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2년 FIFA 월드컵 D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82년 FIFA 월드컵 D조는 북아일랜드, 오스트리아, 프랑스가 속한 2차 조별 리그였다. 프랑스는 2승으로 준결승전에 진출했고, 오스트리아와 북아일랜드는 각각 1무 1패를 기록했다. 경기는 프랑스가 오스트리아를 1-0으로, 오스트리아와 북아일랜드가 2-2로 비겼고, 프랑스가 북아일랜드를 4-1로 이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2년 FIFA 월드컵 - 히혼의 수치
히혼의 수치는 1982년 월드컵에서 서독과 오스트리아의 경기 결과로 양 팀의 2라운드 진출과 알제리 탈락을 확정지어 승부조작 의혹을 낳았고, 큰 논란과 함께 조별 리그 최종전 동시 개최 규정 도입의 계기가 된 사건이다. - 1982년 FIFA 월드컵 - 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
1982년 FIFA 월드컵 선수 명단은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 참가한 각 국가별 선수들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탈리아가 우승하고 파올로 로시가 득점왕에 올랐다.
1982년 FIFA 월드컵 D조 | |
---|---|
대회 정보 | |
대회 | 1982년 FIFA 월드컵 |
조 | D조 |
기간 | 1982년 6월 16일 ~ 1982년 6월 25일 |
경기장 | 에스타디오 호세 소르리야 (바야돌리드) 에스타디오 비센테 칼데론 (마드리드) 에스타디오 리아소르 (라코루냐) |
결과 | |
1위 | 프랑스 |
2위 | 잉글랜드 |
3위 | 체코슬로바키아 |
4위 | 쿠웨이트 |
경기 결과 | |
1982년 6월 16일 | 스페인 바야돌리드 잉글랜드 3 : 1 프랑스 |
1982년 6월 17일 | 스페인 라코루냐 체코슬로바키아 1 : 1 쿠웨이트 |
1982년 6월 20일 | 스페인 빌바오 프랑스 4 : 1 쿠웨이트 |
1982년 6월 21일 | 스페인 빌바오 잉글랜드 2 : 0 체코슬로바키아 |
1982년 6월 24일 | 스페인 바야돌리드 프랑스 1 : 1 체코슬로바키아 |
1982년 6월 25일 | 스페인 마드리드 잉글랜드 1 : 0 쿠웨이트 |
2. 진출국
1982년 FIFA 월드컵 5조 1위 북아일랜드와 2조 2위 오스트리아, 4조 2위 프랑스가 2차 조별 리그 D조에 진출했다.
2. 1. 2조
5조 1위를 차지한 국가와 2조와 4조의 2위를 차지한 국가가 2차 조별 리그의 D조에 편성되었다.
2. 2. 4조
5조에서 1위를 차지한 북아일랜드와 2조에서 2위를 차지한 오스트리아, 4조에서 2위를 차지한 프랑스가 2차 조별 리그 D조에 편성되었다.
2. 3. 5조
5조 1위를 차지한 북아일랜드와 2조와 4조에서 2위를 차지한 오스트리아, 프랑스가 2차 조별 리그 D조에 편성되었다.
3. 순위
프랑스는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3. 1. 상세 순위
순위 | 팀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Northern Ireland|북아일랜드영어 | 0 | 1 | 1 | 3 | 6 | -3 | 1 |
2 | Österreich|오스트리아de | 0 | 1 | 1 | 2 | 3 | -1 | 1 |
3 | France|프랑스프랑스어 | 2 | 0 | 0 | 5 | 1 | +4 | 4 |
4. 경기
1982년 FIFA 월드컵 D조의 경기는 모두 비센테 칼데론 (마드리드)에서 진행되었다.
경기일 | 시간 | 경기 | 결과 | 관중 수 |
---|---|---|---|---|
1982년 6월 28일 | 17:15 CEST | 프랑스 1–0 오스트리아 | 37,000 | |
1982년 7월 1일 | 17:15 CEST | 오스트리아 2–2 북아일랜드 | 20,000 | |
1982년 7월 4일 | 17:15 CEST | 프랑스 4–1 북아일랜드 | 37,000 |
- 1982년 6월 28일, 프랑스는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장기니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 1982년 7월 1일, 오스트리아와 북아일랜드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오스트리아는 페체이와 힌터마이어가 득점했고, 북아일랜드는 빌리 해밀턴이 두 골을 넣었다.
- 1982년 7월 4일, 프랑스는 북아일랜드를 상대로 4-1 대승을 거두었다. 프랑스는 지레스가 두 골, 로슈토가 두 골을 넣었고, 북아일랜드는 암스트롱이 한 골을 만회했다.
각 경기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1982년 6월 28일 프랑스 vs 오스트리아'''
프랑스 | 오스트리아 | ||
---|---|---|---|
22 | 장뤼크 에토리 | 1 | 프리드리히 콘칠리아 |
8 | 마리위스 트레소르 (주장) | 3 | 에리히 오버마이어 (주장) |
5 | 제라르 장비옹 | 2 | 베른트 크라우스 |
4 | 막심 보시 | 5 | 브루노 페체이 |
3 | 파트리크 바티스통 | 4 | 요제프 데게오르기 |
9 | 베르나르 장기니 | 6 | 롤란트 하텐베르거 |
12 | 알랭 지레스 | 8 |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
14 | 장 티가나 | 10 | 라인홀트 힌터마이어 |
20 | 제라르 솔레르 | 11 | 쿠르트 야라 |
17 | 베르나르 라콩브 | 7 | 발터 샤흐너 |
19 | 디디에 시스 | 9 | 한스 크랑클 |
교체 선수 | |||
1 | 도미니크 바라텔리 | 14 | 에른스트 바우마이스터 |
6 | 크리스티앙 로페 | 18 | 게르노트 유르틴 |
11 | 르네 지라르 | 19 | 헤리베르트 베버 |
13 | 장프랑수아 라리오스 | 20 | 쿠르트 웰츨 |
18 | 도미니크 로슈토 | 22 | 클라우스 린덴베르거 |
감독 | |||
미셸 이달고 | 펠릭스 라츠케 & 게오르크 슈미트 |
- 주심: 커로이 팔로터이 (헝가리)
- 부심:
- 보이테흐 크리스토프 (체코슬로바키아)
- 다미르 마토비노비치 (유고슬라비아)
'''1982년 7월 1일 오스트리아 vs 북아일랜드'''
오스트리아 | 북아일랜드 | ||
---|---|---|---|
1 | 프리드리히 콘칠리아 | 17 | 짐 플랫 |
3 | 에리히 오버마이어 (주장) | 2 | 지미 니콜 |
2 | 베른트 크라우스 | 5 | 크리스 니콜 |
5 | 브루노 페체이 | 12 | 존 맥클렐랜드 |
17 | 요한 프레게스바우어 | 13 | 새미 넬슨 |
12 | 안톤 피클러 | 8 | 마틴 오닐 (주장) |
8 |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 10 | 새미 맥길로이 |
14 | 에른스트 바우마이스터 | 4 | 데이비드 맥크리리 |
7 | 발터 샤흐너 | 9 | 게리 암스트롱 |
13 | 막스 하그마이어 | 16 | 노먼 화이트사이드 |
18 | 게르노트 유르틴 | 11 | 빌리 해밀턴 |
교체 선수 | |||
10 | 라인홀트 힌터마이어 | 6 | 존 오닐 |
15 | 요한 디하니치 | 7 | 노엘 브라더스턴 |
16 | 게랄트 메슬렌더 | 14 | 토미 캐시디 |
20 | 쿠르트 벨츨 | 20 | 짐 클리어리 |
22 | 클라우스 린덴베르거 | 22 | 조지 던롭 |
감독 | |||
펠릭스 라츠케 & 게오르크 슈미트 | 빌리 빙엄 |
- 주심: 아돌프 프로코프 (동독)
- 부심:
- 에리크 프레드릭손 (스웨덴)
- 발터 에슈바일러 (서독)
'''1982년 7월 4일 프랑스 vs 북아일랜드'''
프랑스 | 북아일랜드 | ||
---|---|---|---|
22 | 장뤼크 에토리 | 1 | 팻 제닝스 |
2 | 마누엘 아모로스 | 2 | 지미 니콜 |
8 | 마리우스 트레소르 | 5 | 크리스 니콜 |
5 | 제라르 장비옹 | 12 | 존 맥클렐랜드 |
4 | 막심 보시스 | 3 | 말 도나기 |
9 | 베르나르 젠기니 | 8 | 마틴 오닐 (주장) |
12 | 알랭 지레스 | 10 | 새미 맥클로이 |
10 | 미셸 플라티니 (주장) | 4 | 데이비드 맥크리리 |
14 | 장 티가나 | 9 | 제리 암스트롱 |
18 | 도미니크 로셰토 | 11 | 빌리 해밀턴 |
20 | 제라르 솔레 | 16 | 노먼 화이트사이드 |
교체 선수 | |||
3 | 파트리크 바티스통 | 6 | 존 오닐 |
6 | 크리스티앙 로페 | 14 | 토미 캐시디 |
16 | 알랭 쿠리올 | 15 | 토미 피니 |
19 | 디디에 시스 | 17 | 짐 플랫 |
21 | 장 카스타네다 | 20 | 짐 클리어리 |
감독 | |||
미셸 이달고 | 빌리 빙엄 |
- 주심: 아로이지 야르구즈 (폴란드)
- 부심:
- 니콜라에 라이네아 (루마니아)
- 유세프 알굴 (리비아)
4. 1. 오스트리아 vs 프랑스
1982년 FIFA 월드컵 2차 조별 리그 D조에서 오스트리아와 프랑스는 1982년 6월 28일 비센테 칼데론에서 맞붙었다. 헝가리 출신 펄로터이 카로이 심판이 주관한 이 경기에서 프랑스가 장기니의 결승골로 1-0으로 승리했다. 관중 37,000명이 입장했다.오스트리아는 펠릭스 라츠케와 게오르크 슈미트가 공동 감독을 맡았고, 에리히 오버마이어가 주장을 맡았다. 프랑스는 미셸 이달고 감독이 이끌었으며, 마리위스 트레소르가 주장을 맡았다.
4. 1. 1. 상세 정보
경기일 | 경기 시간 | 경기장 | 결과 | 관중수 | 주심 |
---|---|---|---|---|---|
1982년 6월 28일 | 17:15 | 비센테 칼데론 (마드리드) | 0 - 1 (장기니 ) | 37,000 | 펄로터이 카로이 (헝가리) |
1982년 7월 1일 | 17:15 | 비센테 칼데론 (마드리드) | 2 - 2 (Bruno Pezzey|브루노 페체이영어 , Reinhold Hintermaier|라인홀트 힌터마이어de / Billy Hamilton|빌리 해밀턴영어 , ) | 20,000 | 아돌프 프로코프 (동독) |
1982년 7월 4일 | 17:15 | 비센테 칼데론 (마드리드) | 4 - 1 (Alain Giresse|알랭 지레스프랑스어 , , Dominique Rocheteau|도미니크 로슈토프랑스어 , / Gerry Armstrong|제리 암스트롱영어 ) | 37,000 | 아로이지 야르구즈 (폴란드) |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비고 |
---|---|---|---|
GK | 1 | 프리드리히 콘칠리아 | |
SW | 3 | 에리히 오버마이어 | 주장, |
DF | 2 | 베른트 크라우스 | |
DF | 5 | 브루노 페체이 | |
DF | 4 | 요제프 데게오르기 | (1차전) |
MF | 6 | 롤란트 하텐베르거 | |
MF | 8 |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 |
MF | 10 | 라인홀트 힌터마이어 | |
FW | 11 | 쿠르트 야라 | (1차전) |
FW | 7 | 발터 샤흐너 | |
FW | 9 | 한스 크랑클 | |
MF | 14 | 에른스트 바우마이스터 | (1차전) |
FW | 18 | 게르노트 유르틴 | |
DF | 19 | 헤리베르트 베버 | |
FW | 20 | 쿠르트 벨츨 | (1차전) |
GK | 22 | 클라우스 린덴베르거 | |
DF | 17 | 요한 프레게스바우어 | (2차전) |
MF | 12 | 안톤 피클러 | |
FW | 13 | 막스 하그마이어 | (2차전) |
MF | 15 | 요한 디하니치 | |
DF | 16 | 게랄트 메슬렌더 | |
감독: 펠릭스 라츠케, 게오르크 슈미트 |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비고 |
---|---|---|---|
GK | 22 | 장-뤼크 에토리 | |
SW | 8 | 마리위스 트레소르 | 주장 |
DF | 5 | 제라르 장비옹 | |
DF | 4 | 막심 보시 | |
DF | 3 | 파트리크 바티스통 | |
MF | 9 | 베르나르 장기니 | (1차전) |
MF | 12 | 알랭 지레스 | |
MF | 14 | 장 티가나 | (3차전) |
FW | 20 | 제라르 솔레르 | |
FW | 17 | 베르나르 라콩브 | (1차전) |
FW | 19 | 디디에 시스 | |
GK | 1 | 도미니크 바라텔리 | |
DF | 6 | 크리스티앙 로페 | |
MF | 11 | 르네 지라르 | (1차전) |
MF | 13 | 장-프랑수아 라리오 | |
FW | 18 | 도미니크 로슈토 | (1차전) |
DF | 2 | 마누엘 아모로스 | (3차전) |
MF | 10 | 미셸 플라티니 | 주장 (3차전) |
FW | 16 | 알랭 쿠리올 | (3차전) |
GK | 21 | 장 카스타네다 | |
감독: 미셸 이달고 |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비고 |
---|---|---|---|
GK | 17 | 짐 플랫 | |
DF | 2 | 지미 니콜 | |
DF | 5 | 크리스 니콜 | |
DF | 12 | 존 맥클렐랜드 | |
DF | 13 | 새미 넬슨 | |
MF | 8 | 마틴 오닐 | 주장 |
MF | 10 | 새미 맥길로이 | |
MF | 4 | 데이비드 맥크리리 | |
MF | 9 | 게리 암스트롱 | |
FW | 16 | 노먼 화이트사이드 | (2차전) |
FW | 11 | 빌리 해밀턴 | |
DF | 6 | 존 오닐 | |
MF | 7 | 노엘 브라더스턴 | (2차전) |
MF | 14 | 토미 캐시디 | |
MF | 20 | 짐 클리어리 | |
GK | 22 | 조지 던롭 | |
DF | 3 | 말 도나기 | (3차전) |
MF | 15 | 토미 피니 | |
감독: 빌리 빙엄 |
- 부심:
- * Vojtech Christov|보이테흐 흐리스토프cs (체코슬로바키아)
- * 다미르 마토비노비치 (유고슬라비아)
- * 에리크 프레드릭손 (스웨덴)
- * 발터 에슈바일러 (서독)
- * 니콜라에 라이네아 (루마니아)
- * 유세프 알굴 (리비아)
4. 2. 오스트리아 vs 북아일랜드
1982년 7월 1일 마드리드의 비센테 칼데론에서 열린 오스트리아와 북아일랜드의 경기는 2-2 무승부로 끝났다.북아일랜드의 해밀턴이 전반 27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오스트리아는 후반 5분 페체이의 동점골과 후반 23분 힌터마이어의 역전골로 경기를 뒤집었다. 그러나 해밀턴은 후반 30분에 다시 골을 넣어 동점을 만들었다.
오스트리아의 안톤 피흘러는 경고를 받았다. 오스트리아는 요한 프레게슈바워와 막스 하그마이어 대신 힌터마이어와 쿠르트 벨츨을, 북아일랜드는 노먼 화이트사이드 대신 노엘 브라더스턴을 교체 투입했다.
4. 2. 1. 상세 정보
경기일 | 경기 시간 | 경기장 | 관중수 | 주심 | 부심 |
---|---|---|---|---|---|
1982년 6월 28일 | 17:15 CEST | 비센테 칼데론 (마드리드) | 37,000명 | 커로이 팔로터이 (헝가리) | 보이테흐 크리스토프 (체코슬로바키아), 다미르 마토비노비치 (유고슬라비아) |
1982년 7월 1일 | 17:15 CEST | 비센테 칼데론 (마드리드) | 20,000명 | 아돌프 프로코프 (동독) | 에리크 프레드리크손 (스웨덴), 발터 에슈바일러 (서독) |
1982년 7월 4일 | 17:15 CEST | 비센테 칼데론 (마드리드) | 37,000명 | 아로이지 야르구즈 (폴란드) | 니콜라에 라이네아 (루마니아), 유세프 알굴 (리비아) |
'''1982년 6월 28일 오스트리아 vs 프랑스'''
포지션 | 선수 번호 | 선수 이름 | 경고 | 교체 | |
---|---|---|---|---|---|
GK | 1 | 프리드리히 콘칠리아 | |||
SW | 3 | 에리히 오버마이어 (주장) | |||
DF | 2 | 베른트 크라우스 | |||
DF | 5 | 브루노 페체이 | |||
DF | 4 | 요제프 데게오르기 | |||
MF | 6 | 롤란트 하텐베르거 | |||
MF | 8 |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 |||
MF | 10 | 라인홀트 힌터마이어 | |||
FW | 11 | 쿠르트 야라 | |||
FW | 7 | 발터 샤흐너 | |||
FW | 9 | 한스 크랑클 | |||
교체 선수 | |||||
MF | 14 | 에른스트 바우마이스터 | |||
FW | 18 | 게르노트 유르틴 | |||
DF | 19 | 헤리베르트 베버 | |||
FW | 20 | 쿠르트 웰츨 | |||
GK | 22 | 클라우스 린덴베르거 | |||
감독 | |||||
펠릭스 라츠케 / 게오르크 슈미트 |
포지션 | 선수 번호 | 선수 이름 | 경고 | 교체 | |
---|---|---|---|---|---|
GK | 22 | 장-뤽 에토리 | |||
SW | 8 | 마리우스 트레소르 (주장) | |||
DF | 5 | 제라르 장비옹 | |||
DF | 4 | 막심 보시스 | |||
DF | 3 | 패트릭 바스티옹 | |||
MF | 9 | 베르나르 젠기니 | |||
MF | 12 | 알랭 지레스 | |||
MF | 14 | 장 티가나 | |||
FW | 20 | 제라르 솔레 | |||
FW | 17 | 베르나르 라콩브 | |||
FW | 19 | 디디에 시스 | |||
교체 선수 | |||||
GK | 1 | 도미니크 바라텔리 | |||
DF | 6 | 크리스티앙 로페스 | |||
MF | 11 | 르네 지라르 | |||
MF | 13 | 장-프랑수아 라리오스 | |||
FW | 18 | 도미니크 로슈토 | |||
감독 | |||||
미셸 이달고 |
'''1982년 7월 1일 오스트리아 vs 북아일랜드'''
포지션 | 선수 번호 | 선수 이름 | 경고 | 교체 | |
---|---|---|---|---|---|
GK | 1 | 프리드리히 콘실리아 | |||
SW | 3 | 에리히 오버마이어 (주장) | |||
DF | 2 | 베른트 크라우스 | |||
DF | 5 | 브루노 페체이 | |||
DF | 17 | 요한 프레게스바우어 | |||
MF | 12 | 안톤 피클러 | |||
MF | 8 |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 |||
MF | 14 | 에른스트 바우마이스터 | |||
FW | 7 | 발터 샤흐너 | |||
FW | 13 | 막스 하그마이어 | |||
FW | 18 | 게르노트 유르틴 | |||
교체 선수 | |||||
MF | 10 | 라인홀트 힌터마이어 | |||
MF | 15 | 요한 디하니치 | |||
DF | 16 | 게랄트 메슬렌더 | |||
FW | 20 | 쿠르트 벨츨 | |||
GK | 22 | 클라우스 린덴베르거 | |||
감독 | |||||
펠릭스 라츠케 / 게오르크 슈미트 |
포지션 | 선수 번호 | 선수 이름 | 경고 | 교체 | |
---|---|---|---|---|---|
GK | 17 | 짐 플랫 | |||
DF | 2 | 지미 니콜 | |||
DF | 5 | 크리스 니콜 | |||
DF | 12 | 존 맥클렐랜드 | |||
DF | 13 | 새미 넬슨 | |||
MF | 8 | 마틴 오닐 (주장) | |||
MF | 10 | 새미 맥길로이 | |||
MF | 4 | 데이비드 맥크리리 | |||
MF | 9 | 게리 암스트롱 | |||
FW | 16 | 노먼 화이트사이드 | |||
FW | 11 | 빌리 해밀턴 | |||
교체 선수 | |||||
DF | 6 | 존 오닐 | |||
MF | 7 | 노엘 브라더스턴 | |||
MF | 14 | 토미 캐시디 | |||
MF | 20 | 짐 클리어리 | |||
GK | 22 | 조지 던롭 | |||
감독 | |||||
빌리 빙엄 |
'''1982년 7월 4일 프랑스 vs 북아일랜드'''
포지션 | 선수 번호 | 선수 이름 | 경고 | 교체 | |
---|---|---|---|---|---|
GK | 22 | 장뤼크 에토리 | |||
DF | 2 | 마누엘 아모로스 | |||
DF | 8 | 마리우스 트레소르 | |||
DF | 5 | 제라르 장비옹 | |||
DF | 4 | 막심 보시스 | |||
MF | 9 | 베르나르 젠기니 | |||
MF | 12 | 알랭 지레스 | |||
MF | 10 | 미셸 플라티니 (주장) | |||
MF | 14 | 장 티가나 | |||
FW | 18 | 도미니크 로셰토 | |||
FW | 20 | 제라르 솔레 | |||
교체 선수 | |||||
DF | 3 | 파트리크 바티스통 | |||
DF | 6 | 크리스티앙 로페스 | |||
FW | 16 | 알랭 쿠리올 | |||
MF | 19 | 디디에 시스 | |||
GK | 21 | 장 카스타네다 | |||
감독 | |||||
미셸 이달고 |
포지션 | 선수 번호 | 선수 이름 | 경고 | 교체 | |
---|---|---|---|---|---|
GK | 1 | 팻 제닝스 | |||
DF | 2 | 지미 니콜 | |||
DF | 5 | 크리스 니콜 | |||
DF | 12 | 존 매클렐랜드 | |||
DF | 3 | 말 도나기 | |||
MF | 8 | 마틴 오닐 (주장) | |||
MF | 10 | 새미 맥클로이 | |||
MF | 4 | 데이비드 매크리리 | |||
MF | 9 | 제리 암스트롱 | |||
FW | 11 | 빌리 해밀턴 | |||
FW | 16 | 노먼 화이트사이드 | |||
교체 선수 | |||||
DF | 6 | 존 오닐 | |||
MF | 14 | 토미 캐시디 | |||
MF | 15 | 토미 피니 | |||
GK | 17 | 짐 플랫 | |||
MF | 20 | 짐 클리어리 | |||
감독 | |||||
빌리 빙엄 |
4. 3. 프랑스 vs 북아일랜드
1982년 7월 4일, 스페인 마드리드의 비센테 칼데론에서 열린 1982년 FIFA 월드컵 D조 2차 리그 경기에서 프랑스가 북아일랜드를 4-1로 크게 이겼다. 알랭 지레스와 도미니크 로슈토가 각각 두 골씩을 넣으며 프랑스의 승리를 이끌었고, 북아일랜드는 제리 암스트롱이 한 골을 만회했다.4. 3. 1. 상세 정보
1982년 FIFA 월드컵 D조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1982년 6월 28일, 프랑스는 오스트리아를 상대로 베르나르 젠기니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 1982년 7월 1일, 오스트리아와 북아일랜드는 2-2 무승부를 기록했다. 오스트리아는 브루노 페체이와 라인홀트 힌터마이어가 득점했고, 북아일랜드는 빌리 해밀턴이 두 골을 넣었다.
- 1982년 7월 4일, 프랑스는 북아일랜드를 상대로 4-1 대승을 거두었다. 프랑스는 알랭 지레스가 두 골, 도미니크 로슈토가 두 골을 넣었고, 북아일랜드는 제리 암스트롱이 한 골을 만회했다.
경기일 | 시간 | 경기 | 결과 | 경기장 | 관중 수 |
---|---|---|---|---|---|
1982년 6월 28일 | 17:15 CEST | 프랑스 1–0 오스트리아 | 비센테 칼데론 (마드리드) | 37,000 | |
1982년 7월 1일 | 17:15 CEST | 오스트리아 2–2 북아일랜드 | 비센테 칼데론 (마드리드) | 20,000 | |
1982년 7월 4일 | 17:15 CEST | 프랑스 4–1 북아일랜드 | 비센테 칼데론 (마드리드) | 37,000 |
각 경기의 상세 정보는 다음과 같다.
'''1982년 6월 28일 프랑스 vs 오스트리아'''
프랑스 | 오스트리아 | ||
---|---|---|---|
22 | 장뤼크 에토리 | 1 | 프리드리히 콘칠리아 |
8 | 마리위스 트레소르 (주장) | 3 | 에리히 오버마이어 (주장) |
5 | 제라르 장비옹 | 2 | 베른트 크라우스 |
4 | 막심 보시 | 5 | 브루노 페체이 |
3 | 파트리크 바티스통 | 4 | 요제프 데게오르기 |
9 | 베르나르 장기니 | 6 | 롤란트 하텐베르거 |
12 | 알랭 지레스 | 8 |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
14 | 장 티가나 | 10 | 라인홀트 힌터마이어 |
20 | 제라르 솔레르 | 11 | 쿠르트 야라 |
17 | 베르나르 라콩브 | 7 | 발터 샤흐너 |
19 | 디디에 시스 | 9 | 한스 크랑클 |
교체 선수 | |||
1 | 도미니크 바라텔리 | 14 | 에른스트 바우마이스터 |
6 | 크리스티앙 로페 | 18 | 게르노트 유르틴 |
11 | 르네 지라르 | 19 | 헤리베르트 베버 |
13 | 장프랑수아 라리오스 | 20 | 쿠르트 웰츨 |
18 | 도미니크 로슈토 | 22 | 클라우스 린덴베르거 |
감독 | |||
미셸 이달고 | 펠릭스 라츠케 & 게오르크 슈미트 |
- 주심: 커로이 팔로터이 (헝가리)
- 부심:
- 보이테흐 크리스토프 (체코슬로바키아)
- 다미르 마토비노비치 (유고슬라비아)
'''1982년 7월 1일 오스트리아 vs 북아일랜드'''
오스트리아 | 북아일랜드 | ||
---|---|---|---|
1 | 프리드리히 콘칠리아 | 17 | 짐 플랫 |
3 | 에리히 오버마이어 (주장) | 2 | 지미 니콜 |
2 | 베른트 크라우스 | 5 | 크리스 니콜 |
5 | 브루노 페체이 | 12 | 존 맥클렐랜드 |
17 | 요한 프레게스바우어 | 13 | 새미 넬슨 |
12 | 안톤 피클러 | 8 | 마틴 오닐 (주장) |
8 | 헤르베르트 프로하스카 | 10 | 새미 맥길로이 |
14 | 에른스트 바우마이스터 | 4 | 데이비드 맥크리리 |
7 | 발터 샤흐너 | 9 | 게리 암스트롱 |
13 | 막스 하그마이어 | 16 | 노먼 화이트사이드 |
18 | 게르노트 유르틴 | 11 | 빌리 해밀턴 |
교체 선수 | |||
10 | 라인홀트 힌터마이어 | 6 | 존 오닐 |
15 | 요한 디하니치 | 7 | 노엘 브라더스턴 |
16 | 게랄트 메슬렌더 | 14 | 토미 캐시디 |
20 | 쿠르트 벨츨 | 20 | 짐 클리어리 |
22 | 클라우스 린덴베르거 | 22 | 조지 던롭 |
감독 | |||
펠릭스 라츠케 & 게오르크 슈미트 | 빌리 빙엄 |
- 주심: 아돌프 프로코프 (동독)
- 부심:
- 에리크 프레드릭손 (스웨덴)
- 발터 에슈바일러 (서독)
'''1982년 7월 4일 프랑스 vs 북아일랜드'''
프랑스 | 북아일랜드 | ||
---|---|---|---|
22 | 장뤼크 에토리 | 1 | 팻 제닝스 |
2 | 마누엘 아모로스 | 2 | 지미 니콜 |
8 | 마리우스 트레소르 | 5 | 크리스 니콜 |
5 | 제라르 장비옹 | 12 | 존 맥클렐랜드 |
4 | 막심 보시스 | 3 | 말 도나기 |
9 | 베르나르 젠기니 | 8 | 마틴 오닐 (주장) |
12 | 알랭 지레스 | 10 | 새미 맥클로이 |
10 | 미셸 플라티니 (주장) | 4 | 데이비드 맥크리리 |
14 | 장 티가나 | 9 | 제리 암스트롱 |
18 | 도미니크 로셰토 | 11 | 빌리 해밀턴 |
20 | 제라르 솔레 | 16 | 노먼 화이트사이드 |
교체 선수 | |||
3 | 파트리크 바티스통 | 6 | 존 오닐 |
6 | 크리스티앙 로페 | 14 | 토미 캐시디 |
16 | 알랭 쿠리올 | 15 | 토미 피니 |
19 | 디디에 시스 | 17 | 짐 플랫 |
21 | 장 카스타네다 | 20 | 짐 클리어리 |
감독 | |||
미셸 이달고 | 빌리 빙엄 |
- 주심: 아로이지 야르구즈 (폴란드)
- 부심:
- 니콜라에 라이네아 (루마니아)
- 유세프 알굴 (리비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