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는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개최되었으며, 남자부와 여자부 축구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 남자부에서는 카메룬이 금메달, 스페인이 은메달, 칠레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부에서는 노르웨이가 금메달, 미국이 은메달, 브라질이 동메달을 차지했다. 경기는 시드니, 캔버라,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멜버른 등 호주의 여러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2000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는 오스트레일리아에서 23세 이하 선수들과 와일드카드 3명을 포함한 16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카메룬이 금메달, 칠레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8강 진출에 실패했다.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는 2000년 9월 13일부터 9월 28일까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8개국이 참가하여 진행되었으며, 노르웨이가 금메달, 미국이 은메달, 독일이 동메달을 획득했고 쑨원이 득점왕, 헤게 리세가 도움왕을 차지했다. -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96년 OFC 네이션스컵
1996년 OFC 네이션스컵은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주최로 오스트레일리아가 타히티를 꺾고 우승했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솔로몬 제도, 타히티가 본선에 진출했고 크리스 트라야노프스키가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98년 OFC 네이션스컵
1998년 OFC 네이션스컵은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에서 개최된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주관의 국제 축구 대회로, 멜라네시아컵과 폴리네시아컵 예선을 거친 6개국이 본선에 진출하여 뉴질랜드가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데미언 모리가 득점왕을 차지했다. - 2000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00년 하계 올림픽 유도
2000년 시드니 하계 올림픽 유도는 달링 하버에서 남자와 여자 각각 7체급으로 나뉘어 총 14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노무라 다다히로, 다무라 료코 등의 금메달리스트와 대한민국 선수들의 은메달, 동메달 획득이 있었다. - 2000년 하계 올림픽 경기 종목 - 2000년 하계 올림픽 근대5종
2000년 하계 올림픽 근대5종은 5가지 종목으로 구성되어 남자부에서는 드미트리 스바트코프스키가 금메달을, 여자부에서는 스테파니 쿡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영국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종류 | 하계 올림픽 |
연도 | 2000년 |
![]() | |
개최국 | 오스트레일리아 |
경기장 | 6곳 |
개최 도시 | 5곳 |
날짜 | 2000년 9월 13일 - 30일 |
참가 선수 | 391명 |
참가 국가 | 20개국 |
이전 대회 | 1996년 |
다음 대회 | 2004년 |
남자 축구 | |
참가팀 수 | 16팀 |
참가 연맹 | 5개 |
금메달 | 카메룬 |
은메달 | 스페인 |
동메달 | 칠레 |
4위 | 미국 |
여자 축구 | |
참가팀 수 | 8팀 |
참가 연맹 | 6개 |
금메달 | 노르웨이 |
은메달 | 미국 |
동메달 | 독일 |
4위 | 브라질 |
통계 | |
경기 수 | 48경기 |
득점 | 145골 |
관중 | 1,350,795명 |
2. 경기장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경기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시드니, 캔버라,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멜버른 5개 도시의 6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2. 1. 경기장 목록
시드니 | 캔버라 | 애들레이드 | 브리즈번 | 멜버른 | |
---|---|---|---|---|---|
올림픽 스타디움 |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 | 브루스 스타디움 | 힌드마시 스타디움 | 브리즈번 크리켓 경기장 | 멜버른 크리켓 경기장 |
수용 인원: 110,000 | 수용 인원: 43,000 | 수용 인원: 25,011 | 수용 인원: 20,000 | 수용 인원: 36,000 | 수용 인원: 98,000 |
![]() | ![]() | ![]() | ![]() |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는 남자 16개국, 여자 8개국이 참가했다.
힌드마시 스타디움은 남자 토너먼트 기간 동안에만 사용되었으며, 경기를 위해 임시 좌석이 추가되었다. 올림픽 스타디움은 남자 토너먼트 결승전 기간 동안에만 사용되었다.
3. 참가국
남자 축구는 다음과 같이 4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여자 축구는 다음과 같이 2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3. 1. 남자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종목에는 총 16개국이 참가했다. 참가국은 다음과 같이 4개 조로 나뉘었다.
A조 | B조 | C조 | D조 |
---|---|---|---|
3. 1. 1. 남자 메달
종목 | 금 | 은 | 동 |
---|---|---|---|
남자 |
3. 2. 여자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부문에는 다음과 같은 팀들이 참가했다. A조에는 독일, 브라질, 스웨덴, 오스트레일리아가 편성되었고, B조에는 미국, 노르웨이, 중국, 나이지리아가 편성되었다.3. 2. 1. 여자 메달
종목 | 금 | 은 | 동 |
---|---|---|---|
여자 축구 |
4. 경기 일정
P | 예선 | ¼ | 8강 | ½ | 준결승 | B | 3위 결정전 | F | 결승 |
경기↓/날짜 → | 수 13 | 목 14 | 금 15 | 토 16 | 일 17 | 월 18 | 화 19 | 수 20 | 목 21 | 금 22 | 토 23 | 일 24 | 월 25 | 화 26 | 수 27 | 목 28 | 금 29 | 토 30 | |
---|---|---|---|---|---|---|---|---|---|---|---|---|---|---|---|---|---|---|---|
남자 | P | P | P | P | P | P | ¼ | ½ | colspan=2| | B | F | ||||||||
여자 | P | P | P | P | P | P | ½ | B | F |
경기는 시드니, 캔버라, 애들레이드, 브리즈번, 멜버른 등 총 5개 도시 6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올림픽 헌장에는 "경기 기간은 16일을 넘어서는 안 된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개회식을 포함하면 17일이 올림픽 개최 기간이다.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까지는 축구도 개회식 이후부터 일정이 짜여졌지만, 하루 휴식 후 바로 경기를 치르는 빡빡한 일정에 시달려야 했다. 축구 경기가 개최되는 하계 올림픽은 북반구의 여름에 개최되는 경우가 많아 더위로 인한 선수들의 건강 악영향이 우려되었다. 따라서 국제 축구 연맹(FIFA)이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와 협의하여 조별 리그에 이틀의 간격을 두기 위해 특례로 '''개회식 며칠 전'''부터 축구를 시작하는 것이 이번 대회부터 인정되었다[3] (단, 개회식에 앞서 경기가 치러진 기간은 공식적인 올림픽 개최 기간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5. 메달 집계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align="left" | | 1 | 0 | 0 | 1 |
align="left" | | 1 | 0 | 0 | 1 | |
3 | align="left" | | 0 | 1 | 0 | 1 |
align="left" | | 0 | 1 | 0 | 1 | |
5 | align="left" | | 0 | 0 | 1 | 1 |
align="left" | | 0 | 0 | 1 | 1 |
6. 남자부 경기 결과
A조 | B조 | C조 | D조 |
---|---|---|---|
7. 여자부 경기 결과
를 참고하십시오.
참조
[1]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fifa.com/docu[...]
2012-07-18
[2]
웹사이트
Men's Olympic Football Tournament
https://www.fifa.com[...]
2012-09-13
[3]
뉴스
なぜサッカーは開幕前に実施? 選手の体調管理が理由-朝日新聞デジタル2012年7月26日
http://digital.asahi[...]
朝日新聞デジタル
2012-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