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4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는 러시아 소치에서 개최되었으며, 슬로프스타일과 평행 회전이 새롭게 추가되었다. 남자부에서는 평행 회전, 평행 대회전,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스노보드 크로스 등 5개의 세부 종목이 진행되었고, 여자부에서도 동일한 5개 종목에서 경기가 펼쳐졌다. 미국, 러시아, 스위스가 메달 집계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31개국에서 243명의 선수가 참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올림픽 스노보드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는 30개국 248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휘닉스 스노 경기장과 알펜시아 스키점프 센터에서 슬로프스타일, 하프파이프, 스노보드 크로스, 빅에어, 평행대회전 총 10개 세부 종목의 메달을 놓고 경쟁한 대회이다. - 올림픽 스노보드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여자 평행대회전은 2010년 2월 26일 캐나다에서 열렸으며, 네덜란드의 니콜린 사우어브레이가 금메달을, 러시아의 예카테리나 일류히나가 은메달을, 오스트리아의 마리온 크라이너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14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 | |
![]() | |
![]() | |
종목 | 스노보드 |
대회 | 2014년 동계 올림픽 |
개최지 | 러시아, 크라스노다르 지방, 소치, 크라스나야폴랴나, 로사 쿠토르 익스트림 파크 |
날짜 | 2014년 2월 6일 – 22일 |
참가 선수 | 243명 |
참가 국가 | 31개국 |
이전 대회 | 2010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다음 대회 | 2018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
세부 종목 | |
남자 | 5 |
여자 | 5 |
합계 | 10 |
하프파이프 | 남자 여자 |
평행대회전 | 남자 여자 |
평행 회전 | 남자 여자 |
슬로프스타일 | 남자 여자 |
스노보드 크로스 | 남자 여자 |
관련 정보 | |
예선 | 예선 |
2. 경기 일정
다음은 10개 모든 종목의 경기 일정이다.[4]
모든 시간은 UTC+4이다.
날짜 | 시간 | 종목 |
---|---|---|
2월 6일 | 10:00 | 남자 및 여자 슬로프스타일 예선 |
2월 8일 | 09:30 | 남자 슬로프스타일 준결승 |
12:45 | 남자 슬로프스타일 | |
2월 9일 | 10:30 | 여자 슬로프스타일 예선 |
13:15 | 여자 슬로프스타일 | |
2월 11일 | 14:00 | 남자 하프파이프 |
19:00 | 남자 하프파이프 예선 | |
21:30 | 남자 하프파이프 | |
2월 12일 | 14:00 | 여자 하프파이프 |
19:00 | 여자 하프파이프 예선 | |
21:30 | 여자 하프파이프 | |
2월 16일 | 11:00 | 여자 스노보드 크로스 예선 |
13:15 | 여자 스노보드 크로스 | |
2월 17일 | 11:00 | 남자 스노보드 크로스 예선 |
13:30 | 남자 스노보드 크로스 | |
2월 19일 | 09:00 | 남자 및 여자 평행 대회전 예선 |
13:00 | 남자 및 여자 평행 대회전 | |
2월 22일 | 09:15 | 남자 및 여자 평행 회전 예선 |
13:15 | 남자 및 여자 평행 회전 |
2. 1. 남자
2014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 경기에서는 평행 회전, 평행 대회전,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스노보드 크로스 등 5개 세부 종목이 진행되었다.평행 회전에서는 빅 와일드(RUS)가 금메달, 잔 코시르(SLO)가 은메달, 벤자민 카를(AUT)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평행 대회전에서는 빅 와일드(RUS)가 금메달, 네빈 갈마리니(SUI)가 은메달, 잔 코시르(SLO)가 동메달을 획득하며 빅 와일드는 2관왕에 올랐다.
하프파이프에서는 유리 포들라드치코프(SUI)가 94.75점으로 금메달, 히라노 아유무(JPN)가 93.50점으로 은메달, 히라오카 타쿠(JPN)가 92.25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했다. 슬로프스타일에서는 세이지 코츠켄버그(USA)가 93.50점으로 금메달, 스톨레 산드베크(NOR)가 91.75점으로 은메달, 마크 맥모리스(CAN)가 88.75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스노보드 크로스에서는 피에르 보티에(FRA)가 금메달, 니콜라이 올류닌(RUS)이 은메달, 알렉스 데이볼드(USA)가 동메달을 차지했다.
2. 2. 여자
wikitable종목 | 금 | 은 | 동 |
---|---|---|---|
여자 평행 회전 | 율리아 두이모비츠(AUT) | 안케 카르스텐스(GER) | 아멜리 코버(GER) |
여자 평행 대회전 | 파트리치아 쿠머(SUI) | 타케우치 토모카(JPN) | 알레나 자바르지나(RUS) |
여자 하프파이프 | 케이트린 패링턴(USA) (91.75) | 토라 브라이트(AUS) (91.50) | 켈리 클라크(USA) (90.75) |
여자 슬로프스타일 | 제이미 앤더슨(USA) (95.25) | 엔니 루카예르비(FIN) (92.50) | 제니 존스(GBR) (87.25) |
여자 스노보드 크로스 | 에바 삼코바(CZE) | 도미니크 말테|CAN) | 클로에 트레스포에(FRA) |
3. 경기 종목
3. 1. 남자
2014년 동계 올림픽 스노보드 남자부에서는 평행 슬라롬, 평행 대회전, 하프파이프, 슬로프스타일, 스노보드 크로스 등 5개 세부 종목이 진행되었다.
평행 슬라롬에서는 빅 와일드(러시아)가 금메달, 잔 코시르(슬로베니아)가 은메달, 벤자민 카를(오스트리아)이 동메달을 획득했다.
평행 대회전에서는 빅 와일드가 금메달, 네빈 갈마리니(스위스)가 은메달, 잔 코시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하프파이프에서는 유리 포들라드치코프(스위스)가 94.75점으로 금메달, 히라노 아유무(일본)가 93.50점으로 은메달, 히라오카 타쿠(일본)가 92.25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슬로프스타일에서는 세이지 코츠켄버그(미국)가 93.50점으로 금메달, 스톨레 산드베크(노르웨이)가 91.75점으로 은메달, 마크 맥모리스(캐나다)가 88.75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스노보드 크로스에서는 피에르 보티에(프랑스)가 금메달, 니콜라이 올류닌(러시아)이 은메달, 알렉스 데이볼드(미국)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3. 2. 여자
91.75토라 브라이트 (오스트레일리아)
91.50켈리 클라크 (미국)
90.75슬로프스타일 제이미 앤더슨 (미국)
95.25엔니 루카예르비 (핀란드)
92.50제니 존스 (영국)
87.25스노보드 크로스 에바 삼코바 (체코) 도미니크 말테 (캐나다) 클로에 트레스포에 (프랑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