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남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남자 경기는 대한민국 강릉시의 강릉 아이스하키 센터와 관동 하키 센터에서 개최되었다. 본선에는 총 12개국이 참가했으며, 개최국인 대한민국을 포함하여 2015년 IIHF 세계 랭킹 상위 8개국, 그리고 최종 예선 토너먼트를 통과한 3개국이 출전했다.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가 독일을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으며, 독일은 은메달, 캐나다는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여자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여자 종목은 8개국이 참가하여 강릉의 두 경기장에서 치러졌으며, 미국이 금메달, 핀란드가 동메달을 획득했고, 대한민국은 남북 단일팀으로 참가했으며, 러시아 도핑 스캔들로 일부 러시아 선수들은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자격으로 출전했다. - 올림픽 아이스하키에 관한 -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는 남자부에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여자부에서 미국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여자 아이스하키에서는 대한민국과 북한 단일팀 구성, 남자 아이스하키에서는 NHL 선수 불참으로 주목을 받았다. - 올림픽 아이스하키에 관한 - 193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1936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는 독일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에서 개최되었으며, 영국이 캐나다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고, 선수 자격 논란 등의 이슈가 있었으며, 최종 순위는 영국, 캐나다, 미국, 체코슬로바키아 순으로 결정되었다. - 2018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2018년 동계 올림픽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 참가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선수단은 총 22명으로 구성되어 쇼트트랙, 알파인스키, 크로스컨트리, 피겨스케이팅 등의 종목에 참가했으며, 여자 아이스하키는 대한민국과 남북 단일팀으로 출전하여 메달 획득에는 실패했으나 남북 관계 개선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2018년 동계 올림픽에 관한 - 평창군
평창군은 대한민국 강원특별자치도 중남부에 위치하며, 84%가 산악 지형인 고랭지대로 밭농사와 고랭지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온난하계 습윤 기후를 보이며, 동계 올림픽 등 주요 국제 스포츠 대회를 개최한 곳이다.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남자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정보 | |
대회 명칭 | 동계 올림픽 |
연도 | 2018년 |
이미지 크기 | 100px |
개최국 | 대한민국 |
개최 기간 | 2월 14일–25일 |
참가 팀 수 | 12 |
경기장 수 | 2 |
개최 도시 | 강릉 |
종목 유형 | 아이스하키 |
이전 대회 | 2014년 |
다음 대회 | 2022년 |
결과 | |
우승 | OAR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우승 횟수 | 1 |
준우승 | 독일 |
3위 | 캐나다 |
4위 | 체코 |
통계 | |
총 경기 수 | 30 |
총 득점 수 | 154 |
총 관람객 수 | 164,603 |
득점 선두 | OAR 니키타 구세프 |
득점 선두 점수 | 12 |
최우수 선수 | OAR 일리야 코발추크 |
관련 정보 | |
![]() | |
![]() | |
경기장 | 강릉 하키 센터, 관동 하키 센터 |
참가 선수 | 300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개최 도시는 빙상경기가 열리는 강릉시이며, 강릉 아이스하키 센터와 관동 하키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2. 1. 경기장 목록
개최 도시는 빙상경기가 열리는 강릉시이며, 강릉 아이스하키 센터와 관동 하키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캐나다, 러시아, 스웨덴, 핀란드, 미국, 체코, 스위스, 슬로바키아는 2015년 IIHF 세계 랭킹에서 상위 8개 팀으로 예선에 진출했다.
3. 지역 예선
대한민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예선에 진출했다. 경쟁력 있는 팀을 구성하기 위해 대한민국 정부는 한국 리그에서 뛰는 미국인 1명과 캐나다인 아이스하키 선수 6명에게 복수 국적을 부여하여 국가대표팀 자격을 부여했다.[11] 나머지 세 팀은 예선 토너먼트에서 진출했다.
3. 1. 본선 진출국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남자 종목 본선에는 총 12개국이 참가했다. 대한민국은 개최국 자격으로 자동 진출하였다.[22][12] 2015년 IIHF 세계 랭킹 상위 8개국인 캐나다, 러시아, 스웨덴, 핀란드, 미국, 체코, 스위스, 슬로바키아도 자동 진출했다.[23][13] 나머지 3개국은 최종 예선 토너먼트를 통해 결정되었는데, 벨라루스 민스크에서 슬로베니아, 라트비아 리가에서 독일,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노르웨이가 각각 진출권을 획득했다.
2015년 IIHF 세계 랭킹은 2012년부터 2015년까지의 세계 선수권 대회와 2014년 동계 올림픽 성적을 종합하여 산정되었다.[13]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는 체코 프라하와 오스트라바에서 개최되었다.[13] 한편, 2017년 12월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는 러시아의 도핑 스캔들을 이유로 러시아의 올림픽 참가를 금지했으나, 도핑 테스트를 통과한 선수들은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자격으로 참가할 수 있었다.[14]
대회 | 일정 | 개최 장소 | 진출권 | 진출국 |
---|---|---|---|---|
개최국 | 2014년 9월 19일[22] | 테네리페 | 1 | 대한민국 |
2015년 IIHF 세계 랭킹 | 2012년 4월 2일 - 2015년 5월 17일 | 프라하, 오스트라바 | 8[23] | 캐나다, 러시아, 스웨덴, 핀란드, 미국, 체코, 스위스, 슬로바키아 |
최종 예선 토너먼트 | 2016년 9월 1일-4일 | 민스크 | 1 | 슬로베니아 |
최종 예선 토너먼트 | 2016년 9월 1일-4일 | 리가 | 1 | 독일 |
최종 예선 토너먼트 | 2016년 9월 1일-4일 | 오슬로 | 1 | 노르웨이 |
합계 | 12 |
3. 2. 대한민국 대표팀 구성의 특징
4. 선수 명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5. 심판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남자 토너먼트에는 14명의 심판과 14명의 선심이 배정되었다.[15]
심판 | 선심 |
---|---|
| |
6. 조별 리그
{{#invoke:Sports table|main|style=WL OT
|update=complete |section=A조
|source=[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900_76A_17_0.pdf IIHF]
|team1=CZE |team2=CAN |team3=SUI |team4=KOR
|win_CAN=2 |OTwin_CAN=0 |OTloss_CAN=1 |loss_CAN=0 |gf_CAN=11|ga_CAN=4
|win_CZE=2 |OTwin_CZE=1 |OTloss_CZE=0 |loss_CZE=0 |gf_CZE=9 |ga_CZE=4
|win_SUI=1 |OTwin_SUI=0 |OTloss_SUI=0 |loss_SUI=2 |gf_SUI=10|ga_SUI=9
|win_KOR=0 |OTwin_KOR=0 |OTloss_KOR=0 |loss_KOR=3 |gf_KOR=1 |ga_KOR=14|status_KOR=H
|name_CAN=
|name_CZE=
|name_SUI=
|name_KOR=
|result1=S |result2=S |result3=Q |result4=Q
|res_col_header=Q
|col_S=green1 |text_S=8강
|col_Q=yellow1 |text_Q=예선 플레이오프
}}
'''A조'''
{{아이스하키 경기 정보
| 배경 =
| 날짜 = 2018년 2월 15일
| 시간 = 21:10
| 팀1 = ''''''
| 팀2 =
| 점수 = 2–1
| 피리어드 = (2–1, 0–0, 0–0)
| 참조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A01_74_3_0.pdf
| 골리1 = 파벨 프랑코우즈
| 골리2 = 맷 달튼
| 진행 = 0–1 / 1–1 / 2–1
| 골1 = 얀 코바르지 (레피크, 세카치) (PP) – 11:59 / 레피크 (비르네르, 프랑코우즈) (SH) – 16:18
| 골2 = 07:34 – 조민호 (라둔스케, 스위프트)
| 심판 = 마크 레멜린
| 부심2 = 리누스 외룬드
| 선심1 = 헨리크 피블라드
| 선심2 = 사카리 수오미넨
| 경기장 = 강릉 하키 센터, 평창
| 관중 = 6,025
| 페널티1 = 8
| 페널티2 = 6
| 슛1 = 40
| 슛2 = 18
}}
{{아이스하키 경기 정보
| 배경 =
| 날짜 = 2018년 2월 17일
| 시간 = 16:40
| 팀1 =
| 팀2 = ''''''
| 점수 = 0–8
| 피리어드 = (0–1, 0–2, 0–5)
| 참조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A04_74_3_0.pdf
| 골리1 = 맷 달튼
박성제
| 골리2 = 요나스 힐러
| 진행 = 0–1 / 0–2 / 0–3 / 0–4 / 0–5 / 0–6 / 0–7 / 0–8
| 골1 =
| 골2 = 10:23 – 홀렌슈타인 (하스, 로플) / 27:36 – 뒤 부아 / 35:55 – 수터 (헤르초그) / 43:50 – 뤼페나흐트 (운터잔더, 알몬드) / 45:17 – 수터 (암뷜, 모저) / 46:45 – 셰피 (알몬드, 게링) / 51:24 – 수터 (게링, 암뷜) / 55:10 – 코르비 (호프만, 뒤 부아)
| 심판 = 얀 흐르비크
| 부심2 = 알렉시 란탈라
| 선심1 = 미로슬라프 흐로츠키
| 선심2 = 프레이저 매킨타이어
| 경기장 = 강릉 하키 센터, 평창
| 관중 = 6,568
| 페널티1 = 8
| 페널티2 = 10
| 슛1 = 25
| 슛2 = 34
}}
{{아이스하키 경기 정보
| 배경 =
| 날짜 = 2018년 2월 18일
| 시간 = 21:10
| 팀1 = ''''''
| 팀2 =
| 점수 = 4–0
| 피리어드 = (1–0, 1–0, 2–0)
| 참조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A06_74_3_1.pdf
| 골리1 = 케빈 폴린
| 골리2 = 맷 달튼
| 진행 = 1–0 / 2–0 / 3–0 / 4–0
| 골1 = 토마스 (제노웨이, 볼스키) – 07:36 / 오델 (그라니니, 노로) – 34:22 / 라피에르 (로이) – 45:43 / 브룰레 (리, 로이) (PP) – 58:02
| 골2 =
| 심판 = 요제프 쿠부스
| 부심2 = 다니엘 스트리커
| 선심1 = 니콜라스 플루리
| 선심2 = 비트 레데레르
| 경기장 = 강릉 하키 센터, 강릉
| 관중 = 6,038
| 페널티1 = 8
| 페널티2 = 8
| 슛1 = 49
| 슛2 = 19
}}
{{#invoke:Sports table|main|style=WL OT
|update=complete |section=B조
|source=[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900_76A_17_0.pdf IIHF]
|team1=OAR |team2=SLO |team3=USA |team4=SVK
|승리_OAR=2 |연장승리_OAR=0 |연장패_OAR=0 |패배_OAR=1 |득점_OAR=14|실점_OAR=5
|승리_USA=1 |연장승리_USA=0 |연장패_USA=1 |패배_USA=1 |득점_USA=4 |실점_USA=8
|승리_SVK=1 |연장승리_SVK=0 |연장패_SVK=1 |패배_SVK=1 |득점_SVK=6 |실점_SVK=7
|승리_SLO=0 |연장승리_SLO=2 |연장패_SLO=0 |패배_SLO=1 |득점_SLO=8 |실점_SLO=12
|hth_SLO=슬로베니아 4점; 미국 4점; 슬로바키아 1점. 슬로베니아는 연장전에서 미국을 3–2로 이겼다.
|hth_USA=SLO
|hth_SVK=SLO
|이름_OAR=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이름_USA=
|이름_SVK=
|이름_SLO=
|결과1=S |결과2=Q |결과3=Q |결과4=Q
|res_col_header=Q
|col_S=green1 |text_S=8강전
|col_P=blue1 |text_P=가능한 8강전
|col_Q=yellow1 |text_Q=예선 플레이오프
}}
'''B조'''
{{아이스하키 박스
| 배경 =
| 날짜 = 2018년 2월 14일
| 시간 = 21:10
| 팀1 = ''''''
| 팀2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점수 = 3–2
| 기간 = (2–2, 0–0, 1–0)
| 참조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B01_74_4_1.pdf
| 골키퍼1 = 브라니슬라프 콘라드
| 골키퍼2 = 바실리 코세치킨
| 진행 상황 = 0–1 / 0–2 / 1–2 / 2–2 / 3–2
| 골1 = 올베츠키 (그라냑) – 16:05 / 바코스 – 17:55 / 체레슈냐크 (하슈차크, 바코스) (PP) – 48:30
| 골2 = 02:54 – 가브리코프 (보이노프, 시로코프) / 04:08 – 카프리조프 (구세프, 가브리코프)
| 심판 = 브렛 이버슨
| 부심 = 알렉시 란탈라
| 선심 = 비트 레데르
| 선심2 = 네이선 바노스텐
| 경기장 = 강릉 아이스하키 센터, 평창
| 관중 = 4,025
| 페널티1 = 12
| 페널티2 = 10
| 슛1 = 19
| 슛2 = 22
}}
{{아이스하키 박스
| 배경 =
| 날짜 = 2018년 2월 14일
| 시간 = 21:10
| 팀1 =
| 팀2 = ''''''
| 점수 = 2–3
| 기간 = (1–0, 1–0, 0–2)
(연장전 0–1)
| 참조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B02_74_4_0.pdf
| 골키퍼1 = 라이언 자폴스키
| 골키퍼2 = 가스페르 크로셸
| 진행 상황 = 1–0 / 2–0 / 2–1 / 2–2 / 2–3
| 골1 = 오닐 (로, 도나토) – 17:44 / 그린웨이 (오닐, 산구이네티) – 32:57
| 골2 = 45:49 – 우르바스 (그레고르츠, 비드마르) / 58:23 – 무르샤크 (그레고르츠, 베르리치) / 60:38 – 무르샤크 (티차르, 우르바스)
| 심판 = 얀 흐리비크
| 부심 = 안시 살로넨
| 선심 = 로만 카데를리
| 선심2 = 루카스 콜뮬러
| 경기장 = 관동 하키 센터, 평창
| 관중 = 3,348
| 페널티1 = 6
| 페널티2 = 6
| 슛1 = 36
| 슛2 = 25
}}
{{아이스하키 박스
| 배경 =
| 날짜 = 2018년 2월 16일
| 시간 = 12:10
| 팀1 = ''''''
| 팀2 =
| 점수 = 2–1
| 기간 = (1–1, 0–0, 1–0)
| 참조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B03_74_3_0.pdf
| 골키퍼1 = 라이언 자폴스키
| 골키퍼2 = 얀 라코
| 진행 상황 = 1–0 / 1–1 / 2–1
| 골1 = 도나토 (테리, 부르크) (PP) – 07:10 / 도나토 (아르코벨로, 부르크) (PP) – 42:51
| 골2 = 07:35 – 쿠드르나 (수로비, 차이코프스키)
| 심판 = 올리비에 구앵
| 부심 = 토비아스 베를리
| 선심 = 니콜라스 플루리
| 선심2 = 알렉산더 오트마코프
| 경기장 = 강릉 아이스하키 센터, 평창
| 관중 = 5,652
| 페널티1 = 4
| 페널티2 = 10
| 슛1 = 31
| 슛2 = 22
}}
{{아이스하키 박스
| 배경 =
| 날짜 = 2018년 2월 16일
| 시간 = 16:40
| 팀1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 팀2 =
| 점수 = 8–2
| 기간 = (2–0, 4–1, 2–1)
| 참조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B04_74_3_1.pdf
| 골키퍼1 = 바실리 코세치킨
일리야 소로킨
| 골키퍼2 = 루카 그라치나르
| 진행 상황 = 1–0 / 2–0 / 3–0 / 4–0 / 5–0 / 5–1 / 6–1 / 7–1 / 8–1 / 8–2
| 골1 = 모자킨 (다추크, 구세프) (PP) – 18:23 / 코발추크 (야코블레프, 안드로노프) – 18:45 / 바라바노프 (그리고렌코, 칼리닌) (PP) – 26:00 / 카블류코프 (코발추크, 줍) – 28:48 / 카프리조프 (구세프, 키세레비치) – 30:02 / 코발추크 (칼리닌, 안드로노프) – 37:16 / 카프리조프 (다추크, 키세레비치) – 41:15 / 카프리조프 (줍, 구세프) – 47:12
| 골2 = 33:31 – 무르샤크 (베르리치, 쿠랄트) / 59:27 – 판세
| 심판 = 마크 레멜린
| 부심 = 다니엘 슈트리커
| 선심 = 루카스 콜뮬러
| 선심2 = 한누 소르무넨
| 경기장 = 강릉 아이스하키 센터, 평창
| 관중 = 6,018
| 페널티1 = 8
| 페널티2 = 6
| 슛1 = 34
| 슛2 = 15
}}
{{아이스하키 박스
| 배경 =
| 날짜 = 2018년 2월 17일
| 시간 = 21:10
| 팀1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 팀2 =
| 점수 = 4–0
| 기간 = (1–0, 2–0, 1–0)
| 참조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B05_74_3_0.pdf
| 골키퍼1 = 바실리 코세치킨
| 골키퍼2 = 라이언 자폴스키
| 진행 상황 = 1–0 / 2–0 / 3–0 / 4–0
| 골1 = 프로코르킨 (모자킨, 바라바노프) – 07:21 / 프로코르킨 (시로코프, 모자킨) – 22:14 / 코발추크 (안드로노프) – 39:59 / 코발추크 (보이노프, 안드로노프) – 40:28
| 골2 =
| 심판 = 요제프 쿠부스
| 부심 = 리누스 외룬드
| 선심 = 비트 레데르
| 선심2 = 니콜라스 플루리
| 경기장 = 강릉 아이스하키 센터, 평창
| 관중 = 6,473
| 페널티1 = 10
| 페널티2 = 10
| 슛1 = 26
| 슛2 = 29
}}
{{아이스하키 박스
| 배경 =
| 날짜 = 2018년 2월 17일
| 시간 = 21:10
| 팀1 = ''''''
| 팀2 =
| 점수 = 3–2
| 기간 = (0–0, 2–1, 0–1)
(연장전: 0–0)
(승부샷: 1–0)
| 참조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B06_74_5_0.pdf
| 골키퍼1 = 가스페르 크로셸
| 골키퍼2 = 브라니슬라프 콘라드
| 진행 상황 = 1–0 / 2–0 / 2–1 / 2–2
| 골1 = 그레고르츠 (무르샤크, 쿠랄트) (PP) – 21:00 / 쿠랄트 (무르샤크, 그레고르츠) (PP) – 24:16
| 골2 = 35:43 – 부베라 (체레슈냐크, 그라냑) (PP) / 45:56 – 하슈차크 (그라냑, 체레슈냐크)
| 승부샷1 = 티차르 / 우르바스 / 무르샤크 / 사볼리치 / 예글리치
| 승부샷2 = 쿠드르나 / 올베츠키 / 바코스 / 너지 / 하슈차크
| 심판 = 안토닌 예르라베크
| 부심 = 티모시 마이어
| 선심 = 한누 소르무넨
| 선심2 = 사카리 수오미넨
| 경기장 = 관동 하키 센터, 평창
| 관중 = 4,085
| 페널티1 = 4
| 페널티2 = 8
| 슛1 = 30
| 슛2 = 25
}}
{{#invoke:Sports table|main|style=WL OT
|update=complete |section=C조
|source=[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900_76A_17_0.pdf IIHF]
|team1=SWE |team2=FIN |team3=GER |team4=NOR
|win_SWE=3 |OTwin_SWE=0 |OTloss_SWE=0 |loss_SWE=0 |gf_SWE=8 |ga_SWE=1
|win_FIN=2 |OTwin_FIN=0 |OTloss_FIN=0 |loss_FIN=1 |gf_FIN=11|ga_FIN=6
|win_NOR=0 |OTwin_NOR=0 |OTloss_NOR=1 |loss_NOR=2 |gf_NOR=2 |ga_NOR=11
|win_GER=0 |OTwin_GER=1 |OTloss_GER=0 |loss_GER=2 |gf_GER=4 |ga_GER=7
|name_SWE=
|name_FIN=
|name_NOR=
|name_GER=
|result1=S |result2=Q |result3=Q |result4=Q
|res_col_header=Q
|col_S=green1 |text_S=8강
|col_P=blue1 |text_P=가능한 8강
|col_Q=yellow1 |text_Q=예선 플레이오프
}}
'''C조'''
{{아이스하키 경기 정보
| bg =
| date = 2018년 2월 15일
| time = 12:10
| team1 = ''''''
| team2 =
| score = 5–2
| periods = (2–1, 2–0, 1–1)
| reference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C01_74_3_0.pdf
| goalie1 = 미코 코스키넨
| goalie2 = 대니 아우스 덴 비르켄
| progression = 1–0 / 1–1 / 2–1 / 3–1 / 4–1 / 4–2 / 5–2
| goals1 = 레피스토 (콘티올라, 톨바넨) (PP) – 03:13 / 퓌뢰래 (라유넨, 만니넨) – 15:30 / 톨바넨 (하르티카이넨, 켐파이넨) (PP) – 37:22 / 쿠코넨 (콘티올라, 톨바넨) – 38:43 / 켐파이넨 (톨바넨, 레피스토) (PP) – 52:48
| goals2 = 08:44 – 마첵 (에르호프, 볼프) (PP) / 41:51 – 횔들러
| official = 올리버 고윈
| official2 = 요제프 쿠부시
| linesman = 니콜라스 플루리
| linesman2 = 미로슬라프 롯스키
| stadium = 강릉 하키 센터, 강릉시
| attendance = 3,695
| penalties1 = 10
| penalties2 = 10
| shots1 = 20
| shots2 = 24
}}
{{아이스하키 경기 정보
| bg =
| date = 2018년 2월 15일
| time = 16:40
| team1 =
| team2 = ''''''
| score = 0–4
| periods = (0–2, 0–0, 0–2)
| reference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C02_74_3_0.pdf
| goalie1 = 라르스 하우겐
| goalie2 = 빅토르 파스트
| progression = 0–1 / 0–2 / 0–3 / 0–4
| goals1 =
| goals2 = 05:29 – 린드홀름 (오마크, 묄러) / 16:46 – 란데르 (베르틸손) / 48:42 – 에버베르그 (오마크, 프란손) / 49:04 – 빅스트란 (오마크, 에버베르그)
| official = 로만 고프만
| official2 = 토비아스 베를리
| linesman = 글렙 라자레프
| linesman2 = 저드슨 리터
| stadium = 강릉 하키 센터, 강릉시
| attendance = 3,961
| penalties1 = 14
| penalties2 = 12
| shots1 = 17
| shots2 = 27
}}
{{아이스하키 경기 정보
| bg =
| date = 2018년 2월 16일
| time = 21:10
| team1 = ''''''
| team2 =
| score = 5–1
| periods = (1–1, 1–0, 3–0)
| reference = https://stats.iihf.com/Hydra/410/IHM400C03_74_3_0.pdf
| goalie1 = 미코 코스키넨
| goalie2 = 라르스 하우겐
| progression = 0–1 / 1–1 / 2–1 / 3–1 / 4–1 / 5–1
| goals1 = 톨바넨 (레피스토) (PP) – 16:36 / 톨바넨 (
6. 1. 대한민국 경기 결과 (A조)
대한민국은 2018년 2월 15일에 강릉 하키 센터에서 열린 체코와의 첫 경기에서 1-2로 패배했다. 7분 34초에 조민호가 라둔스케와 스위프트의 도움을 받아 선제골을 기록했으나, 11분 59초에 코바르지에게 동점골을, 16분 18초에 레피크에게 역전골을 허용했다.2월 17일 강릉 하키 센터에서 열린 스위스와의 두 번째 경기에서는 0-8로 대패했다. 대한민국은 힐러가 골리로 나선 스위스를 상대로 한 골도 기록하지 못하고, 홀렌슈타인에게 선제골, 뒤 부아와 수터에게 각각 추가 실점을 허용했다. 이후 뤼페나흐트, 셰피, 코르비에게 연이어 골을 허용하며 무너졌다.
2월 18일 강릉 하키 센터에서 열린 캐나다와의 마지막 경기에서는 0-4로 패배했다. 폴린이 골리로 나선 캐나다를 상대로 대한민국은 한 골도 넣지 못했다. 토마스에게 선제골, 오델에게 추가 실점을 허용했고, 라피에르와 브룰레에게 연달아 골을 허용하며 경기를 마무리했다.
대한민국은 A조에서 3전 전패, 1득점 14실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하며 예선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7. 결선 토너먼트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남자부 플레이오프는 2월 20일에 진행되었다. 4개 최고 랭킹 팀은 8강전에 직행했고, 나머지 8개 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팀들은 예선 라운드 순위에 따라 최종 순위 9위에서 12위를 기록했다.
2018년 2월 21일에 8강전 4경기가 진행되었다. 체코와 미국,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OAR)과 노르웨이, 캐나다와 핀란드, 스웨덴과 독일이 각각 맞붙었다.
체코는 미국과의 경기에서 1, 2피리어드에 각각 1골씩 주고받아 2-2 동점이 되었고, 승부샷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했다.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은 노르웨이를 상대로 1피리어드에 3골, 2피리어드에 2골, 3피리어드에 1골을 넣어 6-1로 대승을 거두었다.
캐나다는 핀란드와의 경기에서 3피리어드에 터진 노로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스웨덴과 독일의 경기는 3피리어드까지 3-3 동점으로 연장에 돌입했고, 라이머가 결승골을 넣어 독일이 4-3으로 승리했다.
8강전에서 승리한 팀들은 F1부터 F4까지 재 랭킹되었으며, 패배한 팀들은 예선 라운드 랭킹에 따라 최종 순위 5위부터 8위를 기록했다.
일시 | 1 | 2 | 3 | 연장 | 승부샷 | 최종 | 경기장 |
---|---|---|---|---|---|---|---|
2월 21일 12:10 | 3–2 | (1–1, 1–1, 0–0) | 0-0 | 1-0 | 강릉 하키 센터, 평창 | ||
2월 21일 16:40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6–1 | (3–0, 2–1, 1–0) | 강릉 하키 센터, 평창 | |||
2월 21일 21:10 | 1–0 | (0–0, 0–0, 1–0) | 강릉 하키 센터, 평창 | ||||
2월 21일 21:10 | 3–4 | (0–2, 0–0, 3–1) | 0-1 | 관동 하키 센터, 평창 |
2018년 2월 23일,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는 강릉 하키 센터에서 열린 체코와의 준결승전에서 3-0으로 승리했다. 구세프와 가브리코프가 각각 득점했고, 코발추크는 빈 골문에 쐐기골을 넣었다.
같은 날, 독일은 캐나다를 4-3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독일은 마첵, 플라흐타, 마우어, 하거의 득점에 힘입어 승리했다. 캐나다는 브룰레, 로빈슨, 로이가 득점했지만, 경기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2018년 2월 24일 강릉 하키 센터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캐나다가 체코를 6-4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캐나다는 1피리어드에 3골, 3피리어드에 3골을 넣으며 체코를 제압했다. 체코는 1피리어드와 3피리어드에 각각 1골과 3골을 넣으며 추격했지만,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
2018년 2월 25일 13시 10분(KST) 강릉 아이스하키 센터에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OAR)와 독일의 금메달 결정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는 연장전 끝에 독일을 4-3으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
1피리어드 종료 직전, 보이노프가 구세프와 카프리조프의 도움을 받아 선제골을 넣으며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이 1-0으로 앞서나갔다. 2피리어드에서는 쉴츠가 마첵과 하거의 도움으로 동점골을 만들어 1-1 동점을 만들었다.
3피리어드에서는 난타전이 이어졌다. 구세프가 카프리조프와 다추크의 도움으로 추가골을 기록했으나, 곧바로 카훈이 마우어와 엘리츠의 도움을 받아 다시 동점을 만들었다. 이어 요나스 뮐러가 엘리츠와 뢰르들러의 도움으로 역전골을 성공시키며 독일이 경기를 뒤집었다. 그러나 경기 종료 직전 구세프가 주브와 카프리조프의 도움으로 극적인 동점골을 넣으며 승부를 연장으로 끌고 갔다.
연장전에서는 카프리조프가 구세프와 보이노프의 도움으로 결승골을 기록하며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이 최종 스코어 4-3으로 승리했다.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의 골리 바실리 코셰치킨과 독일의 골리 대니 아우스 덴 비르켄이 각각 선방했다. 주심은 미국의 마크 레멜린과 핀란드의 알렉시 란탈라가 맡았으며, 선심은 스웨덴의 지미 다멘과 핀란드의 사카리 수오미넨이 담당했다. 이날 경기에는 5,075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7. 1. 플레이오프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남자부 플레이오프는 2월 20일에 진행되었다. 4개 최고 랭킹 팀은 8강전에 직행했고, 나머지 8개 팀이 플레이오프를 치렀다.플레이오프에서 패배한 팀들은 예선 라운드 순위에 따라 최종 순위 9위에서 12위를 기록했다.
7. 2. 8강전
2018년 2월 21일에 8강전 4경기가 진행되었다. 체코와 미국,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OAR)과 노르웨이, 캐나다와 핀란드, 스웨덴과 독일이 각각 맞붙었다.체코는 미국과의 경기에서 1, 2피리어드에 각각 1골씩 주고받아 2-2 동점이 되었고, 연장전과 승부샷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리했다.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은 노르웨이를 상대로 1피리어드에 3골, 2피리어드에 2골, 3피리어드에 1골을 넣어 6-1로 대승을 거두었다.
캐나다는 핀란드와의 경기에서 3피리어드에 터진 노로의 결승골에 힘입어 1-0으로 승리했다. 스웨덴과 독일의 경기는 3피리어드까지 3-3 동점으로 연장에 돌입했고, 라이머가 결승골을 넣어 독일이 4-3으로 승리했다.
8강전에서 승리한 팀들은 F1부터 F4까지 재 랭킹되었으며, 패배한 팀들은 예선 라운드 랭킹에 따라 최종 순위 5위부터 8위를 기록했다.
일시 | 1 | 2 | 3 | 연장 | 승부샷 | 최종 | 경기장 |
---|---|---|---|---|---|---|---|
2월 21일 12:10 | 3–2 | (1–1, 1–1, 0–0) | 0-0 | 1-0 | 강릉 하키 센터, 평창 | ||
2월 21일 16:40 |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 6–1 | (3–0, 2–1, 1–0) | 강릉 하키 센터, 평창 | |||
2월 21일 21:10 | 1–0 | (0–0, 0–0, 1–0) | 강릉 하키 센터, 평창 | ||||
2월 21일 21:10 | 3–4 | (0–2, 0–0, 3–1) | 0-1 | 관동 하키 센터, 평창 |
7. 3. 준결승전
2018년 2월 23일,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는 강릉 하키 센터에서 열린 체코와의 준결승전에서 3-0으로 승리했다. 구세프와 가브리코프가 각각 득점했고, 코발추크는 빈 골문에 쐐기골을 넣었다.같은 날, 독일은 캐나다를 4-3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 독일은 마첵, 플라흐타, 마우어, 하거의 득점에 힘입어 승리했다. 캐나다는 브룰레, 로빈슨, 로이가 득점했지만, 경기를 뒤집기에는 역부족이었다.
7. 4. 동메달 결정전
2018년 2월 24일 강릉 하키 센터에서 열린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캐나다가 체코를 6-4로 꺾고 동메달을 차지했다. 캐나다는 1피리어드에 3골, 3피리어드에 3골을 넣으며 체코를 제압했다. 체코는 1피리어드와 3피리어드에 각각 1골과 3골을 넣으며 추격했지만, 경기를 뒤집지는 못했다.7. 5. 금메달 결정전
2018년 2월 25일 13시 10분(KST) 강릉 아이스하키 센터에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 (OAR)와 독일의 금메달 결정전 경기가 열렸다. 이 경기에서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는 연장전 끝에 독일을 4-3으로 꺾고 금메달을 차지했다.1피리어드 종료 직전, 보이노프가 구세프와 카프리조프의 도움을 받아 선제골을 넣으며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이 1-0으로 앞서나갔다. 2피리어드에서는 쉴츠가 마첵과 하거의 도움으로 동점골을 만들어 1-1 동점을 만들었다.
3피리어드에서는 난타전이 이어졌다. 구세프가 카프리조프와 다추크의 도움으로 추가골을 기록했으나, 곧바로 카훈이 마우어와 엘리츠의 도움을 받아 다시 동점을 만들었다. 이어 요나스 뮐러가 엘리츠와 뢰르들러의 도움으로 역전골을 성공시키며 독일이 경기를 뒤집었다. 그러나 경기 종료 직전 구세프가 주브와 카프리조프의 도움으로 극적인 동점골을 넣으며 승부를 연장으로 끌고 갔다.
연장전에서는 카프리조프가 구세프와 보이노프의 도움으로 결승골을 기록하며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이 최종 스코어 4-3으로 승리했다.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단의 골리 바실리 코셰치킨과 독일의 골리 대니 아우스 덴 비르켄이 각각 선방했다. 주심은 미국의 마크 레멜린과 핀란드의 알렉시 란탈라가 맡았으며, 선심은 스웨덴의 지미 다멘과 핀란드의 사카리 수오미넨이 담당했다. 이날 경기에는 5,075명의 관중이 입장했다.
8. 최종 순위
9. 기록
2018년 동계 올림픽 아이스하키 남자부 경기에 참여한 선수들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선수 | GP | G | A | Pts | +/− | PIM | POS |
---|---|---|---|---|---|---|---|
니키타 구세프 | 6 | 4 | 8 | 12 | +7 | 4 | F |
키릴 카프리조프 | 6 | 5 | 4 | 9 | +7 | 2 | F |
엘리 톨바넨 | 5 | 3 | 6 | 9 | +1 | 4 | F |
일리야 코발추크 | 6 | 5 | 2 | 7 | +5 | 4 | F |
파트리크 하거 | 7 | 3 | 4 | 7 | –3 | 4 | F |
막심 노로 | 6 | 2 | 5 | 7 | +3 | 0 | D |
데릭 로이 | 6 | 2 | 5 | 7 | –2 | 8 | F |
리누스 오마르크 | 4 | 0 | 7 | 7 | +6 | 0 | F |
라이언 도네이토 | 5 | 5 | 1 | 6 | –1 | 2 | F |
얀 무르샤크 | 4 | 3 | 3 | 6 | –1 | 0 | F |
GP = 경기 수, G = 골, A = 어시스트, Pts = 포인트, +/− = 플러스/마이너스, PIM = 총 퇴장 시간, POS = 포지션
선수 | TOI | GA | GAA | SA | Sv% | SO |
---|---|---|---|---|---|---|
요나스 힐러 | 211:19 | 4 | 1.14 | 91 | 95.60 | 1 |
바실리 코셰치킨 | 348:08 | 8 | 1.38 | 126 | 93.65 | 2 |
미코 코스키넨 | 296:38 | 8 | 1.62 | 117 | 93.16 | 0 |
가슈페르 크로셸 | 188:44 | 6 | 1.91 | 87 | 93.10 | 0 |
벤 스크리븐스 | 149:17 | 4 | 1.61 | 56 | 92.86 | 0 |
TOI = 경기 출장 시간 (분:초), SA = 슛 개수, GA = 허용 골 개수, GAA = 경기 당 실점률, Sv% = 방어율, SO = 슛아웃
득점 순위는 포인트, 골 순으로 정렬되었다. 세이브 성공률을 기준으로 상위 5명의 골키퍼가 목록에 포함되었다.
10. 수상
- 올스타팀
- * 골텐더: 바실리 코셰치킨/바실리 코셰치킨ru
- * 수비수: 막심 노로, 뱌체슬라프 보이노프/뱌체슬라프 보이노프ru
- * 공격수: 일리야 코발추크/일리야 코발추크ru, 파벨 다추크/파벨 다추크ru, 엘리 톨바넨
- 최우수 선수: 일리야 코발추크/일리야 코발추크ru
- 포지션별 최우수 선수:
- * 최우수 골텐더: 다니 아우스 벤 비르켄
- * 최우수 수비수: 뱌체슬라프 보이노프/뱌체슬라프 보이노프ru
- * 최우수 공격수 니키타 구세프/니키타 구세프ru
- 미디어 올스타[17]
- *골텐더: 바실리 코셰치킨/바실리 코셰치킨ru
- *수비수: 막심 노로, 뱌체슬라프 보이노프/뱌체슬라프 보이노프ru
- *포워드: 일리야 코발추크/일리야 코발추크ru, 파벨 다추크/파벨 다추크ru, 엘리 톨바넨
- 최우수 선수: 일리야 코발추크/일리야 코발추크ru
- 감독자 선정 베스트 선수:
- *최우수 골텐더: 대니 아우스 덴 비르켄
- *최우수 수비수: 뱌체슬라프 보이노프/뱌체슬라프 보이노프ru
- *최우수 포워드: 니키타 구세프/니키타 구세프ru
참조
[1]
웹사이트
Pyeongchang 2018 Russia 🇷🇺 schedule
https://www.pyeongch[...]
Pyeongchang2018.com
2017-09-14
[2]
웹사이트
Canada tops World Ranking
http://www.iihfworld[...]
2015-05-17
[3]
웹사이트
NHL will not participate in 2018 Pyeongchang Olympic Games
http://www.sportsnet[...]
Rogers Media
2017-04-03
[4]
뉴스
Capitals' Ovechkin says Olympic decision out of his hands
https://apnews.com/1[...]
Associated Press
2017-09-15
[5]
웹사이트
KHL 2017/2018 Scores - Hockey Russia Live
https://www.icehocke[...]
[6]
웹사이트
Ice Hockey 24: SHL 2017/2018 Fixtures
https://www.icehocke[...]
[7]
웹사이트
National League 2017/2018 Scores - Hockey Switzerland Live
https://www.icehocke[...]
[8]
웹사이트
DEL 2017/2018 Scores - Hockey Live
https://www.icehocke[...]
[9]
웹사이트
Ice Hockey 24: Tipsport Liga 2017/2018 Fixtures
https://www.icehocke[...]
[10]
웹사이트
Ice Hockey 24: Liiga 2017/2018 Fixtures
https://www.icehocke[...]
[11]
문서
The American Immigrant: What is Colorado-born Mike Testwuide doing playing for South Korea’s hockey team in Pyeongchang?
https://www.theringe[...]
The Ringer
2018-02-07
[12]
웹사이트
Korea headed to the Olympics
http://www.iihf.com/[...]
2015-03-19
[13]
웹사이트
2018 Olympic Winter Games
http://www.iihf.com/[...]
2015-03-19
[14]
간행물
IOC suspends Russian NOC and creates a path for clean individual athletes to compete in Pyeongchang 2018 under the Olympic Flag
https://www.olympic.[...]
International Olympic Committee
2017-12-05
[15]
웹사이트
Information
http://pyeongchang20[...]
2018-02-09
[16]
웹사이트
Tournament Format
http://pyeongchang20[...]
IIHF.com
2018-02-17
[17]
웹사이트
Kovalchuk MVP
http://pyeongchang20[...]
2018-02-25
[18]
웹인용
Pyeongchang 2018 schedule
https://www.pyeongch[...]
Pyeongchang2018.com
2017-09-14
[19]
웹인용
Canada tops World Ranking
http://www.iihfworld[...]
2018-02-03
[20]
웹인용
NHL will not participate in 2018 Pyeongchang Olympic Games
http://www.sportsnet[...]
Rogers Media
2017-04-03
[21]
뉴스
Capitals’ Ovechkin says Olympic decision out of his hands
https://apnews.com/1[...]
Associated Press
2017-09-15
[22]
웹인용
Korea headed to the Olympics
http://www.iihf.com/[...]
IIHF.com
2015-03-19
[23]
웹인용
2018 Olympic Winter Games
http://www.iihf.com/[...]
IIHF.com
2015-03-19
[24]
웹인용
Kovalchuk MVP
http://pyeongchang20[...]
2018-02-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