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가봉과 적도 기니가 공동 개최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28번째 대회이다. 잠비아가 결승전에서 코트디부아르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총 16개 팀이 참가했으며, 잠비아의 크리스토퍼 카통고가 최우수 선수로, 잠비아의 에마뉘엘 마유카가 득점왕으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봉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7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가봉에서 개최되어 16개국이 참가한 가운데 카메룬이 이집트를 꺾고 우승했으며, 주니오르 카바낭가가 득점왕, 크리스티앙 바소고그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 2012년 가봉 - 2012년 하계 올림픽 가봉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에 가봉은 육상, 복싱, 유도, 수영, 축구 종목에 25명의 선수단을 파견하여, 태권도 선수 앙토니 오바메가 은메달을 획득하며 가봉 역사상 첫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다.
  • 2012년 적도 기니 - 2012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12년 아프리카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적도 기니에서 개최되었으며, 적도 기니가 결승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 2012년 적도 기니 - 2012년 하계 올림픽 적도 기니 선수단
    2012년 하계 올림픽 적도 기니 선수단은 2012년 런던 하계 올림픽에 육상 선수 2명이 출전했으나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대회 정보
대회 이름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연도2012
다른 이름코파 아프리카나 데 나시오네스 2012
캄페오나투 아프리카누 다스 나소에스 드 2012
쿠프 다프리크 데 나시옹 2012
AFCON 2012
CAN 2012
2012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로고
개최국적도 기니
가봉
기간2012년 1월 21일 – 2012년 2월 12일
참가 팀 수16
경기장 수4
도시 수4
우승팀잠비아
우승 횟수1
준우승팀코트디부아르
3위팀말리
4위팀가나
총 경기 수32
총 득점 수76
총 관중 수456332
득점왕마누슈 (3골)
피에르에메리크 오바메양 (3골)
디디에 드로그바 (3골)
셰이크 디아바테 (3골)
후신 카르자 (3골)
크리스토퍼 카통고 (3골)
에마누엘 마유카 (3골)
최우수 선수크리스토퍼 카통고
이전 대회2010
다음 대회2013

2. 개최국 선정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은 2006년 9월 4일 나이지리아를 제외하고 2010년 앙골라, 2012년 적도 기니/가봉(공동 개최), 2013년 리비아 순으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대회를 배정하는 타협안을 승인했다.

2012년 대회는 대회 개최 순환 및 첫 개최 기회 제공을 위해 가봉과 적도 기니에 공동 개최로 배정되었다. 나이지리아는 예비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나, 기존 개최국들이 모두 CAF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여 실제 개최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입찰 국가는 다음과 같았다.


  • 앙골라 ''(2010년 개최국으로 선정)''
  • '''가봉 / 적도 기니 (2012년 개최국으로 선정)'''
  • 리비아 ''(2013년 개최국으로 선정)''
  • 나이지리아 ''(2010, 2012 & 2013 토너먼트 예비 개최국으로 선정)''


입찰이 거부된 국가는 다음과 같다.

  • 베냉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보츠와나
  • 모잠비크
  • 나미비아
  • 세네갈
  • 짐바브웨

2. 1. 2010~2013년 개최국 선정

2010년부터 2013년까지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국은 다음과 같이 결정되었다.

연도개최국
2010년
2012년-
2013년(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인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변경)
예비 개최국



아프리카 축구 연맹(CAF)은 2006년 9월 4일 나이지리아를 제외하고, 2010년 앙골라, 2012년 적도 기니/가봉(공동 개최), 2013년 리비아 순으로 대회를 배정했다. 2014년 대회는 2013년으로 변경되어 FIFA 월드컵과 같은 해에 열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홀수 해에 개최하게 되었다.

가봉과 적도 기니는 대회 개최 순환 및 첫 개최 기회 제공을 위해 2012년 대회 공동 개최국으로 선정되었다. 나이지리아는 2010년, 2012년, 2013년 대회의 예비 개최국이었으나, 개최국들이 모두 아프리카 축구 연맹의 요구 조건을 충족하여 예비 개최국이 대회를 개최할 필요는 없었다.

2. 2. 리비아 내전으로 인한 개최국 변경

2011년 리비아 내전으로 2013년 개최국이 남아프리카 공화국으로 변경되었다.

3. 경기장

도시경기장수용인원
리브르빌스타드 당공제40,000
프랑스빌스타드 드 프랑스빌35,000
바타에스타디오 데 바타37,500
말라보누에보 에스타디오 데 말라보15,250



개막전, 준결승 1경기, 3위 결정전은 적도 기니에서, 다른 준결승과 결승전은 가봉에서 열렸다.[11]

4. 예선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10년 9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진행되었다. 개최국인 가봉적도 기니를 제외한 44개 팀이 참가하여 11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33] 당초 각 조 1위 팀과 조 2위 팀 중 상위 3팀, 총 14팀이 본선에 진출할 예정이었다.

토고스포츠 중재 재판소에 제기한 징계 취소 소송에서 승소하면서 예선 K조에 편성되었고, K조는 5개 팀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K조 2위 팀은 자동 진출하고, 나머지 조 2위 팀 중 상위 2팀이 추가 진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6]

모리타니의 기권으로 1개 조는 3개 팀으로 축소되었다. 예선 결과, 각 조 1위 팀과 K조 2위 팀, 그리고 나머지 조 2위 중 상위 2팀을 포함한 14개 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나이지리아2010년 FIFA 월드컵에서의 부진한 성적으로 인해 굿럭 조나단 대통령으로부터 2년간 국제 대회 출전 금지 징계를 받았으나,[9] FIFA의 제재 위협으로 철회되었다.[10] 나이지리아는 예선에 참가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참가국


참가국예선[25]출전 횟수
적도 기니개최국첫 출전
가봉개최국2회 연속 5회
말리A조 1위3회 연속 7회
기니B조 1위2회 만에 10회
잠비아C조 1위4회 연속 15회
리비아C조 2위3회 만에 3회
모로코D조 1위2회 만에 14회
세네갈E조 1위2회 만에 12회
부르키나파소F조 1위2회 연속 8회
니제르G조 1위첫 출전
코트디부아르H조 1위4회 연속 19회
가나I조 1위4회 연속 18회
수단I조 2위2회 만에 8회
앙골라J조 1위4회 연속 6회
보츠와나K조 1위첫 출전
튀니지K조 2위10회 연속 15회


4. 1. 예선 진행 방식

개최국인 가봉적도 기니를 제외한 51개 팀[33] 중에서 44개 팀이 참가하여 4개 팀씩 11개 조로 나뉘어 예선을 치렀다. 각 조 1위 팀과 각 조 2위 팀 중 전적을 비교하여 최상위 3팀이 본선에 진출할 예정이었다.

스포츠 중재 재판소의 결정으로 징계가 취소된 토고가 예선 K조에 편성되면서, K조는 5개 팀으로 구성되었다. K조의 2위는 최종 전적에 관계 없이 본선에 직행하고, 나머지 10개 조 중에서 조 2위 팀 중 최상위 2개 팀이 추가로 본선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예선은 4개 팀으로 구성된 10개 조, 모리타니의 기권으로 3개 팀으로 구성된 1개 조, 5개 팀으로 구성된 1개 조로 진행되었다. 각 조 1위 팀과 5개 팀으로 구성된 조의 2위 팀, 그리고 나머지 조 2위 팀 중 성적이 좋은 2팀이 본선에 진출했다.

2010년 FIFA 월드컵에서 나이지리아가 탈락한 후, 굿럭 조나단 나이지리아 대통령은 부진한 경기력에 대한 책임을 물어 2년간 국제 대회 출전 금지 징계를 내렸다.[9] 그러나 나이지리아 정부는 FIFA의 제재 위협에 징계를 철회했고,[10] 나이지리아는 예선에 참가했지만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4. 2. 본선 진출팀



다음과 같이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가봉적도 기니는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자동 진출하였고, 나머지 14개 팀은 예선을 통과하여 본선에 진출하였다.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한 적도 기니와 예선 K조에서 1위를 한 보츠와나, 예선 G조에서 1위를 한 니제르가 첫 출전하였다.

국가본선 자격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최고 성적
가봉개최국 자동 진출4회 (1994, 1996, 2000, 2010)8강 (1996)
적도 기니개최국 자동 진출첫 출전없음
말리A조 1위6회 (1972, 1994, 2002, 2004, 2008, 2010)준우승 (1972)
기니B조 1위10회 (1970, 1974, 1976, 1980, 1994, 1998, 2004, 2006, 2008)준우승 (1976)
잠비아C조 1위14회 (1974, 1978, 1982, 1986,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준우승 (1974, 1994)
리비아C조 2위2회 (1982, 2006)준우승 (1982)
모로코D조 1위13회 (1972, 1976, 1978, 1980, 1986, 1988, 1992,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우승 (1976)
세네갈E조 1위11회 (1965, 1968, 1986, 1990, 1992, 1994, 2000, 2002, 2004, 2006, 2008)준우승 (2002)
부르키나파소F조 1위7회 (1978, 1996, 1998, 2000, 2002, 2004, 2010)4위 (1998)
니제르G조 1위첫 출전없음
코트디부아르H조 1위18회 (1965, 1968, 1970, 1974, 1980, 1984, 1986, 1988, 1990,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우승 (1992)
가나I조 1위17회 (1963, 1965, 1968, 1970, 1978, 1980, 1982, 1984, 199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6, 2008, 2010)우승 (1963, 1965, 1978, 1982)
수단I조 2위7회 (1957, 1959, 1963, 1970, 1972, 1976, 2008)우승 (1970)
앙골라J조 1위5회 (1996, 1998, 2006, 2008, 2010)8강 (2008, 2010)
보츠와나K조 1위첫 출전없음
튀니지K조 2위14회 (1962, 1963, 1965, 1978, 1982, 1994, 1996, 1998, 2000, 2002, 2004, 2006, 2008, 2010)우승 (2004)



; 참고


  • 나미비아 축구 협회는 에르브 사비에르 젱그가 부르키나파소의 선수로 나미비아와의 경기에 출전한 것에 대해 부르키나파소 국가대표팀 자격 문제로 이의를 제기했다.[34]


국가예선 통과 자격예선 통과 날짜본선 진출 횟수역대 최고 성적지역 연맹FIFA 랭킹[25]대륙 랭킹[25]
앙골라J조 우승2011년 10월 8일6회8강 (2008년, 2010년)코사파8519
보츠와나K조 우승2011년 3월 26일1회없음코사파9421
부르키나파소F조 우승2011년 9월 3일8회4위 (1998년)WAFU6614
코트디부아르H조 우승2011년 6월 5일19회우승 (1992년)WAFU181
적도 기니공동 개최국2007년 7월 29일1회없음UNIFFAC15141
가봉공동 개최국2007년 7월 29일5회8강 (1996년)UNIFFAC9120
가나I조 우승2011년 10월 8일18회우승 (1963년, 1965년, 1978년, 1982년)WAFU262
기니B조 우승2011년 10월 8일10회준우승 (1976년)WAFU7917
리비아조 2위 상위 두 팀2011년 10월 8일3회준우승 (1982년)UNAF6313
말리A조 우승2011년 10월 8일7회준우승 (1972년)WAFU6915
모로코D조 우승2011년 10월 9일14회우승 (1976년)UNAF6112
니제르G조 우승2011년 10월 8일1회없음WAFU9822
세네갈E조 우승2011년 9월 3일12회준우승 (2002년)WAFU435
수단조 2위 상위 두 팀2011년 10월 9일8회우승 (1970년)CECAFA12030
튀니지K조 준우승2011년 10월 8일15회우승 (2004년)UNAF5910
잠비아C조 우승2011년 10월 8일15회준우승 (1974년, 1994년)코사파7116



:

1 2012년 1월 18일 발표된 FIFA 랭킹 기준.

5. 시드 배정 및 조 추첨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조 추첨은 2011년 10월 29일 적도 기니 말라보에서 진행되었다.[26] 공동 개최국인 적도 기니가봉은 자동으로 최상위 시드(포트 1)를 배정받았으며, 적도 기니는 A조, 가봉은 C조에 편성되었다. 나머지 14개 팀은 지난 3개 대회(2006년, 2008년, 2010년 대회) 성적에 따라 점수를 부여받고, 점수에 따라 4개의 포트로 나뉘었다.

각 팀의 대회 선수 명단은 23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명단에 포함된 선수만 대회에 참가할 자격이 있었다. 각 참가 협회는 2012년 1월 11일 자정(CET)까지 선수 명단을 제출해야 했다. 심각한 부상을 입은 선수의 교체는 해당 팀의 대회 첫 경기 24시간 전까지 허용되었다.[16]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배정된 심판진은 다음과 같다.[15]

주심부심


5. 1. 시드 배정 기준

시드는 공동 개최국인 적도 기니가봉을 최상위 시드에 놓고, 나머지 팀을 지난 3개 대회의 전적을 근거로 점수를 부여해 배정했다. 그 결과 본선에 진출한 적이 없었던 니제르보츠와나는 자동적으로 최하위 시드를 배정받았다.

시드 점수 부여 기준은 다음과 같다.

전적점수
우승7
준우승5
준결승에서 탈락3
준준결승에서 탈락2
조별 라운드에서 탈락1
지역 예선 탈락 / 불참0



2010년 대회 전적에는 3배, 2008년 대회 전적에는 2배의 가중치를 적용한다. 2006년 대회 전적은 그대로 적용한다.

이 기준에 근거한 시드 배정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시드2시드3시드4시드
#'10'08'06총점#'10'08'06총점#'10'08'06총점#'10'08'06총점
-style="text-align:left;"|개최국 (A조 배정)3style="text-align:left;"|QFQF1R117style="text-align:left;"|1R1R511style="text-align:left;"|1R2
-style="text-align:left;"|개최국 (C조 배정)4style="text-align:left;"|QF1R1R97style="text-align:left;"|1RSF512style="text-align:left;"|1R1
1style="text-align:left;"|2위SF1R224style="text-align:left;"|1RQFQF99style="text-align:left;"|1R1R313style="text-align:left;"|0
2style="text-align:left;"|QFSF2위176style="text-align:left;"|QFQF69style="text-align:left;"|1R313style="text-align:left;"|0


5. 2. 조 추첨 결과

조 추첨은 2011년 10월 29일 적도 기니 말라보에서 진행되었다.[26] 조 추첨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 추첨에서의 포트 배정은 최근 3번의 대회 성적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27]


  • 개최국 2팀은 자동으로 포트 1이 된다. 또한 적도 기니는 A조, 가봉은 C조로 결정되었다.
  • 나머지 14팀은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점수가 부여되며, 점수가 높은 팀부터 순서대로 상위 2팀을 포트 1, 나머지 팀을 상위부터 4팀씩 포트 2, 포트 3, 포트 4에 배정한다.
  • * 우승 시 7점, 준우승 시 5점, 4강 시 3점, 8강 시 2점, 조별 리그 탈락 시 1점. 본선에 진출하지 못한 팀은 0점.
  • * 위의 점수를 2006년 대회:2008년 대회:2010년 대회 = 1:2:3의 비율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합산한다.



6. 조별 리그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조별 리그는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는 풀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상위 2개 팀이 8강에 진출했다.[23] A조와 B조는 적도 기니에서, C조와 D조는 가봉에서 개최되었다.[17]

조별 리그에서 두 팀 이상의 승점이 같을 경우, 다음 기준에 따라 순위가 결정되었다:[16]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얻은 승점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득실차

# 해당 팀 간의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모든 조별 경기에서의 득실차

# 모든 조별 경기에서 넣은 골 수

# 옐로 카드와 레드 카드의 수를 고려한 페어 플레이 점수 시스템

# 조직 위원회의 추첨

모든 경기는 서아프리카 표준시(UTC+1)를 기준으로 진행되었으며, 조별 리그 기간 동안 득점 없는 무승부 경기는 없었다.

6. 1. A조

A조와 B조는 적도 기니에서, C조와 D조는 가봉에서 경기를 치렀다.[24]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1)을 따른다.


조별 리그 규칙
각 조 1, 2위 팀이 8강에 진출하게 된다.
각 조 3, 4위 팀은 탈락한다.



경기수득점실점골득실승점
Zambia|잠비아영어321053+27
Equatorial Guinea|적도 기니영어320132+16
Libya|리비아영어31114404
Senegal|세네갈영어300336-30


  • ---


경기 결과
Equatorial Guinea|적도 기니영어 1 – 0 Libya|리비아영어 (에스타디오 데 바타, 바타)
(2012년 1월 21일 19:30)
득점: 발보아
Senegal|세네갈영어 1 – 2 Zambia|잠비아영어 (에스타디오 데 바타, 바타)
(2012년 1월 21일 22:00)
득점: 은도예 / 마유카 , 카라바
Libya|리비아영어 2 – 2 Zambia|잠비아영어 (에스타디오 데 바타, 바타)
(2012년 1월 25일 18:15)
득점: 사드 , / 마유카 , 카통고
Equatorial Guinea|적도 기니영어 2 – 1 Senegal|세네갈영어 (에스타디오 데 바타, 바타)
(2012년 1월 25일 21:15)
득점: 란디 , 킬리 / 소우
Equatorial Guinea|적도 기니영어 0 – 1 Zambia|잠비아영어 (누에보 에스타디오 데 말라보, 말라보)
(2012년 1월 29일 19:00)
득점: 카통고
Libya|리비아영어 2 – 1 Senegal|세네갈영어 (에스타디오 데 바타, 바타)
(2012년 1월 29일 19:00)
득점: 엘부사이피 , / D. 은디아예


6. 2. B조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B조의 경기는 적도 기니에서 개최되었다. 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UTC+1)을 기준으로 진행되었다.[24]

경기수득점실점골득실승점
코트디부아르330050+59
수단31114404
앙골라311145-14
부르키나파소300326-40



조별 리그 규칙
각 조 1, 2위 팀이 8강에 진출한다.
각 조 3, 4위 팀은 탈락한다.



; 경기 결과

6. 3. C조

C조의 경기는 가봉에서 개최되었다.[24]

  •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1)을 따른다.


조별 리그 규칙
각 조 1, 2위 팀이 8강에 진출
각 조 3, 4위 팀은 탈락



경기수득점실점골득실승점
가봉330062+49
튀니지320143+16
모로코310245-13
니제르300315-40




6. 4. D조

D조의 경기는 가봉에서 진행되었다.[24] 모든 경기는 현지 시간(UTC+1)을 기준으로 한다.[24]

경기수득점실점골득실승점
가나321041+37
말리32013306
기니311173+44
보츠와나300329-70

7. 결선 토너먼트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필요할 경우 승자를 결정하기 위해 연장전과 승부차기가 사용되었다. 16개 팀을 4팀씩 4개 조로 나누어 각 조에서 1차례씩의 풀 리그전을 실시했다. 각 조 상위 2개 팀, 총 8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의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23]

A조와 B조는 적도 기니, C조와 D조는 가봉에서 조별 리그 경기가 개최되었다.[24]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선 토너먼트 경기 결과
경기날짜 (현지 시간)팀 1결과팀 2경기장
8강전2012년 2월 4일잠비아3 - 0수단바타, 에스타디오 데 바타
8강전2012년 2월 4일코트디부아르3 - 0적도 기니말라보, 누에보 에스타디오 데 말라보
8강전2012년 2월 5일가봉1 (4) - 1 (5)말리리브르빌, 스타드 당공제
8강전2012년 2월 5일가나2 - 1튀니지프랑스빌, 스타드 드 프랑스빌
4강전2012년 2월 8일잠비아1 - 0가나바타, 에스타디오 데 바타
4강전2012년 2월 8일말리0 - 1코트디부아르리브르빌, 스타드 당공제
3·4위전2012년 2월 11일가나0 - 2말리말라보, 누에보 에스타디오 데 말라보
결승전2012년 2월 12일잠비아0 (8) - 0 (7)코트디부아르리브르빌, 스타드 당공제


7. 1. 8강전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연장전과 승부차기를 통해 승자를 결정했다.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풀 리그를 진행했고, 각 조 상위 2개 팀(총 8개 팀)이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23] 조별 리그 경기는 A조와 B조는 적도 기니, C조와 D조는 가봉에서 개최되었다.[24]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1)을 따른다. 괄호 안의 숫자는 승부차기 득점을 의미한다.

경기 결과
날짜 (현지 시간)경기결과경기장비고
2012년 2월 4일 17:003 – 0바타, 에스타디오 데 바타순주
카통고
차망가
2012년 2월 4일 20:003 – 0말라보, 누에보 에스타디오 데 말라보드로그바
투레
2012년 2월 5일 17:001 – 1
(승부차기 4-5)
리브르빌, 스타드 당공제물룽기
디아바테
승부차기:
포코
음바낭고예
물룽기
오바메양
망가
디아바테
야타바레
칸테
B. 트라오레
S. 케이타
2012년 2월 5일 20:002 – 1
(연장전)
프랑스빌, 스타드 드 프랑스빌멘사
A. 아유
헬리파


7. 2. 준결승전

결선 토너먼트에서는 필요한 경우 승자를 결정하기 위해 연장전과 승부차기가 사용되었다.

일시장소팀 1결과팀 2득점
2012년 2월 8일 17:00바타, 에스타디오 데 바타1 – 0마유카
2012년 2월 8일 20:00리브르빌, 스타드 당공제0 – 1제르비뉴


7. 3. 3·4위전

2012년 2월 11일 말라보의 누에보 에스타디오 데 말라보에서 열린 3·4위전에서 말리가나를 상대로 2:0 승리를 거두었다. 말리의 디아바테는 전반 23분과 후반 80분에 득점을 기록했다.

7. 4. 결승전

2012년 2월 12일 20시 30분(UTC+1), 리브르빌의 스타드 당공제에서 잠비아코트디부아르의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결승전이 열렸다.[32] 원래 경기는 20:00에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여러 사정으로 인해 30분 늦춰졌다.[32]

양 팀은 연장전까지 0 – 0으로 득점 없이 비겼고, 결국 승부차기에서 잠비아가 8 – 7로 승리하며 우승을 차지했다.[23]

잠비아코트디부아르
0 – 0
승부차기
C. 카통고
마유카
찬사
F. 카통고
음위네
싱칼라
룽구
칼라바
순주
티오테
보니
밤바
그라델
드로그바
티에네
야 코난
K. 투레
제르비뉴
8 – 7



잠비아와 코트디부아르의 결승전 경기 모습

8. 우승 팀



'''잠비아'''

'''첫 번째 우승'''

9. 최종 순위

순위경기수득실차승점
1잠비아642093+614
2코트디부아르651090+916
3말리631265+110
4가나631265+110
5가봉431073+410
6튀니지42025506
7적도 기니420235-26
8수단411247-34
9기니311173+44
10리비아31114404
11앙골라311145-14
12모로코310245-13
13세네갈300336-30
14부르키나파소300326-40
15니제르300315-40
16보츠와나300329-70


  • 우승에서 4위까지는 준결승, 3, 4위전 및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20]
  •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 FIFA의 규정에 따라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무승부로 기재한다.[20]

10. 수상 내역

수상자비고
최우수 선수 크리스토퍼 카통고
득점왕 에마뉘엘 마유카3골
페어 플레이 선수상 장자크 고소
페어 플레이상 코트디부아르


10. 1. 최우수 선수

크리스토퍼 카통고가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10. 2. 득점왕

에마누엘 마유카가 3골로 득점왕을 차지했다.[18]

10. 3. 페어플레이 선수

장자크 고소[18]

10. 4. 페어플레이상

페어플레이상은 코트디부아르가 수상했다.[18]

11. 베스트 11

스토피라 선주
존 멘사
아다마 탐부라엠마누엘 마유카
야야 투레
제르비뉴
세이두 케이타크리스토퍼 카통고
디디에 드로그바



'''후보'''

11. 1. 골키퍼

케네디 므위니[19]

11. 2. 수비수



스토피라 선주

존 멘사

아다마 탐부라

11. 3. 미드필더

엠마누엘 마유카

야야 투레

제르비뉴

세이두 케이타[19]

11. 4. 공격수

12. 논란

(이전 출력이 비어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요약이 제공되면 해당 내용을 바탕으로 위키텍스트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13. 마스코트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마스코트는 2011년 9월 16일 가봉 리브르빌에서 열린 행사에서 공개되었다. '가구이(Gaguie)'라는 이름의 이 마스코트는 가봉과 적도 기니의 국가대표팀 색상을 착용한 고릴라이다.[21]

14. 공인구

아디다스에서 제작한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공식 축구공은 ''코모에콰''였다. 이 이름은 개최국을 관통하는 코모 강과 아프리카 전역을 지나 개최국들을 잇는 적도에서 영감을 받았다.[22]

참조

[1] 웹사이트 The Arab Spring, Libya and the African Cup of Nations: The effect of revolution has been to inspire, unite and embolden http://www.sportingi[...] 2012-01-16
[2] 웹사이트 Zambia win dramatic shoot-out https://www.bbc.co.u[...] 2012-02-12
[3] 웹사이트 Zambia Takes a Modest and Emotional Path to Victory https://www.nytimes.[...] 2012-02-13
[4] 뉴스 Zambia coach dedicates Africa Cup of Nations win to crash dead https://www.bbc.com/[...] 2002-02-13
[5] 뉴스 Africa Cup of Nations Cup to move to odd-numbered years http://news.bbc.co.u[...] BBC Sport 2010-05-16
[6] 뉴스 African International Competitions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7] 뉴스 Togo officially disqualified from Africa Cup of Nations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0-01-11
[8] 뉴스 Togo's African Cup ban is lifted http://news.bbc.co.u[...]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2010-05-14
[9] 뉴스 Nigeria's President Suspends Soccer Team https://www.cbc.ca/s[...] Canadian Broadcasting Corporation 2010-06-30
[10] 뉴스 Nigeria backs down on soccer ban http://soccernet.esp[...] 2010-07-06
[11] 뉴스 Gabon : Libreville et Malabo s'accordent pour la CAN 2012 http://www.gaboneco.[...] 2010-01-05
[12] 뉴스 Official Draw for the Orange CAN 2012 fixed for October 29, 2011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1-06-26
[13] 뉴스 2012 Africa Cup of Nations draw conducted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1-10-29
[14] 뉴스 Orange CAN 2012 Official Draw 29 Oct 2011 – Procedures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1-10-12
[15] 웹사이트 Referees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16] 웹사이트 Regulations of the Orange Africa Cup of Nations Gabon-Equatorial Guinea 2012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17] 웹사이트 Fixtures of the 28th Orange -Africa Cup of Nations, CAN 2012 Equatorial Guinea –Gabon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1-10-29
[18] 웹사이트 Orange CAN 2012 Awards Orange CAN 2012 Awards http://www.cafonline[...] cafonline.com 2012-02-12
[19] 웹사이트 Orange CAN 2012 Best XI http://www.cafonline[...] cafonline.com 2012-02-12
[20] 웹사이트 AFC Competition Operations Manual (Edition 2023) https://assets.the-a[...] Asian Football Confederation 2024-01-25
[21] 뉴스 Orange CAN 2012 mascot Gaguie unveiled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1-09-16
[22] 뉴스 CAF and Adidas present the official match ball for the African Cup of Nations http://www.cafonline[...] Confederation of African Football 2011-01-03
[23] 문서 大会規定 http://www.cafonline[...]
[24] 웹사이트 Results & standings- Orange Africa Cup of Nations 2012 http://www.cafonline[...] 아프리카サッカー連盟 2011-11-03
[25] 웹사이트 Qualifiers -Orange Africa Cup of Nations 2012 http://www.cafonline[...] 아프리카サッカー連盟 2011-11-03
[26] 웹사이트 2012 Africa Cup of Nations draw conducted http://www.cafonline[...] 아프리카サッカー連盟 2011-10-29
[27] 웹사이트 Orange CAN 2012 Official Draw 29_Oct 2011 - Procedures http://www.cafonline[...] 아프리카サッカー連盟 2011-10-12
[28] 뉴스 Gabon : Libreville et Malabo s'accordent pour la CAN 2012 http://www.gaboneco.[...] 2010-01-05
[29] URL http://www.starafric[...]
[30] URL http://www.worldstad[...]
[31] 웹사이트 2012 African Nations Cup Fixtures and Results http://soccernet.esp[...] 2012-02-12
[32] 웹사이트 Africa Cup of Nations final kick-off delayed http://www.bbc.co.uk[...] BBC.com 2012-02-09
[33] 문서 아프리카 축구 연맹 준회원 자격인 {{축구나라|레위니옹}}과 {{축구나라|잔지바르}} 불포함.
[34] 웹인용 CAF investigates Burkina Faso's player eligibility following Namibia's claim http://www.cafonline[...] CAFonline.com 2011-06-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