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아시안 게임 e스포츠 리그 오브 레전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2년 아시안 게임 e스포츠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은 2023년 9월 25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었다. 총 15개국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결선 토너먼트 경기를 치렀으며, 대한민국이 결승에서 중화 타이베이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중국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2년 아시안 게임 e스포츠 - 2022년 아시안 게임 e스포츠 펜타스톰
2022년 아시안 게임 e스포츠 펜타스톰은 10개 팀이 참가하여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중국이 결승에서 말레이시아를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은 라이엇 게임즈가 주최하는 리그 오브 레전드 국제 대회로, 각 지역 리그 스프링 스플릿 우승팀들이 참가하여 세계 최강팀을 가리는 매년 개최되는 대회이며, 2024년에는 Gen.G가 우승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 - 리프트 라이벌즈 2018 - 레드 리프트
리프트 라이벌즈 2018 - 레드 리프트는 LPL, LCK, LMS 스프링 시즌 상위 3팀이 참가하여 풀 리그와 결승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 리그 오브 레전드 국제 대회로, 2018년 중국 다롄에서 개최되어 LPL이 우승, LCK가 준우승을 차지했다.
2022년 아시안 게임 e스포츠 리그 오브 레전드 | |
---|---|
개요 | |
종목 | e스포츠 리그 오브 레전드 |
대회 | 2022년 아시안 게임 |
경기장 | 항저우 e스포츠 센터 |
기간 | 2023년 9월 25일 – 29일 |
참가국 | 15개국 |
이전 대회 | 2018 |
세부 정보 | |
경기 종목 | 리그 오브 레전드 |
게임 | 리그 오브 레전드 |
날짜 | 2023년 9월 25일 – 29일 |
경기장 | 중국 항저우 항저우 e스포츠 센터 |
참가 팀 수 | 15 |
메달리스트 | |
금메달 | 서진혁 박재혁 정지훈 이상혁 류민석 최우제 |
금메달 국가 | KOR |
은메달 | 추준란 후숴지에 쉬스제 훙하오쉬안 추쯔촨 쑤자샹 추쯔촨 |
은메달 국가 | TPE |
동메달 | 천쩌빈 톈예 펑리쉰 자오리제 자오자하오 줘딩 |
동메달 국가 | CHN |
2. 일정
- '''조별 리그'''
- * A~B조: 2023년 9월 25일
- * C~D조: 2023년 9월 26일
- '''결선 토너먼트'''
- * 8강전: 2023년 9월 27일
- * 4강전: 2023년 9월 28일
- * 동메달 결정전: 2023년 9월 29일
- * 결승전: 2023년 9월 29일
3. 진행 방식
- '''조별 리그''' (단판제)
- 11개국이 참가한다. 3개국이 1개 조로 조 편성을 진행한다. 단, D조는 2개국으로 조를 구성한다. 싱글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한 국가는 총 2경기를 치른다. 단, D조의 국가는 총 1경기를 치른다. 각 조 1위는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 각 조 2~3위는 탈락한다.[1]
- '''결선 토너먼트''' (3판 2선승제)
- 8개국이 참가한다. 결선 토너먼트 자격으로 선발된 4개국과 조별 리그 각 조 1위 4개국이 참가한다. 8강전, 4강전, 동메달 결정전, 결승전 모두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 방식으로 경기를 치른다.[1]
4. 선발전
2022년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은 예선격 대회인 로드 투 아시안 게임 2022의 결과에 따라 일부 국가가 시드를 배정받아 결선 토너먼트나 조별 리그에서 경기를 시작했다.
4. 1. 선발 국가
2022년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부문에는 총 15개국이 참가하며, 4개국은 결선 토너먼트에서, 11개국은 조별 리그에서 경기를 시작한다.예선 대회인 로드 투 아시안 게임 2022에 참가했으나, 본선에 불참한 국가는 싱가포르, 필리핀(이상 1그룹), 요르단, 오만, 바레인(이상 2그룹), 스리랑카, 키르기스스탄(이상 3그룹)으로 7개국이다.
로드 투 아시안 게임 2022에 불참했으나, 본선에 참가한 국가는 대한민국, 일본, 몰디브, 아랍에미리트로 4개국이다.
조 추첨 직전에 기권한 국가는 쿠웨이트 1개국이다.
선발 구분 | 선발 기준 | 경기 장소 | 선발 규모 | 선발 국가 | |
---|---|---|---|---|---|
결선 토너먼트 (4개국) | 2022년 아시안 게임 개최국 | 해당없음 | 1 | 중화인민공화국[3] | |
예선(로드 투 아시안 게임 2022) | 동남아시아 (1그룹) | 해당없음 | 1 | 말레이시아 | |
서아시아 (2그룹) | 1 | 사우디아라비아 | |||
중앙 & 남아시아 (3그룹) | 1 | 인도 | |||
동아시아 (4그룹)[3] | 0 | 해당없음 | |||
조별 리그 (11개국) | 초청 | 해당없음 | 4 | 대한민국 | |
일본 | |||||
몰디브 | |||||
아랍에미리트 | |||||
예선(로드 투 아시안 게임 2022) | 동남아시아 (1그룹) | 해당없음 | 2 | 태국 | |
베트남 | |||||
서아시아 (2그룹) | 1 | ||||
팔레스타인 | |||||
중앙 & 남아시아 (3그룹) | 1 | 카자흐스탄 | |||
동아시아 (4그룹) | 3 | 중화 타이베이 | |||
홍콩 | |||||
마카오 |
5. 참가국 및 조 배정
2022년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에는 11개국이 참가했다. 참가국은 3개국으로 구성된 3개 조와 2개국으로 구성된 1개 조로 나뉘었다. 개최국인 중화인민공화국, 말레이시아, 인도, 사우디아라비아는 8강전에 직행하여 각 조 1위 팀과 대결했다.
결선 토너먼트 참가국 (4개국) | A조 (3개국) | B조 (3개국) | C조 (3개국) | D조 (2개국) |
---|---|---|---|---|
말레이시아 | 홍콩 | 일본 | 아랍에미리트 | 태국 |
사우디아라비아 | 대한민국 | 팔레스타인 | 중화 타이베이 | 마카오 |
인도 | 카자흐스탄 | 베트남 | 몰디브 | |
중화인민공화국 (개최국) |
6. 선수 명단
중국 | 중화 타이베이 | 홍콩 | 인도 |
---|---|---|---|
일본 | 카자흐스탄 | 마카오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팔레스타인 | 사우디아라비아 | 대한민국 |
태국 | 아랍에미리트 | 베트남 | |
7. 조별 리그 결과
2022년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의 조별 리그는 A조부터 D조까지 4개 조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각 조에는 3개 팀이 배정되어 경기를 치렀으며, 각 조 1위 팀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A조에서는 대한민국이 2승으로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고, 홍콩이 1승 1패, 카자흐스탄이 2패를 기록했다. 9월 25일에 진행된 경기에서 대한민국은 홍콩과 카자흐스탄을 상대로 각각 1-0 승리를 거두었다. 홍콩은 카자흐스탄을 1-0으로 이겼다.
B, C, D조의 상세한 경기 결과는 현재까지 공개되지 않았지만, 각 조의 1위 팀은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는 사실만 알려져 있다. D조에서는 대한민국이 1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7. 1. A조
날짜 | 시간 | align="right" width="100"| | 점수 | align="left" width="100"| | 보고서 |
---|---|---|---|---|---|
9월 25일 | 9:00 | 홍콩 | 0–1 | 대한민국 | |
10:10 | 홍콩 | 1–0 | 카자흐스탄 | ||
11:10 | 대한민국 | 1–0 | 카자흐스탄 |
7. 2. B조
두 번째 테이블은 B조 경기 결과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 삭제했습니다. 원본 소스에 포함된 국가 정보(flagIOC2) 템플릿 또한 제거했습니다.
7. 3. C조
7. 4. D조
국가 | 경기 | 승 | 패 | 결과 | 비고 |
---|---|---|---|---|---|
대한민국 | 2 | 2 | 0 | 결선 토너먼트 | |
홍콩 | 2 | 1 | 1 | 탈락 | |
카자흐스탄 | 2 | 0 | 2 |
8. 결선 토너먼트
2022년 아시안 게임 리그 오브 레전드 종목의 결선 토너먼트는 9월 27일부터 29일까지 진행되었으며, 모든 경기는 3판 2선승제로 진행되었다.[2]
9월 27일, 8강전에서 대한민국은 사우디아라비아를, 중화인민공화국은 마카오를, 중화 타이베이는 말레이시아를, 베트남은 인도를 각각 2: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2]
9월 28일, 4강전에서 대한민국은 중화인민공화국을, 중화 타이베이는 베트남을 각각 2:0으로 꺾고 결승에 진출했다.[2]
9월 29일, 결승전에서 대한민국은 중화 타이베이를 2:0으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같은 날 진행된 동메달 결정전에서는 중화인민공화국이 베트남을 2:1로 이기고 동메달을 차지했다.[2]
경기 | 대진 | 결과 | ||
---|---|---|---|---|
8강전 | 사우디아라비아 | 0 : 2 | 대한민국 | 경기 결과 |
8강전 | 중화인민공화국 | 2 : 0 | 마카오 | 경기 결과 |
8강전 | 말레이시아 | 0 : 2 | 중화 타이베이 | 경기 결과 |
8강전 | 인도 | 0 : 2 | 베트남 | 경기 결과 |
4강전 | 대한민국 | 2 : 0 | 중화인민공화국 | 경기 결과 |
4강전 | 중화 타이베이 | 2 : 0 | 베트남 | 경기 결과 |
동메달 결정전 | 중화인민공화국 | 2 : 1 | 베트남 | 경기 결과 |
결승전 | 대한민국 | 2 : 0 | 중화 타이베이 | 경기 결과 |
9.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비고 |
---|---|---|
▼ 4강전 탈락 | ||
4위 | ||
▼ 8강전 탈락 | ||
5위 | ||
▼ 조별 리그 탈락 | ||
9위 | ||
13위 | ||
10. 기록
CHN
C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