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는 유엔인구기금의 지원을 받아 실시되었으며, 북한의 인구 규모, 지역별 분포, 연령별 구조, 도시와 농촌 인구 비율 등 다양한 인구 통계 정보를 제공한다. 하지만, 조사 시기와 절차의 이례성으로 인해 신뢰성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1993년 인구 조사는 총인구 21,213,378명으로, 평안남도가 가장 인구가 많았으며, 전국적으로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보다 많았다. 또한, 도시 인구가 농촌 인구보다 많으며, 연령별, 도시/농촌별 인구 분포에서도 특징적인 양상을 보였다. 총 가구 수는 4,813,195 가구로 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인구 - 200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
    200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는 1993년 이후 두 번째로 실시된 인구 조사로, 가구, 주거 시설, 개인 정보, 사망 정보 등을 수집하여 북한의 인구 구조와 분포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제1차 북핵 위기
    1990년대 초 북한의 핵 개발 의혹으로 시작된 제1차 북핵 위기는 북한의 NPT 탈퇴, IAEA 사찰 거부, "서울 불바다" 발언 등으로 심화되었으나,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방북과 김일성과의 회담으로 1994년 제네바 합의를 통해 일단락되었다.
  •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미사일 발사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
기본 정보
이름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
원어 이름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 (1993nyeon Joseonminjujuuiinmin gonghwaguk ingu iljejosa)
통계
조사 날짜1993년 12월 31일
다음 조사2008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 조사
다음 조사 연도2008년
국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담당 기관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앙 통계국
인구21,213,478명
인구 변화율알 수 없음
최대 인구 지역알 수 없음
최소 인구 지역알 수 없음
웹사이트알 수 없음
참여율알 수 없음
출처
참고 자료미국 인구조사국

2. 인구 조사 개요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 조사는 내부적으로 일관성이 없었으며, 이전의 인구 조사와 비교해서도 마찬가지였다. 미국의 정치 경제학자 니컬러스 에버스타트는 이 조사가 실제로는 1994년 초에 실시되었고, 응답자들은 1993년 말의 상황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이러한 절차가 매우 이례적이라고 비판했다.[2]

2. 1. 조사 결과의 한계 및 비판

미국의 정치 경제학자 니컬러스 에버스타트는 1993년 인구 조사가 실제로는 1994년 초에 실시되었으며, 응답자들이 1993년 말의 상황에 대해 질문을 받았다는 점에서 매우 이례적인 절차를 따랐다고 비판했다.[2]

3. 도별 인구

1993년 유엔인구기금(UNFPA)의 조사에 따르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별 인구는 다음과 같다.[3]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도별 인구 및 성비[3], 인구 구성비[4]
도별19931993년 인구 구성비
남자여자성비남자여자
평양시2,741,2601,302,5981,438,66290.5413.3613.4613.27
평안남도2,866,1091,357,5651,508,54489.9913.9714.0313.91
평안북도2,404,4901,132,6791,271,81189.0611.7211.7011.73
자강도1,152,733547,413605,32090.435.625.665.58
황해남도2,010,953942,7171,068,23688.259.809.749.85
황해북도1,512,060707,211804,84987.877.377.317.42
강원도1,304,481608,921695,56087.546.366.296.41
함경남도2,732,2321,281,0011,451,23188.2713.3113.2413.38
함경북도2,060,725975,5751,085,15089.9010.0410.0810.01
량강도638,475303,319335,15690.503.113.133.09
개성시334,433155,810178,62387.231.631.611.65
남포시731,448347,369384,07990.443.563.593.54
향산군32,95215,48517,46788.650.160.160.16
전국21,213,37810,329,69910,883,67994.91100.00100.00100.00



1993년 당시 인구가 가장 많은 도는 평안남도 (2,866,109명)였으며, 가장 적은 도는 향산군 (32,952명)이었다.

전반적으로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보다 많아 성비 불균형이 나타난다. 특히 평양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량강도, 남포시에서 90을 넘는 성비를 보이고 있다. 반면, 개성시, 강원도, 황해북도, 황해남도, 함경남도는 80대의 성비를 보인다.

3. 1. 도별 총인구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별 총인구는 다음과 같다.[3]

도별1993년 총인구남성여성성비
평양시2,741,2601,302,5981,438,66290.54
평안남도2,866,1091,357,5651,508,54489.99
평안북도2,404,4901,132,6791,271,81189.06
자강도1,152,733547,413605,32090.43
황해남도2,010,953942,7171,068,23688.25
황해북도1,512,060707,211804,84987.87
강원도1,304,481608,921695,56087.54
함경남도2,732,2321,281,0011,451,23188.27
함경북도2,060,725975,5751,085,15089.90
량강도638,475303,319335,15690.50
개성시334,433155,810178,62387.23
남포시731,448347,369384,07990.44
향산군32,95215,48517,46788.65
전국21,213,37810,329,69910,883,67994.91



1993년 당시 인구가 가장 많은 도는 평안남도 (2,866,109명)였으며, 가장 적은 도는 향산군 (32,952명)이었다.

3. 2. 도별 인구 구성비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도별 인구 구성비[4]
도별1993년
남자여자
전국100.00100.00100.00
평양시13.3613.4613.27
평안남도13.9714.0313.91
평안북도11.7211.7011.73
자강도5.625.665.58
황해남도9.809.749.85
황해북도7.377.317.42
강원도6.366.296.41
함경남도13.3113.2413.38
함경북도10.0410.0810.01
량강도3.113.133.09
개성시1.631.611.65
남포시3.563.593.54
향산군0.160.160.16


3. 3. 도별 남녀 인구 및 성비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별 남녀 인구 및 성비는 다음과 같다.[3]

도별1993년
총계남성여성성비
평양시2,741,2601,302,5981,438,66290.54
평안남도2,866,1091,357,5651,508,54489.99
평안북도2,404,4901,132,6791,271,81189.06
자강도1,152,733547,413605,32090.43
황해남도2,010,953942,7171,068,23688.25
황해북도1,512,060707,211804,84987.87
강원도1,304,481608,921695,56087.54
함경남도2,732,2321,281,0011,451,23188.27
함경북도2,060,725975,5751,085,15089.90
량강도638,475303,319335,15690.50
개성시334,433155,810178,62387.23
남포시731,448347,369384,07990.44
향산군32,95215,48517,46788.65
전국21,213,37810,329,69910,883,67994.91



전반적으로 여성 인구가 남성 인구보다 많아 성비 불균형이 나타난다. 특히 평양시, 평안남도, 평안북도, 자강도, 량강도, 남포시에서 90을 넘는 성비를 보이고 있다. 반면, 개성시, 강원도, 황해북도, 황해남도, 함경남도는 80대의 성비를 보인다.

4. 연령별 인구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는 20,522,351명이며, 남성은 9,677,663명, 여성은 10,844,688명으로 성비는 89.24였다. 연령별 인구 분포와 성비는 아래 표와 같다.[5]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 연령별 인구 분포 및 성비[5]
연령별1993년
남자여자성비
0-4세1,071,9541,016,554105.45
5-9세957,583909,000105.34
10-14세904,764862,348104.92
15-19세708,790819,50886.49
20-24세765,4791,097,51069.75
25-29세987,0951,032,43095.61
30-34세791,117816,81296.85
35-39세682,990703,46497.09
40-44세482,309508,47894.85
45-49세603,230639,84794.28
50-54세582,990625,81293.16
55-59세487,276576,38184.54
60-64세301,764446,83067.53
65-69세174,925331,13652.83
70-74세102,975236,55843.53
75-79세49,324137,93635.76
80-84세19,00562,32730.49
85-89세3,56517,27020.64
90-94세4853,61513.42
95-99세407785.14
100세 이상3943.19



15-19세를 기점으로 성비 변화가 두드러지는데, 10대 후반까지는 100을 넘는 성비가 유지되다가 20대 초반에는 급격히 낮아져 69.75를 기록했다.[5] 이후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성비는 지속적으로 낮아져, 100세 이상에서는 3.19를 기록하는 등 고령층에서 여성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았다.[5]

이러한 연령별 성비 불균형은 20대 초반의 급격한 성비 감소는 한국 전쟁과 같은 사건으로 인해 남성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 수명이 길기 때문에 고령층으로 갈수록 여성 인구가 더 많은 경향을 보인다.

4. 1. 연령별 인구 분포


4. 2. 연령별 성비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성비는 89.24로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다. 특히 15-19세를 기점으로 성비 변화가 두드러지는데, 10대 후반까지는 100을 넘는 성비가 유지되다가 20대 초반에는 급격히 낮아져 69.75를 기록한다.[5] 이후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성비는 지속적으로 낮아져, 100세 이상에서는 3.19를 기록하는 등 고령층에서 여성 인구가 압도적으로 많은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5]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의 연령별 성비[5]
연령별1993년
남자여자성비
0-4세1,071,9541,016,554105.45
5-9세957,583909,000105.34
10-14세904,764862,348104.92
15-19세708,790819,50886.49
20-24세765,4791,097,51069.75
25-29세987,0951,032,43095.61
30-34세791,117816,81296.85
35-39세682,990703,46497.09
40-44세482,309508,47894.85
45-49세603,230639,84794.28
50-54세582,990625,81293.16
55-59세487,276576,38184.54
60-64세301,764446,83067.53
65-69세174,925331,13652.83
70-74세102,975236,55843.53
75-79세49,324137,93635.76
80-84세19,00562,32730.49
85-89세3,56517,27020.64
90-94세4853,61513.42
95-99세407785.14
100세 이상3943.19



이러한 연령별 성비 불균형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20대 초반의 급격한 성비 감소는 한국 전쟁 등의 영향으로 남성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평균 수명이 길기 때문에 고령층으로 갈수록 여성 인구가 더 많은 경향을 보인다.

5. 도시와 농촌 인구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에 따르면, 북한의 총인구는 20,522,351명이었다. 이 중 도시 인구는 12,501,217명, 농촌 인구는 8,021,134명으로, 도시화율은 60.92%였다.[6]

북한의 도시화율은 1990년대 초반 기준으로 60%를 넘어섰으며, 이는 당시 개발도상국들의 평균 도시화율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주요 도시별 인구를 살펴보면, 평양시의 인구가 2,741,260명으로 가장 많았고, 함흥시(709,730명), 남포시(731,448명), 청진시(582,480명) 등이 뒤를 이었다.[9]

5. 1. 도별 도시/농촌 인구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도별 도시/농촌 인구[6]
도별1993년
총인구도시 인구농촌 인구도시 인구 비율 (%)농촌 인구 비율 (%)
전국20,522,35112,501,2178,021,13460.9239.08
평양시2,741,2602,354,898386,36285.9114.09
평안남도2,866,1091,775,0861,091,02361.9338.07
평안북도2,404,4901,306,8011,097,68954.3545.65
자강도1,152,733753,282399,45165.3534.65
황해남도2,010,953686,5331,324,42034.1465.86
황해북도1,512,060659,365852,69543.6156.39
강원도1,304,481610,752693,72946.8253.18
함경남도2,732,2321,658,6761,073,55660.7139.29
함경북도2,060,7251,482,753577,97271.9528.05
량강도638,475459,982178,49372.0427.96
개성시334,433171,451162,98251.2748.73
남포시731,448566,215165,23377.4122.59
향산군32,95215,42317,52946.8053.20


5. 2. 연령별 도시/농촌 인구

연령별1993
도시농촌
남자여자성비남자여자성비
전체12,501,2175,951,0776,550,14090.858,021,1343,726,5864,294,54886.77
0-4세1,184,226608,068576,158105.54904,282463,886440,396105.33
5-9세1,102,774565,845536,929105.39763,809391,738372,071105.29
10-14세1,081,711554,589527,122105.21685,401350,175335,226104.46
15-19세957,833450,199507,63488.69570,465258,591311,87482.92
20-24세1,158,144493,090665,05474.14704,845272,389432,45662.99
25-29세1,256,838630,044626,794100.52762,687357,051405,63688.02
30-34세1,002,111498,143503,96898.84605,818292,974312,84493.65
35-39세901,104440,315460,78995.56485,350242,675242,675100.00
40-44세638,616306,319332,29792.18352,171175,990176,18199.89
45-49세786,240377,375408,86592.30456,837225,855230,98297.78
50-54세754,557361,150393,40791.80454,245221,840232,40595.45
55-59세635,339290,490344,84984.24428,318196,786231,53284.99
60-64세437,753187,062250,69174.62310,841114,702196,13958.48
65-69세275,918101,045174,87357.78230,14373,880156,26347.28
70-74세177,35353,214124,13942.87162,18049,761112,41944.26
75-79세95,72123,32672,39532.2291,53925,99865,54139.67
80-84세41,6918,89332,79827.1139,64110,11229,52934.24
85-89세10,5591,6718,88818.8010,2761,8948,38222.60
90-94세2,1452171,92811.261,9552681,68715.89
95-99세530205103.92288202687.46
100세 이상542523.85431422.38

[7]

연령별1993
도시농촌
남자여자남자여자
전체100.0000100.0000100.0000100.0000100.0000100.0000
0-4세9.473010.21788.796111.273712.448110.2548
5-9세8.82149.50838.19709.522410.51208.6637
10-14세8.65279.31908.04748.54499.39677.8059
15-19세7.66197.56497.74997.11206.93907.2621
20-24세9.26428.285810.15338.78737.309210.0698
25-29세10.053610.58709.56929.50859.58139.4454
30-34세8.01608.37077.69407.55277.86177.2846
35-39세7.20827.39897.03486.05096.51195.6508
40-44세5.10855.14745.07324.39054.72264.1023
45-49세6.28936.34136.24215.69556.06065.3786
50-54세6.03606.06866.00625.66315.95295.4117
55-59세5.08224.88135.26485.33985.28065.3913
60-64세3.50173.14333.82733.87533.07804.5672
65-69세2.20711.69802.66962.86921.98263.6386
70-74세1.41870.89411.89532.02191.33542.6176
75-79세0.76570.39191.10531.14130.69771.5262
80-84세0.33360.14940.50080.49420.27140.6875
85-89세0.08450.02800.13570.12810.05080.1952
90-94세0.01710.00370.02940.02440.00720.0393
95-99세0.00420.00040.00770.00350.00040.0062
100세 이상0.00040.00000.00080.00050.00000.0010

[8]

5. 3. 주요 도시 인구

주요 도시1993
남자여자
평양시2,741,2601,302,5981,438,662
평성시272,934132,415140,519
신의주시326,011153,976172,035
강계시223,410107,855115,555
해주시229,172109,351119,821
사리원시254,146121,518132,628
원산시300,148144,335155,813
함흥시709,730336,491373,239
청진시582,480278,740303,740
혜산시178,02085,68792,333
개성시334,433155,810178,623
남포시731,448347,369384,079

[9]

6. 가구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인구일제조사에서는 가구를 일반가구와 집단가구로 구분하였다. 일반가구는 혈연 관계를 기초로 하는 가구를 의미하며, 집단가구는 혈연 관계가 없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가구를 의미한다. 집단가구에는 기숙사, 병원, 요양소, 군대 등이 포함된다.[10]

조사 결과, 북한 전역의 총 가구 수는 4,813,195 가구였으며, 일반가구는 4,802,030 가구, 집단가구는 11,165 가구였다. 가구별 인구수는 일반가구가 20,086,241명, 집단가구가 436,110명이었다.[11]

6. 1. 가구 수

도별1993
일반가구집단가구
전국4,813,1954,802,03011,165
평양시658,619657,686933
평안남도670,430668,9341,496
평안북도559,575558,4951,080
자강도260,588259,850738
황해남도457,725456,4971,228
황해북도347,409346,3511,058
강원도305,635304,3751,260
함경남도646,887645,6451,242
함경북도492,953491,962991
량강도153,566152,878688
개성시78,67578,428247
남포시173,366173,190176
향산군7,7677,73928

[10]

6. 2. 가구별 인구수

1993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총 인구는 20,522,351명이었다. 이 중 일반가구는 20,086,241명, 집단가구는 436,110명이었다.[11] 다음은 각 도별 일반가구 인구수를 나타낸 표이다.

도별 일반가구 인구수 (1993년)
도별일반가구 인구수
전국20,086,241명
평양시2,666,593명
평안남도2,807,534명
평안북도2,360,603명
자강도1,120,141명
황해남도1,979,019명
황해북도1,480,115명
강원도1,275,415명
함경남도2,678,237명
함경북도2,013,934명
량강도623,705명
개성시330,025명
남포시718,347명
향산군32,573명


참조

[1] 웹사이트 Analysis of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993 Population Census Data and Population Projections http://www.lib.washi[...] US Bureau of the Census 1997-10
[2] 서적 The North Korean Economy: Between Crisis and Catastrophe https://books.google[...] Transaction Publishers
[3] 웹인용 총인구 https://kosis.kr/sta[...] 2011-05-03
[4] 웹인용 도별 총인구 구성 https://kosis.kr/sta[...] 2011-05-03
[5] 웹인용 도별/연령별 인구 구성 https://kosis.kr/sta[...] 2011-05-03
[6] 웹인용 도시/농촌 거주 인구 https://kosis.kr/sta[...] 2011-05-03
[7] 웹인용 연령별 도시/농촌 인구 https://kosis.kr/sta[...] 2011-05-03
[8] 웹인용 연령별 도시/농촌 인구 구성 https://kosis.kr/sta[...] 2011-05-03
[9] 웹인용 주요 도시 인구 https://kosis.kr/sta[...] 2011-05-03
[10] 웹인용 가구 수 https://kosis.kr/sta[...] 2011-05-03
[11] 웹인용 가구별 인구 수 https://kosis.kr/sta[...] 2011-05-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