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은 괌, 중화 타이베이, 중국에서 3단계로 진행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괌이, 2라운드에서는 대한민국이 결승 대회에 진출했다. 결승 대회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을 차지했으며, 라은심이 득점왕, 위정심이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5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4개국이 참가한 풀리그 방식으로 진행되어 대한민국이 우승을 차지한 국제 여자 축구 대회이다. -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여자부) - 2008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2008년 동아시아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는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이 참가한 국제 대회로, 2007년 7월 괌에서 예선을 거쳐 2008년 2월 중국에서 대한민국, 일본, 중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결선에 참가하여 일본이 우승했다. - 2015년 중국 - 2015년 4월 네팔 지진
2015년 4월 25일 네팔 람중구에서 발생한 규모 7.8의 지진은 네팔을 비롯한 주변 국가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으며, 8,800명 이상 사망, 22,000명 이상 부상,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붕괴 등의 피해를 발생시켰다. - 2015년 중국 - 2015년 EAFF 동아시안컵
2015년 EAFF 동아시안컵은 동아시아 축구 연맹 회원국들이 참가하는 국제 축구 대회로 중국에서 결승 대회가 개최되었고, 남자부에서는 대한민국, 여자부에서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다. - 중국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10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2010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는 중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우승했고, 상위 4개 팀은 2011년 FIFA U-20 월드컵에 진출했다. - 중국에서 개최된 국제 축구 대회 - 2004년 AFC 아시안컵
2004년 AFC 아시안컵은 중국에서 개최되어 일본이 우승, 나카무라 슌스케가 MVP, 알라 후바일과 알리 카리미가 득점왕을 차지했으나, 반일 감정 표출과 심판 판정 논란이 있었던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 국제 축구 대회이다.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EAFF 여자 동아시안컵 |
기타 명칭 | 2015年东亚杯女子足球赛 (2015년 동아시아컵 여자 축구) |
개최 기간 | 8월 1일 ~ 8월 8일 |
참가 팀 수 | 4 |
하위 연맹 수 | 1 |
경기 결과 | |
우승 횟수 | 2 |
총 경기 수 | 6 |
총 득점 | 19 |
평균 득점 | 3.17 |
최다 득점 선수 | 라은심 |
최우수 선수 | 위정심 |
대회 연혁 | |
이전 대회 | 2013 |
다음 대회 | 2017 |
기타 정보 | |
경기 장소 | 본선 우한 예선 주베이・타이베이・데데도 |
2. 대회 진행 방식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은 1라운드, 2라운드, 결승 대회 3단계로 진행되었다.
라운드 | 참가팀 | 개최지 | 날짜 |
---|---|---|---|
1차 예선 | 괌, 마카오, 북마리아나 제도 | 괌 | 2014년 7월 20일–24일 |
2차 예선 | 중화 타이베이, 홍콩, 대한민국, 괌 | 중화 타이베이 | 2014년 11월 12일–18일 |
결선 | 중국, 일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대한민국 | 중국 | 2015년 8월 1일–8일 |
2. 1. 1라운드
'''1라운드'''는 괌에서 2014년 7월 20일부터 2014년 7월 24일까지 개최되었다. 1라운드에서는 괌, 북마리아나 제도, 마카오 3개국이 출전하였고,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2라운드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했다.[1] 모든 경기는 괌 (UTC+10)에서 열렸다. 개최국 괌은 2승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1]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괌/Guam영어 | 2 | 2 | 0 | 0 | 18 | 0 | +18 | 6 |
2 | 북마리아나 제도/Northern Mariana Islands영어 | 2 | 1 | 0 | 1 | 7 | 7 | 0 | 3 |
3 | 마카오/Macau중국어 | 2 | 0 | 0 | 2 | 0 | 18 | -18 | 0 |
- 2014년 7월 20일, 서버는 북마리아나 제도를 상대로 7골, 90분에 득점을 기록했다.[1] 발라는 8분, 자발라는 30분, 아메졸라는 50분, 코빈스키는 51분, 카우프만은 85분에 득점을 기록했다.[1] 경기는 GFA 내셔널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에서 진행되었다.
- 2014년 7월 22일, 괌은 마카오를 상대로 11-0 대승을 거두었다.[1] 코빈스키, 서버, 카우프만, 페레즈, 윌터가 득점했다.[1] 경기는 GFA 내셔널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에서 진행되었다.
- 2014년 7월 24일, 북마리아나 제도는 마카오를 상대로 7-0 대승을 거두었다.[1] 베르가라는 19분, 맥스베리는 28분, 65분, 레이스는 45분, 실버버거는 73분, 카스티요는 81분, 슐러는 90+3분에 득점했다.[1] 경기는 GFA 내셔널 트레이닝 센터, 데데도에서 진행되었다.
2. 2. 2라운드
2라운드는 2014년 11월 12일부터 11월 18일까지 중화 타이베이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홍콩, 괌이 참가하여 리그전을 통해 결승 대회에 진출할 1개국을 선발했다. 모든 경기는 UTC+8로 진행되었다.
대한민국은 3전 전승으로 결승 대회에 진출했다.
2. 3. 결승 대회
2015년 8월 1일부터 8월 8일까지 중국에서 개최되었다. 결승 대회 자동 진출 3개국 및 예선 라운드를 통과한 1개국은 1차례의 리그전을 통해 당해 대회의 승자를 결정한다.EAFF 여자 동아시안컵 우승 |
---|
제5대 동아시아 챔피언 (2회 우승) |
2013년・2015년 |
3. 참가국 및 경기장
3. 1. 1라운드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1라운드는 괌의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에서 열렸다.[1]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 |
---|
데데도 |
수용인원: 5,000명 |
모든 경기는 괌 (UTC+10)에서 열렸다.
개최국 괌은 2승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1]
- 2014년 7월 20일, 괌은 북마리아나 제도를 7-0으로 이겼다.[1]
- 2014년 7월 22일, 괌은 마카오를 11-0으로 이겼다.[1]
- 2014년 7월 24일, 북마리아나 제도는 마카오를 7-0으로 이겼다.[1]
3. 2. 2라운드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2라운드는 중화 타이베이의 '''신주 카운티 스타디움''' 및 '''타이베이 시립경기장'''에서 열렸다. 참가국은 대한민국, 중화 타이베이, 홍콩, 괌이다.신주 카운티 스타디움 | 타이베이 시립경기장 |
---|---|
주베이 | 타이베이 |
수용인원: 15,000명 | 수용인원: 20,000명 |
![]() | ![]() |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3 | 3 | 0 | 0 | 26 | 0 | +26 | 9 | |
2 | 3 | 2 | 0 | 1 | 6 | 2 | +4 | 6 | |
3 | 3 | 1 | 0 | 2 | 3 | 11 | -8 | 3 | |
4 | 3 | 0 | 0 | 3 | 0 | 22 | -22 | 0 |
2014년 11월 12일, 신주 카운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괌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15-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는 홍콩을 2-0으로 이겼다.
11월 15일, 홍콩은 대한민국에 0-9로 패배했다. 중화 타이베이는 괌을 4-0으로 이겼다.
11월 18일, 타이베이 시립경기장에서 열린 괌과 홍콩의 경기에서 홍콩이 3-0으로 승리했다. 같은 날, 중화 타이베이는 대한민국에 0-2로 패배했다.
3. 3. 결승 대회
제5회 여자 동아시안컵 결승 대회는 중국의 '''우한 스포츠 센터'''(우한 줘얼 홈구장)에서 열렸다.
참가국은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일본, 중국이다.
우한 스포츠 센터 |
---|
우한 |
수용인원: 54,357명 |
4. 경기 결과
4. 1. 1라운드
모든 경기는 괌 (UTC+10)에서 열렸다.개최국 괌은 2승으로 다음 라운드에 진출했다.[1]
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괌/Guam영어 | 6 | 2 | 2 | 0 | 0 | 18 | 0 | +18 |
2 | 북마리아나 제도/Northern Mariana Islands영어 | 3 | 2 | 1 | 0 | 1 | 7 | 7 | 0 |
3 | 마카오/澳門중국어 |
'''1차전'''
2014년 7월 20일 17:30 (UTC+10)에 GFA 내셔널 트레이닝 센터(데데도)에서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의 경기가 열렸다. 괌은 서버(7분, 90분), 발라(8분), 자발라(30분), 아메졸라(50분), 코빈스키(51분), 카우프만(85분)의 득점으로 7-0 승리를 거두었다. 심판은 홍콩의 로 비크 치였다.
'''2차전'''
2014년 7월 22일 17:30 (UTC+10)에 GFA 내셔널 트레이닝 센터(데데도)에서 괌과 마카오의 경기가 열렸다. 괌은 자책골과 코빈스키, 서버, 카우프만, 페레즈, 윌터의 연속골로 11-0 대승을 거두었다. 심판은 일본의 쿠와하라 리카코였다.
'''3차전'''
2014년 7월 24일 17:30 (UTC+10)에 GFA 내셔널 트레이닝 센터(데데도)에서 북마리아나 제도와 마카오의 경기가 열렸다. 북마리아나 제도는 베르가라(19분), 맥스베리(28분, 65분), 레이스(45분), 실버버거(73분), 카스티요(81분), 슐러(90+3분)의 득점으로 7-0 승리를 거두었다. 심판은 일본의 쿠와하라 리카코였다.
4. 1. 1. 순위
wikitable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괌 | 6 | 2 | 2 | 0 | 0 | 18 | 0 | +18 |
2 | 북마리아나 제도 | 3 | 2 | 1 | 0 | 1 | 7 | 7 | 0 |
3 | 마카오 | 0 | 2 | 0 | 0 | 2 | 0 | 18 | -18 |
4. 1. 2. 경기 일정 및 결과
'''1차전'''2014년 7월 20일 17:30 (UTC+10)에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데데도)에서 괌과 북마리아나 제도의 경기가 열렸다. 괌은 서버(7분, 90분), 발라(8분), 사발라(30분), 아메졸라(50분), 코빈스키(51분), 코프먼(85분)의 득점으로 7-0 승리를 거두었다. 심판은 홍콩의 라우빅치였다.
'''2차전'''
2014년 7월 22일 17:30 (UTC+10)에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데데도)에서 괌과 마카오의 경기가 열렸다. 괌은 자책골과 코빈스키, 서버, 코프먼, 페레즈, 윌터의 연속골로 11-0 대승을 거두었다. 심판은 일본의 구와하라 리카코였다.
'''3차전'''
2014년 7월 24일 17:30 (UTC+10)에 괌 축구 협회 국립 트레이닝 센터(데데도)에서 북마리아나 제도와 마카오의 경기가 열렸다. 북마리아나 제도는 베르가라(19분), 맥스베리(28분, 65분), 레이스(45분), 실버버거(73분), 카스티요(81분), 쉴러(90+3분)의 득점으로 7-0 승리를 거두었다. 심판은 일본의 구와하라 리카코였다.
4. 1. 3. 수상 내역
wikitext득점왕 | 최우수 선수 |
---|---|
페이지 서버 | 사만다 코프만 |
4. 2. 2라운드
모든 경기는 대만(UTC+8)에서 열렸다.
; '''1차전'''
2014년 11월 12일 10:30 UTC+8에 신주 카운티 스타디움(주베이)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괌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15-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지소연은 2골, 유영아는 1골, 김혜영은 1골, 전가을은 4골, 김혜리는 1골, 박희영은 1골, 여민지는 1골, 이정은은 5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70명이었고, 주심은 호선희였다.
같은 날 14:30 UTC+8에 신주 카운티 스타디움(주베이)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홍콩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2-0으로 승리했다. 탄원린이 2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400명이었고, 주심은 마이 호앙 트랑이었다.
; '''2차전'''
2014년 11월 15일 10:30 UTC+8에 신주 카운티 스타디움(주베이)에서 열린 홍콩과 대한민국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9-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지소연은 페널티킥으로 1골, 전가을은 1골, 이정은은 2골, 여민지는 4골, 김도연은 1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103명이었고, 주심은 마이 호앙 트랑이었다.
같은 날 14:30 UTC+8에 신주 카운티 스타디움(주베이)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괌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4-0으로 승리했다. 린야한이 1골, 위슈징이 2골, 라이리친이 1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563명이었고, 주심은 카지야마 후사코였다.
; '''3차전'''
2014년 11월 18일 16:00 UTC+8에 타이베이 시립경기장(타이베이)에서 열린 괌과 홍콩의 경기에서 홍콩이 3-0으로 승리했다. 펑응아케이가 2골, 웡슉판이 1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127명이었고, 주심은 정지영이었다.
같은 날 19:00 UTC+8에 타이베이 시립경기장(타이베이)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대한민국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2-0으로 승리했다. 권하늘이 1골, 전가을이 1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488명이었고, 주심은 카지야마 후사코였다.
4. 2. 1. 순위
wikitable
4. 2. 2. 경기 일정 및 결과
; '''1차전'''2014년 11월 12일 10:30 UTC+8에 신주 카운티 스타디움(주베이)에서 열린 대한민국과 괌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15-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지소연은 2골, 유영아는 1골, 김혜영은 1골, 전가을은 4골, 김혜리는 1골, 박희영은 1골, 여민지는 1골, 이정은은 5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70명이었고, 주심은 허선희였다.
같은 날 14:30 UTC+8에 신주 카운티 스타디움(주베이)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홍콩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2-0으로 승리했다. 탄원린이 2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400명이었고, 주심은 마이호앙짱이었다.
; '''2차전'''
2014년 11월 15일 10:30 UTC+8에 신주 카운티 스타디움(주베이)에서 열린 홍콩과 대한민국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9-0으로 대승을 거두었다. 지소연은 페널티킥으로 1골, 전가을은 1골, 이정은은 2골, 여민지는 4골, 김도연은 1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103명이었고, 주심은 마이호앙짱이었다.
같은 날 14:30 UTC+8에 신주 카운티 스타디움(주베이)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괌의 경기에서는 중화 타이베이가 4-0으로 승리했다. 린야한이 1골, 위슈징이 2골, 라이리친이 1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563명이었고, 주심은 가지야마 후사코였다.
; '''3차전'''
2014년 11월 18일 16:00 UTC+8에 타이베이 시립경기장(타이베이)에서 열린 괌과 홍콩의 경기에서 홍콩이 3-0으로 승리했다. 펑응아케이가 2골, 웡슉판이 1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127명이었고, 주심은 정지영이었다.
같은 날 19:00 UTC+8에 타이베이 시립경기장(타이베이)에서 열린 중화 타이베이와 대한민국의 경기에서 대한민국이 2-0으로 승리했다. 권하늘이 1골, 전가을이 1골을 기록했다. 관중 수는 488명이었고, 주심은 가지야마 후사코였다.
4. 2. 3. 수상 내역
wikitext
4. 3. 결승 대회
4. 3. 1. 선수 명단
은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의 선수 명단에 관한 내용으로 연결된다.은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 결선 선수 명단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제공한다.
4. 3. 2. 순위
wikitext순위 | 국가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9 | 3 | 3 | 0 | 0 | 9 | 4 | +5 |
2 | 대한민국 | 6 | 3 | 2 | 0 | 1 | 3 | 3 | 0 |
3 | 일본 | 3 | 3 | 1 | 0 | 2 | 5 | 6 | -1 |
4 | 중국 | 0 | 3 | 0 | 0 | 3 | 2 | 6 | -4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1위, 대한민국이 2위, 일본이 3위, 중국이 4위를 기록했다.
4. 3. 3. 경기 일정 및 결과
모든 경기는 우한 스포츠 센터에서 개최되었다.'''1차전'''
2015년 8월 1일 18:20 UTC+8에 열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일본의 경기에서는 리예경이 35분과 64분에, 라은심이 78분과 80분에 득점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4-2로 승리하였다. 일본은 마스야가 48분에, 스기타가 69분에 득점하였다. 심판은 케이시 레이벨트였다.
2015년 8월 1일 21:00 UTC+8에 열린 중국과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정설빈이 27분에 득점하여 대한민국이 1-0으로 승리하였다. 심판은 빤니빠르 깜능이었다.
'''2차전'''
2015년 8월 4일 18:20 UTC+8에 열린 일본과 대한민국의 경기에서는 나카지마가 30분에 일본의 선제골을 넣었으나, 조소현이 54분에, 전가을이 90+3분에 득점하여 대한민국이 2-1로 역전승하였다. 심판은 테인 에이였다.
2015년 8월 4일 21:00 UTC+8에 열린 중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는 김윤미가 5분에, 위정심이 24분과 69분에 득점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3-2로 승리하였다. 중국은 리둥나가 32분에, 왕산산이 52분에 득점하였다. 심판은 마이호앙짱이었다.
'''3차전'''
2015년 8월 8일 17:10 UTC+8에 열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기에서는 윤송미가 21분에, 라은심이 51분에 득점하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2-0으로 승리하였다. 심판은 케이시 레이벨트였다.
2015년 8월 8일 20:10 UTC+8에 열린 중국과 일본의 경기에서는 요코야마가 88분에, 스기타가 90+3분에 득점하여 일본이 2-0으로 승리하였다. 심판은 마이호앙짱이었다.
4. 3. 4. 수상 내역
wikitext
5. 기록과 통계
'''선수 득점 기록'''
3골을 기록한 라은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필두로, 2골을 기록한 스기타 아미(일본), 리예경, 위정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뒤를 이었다. 대한민국의 전가을, 정설빈, 조소현과 일본의 나카지마 에미, 마스야 리카, 요코야마 구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윤미, 윤송미, 중국의 리둥나, 왕산산이 각각 1골을 기록하였다.
'''팀 득점 기록'''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9득점으로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했다. 일본은 5득점, 대한민국은 3득점, 중국은 2득점을 기록했다.
순위 | 국가 | 득점 |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9 |
2 | 일본 | 5 |
3 | 대한민국 | 3 |
4 | 중국 | 2 |
'''팀 실점 기록'''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에서 대한민국은 3실점을 기록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4실점을 기록했다. 일본과 중국은 각각 6실점을 기록했다.
5. 1. 선수 득점 기록
3골을 기록한 라은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필두로, 2골을 기록한 스기타 아미(일본), 리예경, 위정심(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뒤를 이었다. 대한민국의 전가을, 정설빈, 조소현과 일본의 나카지마 에미, 마스야 리카, 요코야마 구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김윤미, 윤송미, 중국의 리둥나, 왕산산이 각각 1골을 기록하였다.5. 2. 팀 득점 기록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에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9득점으로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했다. 일본은 5득점, 대한민국은 3득점, 중국은 2득점을 기록했다.순위 | 국가 | 득점 |
---|---|---|
1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9 |
2 | 일본 | 5 |
3 | 대한민국 | 3 |
4 | 중국 | 2 |
5. 3. 팀 실점 기록
2015년 EAFF 여자 동아시안컵에서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3실점을 기록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4실점을 기록했다.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과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각각 6실점을 기록했다.6.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3 | 3 | 0 | 0 | 9 | 4 | +5 | 9 | |
2 | 1 | 3 | 2 | 0 | 1 | 3 | 3 | 0 | 6 |
3 | 3 | 1 | 0 | 2 | 5 | 6 | -1 | 3 | |
4 | 3 | 0 | 0 | 3 | 2 | 6 | -4 | 0 | |
▲ 결승 대회 진출 | |||||||||
5 | 3 | 2 | 0 | 1 | 6 | 2 | +4 | 6 | |
6 | 3 | 1 | 0 | 2 | 3 | 11 | -8 | 3 | |
7 | 2 | 3 | 0 | 0 | 3 | 0 | 22 | -22 | 0 |
▲ 2라운드 진출 | |||||||||
8 | 2 | 1 | 0 | 1 | 7 | 7 | 0 | 3 | |
9 | 2 | 0 | 0 | 2 | 0 | 18 | -18 | 0 | |
▲ 1라운드 진출 |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2013년 대회에 이어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참조
[1]
웹사이트
Masakåda dominate Macau
https://archive.toda[...]
guampdn.com
2014-07-24
[2]
뉴스
2015东亚杯无意外武汉举办 日本支持中国申世界杯
http://sports.sina.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