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이집트의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포트사이드, 이스마일리아에서 개최되었다.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한 16개 팀이 참가했으며, 이집트가 코트디부아르를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나이지리아는 3위를 기록했다. 카메룬의 사무엘 에토가 5골로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대회 베스트 11에는 에삼 엘 하다리, 에마뉘엘 에부에, 리고베르 송, 와엘 고마, 타예 타이워, 스테판 아피아, 모하메드 아부트리카, 아흐메드 하산, 파스칼 페이둔오, 사무엘 에토, 디디에 드로그바가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은 51개 팀이 참가하여 두 라운드로 진행되었고, 각 조 1위를 차지한 5개 팀이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으며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을 겸하여 각 조 상위 3개 팀이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하였다. - 2006년 이집트 - 2006년 3월 29일 일식
2006년 3월 29일에 발생한 개기 일식은 달이 태양과 지구 사이를 지나면서 태양을 가려 브라질에서 시작하여 아프리카, 유럽, 아시아 일부 지역을 지나며, 넓은 지역에서 부분 일식으로 관측되었고 사회적 영향도 있었다. - 이집트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1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이집트에서 개최된 CAF 주최 국제 축구 대회로, 24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알제리가 우승을 차지했고 사디오 마네가 득점왕에 올랐다. - 이집트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195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1959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아랍 연합 공화국에서 아랍 연합 공화국, 수단, 에티오피아 세 팀이 참가한 풀 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아랍 연합 공화국이 우승했으며, 모든 경기는 카이로에서 개최되었다.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연도 | 2006년 |
다른 명칭 | كأس الأمم الأفريقية 2006 (쿠스 우맘 아프리카 2006) |
![]() | |
개최국 | 이집트 |
기간 | 2006년 1월 20일 – 2006년 2월 10일 |
참가 팀 수 | 16 |
경기장 수 | 6 |
도시 수 | 4 |
우승 | 이집트 |
우승 횟수 | 5회 |
준우승 | 코트디부아르 |
3위 | 나이지리아 |
4위 | 세네갈 |
총 경기 수 | 32 |
총 득점 수 | 73 |
총 관중 수 | 714054 |
최다 득점자 | 사뮈엘 에토 (5골) |
최우수 선수 | 아흐메드 하산 |
이전 대회 | 2004 |
다음 대회 | 2008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이집트의 카이로, 알렉산드리아, 포트사이드, 이스마일리아 4개 도시에서 개최되었다.
도시 | 경기장 | 수용 인원 |
---|---|---|
카이로 | 카이로 국제경기장 | 74,100명 |
카이로 | 카이로 육군사관학교 경기장 | 25,000명 |
알렉산드리아 | 하라스 엘 호도우드 경기장 | 22,000명 |
알렉산드리아 | 알렉산드리아 경기장 | 19,676명 |
포트사이드 | 포트사이드 경기장 | 22,000명[1] |
이스마일리아 | 이스마일리아 스타디움 | 16,500명[1] |
각 도시별 경기장 이미지는 다음과 같다.
2. 1. 카이로
카이로 | 카이로 |
---|---|
카이로 국제경기장 | 카이로 육군사관학교 경기장 |
수용 인원: 74,100명 | 수용 인원: 25,000명 |
![]() |
2. 2. 알렉산드리아
경기장 | 수용 인원 | 이미지 |
---|---|---|
하라스 알 호두드 스타디움 | 22,000명 | |
알렉산드리아 스타디움 | 19,676명 |
2. 3. 포트사이드
포트사이드 경기장은 포트사이드에 위치한 경기장으로, 24,060명을 수용할 수 있다.
2. 4. 이스마일리아
이스마일리아 스타디움에서 경기가 열렸으며, 수용 인원은 16,500명이었다.3. 예선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하여 진행되었다. 총 51개국이 참가하여 1차 예선을 거쳐 30개국이 최종 예선에 진출했다. 최종 예선은 5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1위 팀은 2006년 FIFA 월드컵에 진출하고, 각 조 1~3위 팀은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진출했다. 단, 개최국 이집트가 속한 3조는 예외적으로 4위 팀까지 네이션스컵에 진출했다.[1]
이 대회부터 전 대회 우승 팀에게 주어지던 본선 자동 진출권이 폐지되었다. 따라서 지난 대회 우승 팀인 튀니지는 예선을 거쳐 본선에 진출해야 했다.[1]
3. 1. 본선 진출국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개최국 이집트를 포함하여 총 16개국이 진출했다. 예선은 2006년 FIFA 월드컵 아프리카 지역 예선을 겸하여 진행되었으며, 51개국이 참가하여 최종 예선에 진출한 30개국 중 다음 국가들이 본선에 진출했다.[1]4. 조별 리그
2006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조별 리그는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각 조 상위 2팀이 8강에 진출했다.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간(UTC+2) 기준이다.
하위 섹션에서 이미 A조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므로, B, C, D조에 대한 내용을 간략하게 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조 | 1위 | 2위 | 경기장 |
---|---|---|---|
B조 | 카메룬 | 콩고 민주 공화국 | 카이로 육군사관학교 경기장 |
C조 | 기니 | 튀니지 | 하라스 엘 호도우드 경기장 |
D조 | 나이지리아 | 세네갈 | 포트사이드 스타디움 |
4. 1. A조
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이집트 | 7 | 3 | 2 | 1 | 0 | 6 | 1 | +5 |
코트디부아르 | 6 | 3 | 2 | 0 | 1 | 4 | 4 | 0 |
모로코 | 2 | 3 | 0 | 2 | 1 | 0 | 1 | -1 |
리비아 | 1 | 3 | 0 | 1 | 2 | 1 | 5 | -4 |
- 2006년 1월 20일: 이집트 3 – 0 리비아 (카이로 국제경기장, 카이로)
- 2006년 1월 21일: 모로코 0 – 1 코트디부아르 (카이로 국제경기장, 카이로)
- 2006년 1월 24일: 리비아 1 – 2 코트디부아르 (카이로 국제경기장, 카이로)
- 2006년 1월 24일: 이집트 0 – 0 모로코 (카이로 국제경기장, 카이로)
- 2006년 1월 28일: 이집트 3 – 1 코트디부아르 (카이로 국제경기장, 카이로)
- 2006년 1월 28일: 리비아 0 – 0 모로코 (카이로 육군사관학교 경기장, 카이로)
A조 조별 리그 결과 이집트와 코트디부아르가 8강에 진출했다.[1]
4. 2. B조
'''초록색'''으로 된 팀이 8강에 진출한 팀이며, '''붉은색'''으로 된 팀은 본선에서 탈락한 팀이다. 모든 시간은 UTC+2를 따른다.2006년 1월 21일 | |
---|---|
카메룬 3 – 1 앙골라 [1] | 에토 (20, 39, 78) 플라비우 (31 페널티골) |
토고 0 – 2 콩고 민주 공화국 | 음푸투 (45) 루아루아 (64) |
2006년 1월 25일 | |
앙골라 0 – 0 콩고 민주 공화국 | |
카메룬 2 – 0 토고 | 에토 (68) 메용 제 (85) |
2006년 1월 29일 | |
앙골라 3 – 2 토고 | 플라비우 (9, 38) 모리투 (86) 카데르 (24) 투레 (67') |
카메룬 2 – 0 콩고 민주 공화국 | 제레미 (31) 에토 (33) |
모든 경기는 카이로의 카이로 육군사관학교 경기장에서 치러졌다. 단, 1월 29일 카메룬과 콩고 민주 공화국의 경기는 카이로 국제경기장에서 열렸다.
4. 3. C조
기니와 튀니지가 8강에 진출했다. C조의 모든 경기는 UTC+2를 따랐다.- 2006년 1월 22일 15:15, 튀니지는 하라스 엘 호도우드 경기장(알렉산드리아)에서 잠비아를 4-1로 이겼다. 산투스가 35분, 82분, 90+3분에 3골을 넣었고, 부아지지가 53분에 한 골을 추가했다. 잠비아는 차망가가 9분에 득점했다.[1]
- 2006년 1월 22일 18:00, 기니는 하라스 엘 호도우드 경기장(알렉산드리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2-0으로 이겼다. S. 방구라가 78분, O. 방구라가 88분에 득점했다.
- 2006년 1월 26일 15:15, 기니는 하라스 엘 호도우드 경기장(알렉산드리아)에서 잠비아를 2-1로 이겼다. 잠비아는 타나가 33분에 득점했고, 기니는 펭두노가 73분과 90+1분에 두 골을 넣었다.
- 2006년 1월 26일 18:00, 튀니지는 하라스 엘 호도우드 경기장(알렉산드리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2-0으로 이겼다. 산투스가 32분, 벤 아초르가 58분에 득점했다.
- 2006년 1월 30일 17:00, 기니는 하라스 엘 호도우드 경기장(알렉산드리아)에서 튀니지를 3-0으로 이겼다. O. 방구라가 16분, 펭두노가 70분, 디아와라가 90+1분에 득점했다.
- 2006년 1월 30일 17:00, 잠비아는 알렉산드리아 경기장(알렉산드리아)에서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1-0으로 이겼다. 카통고가 75분에 득점했다.
4. 4. D조
경기 결과
- 모든 시간은 UTC+2를 따른다.
'''1차전'''
'''2차전'''
'''3차전'''
5. 결선 토너먼트
8강전에서는 2월 3일 카이로에서 이집트가 콩고 민주 공화국을 4-1로, 알렉산드리아에서 세네갈이 기니를 3-2로 이겼다. 2월 4일에는 카이로에서 코트디부아르가 카메룬을 승부차기 끝에 12-11[1]로, 포트사이드에서 나이지리아가 튀니지를 승부차기 끝에 6-5[1]로 이겼다.
4강전에서는 2월 7일 카이로에서 이집트가 세네갈을 2-1로, 알렉산드리아에서 코트디부아르가 나이지리아를 1-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3·4위전에서는 2월 9일 카이로에서 나이지리아가 세네갈을 1-0으로 이겼다.
결승전은 2월 10일 카이로에서 열렸으며, 이집트와 코트디부아르가 맞붙어 연장전까지 0-0으로 비긴 후 승부차기에서 이집트가 4-2로 승리했다.[1]
5. 1. 8강전
경기일 | 개최 도시 | 팀 1 | 결과 | 팀 2 |
---|---|---|---|---|
2월 3일 | 카이로 | 이집트 | 4 - 1 | 콩고 민주 공화국 |
2월 3일 | 알렉산드리아 | 기니 | 2 - 3 | 세네갈 |
2월 4일 | 카이로 | 카메룬 | 1 (11) - 1 (12)[1] | 코트디부아르 |
2월 4일 | 포트사이드 | 나이지리아 | 1 (6)[1] - 1 (5) | 튀니지 |
- 괄호 안의 숫자는 승부차기 득점을 의미한다.
5. 2. 4강전
2006년 2월 7일, 카이로 국제경기장에서 열린 이집트와 세네갈의 경기에서는 이집트가 2-1로 승리했다. 아흐메드 하산이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고, 마마두 니앙이 동점골을 넣었지만, 암르 자키가 결승골을 넣어 이집트가 결승에 진출했다. 이 경기의 관중은 74,100명이었고, 카메룬의 에베헤 디바인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1]같은 날 알렉산드리아의 하라스 엘-헤두드 경기장에서 열린 코트디부아르와 나이지리아의 경기에서는 코트디부아르가 1-0으로 승리했다. 디디에 드로그바가 결승골을 넣었다. 이 경기의 관중은 20,000명이었고,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제롬 데이먼 심판이 주심을 맡았다.
날짜 | 시간 | 경기장 | 팀 1 | 결과 | 팀 2 | 득점 (팀 1) | 득점 (팀 2) | 관중 수 | 주심 |
---|---|---|---|---|---|---|---|---|---|
2006년 2월 7일 | 19:00 | 카이로 국제경기장, 카이로 | 이집트 | 2-1 | 세네갈 | 아흐메드 하산 (37 페널티킥), 자키 (81) | 니앙 (52') | 74,100명 | 에베헤 디바인 (카메룬) |
2006년 2월 7일 | 15:00 | 하라스 엘-헤두드 경기장, 알렉산드리아 | 나이지리아 | 0-1 | 코트디부아르 | 드로그바 (47') | 20,000명 | 제롬 데이먼 (남아프리카 공화국) |
5. 3. 3·4위전
2006년 2월 9일 카이로에서 열린 3·4위전에서는 나이지리아가 세네갈을 1-0으로 꺾었다.5. 4. 결승전
2006년 2월 10일 카이로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이집트와 코트디부아르가 맞붙었다. 연장전까지 0-0으로 승부를 가리지 못했고, 승부차기 끝에 이집트가 코트디부아르를 4-2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1]6. 우승
이집트
5번째 우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