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은 수단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의 두 번째 대회이다. 16개 팀이 참가했으며, 수단이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고, 나머지 15개 팀은 예선을 통해 선발되었다. 튀니지가 결승전에서 앙골라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으며, 3위는 수단, 4위는 알제리가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수단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5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5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수단에서 개최된 첫 대회로, 이집트, 수단, 에티오피아가 참가하여 이집트가 우승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으로 참가 자격을 박탈당했다.
수단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수단에서 개최된 197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수단이 가나를 꺾고 우승했으며, 코트디부아르의 로랑 포쿠가 득점왕, 가나의 이브라힘 선데이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고, 아랍 연합 공화국이 3위를 차지했다.
2011년 수단 -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 2011년 남수단 독립 국민투표는 수단 내전 종식의 일환으로 실시되어 남수단의 독립을 결정했으며, 압도적인 지지로 독립이 가결되어 2011년 7월 9일 남수단 공화국이 독립했다.
2011년 수단 - 2011년 아프리카의 뿔 가뭄 2011년 아프리카의 뿔 가뭄은 강우 부족, 곡물 가격 상승, 가축 손실, 알 샤바브의 반군 활동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한 심각한 가뭄으로, 소말리아 남부에 기근이 선포되고 수백만 명의 난민이 발생하는 등 심각한 인도주의적 위기를 초래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201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2014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은 자국 리그 선수들로 구성된 아프리카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여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된 대회로, 리비아가 가나를 꺾고 우승했으며 버나드 파커가 득점왕, 에지케 우조에니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201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2018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은 모로코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의 다섯 번째 대회이며, 모로코가 나이지리아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201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개요
대회 명칭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대회 연도
2011년
기타 명칭
بطولة أمم أفريقيا للمحليين 2011 (아랍어) 2011 CHAN (영어 약칭)
201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경기는 4개 도시, 5개 경기장에서 열렸다. 옴두르만에서는 알 메레이크 스타디움과 알힐랄 스타디움이 사용되었으며, 하르툼에서는 하르툼 스타디움, 와드 메다니에서는 와드 메다니 스타디움, 포트 수단에서는 포트 수단 스타디움이 사용되었다.
조 추첨은 2010년 11월 27일 토요일 수단하르툼에서 열렸다.[1] 16개 팀은 4개의 포트로 나뉘었다. 포트 1에는 상위 4개 시드 국가가 포함되었다. 수단은 개최국 자격으로, 콩고 민주 공화국은 전 대회 우승국 자격으로 시드를 받았다. 가나와 세네갈은 가장 강력한 기록을 보유하여 포트 1의 상위 시드를 채웠다. 추첨을 통해 이 두 국가 중 어느 국가가 B1을, 어느 국가가 D1을 받게 될지 결정되었다.[2]
나머지 12개 국가는 다음 기준에 따라 우선 순위 순으로 세 개의 포트로 분류되었다.
2009년 제1회 CHAN 결과
CAF 규정에 따른 지역 구분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5. 조별 리그
5. 1. A조
A조에서는 수단이 2승 1무로 1위를, 알제리가 1승 2무로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가봉은 1승 1무 1패, 우간다는 3패를 기록하며 탈락했다.
B조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3승으로 1위를, 니제르가 2승 1패로 2위를 기록하며 8강에 진출했다. 짐바브웨는 1승 2패, 가나는 3패로 탈락했다.
2011년 2월 5일, 와드마다니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가나를 2-1로 이겼고, 니제르는 짐바브웨를 1-0으로 이겼다. 2월 9일, 같은 장소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니제르를 2-0으로, 짐바브웨는 가나를 1-0으로 이겼다. 2월 13일, 남아프리카 공화국은 옴두르만의 알힐랄 경기장에서 짐바브웨를 2-1로 이겼고, 니제르는 와드마다니에서 가나를 1-0으로 이겼다.
2011년2월 6일옴두르만의 알 메레이크 스타디움에서 열린 콩고 민주 공화국과 카메룬의 경기에서는 카메룬이 모마소와 바바의 득점에 힘입어 2-0으로 승리하였다. 같은 날, 같은 경기장에서 열린 코트디부아르와 말리의 경기에서는 코트디부아르가 코네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었다.
2011년2월 10일에는 카메룬이 사공의 골로 말리를 1-0으로 꺾었고, 콩고 민주 공화국은 살라키아쿠와 칼루이투카의 연속골에 힘입어 망구아가 한 골을 만회한 코트디부아르를 2-1로 이겼다.
2011년2월 14일, 카메룬은 하르툼의 하르툼 스타디움에서 몽캄과 에카네의 골로 코트디부아르를 2-0으로 제압했다. 같은 날 옴두르만의 알 메레이크 스타디움에서는 콩고 민주 공화국과 말리가 카방구와 바가요코가 각각 한 골씩을 기록하며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5. 4. D조
201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D조에서는 튀니지, 앙골라, 세네갈, 르완다가 경기를 치렀다. 튀니지는 2승 1무로 조 1위를 차지했고, 앙골라는 1승 2무로 조 2위를 기록하여 8강에 진출했다. 세네갈은 1승 1무 1패, 르완다는 3패로 탈락했다.
* 세네갈/Équipe du Sénégal de football프랑스어 0 - 2 튀니지/équipe de Tunisie de football프랑스어 (포트수단 스타디움, 포트수단)
* 르완다/Équipe du Rwanda de football프랑스어 1 - 2 앙골라/Seleção Angolana de Futebolpt (알힐랄 스타디움, 옴두르만)
6. 결선 토너먼트
'''8강전'''
2011년 2월 18일, 하르툼 경기장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알제리의 경기에서는 알제리가 마이자의 페널티킥 골과 메트레프의 추가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알힐랄 경기장에서는 수단과 니제르가 1-1 무승부를 기록한 후, 승부차기에서 수단이 4-3으로 승리했다.[5]
2월 19일, 알 메레이크 경기장에서 열린 카메룬과 앙골라의 경기는 0-0 무승부 이후 승부차기에서 앙골라가 8-7로 승리했다. 같은 날 하르툼 경기장에서는 튀니지가 다우아디의 골로 콩고 민주 공화국을 1-0으로 꺾었다.
'''준결승전'''
2011년2월 22일에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알제리와 튀니지, 수단과 앙골라가 맞붙었다.[6] 알제리와 튀니지의 경기는 하르툼의 하르툼 스타디움에서, 수단과 앙골라의 경기는 옴두르만의 알 메레이크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6]
알제리와 튀니지의 경기에서는 튀니지의 가스다위가 전반 18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알제리의 자부가 후반 62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6] 연장전까지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한 양 팀은 승부차기에 돌입했고, 튀니지가 5-3으로 승리했다.[6]
수단과 앙골라의 경기에서는 수단의 사이프 엘딘 알리가 전반 45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앙골라의 러브가 후반 71분에 동점골을 기록, 연장전까지 1대 1 무승부를 기록하여 승부차기를 하였고 앙골라가 4대 2로 승리하였다.[6]
'''3·4위전'''
2011년2월 25일 15시 30분(현지 시각), 수단옴두르만의 알 메레이크 스타디움에서 알제리와 수단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무다테르 카리카가 37분에 골을 기록하여 수단이 1-0으로 승리하였다. 주심은 세이셸의 에디 메일렛이였다.
'''결승전'''
2011년2월 25일 옴두르만의 알 메레이크 경기장에서 열린 201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튀니지가 앙골라를 3 – 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트라오이가 전반 47분에 골을 기록했고, 다우아디가 후반 74분, 다라지가 후반 80분에 추가 득점을 하였다. 심판은 다니엘 베넷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맡았다. 이 경기는 튀니지의 첫번째 우승이었다.
6. 1. 8강전
2011년 2월 18일, 하르툼 경기장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알제리의 경기에서는 알제리가 마이자의 페널티킥 골과 메트레프의 추가골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같은 날 알힐랄 경기장에서는 수단과 니제르가 1-1 무승부를 기록한 후, 승부차기에서 수단이 4-3으로 승리했다.[5]
2월 19일, 알 메리크 경기장에서 열린 카메룬과 앙골라의 경기는 0-0 무승부 이후 승부차기에서 앙골라가 8-7로 승리했다. 같은 날 하르툼 경기장에서는 튀니지가 다우아디의 골로 콩고 민주 공화국을 1-0으로 꺾었다.
6. 2. 준결승전
2011년2월 22일에 열린 준결승전에서는 알제리와 튀니지, 수단과 앙골라가 맞붙었다.[6] 알제리와 튀니지의 경기는 하르툼의 하르툼 스타디움에서, 수단과 앙골라의 경기는 옴두르만의 알 메레이크 스타디움에서 진행되었다.[6]
알제리와 튀니지의 경기에서는 튀니지의 가스다위가 전반 18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알제리의 자부가 후반 62분에 동점골을 기록했다.[6] 연장전까지 1-1로 승부를 가리지 못한 양 팀은 승부차기에 돌입했고, 튀니지가 5-3으로 승리했다.[6]
수단과 앙골라의 경기에서는 수단의 사이프 엘딘 알리가 전반 45분에 선제골을 넣었으나, 앙골라의 러브가 후반 71분에 동점골을 기록, 연장전까지 1대 1 무승부를 기록하여 승부차기를 하였고 앙골라가 4대 2로 승리하였다.[6]
6. 3. 3·4위전
2011년2월 25일 15시 30분(현지 시각), 수단옴두르만의 알 메레이크 스타디움에서 알제리와 수단의 3·4위전 경기가 열렸다. 무다테르 카리카가 37분에 골을 기록하여 수단이 1-0으로 승리하였다. 주심은 세이셸의 에디 메일렛이였다.
6. 4. 결승전
2011년2월 25일 옴두르만의 알 메리크 경기장에서 열린 2011년 아프리카 네이션스 챔피언십 결승전에서 튀니지가 앙골라를 3 – 0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트라오이가 전반 47분에 골을 기록했고, 다우아디가 후반 74분, 다라지가 후반 80분에 추가 득점을 하였다. 심판은 다니엘 베넷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맡았다. 이 경기는 튀니지의 첫번째 우승이었다.
2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압델무메네 지아부(알제리), 러브(앙골라), 제리 넬슨 피티 주에(가봉), 베키 레오나드 샤방구(남아프리카 공화국), 우스마 다라기(튀니지)가 있다.
1골을 기록한 선수로는 아델 마이자, 호시네 메트레프(알제리), 칼리, 오소리오 카르발료(앙골라), 우스마일라 바바, 장 폴 에카네 응아, 조셉 쥘리앙 모마소, 아르노 몽캄 게캄, 제레미 사공(카메룬), 물로타 카방구, 디오코 칼루이투카, 마톤도 살라키아쿠(콩고 민주 공화국), 주마나 코네, 케세 장 폴 망구아(코트디부아르), 장 울리히 벰방고예, 요한 디데로 렝구알라마(가봉), 쿰손 다니엘 라르비(가나), 알루 바가요코(말리), 압델카데르 아다무 티에무, 투쿠르 감보, 시디베 이사 모디보(니제르), 장 밥티스트 무기라네자, 자크 투이셍게(르완다), 모하메드 니앙 디오프, 무스타파 카세(세네갈), 늘라카니포 얼레디 음크와나지(남아프리카 공화국), 바크리 알 마디나, 사이프 엘딘 알리 이드리 파라(수단), 칼레드 코르비, 유세프 므사크니, 메지 트라우이(튀니지), 주마 사담 이브라힘(우간다), 아치포드 구투, 노먼 마로토(짐바브웨)가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CHAN draw to be held on 27 of November 2010
http://www.cafonline[...]
CAF
2010-10-23
[2]
웹사이트
CAF - CAF Error Page
http://www.cafonline[...]
2017-07-11
[3]
간행물
Regulations of the African Nations Championship
http://www.cafonline[...] [4]
웹사이트
CHAN 2011 quarter finals in Khartoum, 3rd place same day as final
http://www.cafonline[...]
CAF
2011-02-13
[5]
문서
NB: On the official CAF Communiqué match (report) No. 26, the score of Penalty Kicks indicated is 3–2, all other sources indicate the score as 4–3.
[6]
문서
NB: On the official CAF Communiqué match (report) No. 30, the score of Penalty Kicks indicated is 3–5, all other sources indicate the score as 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