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2010년 2월 13일부터 26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의 바이애슬론 경기이다. 남자 5개, 여자 5개 등 총 10개의 세부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37개국에서 22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노르웨이가 금메달 3개, 은메달 2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고, 독일, 러시아, 프랑스, 슬로바키아가 그 뒤를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여자 집단출발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여자 집단출발 경기에서 마그달레나 노이너가 금메달, 올가 자이체바가 은메달, 지모네 하우스발트가 동메달을 획득했지만, 테야 그레고린은 도핑으로 실격 처리되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남자 집단출발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남자 집단출발 경기는 마르탱 푸르카드(프랑스)가 금메달을, 파볼 후라이트(슬로바키아)가 은메달을, 크리스토프 주만(오스트리아)이 동메달을 획득했으나, 금메달리스트의 도핑으로 인해 순위가 변경된 경기이다. - 올림픽 바이애슬론 - 2002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2002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개인, 스프린트, 추적, 계주 경기로 진행되었으며, 노르웨이가 금메달 4개로 메달 순위 1위를, 올레 에이나르 비에른달렌은 4관왕을, 독일은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고, 총 34개국이 참가했다. - 올림픽 바이애슬론 - 196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1968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은 프랑스 그르노블에서 남자 20km 개인전과 4x7.5km 릴레이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개인전 금메달은 마그나르 솔베르그, 릴레이 금메달은 소련이 획득했고, 총 16개국이 참가했으며 캐나다, 동독, 서독, 체코슬로바키아가 처음으로 참가했다.
|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 대회 정보 | |
| 종목 | 바이애슬론 |
| 대회 | 2010년 동계 올림픽 |
![]() | |
| 개최지 | 휘슬러 |
| 경기장 | 휘슬러 올림픽 공원 |
| 기간 | 2010년 2월 13일 ~ 2월 26일 |
| 참가 선수 | 221명 |
| 참가국 | 37개국 |
| 이전 대회 | 2006 |
| 다음 대회 | 2014 |
| 세부 종목 | |
| 개인 | 남자 여자 |
| 스프린트 | 남자 여자 |
| 추적 | 남자 여자 |
| 매스 스타트 | 남자 여자 |
| 릴레이 | 남자 여자 |
2. 경기 종목
이번 올림픽에서는 10개의 세부 종목이 열린다.
| 남자 | 여자 |
|---|---|
| 4 x 7.5 km 계주 | 4 x 6 km 계주 |
| 10 km 스프린트 | 7.5 km 스프린트 |
| 12.5 km 추격 | 10 km 추격 |
| 15 km 매스 스타트 | 12.5 km 매스 스타트 |
| 20 km 개인 | 15 km 개인 |
2. 1. 남자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남자 종목에서는 20km 개인전, 10km 스프린트, 12.5km 추적, 15km 집단출발, 4 x 7.5km 계주 경기가 열렸다.20km 개인전에서는 에밀 헤일레 스벤센(노르웨이)이 48:22.5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올레 에이나르 비에른달렌(노르웨이)과 샤르헤이 노비카우(벨라루스)는 48:32.0으로 공동 은메달을 차지했다.
10km 스프린트에서는 뱅상 제(프랑스)가 24:07.8로 금메달, 에밀 헤일레 스벤센이 24:20.0으로 은메달, 야코브 파크(크로아티아)가 24:21.8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12.5km 추적 경기에서는 비에른 페리(스웨덴)가 33:38.4로 금메달을 차지했고, 크리스토프 주만(오스트리아)이 33:54.9로 은메달, 뱅상 제가 34:06.6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15km 집단출발에서는 예브게니 우스튜고프(러시아)가 35:35.7로 금메달, 마르탱 푸르카드(프랑스)가 35:46.2로 은메달, 파볼 후라이트(슬로바키아)가 35:52.3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4 x 7.5km 계주에서는 노르웨이(할바르 하네볼, 타르예이 뵈, 에밀 헤일레 스벤센, 올레 에이나르 비에른달렌)가 1:21:38.1의 기록으로 금메달을 획득했다. 오스트리아(시몬 에더, 다닐 메조티치, 도미니크 란더팅거, 크리스토프 주만)가 1:22:16.7로 은메달, 러시아(이반 체레조프, 안톤 시풀린, 막심 추도프, 예브게니 우스튜고프)가 1:22:16.9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2. 2. 여자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 여자부 경기에서는 15km 개인전, 7.5km 스프린트, 10km 추적, 12.5km 집단출발, 4 x 6km 계주 등 5개 세부 종목이 열렸다.| 종목 | 금 | 은 | 동 |
|---|---|---|---|
| 여자 개인전 | 토라 베르게르 (노르웨이) | 엘레나 흐루스탈레바 (카자흐스탄) | 다리야 돔라차바 (벨라루스) |
| 여자 스프린트 | 아나스타시야 쿠즈미나 (슬로바키아) | 마그달레나 노이너 (독일) | 마리 도랭 (프랑스) |
| 여자 추적 | 마그달레나 노이너 (독일) | 아나스타시야 쿠즈미나 (슬로바키아) | 마리로르 브루네 (프랑스) |
| 여자 집단출발 | 마그달레나 노이너 (독일) | 올가 자이체바 (러시아) | 지모네 하우스발트 (독일) |
| 여자 계주 | 러시아 (스베틀라나 슬렙초바, 안나 보갈리티토베츠, 올가 메드벳체바, 올가 자이체바) | 프랑스 (마리로르 브루네, 실비 베카르, 마리 도랭, 산드린 벨리) | 독일 (카티 빌헬름, 지모네 하우스발트, 마르티바 베크, 안드레아 헹켈) |
모든 시간은 태평양 표준시(UTC-8) 기준이다.
3. 경기 일정
일정 날짜 시작 종료 종목 2일차 2010년 2월 13일 토요일 13:00 14:10 여자 7.5km 스프린트 3일차 2010년 2월 14일 일요일 11:15 12:25 남자 10km 스프린트 5일차 2010년 2월 16일 화요일 10:30 11:10 여자 10km 추적 12:45 13:25 남자 12.5km 추적 7일차 2010년 2월 18일 목요일 10:00 11:40 여자 15km 개인전 13:00 14:35 남자 20km 개인전 10일차 2010년 2월 21일 일요일 10:45 11:25 남자 15km 집단출발 13:00 13:45 여자 12.5km 집단출발 12일차 2010년 2월 23일 화요일 11:30 12:40 여자 4 x 6km 계주 15일차 2010년 2월 26일 금요일 11:30 12:40 남자 4 x 7.5km 계주
4. 경기 결과
4. 1. 메달 집계
| 순위 | 국가/지역 |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gold; width:|wikitable sortable}}"|금메달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silver; width:}|wikitable sortable}}"|은메달 !scope="col" style="background-color: #c96; width:}|wikitable sortable}}"|동메달 !scope="col" style="width:}|wikitable sortable}};"|총 메달 |- | 1 ||align="left" | 노르웨이 || 3 || 2 || 0 || 5 |- | 2 ||align="left" | 독일 || 2 || 1 || 2 || 5 |- | 3 ||align="left" | 러시아 || 2 || 1 || 1 || 4 |- | 4 ||align="left" | 프랑스 || 1 || 2 || 3 || 6 |- | 5 ||align="left" | 슬로바키아 || 1 || 1 || 1 || 3 |- | 6 ||align="left" | 스웨덴 || 1 || 0 || 0 || 1 |- | 7 ||align="left" | 오스트리아 || 0 || 2 || 0 || 2 |- | 8 ||align="left" | 벨라루스 || 0 || 1 || 1 || 2 |- | 9 ||align="left" | 카자흐스탄 || 0 || 1 || 0 || 1 |- | 10 ||align="left" | 크로아티아 || 0 || 0 || 1 || 1 |} 4. 2. 남자세르게이 노비코프(벨라루스) | 48:32.0 | 2위 동점 | ||
|---|---|---|---|---|---|---|
| 남자 스프린트 | 뱅상 제이(프랑스) | 24:07.8 | 에밀 헤글레 스벤센(노르웨이) | 24:20.0 | 야코프 파크(크로아티아) | 24:21.8 |
| 남자 추적 | 비에른 페리(스웨덴) | 33:38.4 | 크리스토프 주만(오스트리아) | 33:54.9 | 뱅상 제이(프랑스) | 34:06.6 |
| 남자 매스 스타트 | 예브게니 우스티유고프(러시아) | 35:35.7 | 마르탱 푸르카드(프랑스) | 35:46.2 | 파볼 후라이트(슬로바키아) | 35:52.3 |
| 남자 계주 | 노르웨이노르게/Norgeno 할바르트 하네볼드 타르예이 뵈 에밀 헤글레 스벤센 올레 에이나르 비에른달렌 | 1:21:38.1 | 오스트리아외스터라이히/Österreichde 시몬 에데르 다니엘 메조티취 도미니크 란데르팅거 크리스토프 주만 | 1:22:16.7 | 러시아로시야/Россияru 이반 체레조프 안톤 시풀린 막심 추도프 예브게니 우스티유고프 | 1:22:16.9 |
4. 3. 여자
| 종목 | 금 | 은 | 동 | |||
|---|---|---|---|---|---|---|
| 개인 | 토라 베르거 (노르웨이) | 40:52.8 | 엘레나 흐루스타레바 (카자흐스탄) | 41:13.5 | 다리야 돔라체바 (벨라루스) | 41:21.0 |
| 스프린트 |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슬로바키아) | 19:55.6 | 마그달레나 노이너 (독일) | 19:57.1 | 마리 도린 아베르 (프랑스) | 20:06.5 |
| 추적 | 마그달레나 노이너 (독일) | 30:16.0 | 아나스타시아 쿠즈미나 (슬로바키아) | 30:28.3 | 마리-로르 브뤼네 (프랑스) | 30:44.3 |
| 단체 출발 | 마그달레나 노이너 (독일) | 35:19.6 | 올가 자이체바 (러시아) | 35:25.1 | 시모네 하우스발트 (독일) | 35:26.9 |
| 계주 | 스베틀라나 슬렙초바/Светлана Слепцоваru, 안나 보갈리-티토베츠/Анна Богалий-Титовецru, 올가 메드베드체바/Ольга Медведцеваru, 올가 자이체바/Ольга Зайцеваru (러시아) | 1:09:36.3 | 마리-로르 브뤼네, 실비 베카르, 마리 도린 아베르, 상드린 바일리 (프랑스) | 1:10:09.1 | 카티 빌헬름, 시모네 하우스발트, 마르티나 베크, 안드레아 헹켈 (독일) | 1:10:13.4 |
5. 참가 자격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에는 총 220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남자 113명, 여자 107명) 각 NOC는 최대 12명의 선수(남자 6명, 여자 6명)를 출전시킬 수 있으며, 종목당 최대 4명의 선수를 출전시킬 수 있었다.
각 세부종목별 쿼터는 다음과 같다.
추적 출전 자격은 스프린트 결과에 따라 결정되었다.
5. 1. 세부 종목별 참가 쿼터
참가 선수: 220명 (남자: 113명, 여자: 107명)이다.[2]각 국에서는 최대 12명의 선수(남녀 각각 6명)의 출전이 가능하고 세부종목당 최대 4명의 선수를 출전 시킬 수 있다.
각 세부종목별 쿼터[2]
- 개인전: 88명 (남자), 87명 (여자)
- 스프린트: 88명 (남자), 87명 (여자)
- 추적: 60명
- 집단출발: 30명
- 계주: 20팀 (80명)
추적 출전 자격은 스프린트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2]
5. 2. 참가 기준
모든 선수는 IBU에서 정한 3가지 기준 중 적어도 하나를 충족해야 했다. 선수들은 2010/2009 아니면 2009/2008 시즌의 유럽 선수권대회의 스프린트나 개인전 경기에서 최단시간 기록 3개의 평균이 상위 20%안에 들어야 했다. 아니면 2010년 혹은 2009년 주니어 선수권대회에서 상위 50%이내에 들어야 했다. 아니면 2008/2009 혹은 2009/2010 시즌에 열린 바이애슬론 월드컵이나 바이애슬론 세계 선수권 대회에 참가해야 했다.계주 팀의 모든 구성원은 위의 기준을 충족해야 했다.
또한, IOC의 인정을 받고 IBU의 회원인 NOC를 대표하는 선수만 대회에 참가할 수 있었다.
5. 3. 쿼터 배정
2010년 동계 올림픽 바이애슬론의 출전권 220장은 2008년과 2009년 세계 선수권 대회를 포함한 포인트를 합산해서 결정되었다.남자:
- 1~5위: 6장
- 6~20위: 5장
- 21~28위: 1장
여자:
- 1~5위: 6장
- 6~15위: 5장
- 16~20위: 4장
- 21~27위: 1장
6. 참가국
2010년 동계 올림픽 조직위원회(VANOC)의 최종 보고서에 따르면 37개국이 참가하였다.[1]
| 국가 | 남자 | 여자 | 총계 |
|---|---|---|---|
| 1 | 0 | 1 | |
| 6 | 0 | 6 | |
| 5 | 5 | 9 | |
| 0 | 1 | 1 | |
| 5 | 1 | 6 | |
| 4 | 4 | 8 | |
| 1 | 5 | 6 | |
| 1 | 1 | 2 | |
| 5 | 5 | 10 | |
| 1 | 0 | 1 | |
| 5 | 4 | 9 | |
| 2 | 2 | 4 | |
| 6 | 5 | 11 | |
| 6 | 6 | 12 | |
| 1 | 0 | 1 | |
| 1 | 1 | 2 | |
| 1 | 0 | 1 | |
| 5 | 5 | 10 | |
| 1 | 1 | 2 | |
| 5 | 4 | 9 | |
| 5 | 4 | 9 | |
| 0 | 1 | 1 | |
| 1 | 1 | 2 | |
| 6 | 5 | 11 | |
| 0 | 1 | 1 | |
| 2 | 5 | 7 | |
| 0 | 5 | 5 | |
| 5 | 6 | 11 | |
| 4 | 4 | 8 | |
| 1 | 1 | 2 | |
| 0 | 1 | 1 | |
| 1 | 0 | 1 | |
| 5 | 1 | 6 | |
| 5 | 5 | 10 | |
| 5 | 5 | 10 | |
| 5 | 6 | 11 | |
| 5 | 4 | 9 | |
| 총계: 37개 NOC | 112 | 105 | 217 |
핀란드는 남녀 모두 5장의 출전권을 얻었지만 남자 2명, 여자 2명만 출전시키기로 결정했다. 폴란드는 남자 5명을 확보했지만 2명만 출전시켰다. 슬로베니아는 각 성별로 5장의 출전권을 얻었지만, 남자와 여자 모두 4명만 출전시키기로 결정했다. 영국(여자), 벨기에(남자), 네덜란드(남자), 오스트리아(여자)는 남녀 중 한 성별에서 얻은 출전권 1장을 거부했다. 그린란드는 NOC가 없어서 남자부에서 그린란드가 얻은 출전권은 덴마크가 사용했다.
대한민국은 남자 이문수, 여자 문지희 선수가 출전하였다.
참조
[1]
간행물
Biathlon 2010 Winter Olympics Official report
http://www.la84found[...]
[2]
문서
추적 경기의 예선은 스프린트 경기결과에 기초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