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는 2011년에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II 개인 리그로, Code S, Code A, 승격/강등전으로 구성되었다. Code S는 32강 조별 리그, 16강부터 결승까지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장민철이 우승을 차지했다. Code A는 32강 풀토너먼트로 진행되었으며, 황강호가 우승했다. 승격/강등전은 Code S와 Code A의 선수들이 참여하여 다음 시즌 Code S 진출자를 결정했다.

2. CODE S

2. 1. 리그 일정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의 조지명식은 2011년 2월 7일에 진행되었다. 32강은 2011년 2월 22일부터 3월 1일까지, 16강은 2011년 3월 3일3월 5일에, 8강은 2011년 3월 8일3월 10일에, 4강은 2011년 3월 12일에, 결승전은 2011년 3월 19일에 각각 진행되었다.

2. 2. 리그 방식

32강 조별리그는 4인 1개조로 편성되어 단판 풀리그를 치른다. 한 선수당 최고 3경기를 치르지만, 2경기 후 3경기 결과와 관계없이 조 순위가 결정되면 마지막 경기는 진행하지 않는다. 각 조 1, 2위는 16강에 진출하고, 3, 4위는 승격/강등전에 출전한다. 16강부터 결승까지는 크로스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된다. 16강은 3전 2선승제, 8강 및 4강은 5전 3선승제, 결승은 7전 4선승제로 우승자를 결정한다.

2. 3. 사용 맵


  • 고철 처리장
  • 금속 도시
  • 샤쿠라스 고원
  • 십자포화 SE
  • 젤나가 동굴
  • 종착역
  • 크레바스
  • 탈다림 제단

2. 4. 상금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의 상금은 다음과 같다.

순위상금
우승5000만원
준우승2000만원
4강500만원
8강300만원
16강200만원
32강150만원


2. 5. 중계진

한국어 중계는 이현주 캐스터와 채정원, 안준영 해설이 맡았다.[1] 영어 중계는 Nicholas Plott 캐스터와 Daniel Stemkoski 해설이 진행했다.[2]

2. 6. 대진표

2. 6. 1. 32강

wikitable

A조 (2011.2.22)B조 (2011.2.22)C조 (2011.2.24)D조 (2011.2.24)
E조 (2011.2.26)F조 (2011.2.26)G조 (2011.3.1)H조 (2011.3.1)


2. 6. 2. 16강 ~ 결승

wikitable

16강 1경기
장민철 (P)2변현우 (T)0
16강 2경기
Jonathan Walsh (T)1안홍욱 (P)2
16강 3경기
강초원 (P)2박상익 (Z)1
16강 4경기
서기수 (P)1김승철 (T)2
16강 5경기
박성준 (Z)2한규종 (T)1
16강 6경기
이윤열 (T)2이형주 (Z)0
16강 7경기
김상철 (T)0박준 (T)2
16강 8경기
이정환 (P)2한준 (Z)0



```

```wikitable

8강 1경기
장민철 (P)3안홍욱 (P)0
8강 2경기
강초원 (P)3김승철 (T)1
8강 3경기
박성준 (Z)3이윤열 (T)2
8강 4경기
박준 (T)1이정환 (P)3



```

```wikitable

4강 1경기
장민철 (P)3강초원 (P)1
4강 2경기
박성준 (Z)3이정환 (P)1



```

```wikitable

결승
장민철 (P)4박성준 (Z)1


2. 7. 결과

3. CODE A

3. 1. 리그 일정

2011년 2월 21일부터 2월 28일까지 32강이 진행되었고, 3월 2일3월 4일에는 16강이 진행되었다. 3월 7일에는 8강, 3월 9일에는 4강, 그리고 3월 11일에는 결승전이 অনুষ্ঠিত되었다.

3. 2. 리그 방식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32강 풀토너먼트로 진행된다. 32강과 16강 탈락자는 CODE A 최종 예선전으로 강등된다. 8강 진출자까지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승격/강등전에 출전한다.

3. 3. 맵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 Code S와 동일하게 아래 맵이 사용되었다.

  • 고철 처리장
  • 금속 도시
  • 샤쿠라스 고원
  • 십자포화 SE
  • 젤나가 동굴
  • 종착역
  • 크레바스
  • 탈다림 제단

3. 4. 상금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의 우승 상금은 150만원, 준우승 상금은 100만원이다. 4강 진출자에게는 80만원, 8강 진출자에게는 60만원, 16강 진출자에게는 40만원, 32강 진출자에게는 2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3. 5. 중계진

한국어 중계는 1 캐스터, 2 해설 체재로 진행되었다. 캐스터는 이인환, 서경환이 담당하였고, 해설은 이주영, 박대만, 황영재가 담당하였다. 영어 중계는 1 캐스터, 1 해설 체재로 진행되었으며, 캐스터는 Nicholas Plott, 해설은 Daniel Stemkoski가 담당하였다.

3. 6. 대진표

32강전에서는 황강호(Z)가 김경수(P)를 2:1로, 김샘(T)이 Dai Yi(T)를 2:0으로 이겼다. Chris Loranger(P)는 이원표(Z)를 2:0으로, 김동현(Z)은 백승주(T)를 2:0으로 꺾었다. 박준용(T)은 장재호(Z)를 2:1로, 김동주(T)는 Hayder Hussein(Z)을 2:0으로 이겼다. 최종환(Z)은 정우서(P)를 2:0으로, 이동녕(Z)은 정승일(Z)을 2:0으로 이겼다.

박서용(T)은 김민석(Z)을 2:1로, 정혜준(T)은 Andrew Pender(Z)를 2:0으로 이겼다. 양준식(P)는 박경락(Z)을 2:0으로, 채도준(T)은 곽한얼(T)을 2:0으로 이겼다. 김영진(T)은 박현우(P)를 2:0으로, 한이석(T)은 김정환(Z)을 2:0으로 이겼다. 문성원(T)은 Joseph de Kroon(Z)을 2:0으로, 신상호(P)는 조만혁(Z)을 2:1로 꺾고 16강에 진출했다.

16강전에서는 황강호(Z)가 김샘(T)을 2:0으로, Chris Loranger(P)가 김동현 (Z)을 2:1로 이겼다. 박준용(T)은 김동주(T)를 2:0으로, 이동녕(Z)은 최종환(Z)을 2:0으로 꺾었다. 박서용(T)은 정혜준(T)을 2:0으로, 양준식(P)은 채도준(T)을 2:0으로 이겼다. 김영진(T)은 한이석(T)을 2:1로, 신상호(P)는 문성원(T)을 2:1로 이기고 8강에 진출했다.

8강전에서는 황강호(Z)가 Chris Loranger(P)를 2:0으로, 이동녕(Z)이 박준용(T)을 2:0으로 이겼다. 양준식(P)은 박서용(T)을 2:0으로, 김영진(T)은 신상호(P)를 2: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했다.

4강전에서는 황강호(Z)가 이동녕(Z)을 2:0으로, 김영진(T)이 양준식(P)를 2:0으로 이기고 결승에 진출했다.

결승전에서는 황강호(Z)가 김영진(T)을 4:3으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3. 7. 결과

4. 승격/강등전

4. 1. 리그 일정

2011년 3월 14일 A조와 B조의 경기를 시작으로, 3월 15일에는 C조와 D조, 3월 16일에는 E조와 F조, 3월 17일에는 G조와 H조의 경기가 진행되었다.

4. 2. 리그 방식

지난 시즌과 동일하게 진행된다. Code A 우승자와 준우승자가 Code S에 합류하고, Code S 8강 탈락자와 Code A 8강 진출자가 참여한다.

4. 3. 맵

사용된 맵은 고철 처리장, 금속 도시, 샤쿠라스 고원, 십자포화 SE, 젤나가 동굴, 종착역, 크레바스, 탈다림 제단이다.

4. 4. 중계진

한국어 중계는 1 캐스터, 2 해설 체재로 진행되었다. 이현주, 이인환, 서경환이 캐스터를 맡았고, 채정원, 안준영, 이주영, 박대만, 황영재가 해설을 맡았다. 영어 중계는 1 캐스터, 1 해설 체재로 진행되었으며, 캐스터는 Nicholas Plott, 해설은 Daniel Stemkoski가 담당했다.

4. 5. CODE A 우승자/준우승자 선수 지명

황강호(Z)는 서명덕김성제를 지명했고, 김영진(T)은 최성훈과 김찬민을 지명했다.

4. 6. 대진표

2세대 인텔 코어 글로벌 스타크래프트 II 리그 March 승격강등전은 2011년 3월 14일부터 3월 17일까지 진행되었다.[4] A조에서는 송준혁이 '''Chris Loranger'''를 2:0으로, B조에서는 임재덕이 '''이동녕'''을 2:0으로 꺾었다. C조에서는 김원기가 '''박준용'''을 2:0으로, D조에서는 '''신상호'''가 최정민을 2:0으로 이겼다. E조에서는 '''양준식'''이 정종현에게 2:1로, F조에서는 김정훈이 '''박서용'''에게 2:0으로 승리했다. G조에서는 최성훈이 '''김영진'''을 2:0으로, H조에서는 '''황강호'''가 서명덕을 2:0으로 이겼다.

A조 2경기에서는 '''Chris Loranger'''가 이형섭을 2:1로, B조 2경기에서는 이정훈이 '''이동녕'''을 2:0으로 이겼다. C조 2경기에서는 '''박준용'''이 '''정우서'''를[4] 2:0으로, D조 2경기에서는 최정민임요환을 2:1로 꺾었다. E조 2경기에서는 정민수가 정종현을 2:0으로, F조 2경기에서는 '''박서용'''이 김유종을 2:0으로 이겼다. G조 2경기에서는 '''김영진'''이 김찬민을 2:0으로, H조 2경기에서는 김성제서명덕을 2:0으로 이겼다.

참조

[1] 문서 1 캐스터, 2 해설 체재로 진행
[2] 문서 1 캐스터, 1 해설 체재로 진행
[3] 문서 대회 참가 포기
[4] 문서 그렉 필즈의 공석을 메우기 위한 2011 IEM 시즌5 우승자 시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