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럭비 월드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3년 럭비 월드컵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되었으며, 예선과 본선 조별 리그,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99년 대회 8강 진출팀과 개최국을 포함한 20개 팀이 참가했으며, 유럽, 북중미,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지역 예선을 거쳐 본선 진출팀을 가렸다. 조별 리그에서는 4개 팀씩 5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고,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 잉글랜드가 결승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조니 윌킨슨이 최다 득점, 더그 하울렛과 밀스 뮬리아이나가 최다 트라이 득점자가 되었다. 대한민국은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2위를 차지하여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으나, 통가에 패하여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럭비 월드컵 - 웨브 엘리스 컵
웨브 엘리스 컵은 럭비 월드컵의 우승 트로피로, 럭비 발명가 윌리엄 웨브 엘리스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뉴질랜드,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잉글랜드만이 들어올린 경험이 있고 현재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최다 우승국이다. - 럭비 월드컵 - 2015년 럭비 월드컵
2015년 럭비 월드컵은 잉글랜드와 웨일스에서 열렸으며, 뉴질랜드가 호주를 꺾고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 2003년 10월 - 선저우 5호
선저우 5호는 중국이 독자 개발한 유인 우주선으로 양리웨이를 태워 발사, 21시간 궤도 비행 후 귀환에 성공하며 중국을 세계 세 번째 유인 우주 비행 성공 국가로 만들었고, 중국의 우주 기술력을 국제적으로 알리는 데 기여했다. - 2003년 10월 - 유영철
유영철은 2003년부터 2004년까지 대한민국에서 부유층 노인과 여성 마사지사들을 주로 살해하며 사회에 큰 충격을 준 20명 살해 연쇄 살인범으로, 사형 선고 후 현재까지 서울구치소에 수감 중이며 그의 범행은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가 되었다.
2003년 럭비 월드컵 | |
---|---|
2003년 럭비 월드컵 | |
![]() | |
개최 기간 | 2003년 10월 10일 ~ 11월 22일 (44일간) |
개최국 | 오스트레일리아 |
참가국 | 20개국 (예선 참가 80개국) |
우승팀 | 잉글랜드 (1번째 우승) |
준우승팀 | 오스트레일리아 |
3위팀 | 뉴질랜드 |
총 경기 수 | 48 |
총 관중 수 | 1,837,547 |
경기당 평균 관중 수 | 38,282 |
최다 득점자 | 조니 윌킨슨(113점) |
최다 트라이 득점자 | 더그 하울렛 (7트라이) |
이전 대회 | 1999 |
다음 대회 | 2007 |
참고 자료 |
2. 대회 진행 방식
당초 이 대회의 개최권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 공동으로 주어져, 호주가 48경기 중 25경기를, 뉴질랜드가 나머지 23경기를 개최할 예정이었다.[1] 그러나 2002년 3월, 오스트레일리아 럭비 연맹은 뉴질랜드 럭비가 경기장 내 간판 문제와 관련하여 공동 개최 협정에 회신하지 않자 뉴질랜드와의 공동 개최 제안을 철회했다.[2] 뉴질랜드는 월드컵 기간 동안 내셔널 프로빈셜 챔피언십을 개최하고, 지역 스폰서와의 계약을 이행하려 했으나, 국제 럭비 위원회(IRB)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결국 2003년 4월 18일, IRB 회의에서 호주의 새로운 계획이 승인되어 호주가 단독으로 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3]
2. 1. 예선
1999년 럭비 월드컵 8강 진출팀과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는 자동 진출하여 총 8팀이 예선을 면제받았다. 나머지 12장의 본선 티켓을 두고 전 세계 81개국이 지역 예선에 참가했다.각 지역별 예선 방식은 다음과 같다.
지역 | 참가국 수 | 라운드 | 방식 | 비고 |
---|---|---|---|---|
유럽 | 32개국 | 5라운드 | 4라운드: 시드 6개 팀(이탈리아, 루마니아, 아일랜드, 조지아, 스페인, 러시아)을 3팀씩 2개 조로 나누어 1회전 총당리그전. 각 조 상위 2팀 본선 진출, 3위 팀은 5라운드에서 맞대결 후 승자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 |
북중미 | 17개국 | 4라운드 | 4라운드: 시드 4개 팀(캐나다, 우루과이, 미국, 칠레) 1회전 총당리그전. 상위 2팀 본선 진출, 3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 |
아프리카 | 12개국 | 4라운드 | 4라운드: 3라운드 통과 2개 팀(튀니지, 나미비아) 홈 앤드 어웨이 방식. 승자 본선 진출, 패자는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 |
아시아 | 11개국 | 3라운드 | 3라운드: 시드 3개 팀(일본, 한국, 중화 타이베이) 2회전 총당리그전. 상위 1팀 본선 진출, 2위 팀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 대한민국은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하여 본선 진출 실패. |
오세아니아 | 9개국 | - | 시드 3개 팀(피지, 사모아, 통가) 1회전 총당리그전. 상위 2팀 본선 진출, 3위 팀은 예선 통과팀(파푸아뉴기니)과 홈 앤드 어웨이 방식. 승자가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
2. 2. 본선 조 편성
본선 진출 20개 팀은 5개 팀씩 4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진행했다.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2라운드에서 미국이 스페인을 상대로 2승을 거두어 본선에 진출했다.
같은 2라운드에서 통가가 한국을 상대로 2승을 거두어 본선에 진출했다.
2. 3. 본선 경기 방식
조별 리그에서는 승리 시 4점, 무승부 시 2점, 패배 시 0점의 승점이 부여되었다. 4개 이상의 트라이를 기록하거나 7점 차 이내로 패배할 경우 보너스 승점 1점이 추가되었다. 각 조 상위 2개 팀은 8강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단판 승부로 우승팀을 가렸다.[7]3. 경기장
2003년 럭비 월드컵은 오스트레일리아 전역의 11개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등 주요 도시의 대형 경기장이 사용되었다. 각 경기장의 정보는 다음과 같다.
경기장 | 경기 수 | 도시 | 주 | 수용인원 | 최다 관중 |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 7 | 시드니 | 뉴사우스웨일스주 | 83,500 | 82,957 (월러비스 vs 잉글랜드) |
시드니 풋볼 스타디움 | 5 | 시드니 | 뉴사우스웨일스주 | 41,159 | 37,137 (스코틀랜드 vs 피지) |
센트럴코스트 스타디움 | 3 | 고스퍼드 | 뉴사우스웨일스주 | 20,119 | 19,653 (일본 vs 미국) |
WIN 스타디움 | 2 | 울런공 | 뉴사우스웨일스주 | 18,484 | 17,833 (프랑스 vs 미국) |
선코프 스타디움 | 9 | 브리즈번 | 퀸즐랜드주 | 52,500 | 48,778 (월러비스 vs 루마니아) |
데이리 파머스 스타디움 | 3 | 타운즈빌 | 퀸즐랜드주 | 24,843 | 21,309 (프랑스 vs 일본) |
텔스트라 돔 | 7 | 멜버른 | 빅토리아주 | 53,371 | 54,206 (월러비스 vs 아일랜드) |
수비아코 오벌 | 5 | 퍼스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 42,922 | 38,834 (스프링복스 vs 잉글랜드) |
캔버라 경기장 | 4 | 캔버라 |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 | 24,647 | 22,641 (이탈리아 vs 웨일스) |
애들레이드 오벌 | 2 | 애들레이드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 33,597 | 33,000 (월러비스 vs 나미비아) |
요크 파크 | 1 | 론서스턴 | 태즈메이니아주 | 19,891 | 15,457 (나미비아 vs 루마니아) |
4. 주요 경기 결과
2003년 럭비 월드컵의 주요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별 리그는 대체로 예상대로 진행되었지만, 일부 국가들이 8강 진출권을 놓고 치열하게 경쟁했다. A조에서 아르헨티나는 아일랜드에 1점 차로 패해 8강 진출에 실패했고,[7] B조에서는 피지가 스코틀랜드에 경기 막판 역전패를 당해 8강 진출이 좌절되었다.[7] C조에서는 사모아가 잉글랜드를 상대로 공격적인 플레이를 펼쳤으나, 잉글랜드가 초반 열세를 극복하고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잉글랜드는 선수 교체 과정에서 규정을 위반해 벌금을 부과받았다.[8]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는 나미비아를 상대로 142-0이라는 럭비 월드컵 역사상 최다 점수 차 승리를 기록했다.[7]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잉글랜드에 패하여 조 2위로 8강에 진출, 뉴질랜드와 맞붙게 되었다.[7]
4. 1. 조별 리그
대회 조별 리그는 대체로 예상대로 진행되었지만, 일부 국가들이 8강 진출권을 놓고 경쟁하면서 긴장감이 있었다.A조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아일랜드에 1점 차로 패배하여 아쉽게 8강 진출에 실패했다.[7] B조에서는 피지가 스코틀랜드와의 경기에서 경기 막판까지 앞섰으나, 아페니사 나에보의 옐로카드와 막판 실점으로 8강 진출이 좌절되었다.[7] D조에서는 이탈리아가 2승을 거두며 선전했지만, 8강 진출에는 실패했다.[7] C조에서는 사모아가 잉글랜드를 상대로 공격적인 플레이를 펼쳤으나, 잉글랜드가 초반 열세를 극복하고 승리했다. 이 경기에서 잉글랜드는 30초 동안 16명의 선수가 경기에 참여하여 1만 파운드의 벌금을 부과받았다.[8]
개최국 오스트레일리아는 나미비아를 상대로 142-0이라는 럭비 월드컵 역사상 최다 점수 차 승리를 기록했다.[7]
주요 경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잉글랜드에 패배하여 조 2위로 8강에 진출, 뉴질랜드와 맞붙게 되었다.[7] 호주는 아일랜드를 1점 차로 꺾고 조 1위를 차지했으며, 웨일스는 뉴질랜드와의 명경기에서 접전 끝에 패배했다.[7] 프랑스는 스코틀랜드를 대파하고 8강에 진출했다.[7]
각 조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 | 점수 |
---|---|---|---|---|---|---|---|---|
오스트레일리아 | 4 | 4 | 0 | 0 | 273 | 32 | 241 | 18 |
아일랜드 | 4 | 3 | 0 | 1 | 141 | 56 | 85 | 15 |
아르헨티나 | 4 | 2 | 0 | 2 | 140 | 57 | 83 | 11 |
루마니아 | 4 | 1 | 0 | 3 | 65 | 192 | -127 | 5 |
나미비아 | 4 | 0 | 0 | 4 | 28 | 310 | -282 | 0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점수 |
---|---|---|---|---|---|---|---|---|
프랑스 | 4 | 4 | 0 | 0 | 204 | 70 | +134 | 20 |
스코틀랜드 | 4 | 3 | 0 | 1 | 102 | 97 | +5 | 14 |
피지 | 4 | 2 | 0 | 2 | 98 | 114 | -16 | 10 |
미국 | 4 | 1 | 0 | 3 | 86 | 125 | -39 | 6 |
일본 | 4 | 0 | 0 | 4 | 79 | 163 | -84 | 0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점수 |
---|---|---|---|---|---|---|---|---|
잉글랜드 럭비 유니온 | 4 | 4 | 0 | 0 | 255 | 47 | 208 | 19 |
남아프리카 공화국 럭비 유니온 | 4 | 3 | 0 | 1 | 184 | 60 | 124 | 15 |
사모아 럭비 유니온 | 4 | 2 | 0 | 2 | 138 | 117 | 21 | 10 |
우루과이 럭비 유니온 | 4 | 1 | 0 | 3 | 56 | 255 | -199 | 4 |
조지아 럭비 유니온 | 4 | 0 | 0 | 4 | 46 | 200 | -154 | 0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점수 |
---|---|---|---|---|---|---|---|---|
뉴질랜드 | 4 | 4 | 0 | 0 | 282 | 57 | +225 | 20 |
웨일스 | 4 | 3 | 0 | 1 | 132 | 98 | +34 | 14 |
이탈리아 | 4 | 2 | 0 | 2 | 77 | 123 | -46 | 8 |
캐나다 | 4 | 1 | 0 | 3 | 54 | 135 | -81 | 5 |
통가 | 4 | 0 | 0 | 4 | 46 | 178 | -132 | 1 |
4. 2. 8강전
8강전에서는 대체로 예상대로 4강 진출팀이 결정되었지만, 잉글랜드는 웨일스를 상대로 고전했다. 세계 최강으로 평가받던 잉글랜드는 뉴질랜드와의 경기 후 자신감에 차 있던 웨일스를 상대로 전반전에는 고전했다. 그러나 루거 대신 캣을 투입하는 전술적 교체와 제이슨 로빈슨(Jason Robinson)의 돌파로 만들어낸 윌 그린우드의 득점으로 잉글랜드는 후반전에 점수 차를 벌렸다. 웨일스가 후반 막판에 득점을 올리긴 했지만, 전반전 경기력에 비추어 볼 때 그들의 선전을 인정할 만한 점수였다. 프랑스는 아일랜드를 압도하며 초반에 31점을 먼저 득점하여 승부를 결정지었다. 다른 8강전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뉴질랜드에 패했고, 오스트레일리아는 스코틀랜드를 완파했다.4. 3. 준결승전
[7]준결승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는 우승 후보였던 뉴질랜드를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잉글랜드는 프랑스를 상대로 조니 윌킨슨의 킥을 앞세워 승리했다.
4. 4. 3·4위전
뉴질랜드(The All Blacks)는 프랑스(Les Bleus)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7]4. 5. 결승전
2003년 럭비 월드컵 결승전은 시드니의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렸으며, 오스트레일리아와 잉글랜드가 맞붙었다. 경기 결과 잉글랜드가 연장 접전 끝에 20-17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다.[7] 잉글랜드의 조니 윌킨슨은 연장 종료 직전 드롭골을 성공시켜 팀의 우승을 이끌었다.[7]5. 대회 결과
2003년 럭비 월드컵 A조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4전 전승으로 8강에 진출했고, 아일랜드(3승 1패), 아르헨티나(2승 2패), 루마니아(1승 3패)가 그 뒤를 이었다. 나미비아는 4전 전패를 기록했다.
조별 리그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기일 | 홈팀 | 점수 | 원정팀 | 경기장 | 관중 수 |
---|---|---|---|---|---|
2003년 10월 10일 | 24-8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 | 81,350 | ||
2003년 10월 11일 | 45-17 | 센트럴 코스트 스타디움, 고스퍼드 | 19,123 | ||
2003년 10월 14일 | 67-14 | 센트럴 코스트 스타디움, 고스퍼드 | 17,887 | ||
2003년 10월 18일 | 90-8 | 선코프 스타디움, 브리즈번 | 48,778 | ||
2003년 10월 19일 | 64-7 | 오지 스타디움, 시드니 | 35,382 | ||
2003년 10월 22일 | 50-3 | 오지 스타디움, 시드니 | 33,673 | ||
2003년 10월 25일 | 142-0 | 애들레이드 오벌, 애들레이드 | 28,196 | ||
2003년 10월 26일 | 15-16 | 애들레이드 오벌, 애들레이드 | 30,203 | ||
2003년 10월 30일 | 7-37 | 요크 파크, 론세스톤 | 15,457 | ||
2003년 11월 1일 | 17-16 | 도클랜즈 스타디움, 멜버른 | 54,206 |
2003년 10월 25일 오스트레일리아와 나미비아의 경기는 142-0으로 끝나 럭비 월드컵 역사상 최대 점수 차로 기록되었다.[1]
8강전에서는 뉴질랜드가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29-9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스코틀랜드를 33-16으로, 프랑스가 아일랜드를 43-21로, 잉글랜드가 웨일스를 28-17로 꺾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준결승에서는 오스트레일리아가 뉴질랜드를 22-10으로, 잉글랜드가 프랑스를 24-7로 꺾고 결승에 올랐다.
결승전은 11월 22일 시드니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열렸으며, 82,957명의 관중이 지켜보는 가운데 잉글랜드가 오스트레일리아를 연장전 끝에 20-17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2] 잉글랜드의 조니 윌킨슨은 페널티 골 4개와 연장전에서 드롭 골을 성공시키며 팀 승리에 크게 기여했다.
5. 1. 최종 순위
5. 2. 개인 기록
상 | 선수 | 국가 |
---|---|---|
득점왕 | 조니 윌킨슨 | Jonny Wilkinson영어 |
최다 트라이 득점자 | 더그 하울렛 | Doug Howlett영어 |
최다 트라이 득점자 | 밀스 뮬리아이나 | Mils Muliaina영어 |
6. 대한민국 대표팀
대한민국 대표팀은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 일본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대륙간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는 통가와 경기를 가졌다. 2003년 3월 15일 광주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는 0-75로 패배했고, 3월 21일 통가의 누쿠알로파에서 열린 두 번째 경기에서는 0-119로 패배했다. 결국 두 경기 모두 패배하며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7. 기타
조니 윌킨슨은 113득점으로 득점왕에 올랐고, 뉴질랜드의 더그 하울렛과 밀스 무리아이나는 각각 7개의 트라이로 최다 트라이 공동 1위에 올랐다. 이 대회에서는 일본의 경기를 비롯한 주요 경기가 TV 도쿄를 통해 일본 전역에 방송되었다. 2003년 럭비 월드컵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으며, 잉글랜드의 첫 번째 우승으로 막을 내렸다.
참조
[1]
뉴스
IRB confirms Australia as 2003 World Cup hosts
https://www.espn.com[...]
ESPN Enterprises
2001-01-14
[2]
뉴스
New Zealand loses Cup status
http://news.bbc.co.u[...]
2002-03-08
[3]
뉴스
NZ loses Rugby World Cup
http://news.bbc.co.u[...]
2002-04-18
[4]
뉴스
Brooke backs Kiwi withdrawal
http://news.bbc.co.u[...]
2002-04-18
[5]
뉴스
Kiwi rugby fights back
http://news.bbc.co.u[...]
2002-04-19
[6]
뉴스
Australia 'could have lost World Cup'
http://news.bbc.co.u[...]
2002-04-22
[7]
웹사이트
The whistlers that contol the cup
http://www.nzherald.[...]
2003-10-02
[8]
웹사이트
Rugby World Cup 2003: THE GREAT ESCAPE II; England's double let-off.
http://www.thefreeli[...]
[9]
Youtube
https://www.youtube.[...]
[10]
웹사이트
Cup won't be empty for three more years
http://www.stuff.co.[...]
2009-05-10
[11]
웹사이트
Excruciating trophy presentations
https://www.smh.com.[...]
2010-03-13
[12]
뉴스
England rugby heroes arrive home
http://news.bbc.co.u[...]
BBC Sport
2003-11-25
[13]
웹사이트
Visa International Renews Rugby World Cup Partnership
http://www.corporate[...]
[14]
뉴스
NZ loses Rugby World Cup
http://news.bbc.co.u[...]
2002-04-18
[15]
웹사이트
【乾坤一筆】サッカーで話題の「VAR」、ラグビーW杯では03年から導入
https://www.sanspo.c[...]
2018-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