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은 남자부와 여자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남자부 예선은 3단계로 진행되었으며, 최종 예선에서 대한민국, 일본, 이라크가 본선에 진출했다. 여자부 예선은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로 진행되었으며, 중국과 일본이 본선에 진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 2004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
2004년 UEFA U-21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독일에서 개최되어 이탈리아가 우승했으며, 이탈리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포르투갈은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본선 진출 자격을 획득했다.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예선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조별 예선과 결선 토너먼트로 진행되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국, 일본이 조 1위로, 대한민국이 각 조 2위 팀 간 순위 결정 방식을 통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으며, 결선 토너먼트에서 중국이 우승하며 일본과 함께 아테네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35개 팀이 참가하여 2011년 2월부터 2012년 3월까지 1차, 2차, 최종 예선, 플레이오프를 거쳐 최종 예선 각 조 1위 팀이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
1992년 하계 올림픽 축구 아시아 지역 예선은 올림픽에 참가할 아시아 국가대표팀을 선발하는 예선전으로, 1차 예선을 통과한 6개 팀이 최종 예선 풀 리그를 거쳐 카타르, 대한민국, 쿠웨이트가 본선에 진출했다. - 2003년 축구 -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03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은 프랑스에서 개최되었으며, 프랑스가 결승에서 카메룬을 꺾고 우승했으며 티에리 앙리가 골든볼과 골든슈를 수상했다. - 2003년 축구 - 라리가 2002-03
라리가 2002-03 시즌은 스페인 프로 축구 리그의 72번째 시즌으로, 20개 팀이 참가하여 레알 마드리드가 우승을 차지했고,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라싱 산탄데르, 레크레아티보 우엘바가 승격했으며, FC 바르셀로나의 부진과 레알 마드리드의 갈락티코스 정책, 로이 마카이의 득점왕, 파블로 카바예로의 트로페오 사모라 수상 등이 주요 특징이다.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
연도 | 2003년 - 2004년 |
개최국 | 대한민국 |
개최 기간 | 2003년 4월 5일 – 2004년 5월 12일 |
참가 팀 수 | 36개국 |
참가 연맹 수 | 1개 |
이전 대회 | 2000년 |
다음 대회 | 2008년 |
2. 남자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의 남자 종목 아시아 지역 예선은 총 36개 팀이 참가하여 3장의 본선 진출권을 놓고 경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예선은 총 3단계로 구성되었으며,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 및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시드를 배정하여 상위 12개 팀은 2차 예선에 직행하고 나머지 24개 팀은 1차 예선부터 참가했다.
1차 예선과 2차 예선은 두 팀씩 짝을 지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어 각각 12개 팀을 선발했다. 일부 경기는 사스 유행이나 이라크 전쟁과 같은 외부 요인으로 인해 일정이 변경되거나 중립 지역에서 치러지기도 했다. 최종 예선에는 2차 예선을 통과한 12개 팀이 3개 조로 나뉘어 리그전 방식으로 경쟁했으며, 각 조에서 1위를 차지한 총 3개 팀이 올림픽 본선 진출 자격을 얻었다.
2. 1. 진행 방식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총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전체 36개 참가 팀 중 상위 시드를 받은 12개 팀은 2차 예선으로 직행하고, 나머지 하위 24개 팀은 1차 예선부터 참가했다.- 1차 예선: 하위 24개 팀이 참가하여 2개 팀씩 짝을 지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각 대결에서 승리한 12개 팀이 2차 예선에 진출했다.
- 2차 예선: 1차 예선을 통과한 12개 팀과 2차 예선에 직행한 상위 시드 12개 팀, 총 24개 팀이 참가했다. 1차 예선과 마찬가지로 2개 팀씩 짝을 이루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고, 승리한 12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 최종 예선: 2차 예선을 통과한 12개 팀이 4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전 방식으로 경쟁했다. B조는 더블 센트럴 방식, 나머지 조는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하여 각 팀당 6경기를 치렀다. 각 조에서 1위를 차지한 총 3개 팀이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2. 2. 참가 팀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참가 팀의 시드는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본선 성적, 200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아시아 지역 예선 성적을 기준으로 하여 배정되었다. 상위 12개 팀은 2차 예선에 직행하며 하위 24개 팀은 1차 예선부터 치른다. 1차·2차 예선 대진 추첨은 2002년 12월 9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3][4]2차 예선 직행 팀 (12개) | 1차 예선 참가 팀 (24개) | |
---|---|---|
대한민국 | 이란 | 요르단 |
일본 | 이라크 | 인도 |
쿠웨이트 | 아랍에미리트 | 베트남 |
바레인 | 오만 | 캄보디아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중화 타이베이 |
중국 | 레바논 | 스리랑카 |
카타르 | 홍콩 | 방글라데시 |
태국 | 싱가포르 | 네팔 |
우즈베키스탄 | 미얀마 | 파키스탄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팔레스타인 | 타지키스탄 |
말레이시아 | 키르기스스탄 | 몰디브 |
인도네시아 | 투르크메니스탄 | 예멘 |
2. 3. 1차 예선
1차 예선 대진 추첨은 2002년 12월 9일에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진행되었다.[3][4]C조 | D조 | E조 | F조 |
---|---|---|---|
투르크메니스탄 (C1) 홍콩 (C2) 레바논 (C3) 중화 타이베이 (C4) 키르기스스탄 (C5) 이라크 (C6) | 미얀마 (D1) 네팔 (D2) 이란 (D3) 오만 (D4) 시리아 (D5) 아랍에미리트 (D6) | 인도 (E1) 스리랑카 (E2) 요르단 (E3) 싱가포르 (E4) 예멘 (E5) 베트남 (E6) | 방글라데시 (F1) 팔레스타인 (F2) 몰디브 (F3) 캄보디아 (F4) 파키스탄 (F5) 타지키스탄 (F6) |
1차 예선 승자가 2차 예선에서 상대하는 팀 | 1차 예선 홈 팀 | 1차 예선 원정 팀 |
---|---|---|
말레이시아 (A1) | 투르크메니스탄 (C1) | 인도 (E1) |
대한민국 (A2) | 홍콩 (C2) | 스리랑카 (E2) |
인도네시아 (A3) | 레바논 (C3) | 요르단 (E3) |
사우디아라비아 (A4) | 중화 타이베이 (C4) | 싱가포르 (E4) |
바레인 (A5) | 키르기스스탄 (C5) | 예멘 (E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A6) | 이라크 (C6) | 베트남 (E6) |
일본 (B1) | 미얀마 (D1) | 방글라데시 (F1) |
쿠웨이트 (B2) | 네팔 (D2) | 팔레스타인 (F2) |
우즈베키스탄 (B3) | 이란 (D3) | 몰디브 (F3) |
카타르 (B4) | 오만 (D4) | 캄보디아 (F4) |
중국 (B5) | 시리아 (D5) | 파키스탄 (F5) |
태국 (B6) | 아랍에미리트 (D6) | 타지키스탄 (F6) |
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비고 |
---|---|---|---|---|---|
투르크메니스탄 | 2-1 | 인도 | 2-0 (4월 5일, 아시가바트) | 0-1 (4월 19일, 마르가오) | 투르크메니스탄이 말레이시아와의 2차 예선 진출. |
레바논 | 1-1 (원정 다득점 원칙) | 요르단 | 0-0 (4월 5일, 베이루트) | 1-1 (4월 19일, 암만) | 레바논이 인도네시아와의 2차 예선 진출. |
중화 타이베이 | 3-5 | 싱가포르 | 2-1 (9월 10일, 타이베이) | 1-4 (9월 17일, 싱가포르) | 싱가포르가 사우디아라비아와의 2차 예선 진출. 경기 일정 변경됨 (사스 유행)[5][6][7] |
이라크 | 4-2 | 베트남 | 3-1 (9월 10일, 다마스쿠스, 시리아)주1 | 1-1 (9월 17일, 하노이) | 이라크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의 2차 예선 진출. 경기 일정 변경됨 (이라크 전쟁)[8][9][10] |
오만 | 17-0 | 캄보디아 | 8-0 (4월 5일, 무스카트) | 9-0 (4월 9일, 무스카트, 오만)주2 | 오만이 카타르와의 2차 예선 진출. |
홍콩 | 3-0 | 스리랑카 | 1-0 (9월 10일, 홍콩) | 2-0 (9월 17일, 콜롬보) | 홍콩이 대한민국과의 2차 예선 진출. 경기 일정 변경됨 (사스 유행)[5][6][7] |
미얀마 | 3-0 | 방글라데시 | 3-0 (4월 12일, 청소년 훈련 센터, 양곤) | 0-0 (4월 19일, 다카) | 미얀마가 일본과의 2차 예선 진출. |
네팔 | 1-3 | 팔레스타인 | 0-1 (4월 12일, 카트만두) | 1-2 (4월 14일, 카트만두, 네팔)주3 | 팔레스타인이 쿠웨이트과의 2차 예선 진출. |
시리아 | 8-1 | 파키스탄 | 2-0 (4월 16일, 다마스쿠스) | 6-1 (4월 19일, 다마스쿠스, 시리아)주4 | 시리아가 중국과의 2차 예선 진출. |
아랍에미리트 | 4-0 | 타지키스탄 | 3-0 (4월 19일, 두바이) | 1-0 (4월 26일, 두샨베) | 아랍에미리트가 태국과의 2차 예선 진출. |
이란 | 부전승 | 몰디브 | 취소 | 취소 | 몰디브 기권으로 이란이 우즈베키스탄과의 2차 예선 진출. |
키르기스스탄 | 부전승 | 예멘 | 취소 | 취소 | 예멘 기권으로 키르기스스탄이 바레인과의 2차 예선 진출. |
'''주석'''
- 주1: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과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하여 베트남과의 1차 예선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시리아에서 치렀다.[11]
- 주2: 캄보디아의 홈 경기도 오만에서 개최되었다.
- 주3: 팔레스타인의 홈 경기도 네팔에서 개최되었다.
- 주4: 파키스탄의 홈 경기도 시리아에서 개최되었다.
'''경기 일정 변경 사유'''
- '''사스 유행''': 중화 타이베이-싱가포르, 홍콩-스리랑카 경기는 원래 2003년 4월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당시 아시아 지역의 사스 유행 여파로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2003년 4월 1일 경기 연기를 결정하여 9월에 치러졌다.[5][6][7]
- '''이라크 전쟁''': 이라크-베트남 경기는 원래 2003년 4월에 열릴 예정이었으나, 이라크 전쟁의 여파로 이라크 축구 협회와 연락이 두절되고 대표팀의 해외 출국이 어려워지자 AFC가 연기를 결정하여 9월에 치러졌다.[8][9] AFC는 이라크와 베트남의 1차 예선 1차전을 2003년 9월 10일에, 2차전을 2003년 9월 17일에 열기로 결정했다.[10]
2. 4. 2차 예선
2차 예선에는 2차 예선에 직행한 12개 팀과 1차 예선에서 승리한 12개 팀, 총 24개 팀이 참가했다. 각 팀은 두 팀씩 짝을 지어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승리한 12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팀 1 | 합계 | 팀 2 | 1차전 | 2차전 |
---|---|---|---|---|
바레인 | 7 - 2 | 키르기스스탄 | 2 - 1 | 5 - 1 |
일본 | 8 - 0 | 미얀마 | 3 - 0 | 5 - 0 |
우즈베키스탄 | 2 - 9 | 이란 | 1 - 3 | 1 - 6 |
카타르 | 1 - 2 | 오만 | 1 - 0 | 0 - 2 (연장) |
인도네시아 | 2 - 5 | 레바논 | 1 - 0 | 1 - 5 |
쿠웨이트 | 3 - 2 | 팔레스타인 | 1 - 1 | 2 - 1 |
아랍에미리트 | 5 - 2 | 태국 | 4 - 1 | 1 - 1 |
중국 | 4 - 3 | 시리아 | 2 - 0 | 2 - 3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4 | 이라크 | 2 - 0 | 1 - 4 |
홍콩 | 0 - 3 | 대한민국 | 0 - 1 | 0 - 2 |
사우디아라비아 | 10 - 0 | 싱가포르 | 7 - 0 | 3 - 0 |
말레이시아 | 기권승 | 투르크메니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기권 (사스 우려) |
2. 5. 최종 예선
2차 예선에서 승리한 12개 팀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12개 팀은 4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어 홈 앤드 어웨이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다. 최종 예선은 2004년 3월 1일부터 5월 1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각 조에서 1위를 차지한 팀이 2004년 하계 올림픽 본선에 진출했다.=== A조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비고 |
---|---|---|---|---|---|---|---|---|---|---|
1 | 이라크 | 6 | 3 | 0 | 3 | 9 | 7 | +2 | 9 | 2004년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 |
2 | 오만 | 6 | 2 | 3 | 1 | 4 | 5 | -1 | 9 | |
3 | 쿠웨이트 | 6 | 2 | 2 | 2 | 4 | 3 | +1 | 8 | |
4 | 사우디아라비아 | 6 | 1 | 3 | 2 | 3 | 5 | -2 | 6 |
- 2004년 3월 3일: 이라크 4 - 0 오만
- 2004년 3월 3일: 쿠웨이트 0 - 0 사우디아라비아
- 2004년 3월 17일: 오만 1 - 0 쿠웨이트
- 2004년 3월 17일: 사우디아라비아 1 - 0 이라크
- 2004년 3월 24일: 이라크 2 - 1 쿠웨이트
- 2004년 3월 24일: 사우디아라비아 1 - 1 오만
- 2004년 4월 14일: 쿠웨이트 2 - 0 이라크
- 2004년 4월 14일: 오만 0 - 0 사우디아라비아
- 2004년 4월 28일: 오만 2 - 0 이라크
- 2004년 4월 28일: 사우디아라비아 0 - 1 쿠웨이트
- 2004년 5월 12일: 쿠웨이트 0 - 0 오만
- 2004년 5월 12일: 이라크 3 - 1 사우디아라비아
=== B조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골득실 | 승점 | 비고 |
---|---|---|---|---|---|---|---|---|---|---|
1 | 일본 | 6 | 4 | 1 | 1 | 11 | 2 | +9 | 13 | 2004년 하계 올림픽 본선 진출 |
2 | 바레인 | 6 | 3 | 2 | 1 | 9 | 7 | +2 | 11 | |
3 | 아랍에미리트 | 6 | 2 | 1 | 3 | 9 | 11 | -2 | 7 | |
4 | 레바논 | 6 | 0 | 2 | 4 | 9 | 18 | -9 | 2 |
- 2004년 3월 1일: 일본 0 - 0 바레인
- 2004년 3월 1일: 아랍에미리트 4 - 2 레바논
- 2004년 3월 3일: 레바논 0 - 4 일본
- 2004년 3월 3일: 바레인 0 - 3 아랍에미리트
- 2004년 3월 5일: 일본 2 - 0 아랍에미리트
- 2004년 3월 5일: 바레인 5 - 3 레바논
- 2004년 3월 14일: 레바논 2 - 2 아랍에미리트 (경기 장소: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2004년 3월 14일: 바레인 1 - 0 일본 (경기 장소: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 2004년 3월 16일: 아랍에미리트 0 - 2 바레인 (경기 장소: 국립 경기장)
- 2004년 3월 16일: 일본 2 - 1 레바논 (경기 장소: 국립 경기장)
- 2004년 3월 18일: 아랍에미리트 0 - 3 일본 (경기 장소: 국립 경기장)
- 2004년 3월 18일: 레바논 1 - 1 바레인 (경기 장소: 국립 니시가오카 축구장)
3. 여자
2004년 하계 올림픽 축구 여자 아시아 지역 예선은 2004년 4월 일본에서 개최되었다. 총 11개 팀이 참가하여 3개 조로 나뉘어 조별 리그를 치렀고, 각 조 1위 팀과 조 2위 팀 중 가장 성적이 좋은 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결선 토너먼트를 통해 중국과 일본이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3. 1. 진행 방식
11개 팀을 3개 조로 나누어 각 조별로 1번씩 리그전을 치른다. 각 조 1위 팀과 각 조 2위 팀 중 성적이 가장 좋은 팀이 토너먼트 방식의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한다. 경기는 모두 일본에서 개최되었다.3. 2. 조별 리그
'''A조'''순위 | 팀 | 경기 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3 | 3 | 0 | 0 | 22 | 0 | +22 | 9 |
2 | 중화 타이베이 | 3 | 2 | 0 | 1 | 8 | 6 | +2 | 6 |
3 | 홍콩 | 3 | 1 | 0 | 2 | 3 | 12 | -9 | 3 |
4 | 싱가포르 | 3 | 0 | 0 | 3 | 0 | 15 | -15 | 0 |
2004년 4월 18일 13: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5 - 0 중화 타이베이
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18PRKvsTPE.pdf 보고서]
2004년 4월 18일 15:45
싱가포르 0 - 2 홍콩
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18SINvsHKG.pdf 보고서]
2004년 4월 20일 15:45
중화 타이베이 5 - 0 싱가포르
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0TPEvsSIN.pdf 보고서]
2004년 4월 20일 18:30
홍콩 0 -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0HKGvsPRK.pdf 보고서]
2004년 4월 22일 15:45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8 - 0 싱가포르
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2PRKvsSIN.pdf 보고서]
2004년 4월 22일 19:00
홍콩 1 - 3 중화 타이베이
히로시마 빅 아치,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2HKGvsTPE.pdf 보고서]
'''B조'''
2004년 4월 18일 13:00
중국 11 - 0 미얀마
히로시마현립 종합운동공원 메인 스타디움,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18CHNvsMYA.pdf 레포트]
2004년 4월 18일 15:45
대한민국 7 - 0 괌
히로시마현립 종합운동공원 메인 스타디움,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18KORvsGUM.pdf 레포트]
2004년 4월 20일 15:45
미얀마 0 - 7 대한민국
히로시마현립 종합운동공원 메인 스타디움,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0MYAvsKOR.pdf 레포트]
2004년 4월 20일 18:30
괌 0 - 9 중국
히로시마현립 종합운동공원 메인 스타디움,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0GUMvsCHN.pdf 레포트]
2004년 4월 22일 15:45
괌 0 - 2 미얀마
히로시마현립 종합운동공원 메인 스타디움,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2GUMvsMYA.pdf 레포트]
2004년 4월 22일 19:00
중국 3 - 0 대한민국
히로시마현립 종합운동공원 메인 스타디움, 히로시마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2CHNvsKOR.pdf 레포트]
'''C조'''
2004년 4월 18일 12:15
일본 7 - 0 베트남
'''득점자''': 미야모토 토모미 3', 41', 오오타니 미오 7', 59', 마루야마 카리나 60', 야마모토 에미 85', 사와 호마레 90'
고마자와 육상 경기장, 도쿄
'''관중''': 6,513
'''심판''': 장동청 (중국)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18JPNvsVIE.pdf 보고서]
2004년 4월 20일 14:00
베트남 0 - 0 태국
고마자와 육상 경기장, 도쿄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0VIEvsTHA.pdf 보고서]
2004년 4월 22일 19:00
태국 0 - 6 일본
'''득점자''': 마루야마 카리나 11', 47', 안도 코즈에 32', 고바야시 야요이 51', 오오타니 미오 72', 야마모토 에미 90+2'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도쿄
'''관중''': 5,086
'''심판''': 임은주 (한국)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2THAvsJPN.pdf 보고서]
3. 3.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는 4강전, 3위 결정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구분 | 날짜 | 시간 | 경기장 | 팀 1 | 점수 | 팀 2 |
---|---|---|---|---|---|---|
4강전 | 2004년 4월 24일 | 19:20 |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0:3 | 일본 |
2004년 4월 24일 | 19:20 | 히로시마 빅 아치 | 중국 | 1:0 | 대한민국 | |
3위 결정전 | 2004년 4월 26일 | 15:45 | 히로시마 빅 아치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5:1 | 대한민국 |
결승전 | 2004년 4월 26일 | 18:30 | 히로시마 빅 아치 | 일본 | 0:1 | 중국 |
=== 경기 상세 ===
==== 4강: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 일본 ====
2004년 4월 24일 19시 20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에서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일본의 4강전 경기는 올림픽 본선 진출권이 걸린 중요한 경기였다. 일본 여자 축구 대표팀 역대 최다 관중인 31,324명이 경기장을 찾았다. 경기 결과, 아라카와 에리코(11분), 상대 자책골(45+1분), 오타니 미오(64분)의 득점으로 일본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3:0으로 꺾었다. 이 승리로 일본은 과거 13년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게 당했던 7연패를 끊고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1] 이 경기에서 일본의 사와 호마레는 무릎 부상에도 불구하고 출전했으며, 훗날 은퇴 기자회견에서 이 경기를 가장 힘들었던 경기로 회상했다.[2] 경기의 심판은 호주의 크리스티나 소코라이였다. ([https://web.archive.org/web/2004072816395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4PRKvsJPN.pdf 보고서])
==== 4강: 중국 대 대한민국 ====
2004년 4월 24일 19시 20분,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열린 중국과 대한민국의 4강전에서는 중국이 1:0으로 승리하며 결승에 진출했다.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4CHNvsKOR.pdf 보고서])
==== 3위 결정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 대한민국 ====
2004년 4월 26일 15시 45분,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열린 3위 결정전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대한민국을 5:1로 이겼다.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6PRKvsKOR.pdf 보고서])
==== 결승: 일본 대 중국 ====
2004년 4월 26일 18시 30분, 히로시마 빅 아치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일본과 중국이 맞붙었다. 57분, 리제가 페널티킥을 성공시키며 중국이 1:0으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다. 경기 관중은 2,407명이었으며, 심판은 대한민국의 임은주였다. ([https://web.archive.org/web/20040604064125/http://www.jfa.or.jp/record/Womenpdf/040426JPNvsCHN.pdf 보고서])
결선 토너먼트 결과, 중국과 일본이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참조
[1]
웹사이트
女子代表、北朝鮮下しアテネへ/五輪予選
http://athens2004.ni[...]
日刊スポーツ
2004-04-25
[2]
웹사이트
澤穂希が神頼みをした1試合。なでしこジャパン“以前”の分岐点
https://www.football[...]
2015-12-19
[3]
웹인용
アテネオリンピック2004 アジア地区予選 組合せについて(02/12/10)
http://www.jfa.or.jp[...]
2002-12-10
[4]
뉴스
한국축구, 五輪2예선 홍콩-스리랑카 승자와 대결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2-12-09
[5]
뉴스
Asian Soccer Postpones Olympic Qualifiers
https://www.michigan[...]
Huron Daily Tribune
2003-04-01
[6]
뉴스
아시아축구 올림픽 예선, 괴질로 차질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3-04-03
[7]
뉴스
<사스 여파로 아시아대회 연달아 취소>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3-04-08
[8]
뉴스
AFC, 이라크 올림픽축구 예선 연기 요청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3-03-29
[9]
뉴스
아테네올림픽 축구예선 이라크-베트남전 연기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3-04-02
[10]
뉴스
올림픽예선 이라크-베트남전 9월 개최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3-05-06
[11]
뉴스
이라크, 중립지대서 베트남과 올림픽축구예선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3-03-20
[12]
뉴스
말레이시아, 올림픽축구 최종예선 진출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3-05-13
[13]
뉴스
<축구> '김호곤호' 생존 경쟁 스타트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3-01-02
[14]
뉴스
한국축구 “이젠 아테네다”…5월 올림픽 지역예선
https://sports.news.[...]
국민일보
2003-01-02
[15]
뉴스
올림픽축구 2차예선 5경기, 사스로 무기 연기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3-04-17
[16]
뉴스
한국, 올림픽축구2차예선 10월 확정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3-04-29
[17]
뉴스
Asian Olympic qualifiers postponed due to SARS
https://www.rediff.c[...]
2003-04-28
[18]
뉴스
올림픽축구 최종예선-한국, 中.馬聯.이란과 격돌(종합)
https://v.daum.net/v[...]
연합뉴스
2003-10-19
[19]
뉴스
한국축구 올림픽행 ‘만만찮다’
https://www.khan.co.[...]
경향신문
2003-10-19
[20]
뉴스
올림픽 축구 최종예선 어떻게 치르나
https://v.daum.net/v[...]
일간스포츠
2003-10-07
[21]
뉴스
올림픽축구 최종예선, 中.馬聯.이란과 격돌
https://sports.news.[...]
연합뉴스
2003-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