헨티나 현지 언론뿐만 아니라 해외 언론의 보도에도 적용되었다. 페론 정권 하에서는 여러 법령이 발표되었는데, 그중 하나는 뉴스 에이전시 등록에 관한 것이었으며, 모든 국내 및 해외 뉴스 매체가 모든 지침을 준수하도록 요구했다. 주요 지침은 "국내 및 해외 뉴스 매체는 해외 뉴스 에이전시가 제공하는 아르헨티나 관련 뉴스를 보도하는 것을 금지한다"는 내용의 법령 1273호였다.[20] 라 프렌사와 라 오피니온과 같은 여러 신문들은 즉각 이러한 제재에 반대하며 비난했고, 그것이 "모호하고, 임의적이며, 터무니없다"고 설명했다. 이 신문들은 정부 자금 지원이 중단되는 처벌을 받았다.[21] 군사 정부 하에서도 언론 보도는 제한되었으며, 군사 정부는 언론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했다. 그러나 두 정권의 차이는 메시지에 있었다. 외국 언론 대표들이 임시 정부의 언론 비서인 호르헤 루이스 아르기오티를 만났을 때 그는 "성명서에 포함된 내용 외의 문제를 보도할 때 협력해달라"고 요청했는데, 일부 해외 언론 매체는 이를 언론에 대한 암묵적인 통제로 받아들였다.[22]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르헨티나의 라디오와 텔레비전은 군사 정부의 성명서를 엄격하게 방송했지만, 1976년 3월 현재 외국 뉴스 기자들은 여전히 국제 뉴스에 접근할 수 있었다.

4. 3. 비델라 군사 정권 출범

군부는 1976년 3월 29일 비델라를 대통령으로 임명했다. 이후 상·하원 의원과 직원들이 체포되어 국회 의사당에서 내쫓기면서 의회는 해산되었다. 군 및 경찰 장교로만 구성된 입법 자문 위원회(스페인어: ''Comisión de Asesoramiento Legislativo'' - CAL)가 입법 역할을 맡았다.[23]

인권 운동가들은 쿠데타와 뒤이은 더러운 전쟁으로 군사 정권에 반대하는 젊은이들 약 3만 명이 "실종"되거나 살해되었다고 주장한다.[24] 군인들은 임산부를 출산할 때까지 구금한 후 살해하고, 아기를 아이가 없는 군 가족에게 넘겨주기도 했다.[24] 키신저는 군사 정권에게 미국 정부의 전적인 지원을 약속했지만, 주 아르헨티나 미국 대사 로버트 힐은 이에 반대했다.[12]

이 독재는 시민, 교회, 기업 부문의 공모에 의존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민-군사-교회-사업 독재로 특징지어진다.[25][26][27][28]

4. 4. 의회 해산과 입법 자문 위원회 구성

군부는 1976년 3월 29일 비델라가 대통령으로 임명될 때까지 행정 권력을 장악했다. 상원 및 하원 의원과 직원들은 체포되어 무자비하게 구타당하고 국회 의사당에서 내쫓기면서 의회는 해산되었다. 군 및 경찰 장교로만 구성된 입법 자문 위원회(스페인어: Comisión de Asesoramiento Legislativo|코미시온 데 아세소라미엔토 레히슬라티보es - CAL)라는 단체가 입법 역할을 맡았다.[23]

4. 5. '더러운 전쟁'과 인권 탄압

군부는 1976년 3월 29일 비델라가 대통령으로 임명될 때까지 행정 권력을 장악했다. 상·하원 의원과 직원들이 체포되어 무자비하게 구타당하고 국회 의사당에서 내쫓기면서 의회는 해산되었다. 군 및 경찰 장교로만 구성된 입법 자문 위원회(스페인어: ''Comisión de Asesoramiento Legislativo'' - CAL)라는 단체가 입법 역할을 맡았다.[23]

인권 운동가들은 쿠데타와 뒤이은 더러운 전쟁 이후 주로 군사 정권에 반대하는 젊은이들 약 3만 명이 "실종"되거나 살해되었다고 말한다.[24] 살인에 책임이 있는 군인들은 종종 임산부를 한동안 살려두고 출산할 때까지 구금한 후 죽이고, 그들의 아기를 아이가 없는 군 가족에게 넘겨주었다.[24] 키신저는 군사 정권에게 그들의 전쟁과 관련 행동에 대해 미국 정부의 전적인 지원을 받을 것이라고 사적으로 확신했는데, 이는 당시 주 아르헨티나 미국 대사인 로버트 힐에 의해 반대되었다.[12]

독재는 시민 및 교회 부문의 공모에 의존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민-군사-교회-사업 독재로 특징지어진다.[25][26][27][28]

5. 미국의 역할

1976년 1월, 투쿠만 주에서 게릴라 세력은 소규모 부대로 축소되었다. 한편, 아르헨티나 군부는 지역 엘리트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으며, 칠레와 브라질의 군사 독재 정권, 미국 중앙 정보국(CIA), 제럴드 포드 행정부와 협력하며 권력을 장악할 시기를 기다렸다.[12][13][14]

5. 1. 미국의 쿠데타 인지 및 묵인

미국 정부는 라틴 아메리카의 정권 변화에 주목했으며, 이사벨 페론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아르헨티나를 면밀히 주시했다. 페론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의 게릴라전은 심각한 정치적 폭력으로 이어졌고, 몬토네로스에 의한 코르도바 주재 미국 영사 존 이건의 살해는 아르헨티나 내 미국인들의 불안감을 조성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인이 게릴라전의 표적이 될 가능성을 높였다.[30] 미국 정부는 또한 페론 정권이 정치적 권력을 잃기 시작하면서 정권 교체의 가능성을 예측했으며, 1976년 2월 군대의 "불만이 너무 팽배하고 강렬하여 [쿠데타]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고 언급했다.[20] 또 다른 정권 교체의 우려는 포드와 제너럴 모터스에서 엑손의 산업 시설에 이르기까지 아르헨티나에 대한 경제적 투자와 같은 미국 이익 보호였다. 그러나 미국 국무부는 좌익 단체가 쿠데타를 일으킬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했고 군대가 광범위한 개혁에 관심이 없다는 점을 들어 주요 근본적인 변화에 대해 우려하지 않았다.

5. 2. 미국의 군부 지원 배경

1976년 아르헨티나 쿠데타 이전 몇 년 동안 아르헨티나에는 혼란과 권력 공백에 대한 인식이 널리 퍼져 있었다. 좌익과 우익 모두 극심하게 급진화되었고, 정치적 폭력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후안 페론과 이사벨 페론 정부는 주요 경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다.[15]

미국 정부는 라틴 아메리카의 정권 변화에 주목했으며, 페론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아르헨티나를 면밀히 주시했다. 페론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의 게릴라전은 심각한 정치적 폭력으로 이어졌고, 몬토네로스에 의한 코르도바 주재 미국 영사 존 이건의 살해는 아르헨티나 내 미국인들의 불안감을 조성했을 뿐만 아니라 미국인이 게릴라전의 표적이 될 가능성을 높였다.[30]

미국 정부는 페론 정권이 정치적 권력을 잃기 시작하면서 정권 교체의 가능성을 예측했으며, 1976년 2월 군대의 "불만이 너무 팽배하고 강렬하여 [쿠데타]가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다"고 언급했다.[20] 미국의 또 다른 우려는 포드, 제너럴 모터스, 엑손 등 아르헨티나에 대한 미국의 경제적 투자를 보호하는 것이었다.

6. 역사적 의미와 평가

1976년 아르헨티나 쿠데타는 아르헨티나 역사상 가장 어두운 시기 중 하나로 기록되며, 이로 인해 수많은 인권 유린과 정치적 탄압이 자행되었다. 쿠데타 이후 집권한 군사 정권은 '국가 재조직 과정'이라는 명목 하에 반대파를 무자비하게 억압했으며, 이 과정에서 수천 명의 실종자와 사망자가 발생했다.

이 시기는 아르헨티나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으며, 현재까지도 그 영향이 이어지고 있다. 군사 정권의 인권 유린 행위는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았으며, 이후 아르헨티나에서는 진실 규명과 책임자 처벌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쿠데타와 그 이후의 군사 정권 시기는 아르헨티나 민주주의 발전에 큰 걸림돌이 되었지만, 동시에 민주주의와 인권의 중요성을 일깨워주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아르헨티나 국민들은 군사 정권의 폭력에 맞서 싸우며 민주주의 회복을 위한 투쟁을 전개했고, 이는 결국 1983년 민간 정부 수립으로 이어졌다.

오늘날 아르헨티나에서는 쿠데타와 군사 정권 시기의 역사적 진실을 밝히고, 희생자들을 추모하며, 다시는 이러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참조

[1] 뉴스 Argentine military warned Brazil, Chile of 76 coup https://www.reuters.[...] 2024-09-04
[2] 웹사이트 Military Take Cognizance of Human Rights Issue http://www.gwu.edu/~[...] 1976-02-16
[3] 문서 The rank of brigadier-general in the Argentine Air Force is equivalent to 3-star or 4-star rank. See [[Brigadier-general#Argentina]] for more information.
[4] 웹사이트 Military Take Cognizance of Human Rights Issue http://www.gwu.edu/~[...] 1976-02-16
[5] 서적 State Terrorism and Neoliberalism: The North in the South http://www.routledge[...] Routledge 2009
[6] 논문 The Crimes of the Last Dictatorship in Argentina and its Qualification as Genocide: A Historicization https://doi.org/10.1[...] 2019-07-03
[7] 논문 Political violence in Argentina and its genocidal characteristics https://doi.org/10.1[...] 2006-06-01
[8] 논문 Considerations on the connections between race, politics, economics, and genocide https://doi.org/10.1[...] 2006-06-01
[9] 논문 The Politics of Memory: The Human Rights Movement and the Construction of Democracy in Argentina https://journals.sag[...] 2016-06-30
[10] 서적 The Reparative Effects of Human Rights Trials: Lessons From Argentina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8-07
[11] 논문 Genocide on Trial: Case Note and Extracts of "Circuito Camps" Judgment https://scholarcommo[...] 2013-11-01
[12] 웹사이트 Kissinger approved Argentinian 'dirty war' https://www.theguard[...] 2015-03-19
[13] 웹사이트 Transcript: U.S. OK'd 'dirty war' http://www2.gwu.edu/[...] 2003-12-04
[14] 뉴스 New Details Revealed About U.S. Support for 1976 Coup in Argentina & Dictatorship https://www.democrac[...] 2022-10-11
[15] 간행물 Democratic Breakdown in Argentina, 1976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 2024
[16] 웹사이트 25 Political Murders in 48 hours https://foia.state.g[...] US State Department 2023-03-02
[17] 웹사이트 Terrorist Toll continues high https://foia.state.g[...] US State Department 2023-03-02
[18] 웹사이트 Nuevo Gobierno https://tapas.clarin[...] Clarín 2023-03-02
[19] 웹사이트 Sera Anunciado hoy el Nuevo Gabinete https://tapas.clarin[...] Clarín 2023-03-02
[20] 웹사이트 Argentina: Division and Crisis https://foia.state.g[...] US State Department 2023-03-02
[21] 웹사이트 Freedom of the Press in Argentina https://foia.state.g[...] US State Department 2023-03-02
[22] 웹사이트 Junta's relations with local and foreign media https://foia.state.g[...] US State Department 2023-03-02
[23] 서적 The Argentinian Dictatorship and its Legacy Rethinking the Proceso Palgrave 2019
[24] 뉴스 How an Argentinian man learned his 'father' may have killed his real parents https://www.theguard[...] 2016-07-22
[25] 웹사이트 ¿Por qué se dice que la dictadura es cívico-militar? https://latinta.com.[...] 2020-09-13
[26] 논문 Argentine Catholicism During the Last Military Dictatorship: Unresolved Tensions and Tragic Outcomes https://doi.org/10.1[...] 2013-06-01
[27] 웹사이트 Empresas y dictadura http://www.cels.org.[...] 2020-09-13
[28] 웹사이트 The Last Military Dictatorship in Argentina (1976-1983): the Mechanism of State Terrorism http://acn.com.ve/la[...] 2020-09-13
[29] 웹사이트 Law 25633, Argentine Congress, 22 August 2002 http://www1.hcdn.gov[...]
[30] 웹사이트 Terrorists murder US Consular agent in Argentina https://foia.state.g[...] US State Department 2023-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