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0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준결승과 결승으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준결승은 중화 타이베이에서 열렸으며, 대한민국이 1위를 차지하고 중화 타이베이가 2위를 차지하여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 대회는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일본, 중국,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가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개국이 참가한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한 국제 여자 축구 대회이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2008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8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한 국제 대회로, 2007년 7월 괌에서 예선을 거쳐 2008년 2월 중국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선에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했다. - 2010년 2월 - 2010년 AFC 챌린지컵
2010년 AFC 챌린지컵은 스리랑카에서 개최되어 북한이 투르크메니스탄을 꺾고 우승했으며, 인도, 타지키스탄 등 8개 팀이 참가했고 량용기가 득점왕과 최우수선수상을 수상했다. - 2010년 2월 - 2010년 동계 올림픽
2010년 동계 올림픽은 2010년 2월 12일부터 28일까지 캐나다 밴쿠버에서 개최되었으며, 82개국이 참가하여 7개 종목 15개 세부 종목에서 86개의 경기가 진행되었고, 캐나다가 금메달 14개로 종합 1위를 차지했다. - 2010년 일본 - 일본항공
일본항공은 1951년 설립된 일본의 대표적인 국적 항공사로, 경영 위기와 회사 정리법 신청 후 민영화되었으며, 현재는 원월드 회원사로서 최신 기종을 도입하여 국제선 및 국내선 네트워크를 운영하고 고객 편의성 증대에 힘쓰고 있다. - 2010년 일본 - 일본항공 (지주회사)
일본항공(JAL)은 항공 및 관련 사업을 영위하는 일본의 지주회사로, 2002년 통합 후 지주회사 체제를 구축했으나 2009년 경영난으로 회사정리법을 적용받았고, 구조조정 후 2012년 재상장되어 현재는 일본항공인터내셔널을 중심으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회생 과정에서의 인력 감축과 노조 갈등은 논란거리다.
2010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이름 | 2010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다른 이름 | 東アジア女子サッカー選手権2010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10) |
개최 기간 | 2009년 8월 22일 ~ 2009년 8월 30일 (예선) 2010년 2월 6일 ~ 2010년 2월 13일 (결승) |
참가국 수 | 7개국 |
대륙 | 1 |
경기장 | 본선 조후・도쿄 준결승 타이난 |
우승 횟수 | 2 |
총 경기 수 | 16 |
득점 총합 | 112 |
경기당 득점 | 3 |
최다 득점 선수 | 한돤 이와부치 마나 이장미 유영아 |
골 수 | 2 |
최우수 선수 | 사와 호마레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08 |
다음 대회 | 2013 |
2. 대회 진행 방식
2010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예선 성격의 준결승 대회와 본선인 결승 대회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준결승 대회는 2009년 8월 22일부터 8월 30일까지 중화 타이베이에서 5개 팀이 참가하여 열렸다. 당초 우승팀만 결승 대회에 진출할 예정이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불참으로 우승팀과 준우승팀이 모두 결승 대회 진출 자격을 얻었다.
결승 대회는 2010년 2월 6일부터 2월 13일까지 일본에서 개최되었으며, 자동 진출국 2팀과 준결승 대회를 통과한 2팀, 총 4개국이 참가하여 리그전 방식으로 우승팀을 결정했다.
2. 1. 준결승 대회
준결승 대회는 중화 타이베이에서 2009년 8월 22일부터 8월 30일까지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홍콩, 괌, 북마리아나 제도 총 5개국이 참가하여 리그전을 치렀다.원래 준결승 대회 1위 팀만 결승 대회에 진출할 예정이었으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승 대회 불참을 선언하면서 당해 대회에서는 1위 대한민국과 2위 중화 타이베이가 모두 결승 대회에 진출하게 되었다. 모든 경기는 타이난현(현재 타이난시)의 타이난현립 경기장에서 열렸다.
아래 표에서 배경색이 녹색인 팀은 결승 대회 진출팀을 나타낸다.
2. 2. 결승 대회
결선 대회는 2010년 2월 6일부터 2월 13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개최되었다. 원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자동 진출 자격으로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2010년 1월 대회 불참을 선언하여 준결승 대회 준우승팀인 중화 타이베이가 대신 참가하게 되었다. 일본, 중국,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총 4개국이 참가하여 리그전 방식으로 우승팀을 가렸다.
'''경기 결과'''
- 2010년 2월 6일 15:30 UTC+9
- 일본 2 – 0 중국
- 득점: 미야마 (19'), 킨가 (61')
- 경기장: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도쿄
- 관중: 7,459명
- 심판: 판니파르 캄넹 (태국)
- http://www.eaff.com/competitions/eafc2010/20100206_W1_JPNvsCHN_E.pdf 보고서
- ---
- 2010년 2월 7일 16:30 UTC+9
- 대한민국 4 – 0 중화 타이베이
- 득점: 전가을 (27'), 이장미 (28', 45+1'), 유영아 (74')
- 경기장: 올림픽 경기장, 도쿄
- 관중: 684명
- 심판: 왕지아 (중국)
- http://www.eaff.com/competitions/eafc2010/results/20100207_W2_KORvsTPE_E.pdf 보고서
- ---
- 2010년 2월 10일 16:30 UTC+9
- 중국 2 – 1 대한민국
- 득점: 마 샤오슈 (51'), 위안 판 (63') / 지소연 (85')
- 경기장: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도쿄
- 관중: 714명
- 심판: 판니파르 캄넹 (태국)
- http://www.eaff.com/competitions/eafc2010/results/20100210_W3_CHNvsKOR_E.pdf 보고서
- ---
- 2010년 2월 11일 15:15 UTC+9
- 일본 3 – 0 중화 타이베이
- 득점: 이와부치 (36', 59'), 다카세 (85')
- 경기장: 올림픽 경기장, 도쿄
- 관중: 3,774명
- 심판: 김숙희 (대한민국)
- http://www.eaff.com/competitions/eafc2010/results/20100211_W4_JPNvsTPE_E.pdf 보고서
- ---
- 2010년 2월 13일 13:00 UTC+9
- 중화 타이베이 0 – 3 중국
- 득점: 한 돤 (46', 60'), 팡 펑위에 (75')
- 경기장: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도쿄
- 관중: 728명
- 심판: 후카노 에츠코 (일본)
- http://www.eaff.com/competitions/eafc2010/results/20100213_W5_TPEvsCHN_E.pdf 보고서
- ---
- 2010년 2월 13일 15:35 UTC+9
- 일본 2 – 1 대한민국
- 득점: 오노 (7'), 야마구치 (17') / 유영아 (75')
- 경기장: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도쿄
- 관중: 3,132명
- 심판: 벤트라 디코스 (인도)
- http://www.eaff.com/competitions/eafc2010/results/20100213_W6_JPNvsKOR_E.pdf 보고서
3. 준결승 대회
2009년 8월 22일부터 30일까지 타이완의 타이난현(현재 타이난시)에서 준결승 대회가 열렸다. 이 대회에서 조 1위를 차지한 팀이 결선 대회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괌, 북마리아나 제도, 홍콩, 중화 타이베이를 상대로 4전 전승을 거두었으며, 특히 41득점을 기록하는 동안 단 한 골도 실점하지 않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조 1위로 결선 대회 진출을 확정지었다.
3. 1. 경기장
이 대회의 준결승 경기는 모두 중화 타이베이 타이난 현(현 타이난시)에 위치한 '''타이난 카운티 스타디움'''에서 열렸다.
3. 2. 대회 순위
3. 3. 경기 결과
준결승 경기는 2009년 8월 22일부터 30일까지 타이완 타이난현(현재 타이난시)에서 개최되었다.
'''주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승 대회 불참을 선언하면서 당해 준결승 대회에서는 우승국과 준우승국이 모두 결승 대회에 진출했다.
대한민국은 4전 전승, 41득점 무실점이라는 압도적인 성적으로 조 1위를 차지하며 결승 대회에 진출했다. 특히 북마리아나 제도를 상대로 19-0 대승을 거두는 등 막강한 공격력을 보여주었다.
3. 3. 1. 대한민국 경기 상세 결과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09년 8월 22일부터 30일까지 타이완 타이난현(현재 타이난시)에서 열린 2010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준결승에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압도적인 경기력을 선보이며 4전 전승, 무실점으로 조 1위를 차지해 결선 진출에 성공했다.준결승 조별 리그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1 | 대한민국 | 12 | 4 | 4 | 0 | 0 | 41 | 0 | +41 |
2 | 중화 타이베이 | 9 | 4 | 3 | 0 | 1 | 35 | 7 | +28 |
3 | 홍콩 | 6 | 4 | 2 | 0 | 2 | 12 | 15 | −3 |
4 | 괌 | 3 | 4 | 1 | 0 | 3 | 5 | 21 | −16 |
5 | 북마리아나 제도 | 0 | 4 | 0 | 0 | 4 | 1 | 51 | −50 |
경기 결과
날짜 (현지 시간) | 경기장 | 대진 | 스코어 | 대한민국 득점자 | 관중 | 심판 | 비고 |
---|---|---|---|---|---|---|---|
2009년 8월 24일 19:00 | 타이난현립 경기장, 타이난현 | 괌 vs 대한민국 | 0 - 9 | 전가을 (5, 9), 유영아 (8, 63), 권하늘 (11, 26, 30), 김수연 (29 PK), 조소현 (74') | 300명 | 시우 밍 와이 (홍콩) | [http://www.eaff.com/competitions/eafc2010semi/EWFC2010_ScoreSheet_4.pdf 보고서] |
2009년 8월 26일 19:00 | 타이난현립 경기장, 타이난현 | 대한민국 vs 북마리아나 제도 | 19 - 0 | 지소연 (2, 67, 70 PK, 81, 90), 최선진 (11), 임선주 (20), 이은미 (24, 30, 64), 홍경숙 (41), 박희영 (50, 59 PK), 곽지혜 (65, 71, 76), 조소현 (78), 이진화 (87, 88') | 500명 | 판니파르 캄느엉 (태국) | [http://www.eaff.com/competitions/eafc2010semi/EWFC2010_ScoreSheet_6.pdf 보고서] |
2009년 8월 28일 19:00 | 타이난현립 경기장, 타이난현 | 대한민국 vs 홍콩 | 7 - 0 | 유영아 (6), 김수연 (60, 65, 84, 90+ PK), 이장미 (66), 전가을 (88') | 300명 | 판니파르 캄느엉 (태국) | [http://www.eaff.com/competitions/eafc2010semi/EWFC2010_ScoreSheet_8.pdf 보고서] |
2009년 8월 30일 19:00 | 타이난현립 경기장, 타이난현 | 중화 타이베이 vs 대한민국 | 0 - 6 | 전가을 (11, 90+1), 유영아 (28), 권하늘 (39), 김수연 (65 PK), 지소연 (81 PK) | 3,000명 | 사토 나미 (일본) | [http://www.eaff.com/competitions/eafc2010semi/EWFC2010_ScoreSheet_10.pdf 보고서] |
3. 4. 수상 내역
일본 이와부치 마나대한민국 이장미
대한민국 유영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