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9 형법제39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39 형법제39조는 2000년에 개봉한 일본 영화로, 엽기적인 살인 사건의 범인으로 체포된 극단원 시바타 마키가 해리성 정체성 장애로 인해 심신 상실 상태였다는 정신 감정 결과에 따라 형법 제39조에 의해 처벌받지 않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다. 변호사 나가무라 시구레는 시바타의 변호를 맡아 그의 정신 상태를 파악하려 노력하고, 오가와 카호는 다른 가설을 세워 진실을 추적한다. 이 영화는 심신 상실 관련 범죄와 형법 제39조의 문제점을 제기하며, 스즈키 쿄카를 비롯한 배우들의 연기와 모리타 요시미츠 감독의 연출로 호평받았다. 그 결과, 베를린 국제 영화제 황금곰상 후보에 올랐으며, 일본 아카데미상, 요코하마 영화제 등에서 여러 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모리타 요시미쓰 감독 영화 - 가족 게임
가족 게임은 혼마 요헤이의 소설로 스바루 문학상을 수상했으며, 이를 원작으로 영화와 여러 TV 드라마 시리즈가 제작되어 가족의 갈등과 해체를 다양한 방식으로 그리고 있다. - 모리타 요시미쓰 감독 영화 - 마미야 형제
마미야 형제는 30세가 넘도록 동거하며 독특한 취미를 공유하는 두 형제의 일상과 주변 인물들과의 관계를 그린 영화이다. - 1999년 영화 - 딥 블루 씨
《딥 블루 씨》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연구를 위해 유전자 조작으로 뇌가 커진 상어들이 인간을 공격하는 SF 공포 영화로, 과학적 욕심이 불러온 재앙과 인간들의 사투를 긴장감 있게 그렸다. - 1999년 영화 - 스튜어트 리틀
E. B. 화이트의 소설을 원작으로 리틀 가족에게 입양된 쥐 스튜어트가 가족의 사랑과 우정을 확인하는 여정을 그린 1999년 미국 영화 《스튜어트 리틀》은 마이클 J. 폭스의 목소리 연기, 지나 데이비스와 휴 로리의 출연으로 흥행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일본의 영화 작품 - 아카메 48 폭포 자살미수
무라카미 류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 《아카메 48 폭포 자살미수》는 1971년 아카메 48 폭포에서 벌어지는 영화 제작자와 자살 시도 여성의 이야기를 통해 사회적 약자와 자살 문제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며, 여러 국제 영화제에서 수상했지만 폭력적인 묘사로 논란이 되기도 했다. - 일본의 영화 작품 - 킹콩의 역습
1967년 개봉한 일본 괴수 영화 《킹콩의 역습》은 악당 과학자 닥터 후가 로봇 메카니콩을 이용해 엘레먼트 X를 얻으려다 킹콩과 격돌하는 이야기로, 고로자우루스, 대우미헤비 등 다양한 괴수가 등장하며 도쿄에서 킹콩과 메카니콩의 대결을 보여준다.
39 형법제39조 - [영화]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제목 | 39 형법 제39조 |
원제 | 39 刑法第三十九條 |
영화 정보 | |
감독 | 모리타 요시미츠 |
기획/제작 | 스즈키 히카루 |
제작 | 고후 |
원작 | 나가이 야스우 |
각본 | 오오모리 스미오 |
출연 | 스즈키 쿄카 츠츠미 신이치 키시베 잇토쿠 요시다 히데코 야마모토 미라이 카츠무라 마사노부 쿠니무라 준 키키 키린 에모리 토오루 스기우라 나오키 |
음악 | 사하시 토시히코 |
촬영 | 타카세 히로시 |
편집 | 다나카 신지 |
제작사 | 코와 인터내셔널 |
배급사 | 쇼치쿠 |
개봉일 | 1999년 2월 17일 (BIFF) 1999년 5월 1일 |
상영 시간 | 133분 |
언어 | 일본어 |
2. 줄거리
남편과 임신한 아내가 흉기에 찔려 참혹하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은 현장에 있던 연극 티켓을 통해 극단 배우 '''시바타 마키'''(츠츠미 신이치)를 유력한 용의자로 지목하고, 1인극 공연 중이던 그를 체포했다.
시바타의 국선 변호인으로 임명된 변호사 '''나가무라 시구레'''(키키 키린)는 면담 과정에서 시바타의 표정이 갑자기 험악하게 변하는 것을 보았다. 또한, 시바타는 법정에서도 알 수 없는 말을 하여 정신 감정을 받게 된다.
2. 1. 정신 감정
정신과 교수 '''후지시로 지코'''(배우: 스기우라 나오키)는 정신 감정인으로 선정되어, 제자인 '''오가와 카호'''(배우: 스즈키 쿄카)에게 조수를 의뢰한다. 후지시로는 정신 감정 결과 시바타가 해리성 정체성 장애(다중 인격)를 앓고 있으며, 범행 당시에는 해리 상태였다고 감정한다. 심신상실자의 행위는 형법 제39조에 의해 처벌받지 않는다고 정해져 있다. 그러나 카호는 후지시로와는 다른 가설을 세우고 관계자들을 조사하기 시작했다.2. 2. 진실 추적
카호는 과거 피해자가 저지른 유사 범죄와 시바타와의 연관성을 발견한다. 피해자 하타다 오사무는 과거 부녀자 강간 및 살인 경력이 있었고, 15세 때 초등학교 1학년 소녀를 살해했지만 심신 상실을 인정받아 처벌받지 않고 사회로 복귀했다. 카호는 피해자의 형인 쿠도 케이스케를 찾아내지만, 케이스케는 이번 사건에 관심이 없다고 주장한다.하지만 카호는 쿠도 케이스케로 생활하고 있는 남자가 가짜임을 간파하고, 피고인 시바타 마키가 바로 쿠도 케이스케라고 확신한다. 케이스케는 다른 사람의 호적을 얻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다중 인격에 관한 정신 의학서를 섭렵하는 등 치밀하게 범행을 준비했다. 카호는 시바타(쿠도 케이스케)가 단순한 정신 질환자가 아니라 형법제39조의 허점을 노린 범죄자라고 의심한다.
2. 3. 법정 공방
카호는 법정에서 시바타의 위장 다중인격을 폭로하기 위해 증거를 제시하며 치열한 공방을 벌인다. 피해자 하타다 오사무는 과거 부녀자 강간 및 살인 경력이 있었고, 15세 때 초등학교 1학년 소녀를 살해했지만 심신 상실을 인정받아 죄를 면하고 사회에 복귀했던 사실을 밝혀낸다.카호는 피해자의 형인 쿠도 케이스케를 찾아내지만, 그는 이번 사건에 관심이 없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카호는 쿠도 케이스케로 생활하고 있는 남자가 가짜임을 간파하고, 피고인 시바타 마키가 바로 쿠도 케이스케라고 확신한다. 케이스케는 타인의 호적을 얻기 위해 오랜 시간을 들여 다중 인격에 관한 정신 의학서를 섭렵한 것이었다.
카호는 공판에서 공개 정신 감정을 신청한다. 일본 최초로 다중 인격을 다루는 재판으로, 피고 시바타(쿠도 케이스케)의 감정이 시작되었다. 카호는 케이스케가 정상적인 판단력을 가지고 있으며, 임산부를 살해할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한다. 케이스케가 굳이 체포된 목적은 형법 제39조로 죄를 면하는 것이 아니라, 제39조의 부조리를 고발하기 위한 것이었다.
3. 등장인물
영화 "39 형법제39조"의 등장인물은 주요 배역과 그 외 배역으로 나눌 수 있다.
배역 | 배우 |
---|---|
오가와 카호 | 스즈키 쿄카 |
시바타 마키 | 츠츠미 신이치 |
나고시 후미오 | 키시베 잇토쿠 |
후지시로 사네유키 | 스기우라 나오키 |
나가무라 시구레 | 키키 키린 |
쿠사마 미치히코 | 에모리 토루 |
오가와 유코 | 요시다 히데코 |
쿠도 미카코 | 야마모토 미라이 |
쿠도 케이스케(스나오카 아키라) | 카츠무라 마사노부 |
노숙자 테즈카 | 사사노 타카시 |
시바타 토시미츠 | 쿠니무라 준 |
어린 시절의 쿠도 케이스케 | 오치 야스히토 |
나카무라 형사 | 타케다 타카토시 |
하타다 오사무 | 이리에 마사토 |
하타다 메구미 | 하루키 미사요 |
타테바야시 형사 | 스가와라 다이키치 |
소년 쿠도 케이스케 | 다이치 야스히토 |
소년 하타다 오사무 | 미나미 이사무 |
소녀 미카코 | 아사이 미카 |
케이스케의 여동생 아츠코 | 요시타니 아야코 |
케이스케의 어머니 미유키 | 카와무라 카즈요 |
소년 시바타 마키 | 요시다 유키 |
이와키 선생님 | 사토 코지 |
정신 병원의 간호사 | 코바야시 토시에 |
이누야마의 변호사 | 이소베 히로시 |
극단원 노가미 요리코 | 츠치야 쿠미코 |
재판장 | 타무라 타다오 |
어촌의 무라마츠 | 이노우에 히로카즈 |
이누야마의 경찰관 | 랏키이 이케다 |
3. 1. 주요 인물
배역 | 배우 |
---|---|
오가와 카호 | 스즈키 쿄카 |
시바타 마키 | 츠츠미 신이치 |
나고시 후미오 | 키시베 잇토쿠 |
후지시로 사네유키 | 스기우라 나오키 |
나가무라 시구레 | 키키 키린 |
쿠사마 미치히코 | 에모리 토루 |
오가와 유코 | 요시다 히데코 |
쿠도 미카코 | 야마모토 미라이 |
쿠도 케이스케(스나오카 아키라) | 카츠무라 마사노부 |
노숙자 테즈카 | 사사노 타카시 |
나카무라 형사 | 타케다 타카토시 |
하타다 오사무 | 이리에 마사토 |
하타다 메구미 | 하루키 미사요 |
타테바야시 형사 | 스가와라 다이키치 |
소년 쿠도 케이스케 | 다이치 야스히토 |
소년 하타다 오사무 | 미나미 이사무 |
소녀 미카코 | 아사이 미카 |
케이스케의 여동생 아츠코 | 요시타니 아야코 |
케이스케의 어머니 미유키 | 카와무라 카즈요 |
소년 시바타 마키 | 요시다 유키 |
이와키 선생님 | 사토 코지 |
정신 병원의 간호사 | 코바야시 토시에 |
이누야마의 변호사 | 이소베 히로시 |
극단원 노가미 요리코 | 츠치야 쿠미코 |
재판장 | 타무라 타다오 |
어촌의 무라마츠 | 이노우에 히로카즈 |
이누야마의 경찰관 | 랏키이 이케다 |
시바타 토시미츠 | 쿠니무라 준 |
3. 2. 조연
배역명 | 배우 |
---|---|
오가와 카후카 | 스즈키 쿄카[1] |
시바타 마사키 | 쓰쓰미 신이치[1] |
나가시 경감 | 키시베 잇토쿠[1] |
후지시로 사네유키 교수 | 스기우라 나오키[1] |
변호사 나가무라 시구레 | 키키 키린[1] |
쿠사마 미치히코 검사 | 에모리 토루[1] |
카후카의 어머니 | 요시다 히데코[1] |
쿠도 미카코 | 야마모토 미라이[1] |
스나오카 | 카츠무라 마사노부[1] |
시바타 토시미츠 | 쿠니무라 준[1] |
어린 시절의 쿠도 케이스케 | 오치 야스히토[1] |
테즈카 | 사사노 타카시[1] |
나카무라 형사 | 타케다 타카토시[1] |
하타다 오사무 | 이리에 마사토[1] |
하타다 메구미 | 하루키 미사요[1] |
타테바야시 형사 | 스가와라 다이키치[1] |
소년 하타다 오사무 | 미나미 이사무[1] |
소녀 미카코 | 아사이 미카[1] |
케이스케의 여동생 아츠코 | 요시타니 아야코[1] |
케이스케의 어머니 미유키 | 카와무라 카즈요[1] |
소년 시바타 마키 | 요시다 유키[1] |
이와키 선생님 | 사토 코지[1] |
정신 병원의 간호사 | 코바야시 토시에[1] |
이누야마의 변호사 | 이소베 히로시[1] |
극단원 노가미 요리코 | 츠치야 쿠미코[1] |
재판장 | 타무라 타다오[1] |
어촌의 무라마츠 | 이노우에 히로카즈[1] |
이누야마의 경찰관 | 랏키이 이케다[1] |
4. 제작진
역할 | 담당 |
---|---|
원작 | 나가이 야스오 (카도카와 쇼텐 간행) |
감독 | 모리타 요시미츠 |
각본 | 오오모리 스미오 |
음악 | 사하시 토시히코 |
기획·원안 | 스즈키 히카루, 오오모리 스미오 |
기획·제작 | 스즈키 히카루 |
제작 | 코호 |
프로듀서 | 미사와 카즈코, 야마모토 츠토무, 타자와 렌지 |
음악 프로듀서 | 유키 요 |
촬영 | 타카세 히로시 |
조명 | 오노 아키라 |
녹음 | 하시모토 후미오 |
미술 | 오자와 히데타카 |
편집 | 타나카 신지 |
스크립터 | 모리나가 쿄코 |
캐스팅 | 나스카와 신고 |
조감독 | 스기야마 타이치 |
제작 담당 | 우지이에 히데키 |
제작 주임 | 하시모토 야스시 |
협력 | 나카야 요지 (의학 박사) |
제작 | 코와 인터내셔널, 쇼치쿠 |
배급 | 쇼치쿠 |
5. 영화 정보
항목 | 내용 |
---|---|
원작 | 나가이 야스오 (카도카와 쇼텐 간행) |
감독 | 모리타 요시미츠 |
각본 | 오오모리 스미오 |
음악 | 사하시 토시히코 |
기획·원안 | 스즈키 히카루, 오오모리 스미오 |
기획·제작 | 스즈키 히카루 |
제작 | 코호 |
프로듀서 | 미사와 카즈코, 야마모토 츠토무, 타자와 렌지 |
음악 프로듀서 | 유키 요 |
촬영 | 타카세 히로시 |
조명 | 오노 아키라 |
녹음 | 하시모토 후미오 |
미술 | 오자와 히데타카 |
편집 | 타나카 신지 |
스크립터 | 모리나가 쿄코 |
캐스팅 | 나스카와 신고 |
조감독 | 스기야마 타이치 |
제작 담당 | 우지이에 히데키 |
제작 주임 | 하시모토 야스시 |
협력 | 나카야 요지 (의학 박사) |
제작 | 코와 인터내셔널, 쇼치쿠 |
배급 | 쇼치쿠 |
VHS 발매 | 2000년 4월 21일 (쇼치쿠 홈 비디오, 절판) |
DVD 발매 | 2002년 8월 25일 (반다이 비주얼) |
온라인 시청 |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
6. 평가 및 수상
영화 "39 형법제39조"는 심신상실 및 심신미약 관련 범죄와 형법 제39조의 문제점을 사회적 담론으로 이끌어 낸 수작으로 평가받는다.[1][2][3] 특히,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와 긴장감 넘치는 연출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6. 1. 수상 내역
영화제 | 부문 | 수상자 | 결과 |
---|---|---|---|
제42회 블루 리본상[1] | 여우주연상 | 스즈키 쿄카 | 수상 |
제4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2] | 황금곰상 | 후보 | |
제21회 요코하마 영화제[3] | 작품상 | 수상 | |
감독상 | 모리타 요시미츠 | 수상 | |
각본상 | 오오모리 스미오 | 수상 | |
제23회 일본 아카데미상 | 우수 각본상 | 오오모리 스미오 | 후보 |
우수 주연 여우상 | 스즈키 쿄카 | 후보 | |
우수 녹음상 | 하시모토 후미오 | 후보 | |
제54회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 감독상 | 모리타 요시미츠 | 수상 |
일본 영화 우수 작품상 | 수상 | ||
제73회 키네마 준보 베스트 10 | 주연 여우상 | 스즈키 쿄카 | 수상 |
일본 영화 베스트 10 | 3위 | ||
독자 선정 일본 영화 베스트 10 | 5위 | ||
제42회 블루리본상 | 주연 여우상 | 스즈키 쿄카 | 수상 |
제21회 요코하마 영화제 | 감독상 | 모리타 요시미츠 | 수상 |
각본상 | 오오모리 스미오 | 수상 | |
작품상 | 수상 | ||
일본 영화 베스트 10 | 1위 |
6. 2. 평가
영화 "케이호 39조"는 심신상실, 심신미약 관련 범죄와 형법 제39조의 문제점을 사회적 담론으로 이끌어 낸 수작으로 평가받는다.[1][2][3] 특히,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와 긴장감 넘치는 연출은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영화제 | 부문 | 수상자/작품 | 결과 |
---|---|---|---|
제49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 황금곰상 | 케이호 39조 | 후보 |
제21회 요코하마 영화제 | 작품상 | 케이호 39조 | 수상 |
감독상 | 모리타 요시미츠 | 수상 | |
각본상 | 오오모리 스미오 | 수상 | |
제42회 블루 리본상 | 여우주연상 | 스즈키 쿄카 | 수상 |
제23회 일본 아카데미상 | 우수 각본상 | 오모리 스미오 | 수상 |
우수 주연 여우상 | 스즈키 쿄카 | 수상 | |
우수 녹음상 | 하시모토 후미오 | 수상 | |
제54회 마이니치 영화 콩쿠르 | 감독상 | 모리타 요시미츠 | 수상 |
일본 영화 우수 작품상 | 케이호 39조 | 수상 | |
제73회 키네마 준보 베스트 10 | 주연 여우상 | 스즈키 쿄카 | 수상 |
일본 영화 베스트 10 | 케이호 39조 | 3위 | |
독자 선정 일본 영화 베스트 10 | 케이호 39조 | 5위 |
7.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영화 개봉 이후, 대한민국에서도 형법 제39조(심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특히, 2000년대 후반부터 심신미약을 이유로 감형받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법 개정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여, 심신미약 감경 의무 조항을 삭제하고, 피해자 보호를 강화하는 방향으로의 법 개정을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1]
참조
[1]
웹사이트
ブルーリボン賞ヒストリー
http://cinemahochi.y[...]
Cinema Hochi
2010-04-12
[2]
웹사이트
Berlinale: 1999 Programme
http://www.berlinale[...]
2012-01-30
[3]
웹사이트
第21回ヨコハマ映画祭 1999年日本映画個人賞
http://homepage3.nif[...]
Yokohama Film Festival
2010-01-16
[4]
웹사이트
39 刑法第三十九条
https://www.shochiku[...]
2022-03-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