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8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는 방글라데시 다카의 방가반두 국립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과 이라크가 결승전에서 1-1로 비겨 공동 우승을 차지했으며, 쿠웨이트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공동 3위를 기록했다. 이 대회 결과에 따라 대한민국, 일본, 인도네시아가 1979년 FIFA 세계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에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방글라데시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6년 AFC 챌린지컵
2006년 AFC 챌린지컵은 아시아 축구 저변 확대를 위해 AFC가 주최하고 방글라데시에서 단독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로, 타지키스탄이 스리랑카를 꺾고 우승했으며 팔레스타인의 파헤드 아탈이 득점왕, 타지키스탄의 이브라힘 라비모프가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 방글라데시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0년 남아시아 축구 연맹 여자 선수권 대회
2010년 남아시아 축구 연맹 여자 선수권 대회는 8개국이 참가하여 방글라데시에서 열린 SAFF 주관의 여자 축구 대회로, 인도 우승을 차지했다.
1978년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
개최 연도 | 1978년 |
기타 명칭 | 해당 없음 |
개최국 | 방글라데시 |
개최 기간 | 10월 5일 ~ 10월 28일 |
참가 팀 수 | 18개국 |
참가 대륙 연맹 | 1 |
경기장 수 | 1 (개최 도시 1개) |
도시 | 해당 없음 |
우승 | 대한민국 (4번째 우승) 이라크 (3번째 우승) |
3위 | 쿠웨이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총 경기 수 | 40 |
총 득점 수 | 122 |
총 관중 수 | 해당 없음 |
최다 득점자 | 해당 없음 |
최우수 선수 | 해당 없음 |
이전 대회 | 1977 |
다음 대회 | 1980 |
2. 참가 팀
대한민국 | 말레이시아 |
방글라데시 (개최국) | 바레인 |
북예멘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싱가포르 |
아프가니스탄 | 요르단 |
이라크 | 이란 |
인도 | 인도네시아 |
일본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중국 | 쿠웨이트 |
조별 예선은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의 상위 2개 팀이 준준결승에 진출했다.
3. 경기 장소
모든 경기는 방글라데시 다카에 위치한 방가반두 국립경기장에서 열렸다. 이 경기장의 수용 인원은 55,000명이다.
4. 조별 예선
4. 1.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승점 |
---|---|---|---|---|---|---|---|---|
이라크 | 3 | 3 | 0 | 0 | 17 | 0 | +17 | 6 |
인도네시아 | 3 | 2 | 0 | 1 | 6 | 4 | +2 | 4 |
말레이시아 | 3 | 1 | 0 | 2 | 3 | 9 | -6 | 2 |
요르단 | 3 | 0 | 0 | 3 | 0 | 13 | -13 | 0 |
날짜 | 팀 1 | 점수 | 팀 2 | 경기장 |
---|---|---|---|---|
1978년 10월 5일 | 인도네시아 | 0 - 4 | 이라크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6일 | 말레이시아 | 3 - 0 | 요르단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8일 | 이라크 | 6 - 0 | 요르단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9일 | 말레이시아 | 0 - 2 | 인도네시아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12일 | 인도네시아 | 4 - 0 | 요르단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13일 | 말레이시아 | 0 - 7 | 이라크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4. 2. B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4 | 3 | 1 | 0 | 10 | 1 | +9 | 7 |
사우디아라비아 | 4 | 2 | 2 | 0 | 11 | 3 | +8 | 6 |
일본 | 4 | 1 | 2 | 1 | 8 | 6 | +2 | 4 |
인도 | 4 | 1 | 1 | 2 | 7 | 8 | -1 | 3 |
스리랑카 | 4 | 0 | 0 | 4 | 1 | 19 | -18 | 0 |
- 10월 6일: 스리랑카 1 – 5 일본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7일: 인도 0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9일: 사우디아라비아 5 – 0 스리랑카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10일: 일본 2 – 2 인도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11일: 스리랑카 0 – 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13일: 사우디아라비아 1 – 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14일: 인도 4 – 0 스리랑카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16일: 사우디아라비아 4 – 1 인도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16일: 일본 0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19일: 사우디아라비아 1 – 1 일본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4. 3. C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쿠웨이트 | 4 | 3 | 1 | 0 | 10 | 3 | +7 | 7 |
바레인 | 4 | 2 | 1 | 1 | 6 | 3 | +3 | 5 |
방글라데시 | 4 | 1 | 2 | 1 | 4 | 5 | −1 | 4 |
북예멘 | 4 | 1 | 1 | 2 | 6 | 3 | +3 | 3 |
싱가포르 | 4 | 0 | 1 | 3 | 3 | 15 | −12 | 1 |
날짜 | 팀 1 | 결과 | 팀 2 | 경기장 |
---|---|---|---|---|
1978년 10월 7일 | 방글라데시 | 2 – 2 | 싱가포르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8일 | 쿠웨이트 | 1 – 1 | 북예멘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10일 | 바레인 | 3 – 0 | 싱가포르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10일 | 방글라데시 | 1 – 0 | 북예멘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12일 | 쿠웨이트 | 5 – 1 | 싱가포르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14일 | 바레인 | 1 – 0 | 북예멘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15일 | 방글라데시 | 0 – 2 | 쿠웨이트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17일 | 싱가포르 | 0 – 5 | 북예멘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18일 | 쿠웨이트 | 2 – 1 | 바레인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978년 10월 20일 | 방글라데시 | 1 – 1 | 바레인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4. 4. D조
'''10월 7일'''
이란 3 – 0 아프가니스탄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9일'''
대한민국 2 – 1 중국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11일'''
이란 1 – 1 대한민국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중국 1 – 0 아프가니스탄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16일'''
대한민국 7 – 0 아프가니스탄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10월 17일'''
이란 2 – 1 중국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5.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부터 시작하여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 순서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라크, 쿠웨이트가 각각 바레인, 인도네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이란을 상대로 승리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준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이라크가 쿠웨이트를 상대로 각각 승부차기 끝에 승리하여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과 이라크가 1-1로 무승부를 기록하여 공동 우승을 차지했다. 3·4위전에서는 쿠웨이트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1로 비겨 공동 3위를 기록했다.
5. 1. 8강전
날짜 | 경기장 | 승리팀 | 점수 | 패배팀 |
---|---|---|---|---|
10월 21일 |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다카 | 쿠웨이트 | 1–0 (몰수)1 | 이란 |
10월 21일 | 이라크 | 2–1 | 사우디아라비아 | |
10월 22일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2–0 | 인도네시아 | |
10월 23일 | 대한민국 | 1–0 | 바레인 |
1 이란은 원래 쿠웨이트와의 8강전 경기에서 1-0 승리를 기록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그러나 이란이 개인 여권이 아닌 단체 여권을 사용하여 연령 초과 선수를 출전시킨 사실이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조사 결과를 통해 발각되어 실격 처리되었다. 이에 따라 쿠웨이트가 이란을 대신하여 준결승전에 진출하게 되었다.[2][3][4]
5. 2. 준결승전
(승부차기 6 - 5)(승부차기 6 -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