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400번의 구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00번의 구타는 1959년 개봉한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의 영화로, 1950년대 말 파리를 배경으로 학교와 가정에서 어려움을 겪는 12세 소년 앙투안 두아넬의 일탈과 고독을 그린 작품이다. 앙투안은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키고 소년원에 수감되지만, 탈출을 시도하며 영화는 앙투안이 카메라를 응시하는 장면으로 끝을 맺는다. 이 영화는 트뤼포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칸 영화제 감독상,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등 다수의 영화제에서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았다. 400번의 구타는 누벨바그 운동의 대표작으로 평가받으며, 많은 영화 감독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영화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성장 영화 - 라붐
    13세 소녀 빅이 파리에서 가족, 사랑, 성장을 겪는 이야기를 그린 프랑스 영화 라붐은 소피 마르소 주연으로 국제적인 흥행을 기록했으며, 주제곡 "리얼리티" 또한 많은 사랑을 받았다.
  • 프랑스의 성장 영화 - 라붐 2
    라붐 2는 1982년 개봉한 프랑스 로맨틱 코미디 영화로, 15세 빅이 필립과 사랑에 빠지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부모님과 증조할머니의 이야기를 다루며, 소피 마르소가 빅 역을 맡아 프랑스에서 흥행에 성공했다.
  • 누벨 바그 - 장피에르 멜빌
    장피에르 멜빌은 프랑스 레지스탕스 출신 영화 감독, 각본가, 프로듀서, 배우로, 《사무라이》, 《붉은 원》 등 미니멀리스트 누아르 영화를 제작했으며, 프랑스 누벨바그 영화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누벨 바그 - 알랭 레네
    알랭 레네는 1922년 프랑스에서 태어나 2014년 사망한 프랑스의 영화감독으로, 기억과 시간의 복잡성을 탐구하며 마르그리트 뒤라스 등과의 협업을 통해 독창적인 영화 세계를 구축했고, 《히로시마 내 사랑》 등 다수의 작품으로 칸 영화제 등에서 수상했다.
  •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 영화 - 아메리카의 밤
    《아메리카의 밤》은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의 1973년 작품으로, 영화 속 영화 촬영 현장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통해 영화 제작 과정을 유쾌하고 감동적으로 그린 영화이며,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했다.
  •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 영화 - 화씨 451 (1966년 영화)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의 《화씨 451》은 레이 브래드버리의 소설을 원작으로, 전체주의 정부가 '소방관'을 통해 문학 작품을 파괴하는 미래 사회를 배경으로 한 디스토피아 영화이며, 오스카 베르너와 줄리 크리스티가 주연을 맡았다.
400번의 구타 - [영화]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극장 개봉 포스터
원제Les quatre cents coups
장르드라마
영화제 수상제12회 칸 영화제 감독상 수상
제작 정보
감독프랑수아 트뤼포
제작자프랑수아 트뤼포
조르주 샤를로
각본프랑수아 트뤼포
마르셀 무시
주연장피에르 레오
알베르 레미
클레르 모리에
음악장 콘스탄틴
촬영앙리 드카에
편집마리-조세프 요요트
제작사레 필름 뒤 카로스
배급사코시노르
개봉 정보
개봉일1959년 5월 4일 (프랑스)
대한민국 개봉일2016년 4월 13일
기타 정보
상영 시간99분
국가프랑스
언어프랑스어
흥행 수익3,070만 달러

2. 줄거리

1950년대 말 파리, 12살 소년 앙투안 두아넬은 학교와 가정에서 모두 어려움을 겪는다. 무관심한 어머니와 양아버지 사이에서 자라며, 학교에서는 선생님에게 끊임없이 꾸중을 듣는다.[32] 앙투안은 학교를 빼먹고 거짓말을 하는 등 일탈 행동을 반복한다. 어느 날, 의붓아버지의 타자기를 훔쳐 팔려다 실패하고, 결국 경찰에 붙잡혀 소년원에 수감된다.[33] 소년원에서도 적응하지 못하고 탈출을 감행한 앙투안은 바다를 향해 달려가고, 영화는 앙투안이 카메라를 응시하는 장면으로 끝맺는다.[34]

마지막 장면에 등장하는 앙투안 두아넬(장 피에르 레오)


12살의 앙투안 두아넬은 학교에서는 성적이 좋지 않고 장난을 쳐서 선생님에게 꾸중을 듣는다. 집에서는 엄격한 어머니와 변변치 못한 아버지에 둘러싸여 숨 막히는 생활을 한다. 어느 날, 등굣길에 친구 르네를 만나 학교를 빼먹고, 어머니가 낯선 남자와 껴안고 있는 것을 목격한다. 다음 날, 결석 이유를 추궁당해 "어머니가 돌아가셨다"고 거짓말을 하지만, 부모님이 나타나 거짓말이 들통난다.

앙투안은 발자크의 문장을 베껴 제출한 작문이 들통나 꾸중을 듣고, 집을 나와 친구 르네의 집에 숨어 지낸다. 돈이 떨어진 앙투안은 아버지 회사의 타자기를 훔치지만, 팔지 못하고 돌려주려다 붙잡힌다. 결국 소년 심판소로 보내진 앙투안은 어머니의 차가운 태도에 상처받고 감시를 피해 탈출하여 바다로 달려간다. 처음 보는 바다를 바라보며 멈춰 선 앙투안은 카메라를 응시하며 영화가 끝난다.

3. 등장인물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 장 피에르 레오 - 앙투안 드와넬 역
  • 클레르 모리에 - 질베르트 드와넬 역
  • 알베르 레미 - 쥘리앵 드와넬 역
  • 가이 데콤블 - 선생님 역
  • 조르주 플라망 - 비제 씨 역
  • 파트릭 오파이 - 르네 비제 역
  • 잔느 모로 - 개를 찾는 여자 역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은 놀이공원 장면에 자신과 필립 드 브로카를 포함하여 여러 친구들(동료 감독)을 단역 또는 배경 역할로 출연시켰다. 자크 드미는 경찰로, 장 뤽 고다르와 장 폴 벨몽도는 엿들은 목소리로 출연했다(벨몽도는 인쇄소 장면에서).

3. 1. 주요 인물

주요 등장인물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앙투안 드와넬장 피에르 레오후쿠자키 카즈히로
르네 비제 (앙트완의 단짝 친구)패트릭 오페사야마 타이조
쥘리앙 드와넬 (앙트완의 의붓아버지)알베르 레미카네우치 요시오
질베르트 드와넬 (앙트완의 어머니)클레르 모리에토미타 케이코
시무룩한 선생님기 데콤블
르네의 아버지, 비제 씨조르주 플라망
영어 선생님피에르 레프
베르트랑 모리세다니엘 쿠튀리에
체육 선생님뤽 앙드리외
학교 교장로베르 보베
비제 부인이브 클로디
르네 카바넬 검사Marius Laurey|마리우스 로레이프랑스어
조사 판사Claude Mansard|클로드 망사르프랑스어
위원자크 모노
야간 경비원앙리 비를로죄
개를 찾는 여자잔 모로
여자를 꼬시려는 남자장 클로드 브리알리


3. 2. 주변 인물

배역배우일본어 더빙
르네 비제 (친구)패트릭 오페사야마 다이조
쥘리앙 (아버지)알베르 레미가네우치 요시오
질베르트 (어머니)클레르 모리에도미타 게이코
시무룩한 선생님기 데콤블
르네의 아버지, 비제 씨조르주 플라망
영어 선생님피에르 레프
베르트랑 모리세다니엘 쿠튀리에
체육 선생님뤽 앙드리외
학교 교장로베르 보베
비제 부인이브 클로디
르네 카바넬 검사Marius Laurey|마리우스 로레이프랑스어
조사 판사Claude Mansard|클로드 망사르프랑스어
위원자크 모노
야간 경비원앙리 비를로죄
개를 찾는 여자잔 모로
여자를 꼬시려는 남자장 클로드 브리알리





앙투안과 르네


앙투안과 부모

4. 제작

1958년 11월 11일, 프랑수아 트뤼포의 정신적 아버지였던 영화 평론가 앙드레 바쟁백혈병으로 사망했다.[32] 이날 『400번의 구타』 촬영이 시작되어 1959년 4월에 완성되었다.

1959년 2월 3일, 샤를 드 골 대통령은 문화부를 신설하고 앙드레 말로를 초대 장관으로 임명했다.[33] 트뤼포는 1958년 제11회 칸 영화제에서 출입 금지되었으나, 1959년 4월 30일 개막한 제12회 칸 영화제[34]에 프랑스 대표 작품 후보로 추천되었다. 외무성 예술 교류 서비스 책임자 필립 에를랑제는 말로 문화부 장관에게 이 영화를 칸 영화제 프랑스 대표로 해야 하는지 질문했고, 말로는 "물론, 당연하지"라고 답하며 『400번의 구타』만을 프랑스 대표로 공식 출품하는 것을 허가했다.

1959년 5월 15일,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과 국제 가톨릭 영화 사무국상을 수상하며 "누벨바그"의 기수로 알려지게 되었다. 제25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에서 외국어 영화상도 수상했다.

1959년 6월 3일, 프랑스에서 일반에 공개되었다.[30] 같은 해 가을 일본에서 시사회가 열렸고, 『키네마 준보』는 『400번의 구타』 특집을 편성하여 하니 스스무, 오카다 신, 요도가와 나가하루 등이 비평을 기고했다. 『영화평론』에서는 키요오카 타쿠유키가 비평을 쓰는 등 개봉 전부터 큰 주목을 받았다. 1960년 3월 17일, 일본에서 일반 상영되었다.

원제 "Les Quatre Cents Coups"는 프랑스어 관용구 "faire les quatre cents coups" (무분별하고 방탕한 생활을 하다)에서 유래한다. 트뤼포는 『어떤 방문』, 『갈망』 등의 단편 영화를 제작한 후, 1959년에 자신의 어린 시절을 바탕으로 한 자전적 작품을 발표했다.

이 영화를 본 장 콕토는 트뤼포에게 "나의 프랑수아 군, 당신의 영화는 걸작입니다. 기적과 같습니다. 애정 어린 키스를 보냅니다"라는 찬사를 보냈다. 이 작품의 성공 이후, 트뤼포는 "앙투안 드와넬의 모험" 시리즈를 발표했다.

4. 1. 촬영

1958년 11월 1일에 촬영을 시작하여 1959년 1월 5일에 마쳤다.[12] 앙투안 부모의 집은 파리 마르까데 가(Marcadet 街)에서, 엄마와 애인의 키스신은 클리시 광장에서 촬영되었다.[12]

대부분의 장면은 파리에서 촬영되었다.[12]

장소구역
프로쇼 거리파리 9구
에펠탑, 샹 드 마르스파리 7구
몽마르뜨, 사크레쾨르 대성당파리 18구
샤이요 궁, 트로카데로파리 16구
피갈파리 9구
퐁텐 거리



개혁 학교 장면은 프랑스 북부 노르망디의 작은 해안 도시인 옹플뢰르에서,[13] 마지막 해변 장면은 남서쪽으로 몇 마일 떨어진 빌레르쉬르메르에서 촬영되었다.[13]

4. 2. 제목

프랑스어 원제 "Les Quatre Cents Coups"는 "faire les quatre cents coups"라는 관용구에서 유래한 것으로, "온갖 어리석은 짓을 하다", "난장판을 만들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10] 미국 초판에서는 자막 제작자이자 더빙 담당자인 노엘 길모어가 제목을 ''Wild Oats''로 번역했지만, 배급사는 이를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고, 결국 ''The 400 Blows''로 되돌렸다.[11] 한국에서는 "400번의 구타"라는 제목으로 개봉되었다.

5. 주제 및 분석

Les Quatre Cents Coups프랑스어는 프랑스 교육 시스템의 경직성과 청소년 범죄에 대한 부당한 처우를 비판한다.[8]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 자신의 어린 시절 경험이 반영되어, 억압적인 환경에서 자라는 소년 앙투안 두아넬의 고독과 저항을 사실적으로 묘사한다.[9]

이 영화는 앙투안이 가정과 학교 모두에서 소외되어 겪는 어려움을 중심으로 전개된다. 무관심한 부모와 엄격한 교사 사이에서 앙투안은 반복적으로 좌절을 경험하고, 결국 가출과 절도 등 비행을 저지르게 된다. 이러한 앙투안의 모습은 당시 프랑스 사회의 권위주의적인 분위기와 억압적인 교육 현실을 반영하며, 청소년 문제에 대한 사회적 무관심을 비판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이 영화는 누벨바그의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로, 기존 영화 문법을 파괴하고 새로운 영화 미학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즉흥적인 연출, 야외 촬영, 자연스러운 연기 등은 당시 프랑스 영화계에 신선한 충격을 주었으며, 이후 많은 영화감독들에게 영향을 미쳤다.

특히, 장 비고 감독의 영화 ''영행위의 무산''에서 장면을 차용하는 등 프랑스 영화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새로운 시도를 보여준다.[7]

6. 평가 및 영향

1959년 칸 영화제에서 감독상과 국제 가톨릭 영화 사무국상을 수상하며 프랑수아 트뤼포는 일약 "누벨바그"의 기수로 알려지게 되었다.[14] 제25회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에서 외국어 영화상도 수상했다.[19]

샤를 드 골 대통령과 앙드레 말로 문화부 장관의 결단으로 제12회 칸 영화제에 프랑스 대표 작품으로 출품되었다.

영화는 1959년 6월 3일 프랑스에서 일반에 공개되었고,[30] 같은 해 가을 일본에서 시사회가 열렸다. 1960년 3월 17일 일본에서 정식 상영되면서, 『키네마 준보』, 『영화평론』 등 영화 잡지들은 개봉 전부터 특집 기사와 비평을 통해 이 영화에 주목했다.

장 콕토는 이 영화를 보고 트뤼포에게 "나의 프랑수아 군, 당신의 영화는 걸작입니다. 기적과 같습니다. 애정 어린 키스를 보냅니다"라는 찬사를 보냈다.

6. 1. 수상 내역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자결과참고
1959칸 영화제감독상프랑수아 트뤼포수상[14]
OCIC상프랑수아 트뤼포수상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외국어 영화상400번의 구타수상[19]
1960아카데미상각본상프랑수아 트뤼포, 마르셀 무시후보[16]
보딜상유럽 영화상400번의 구타수상[15]
프랑스 영화 비평가 협회최우수 영화상400번의 구타수상
1961BAFTA최우수 영화상프랑수아 트뤼포후보[21]
가장 유망한 신인상장 피에르 레오후보
산 조르디 상최우수 외국 감독상프랑수아 트뤼포수상[15]


6. 2. 영향

이 영화는 누벨 바그 운동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이후 프랑스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14] 1959년 칸 영화제에서 개막작으로 상영되어 감독상을 수상하고,[14] 1959년 뉴욕 영화 비평가 협회상 비평가상,[19] 1960년 보딜상에서 최우수 유럽 영화상을 수상했다.[15] 제32회 아카데미상에서는 각본상 후보에 올랐다.[16]

프랑수아 트뤼포 감독은 이 영화의 성공 이후, 주인공 앙투안 두아넬의 성장 과정을 다룬 4편의 후속작을 제작했다. "앙투안 드와넬의 모험" 시리즈는 《사랑의 스무 살》의 《앙투안과 콜레트》, 《훔쳐본 키스》, 《부부》, 《도망간 사랑》으로 이어진다.

구로사와 아키라, 루이스 부뉘엘, 사티야지트 레이, 스티븐 스필버그 등 세계적인 감독들이 이 영화를 극찬하며, 자신의 작품에 영향을 주었다고 밝혔다.[22][23] 구로사와는 이 영화를 "내가 본 가장 아름다운 영화 중 하나"라고 칭했다.[24]

이 영화는 영화 비평가와 학자들에게 끊임없이 연구되는 작품이며, 영화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영국 영화 협회가 선정한 15세 이전에 꼭 봐야 할 영화 50편 중 10위 안에 들며,[18] 2010년 《엠파이어》 잡지에서 선정한 "세계 영화 100선"에서 29위에 올랐다.[26] 2018년에는 BBC가 43개국 209명의 평론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역대 최고의 외국어 영화 8위에 선정되었다.[27] 마틴 스코세지는 이 영화를 "젊은 영화 제작자를 위한 39편의 필수 외국 영화" 목록에 포함시켰다.[25]

제71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의 영화제 포스터는 장 피에르 레오가 연기한 앙투안 두아넬을 특징으로 하여 이 영화에 경의를 표했다.[28][29]

키네마 준보』 1960년 2월 하순호에 게재된 광고

7. 한국과의 관계

1960년 3월 17일 한국에서 개봉하였다. 일본 TV 드라마 '마레' (NHK 연속 TV 소설, 2015년)에서 중요한 모티브로 다루어졌다.[7] 영화 속 앙투안의 심리는 한국 사회의 억압적인 교육 현실과 맞물려, 청소년 문제를 고민하는 한국 관객들에게 깊은 공감을 불러일으켰다. 한국 영화계에도 영향을 미쳐, 청소년의 방황과 성장을 다룬 영화들이 제작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400 Blows Cast/ Credits http://www.criterion[...] Criterion 2012-08-05
[2] 웹사이트 Box Office information for Francois Truffaut films http://www.boxoffice[...]
[3] 웹사이트 The 400 Blows review – François Truffaut's coming-of-age masterwork https://www.theguard[...] 2022-06-27
[4] 뉴스 Growth Spurt https://www.pressrea[...] Los Angeles Times 2020-08-05
[5] 웹사이트 Les Quatre cents coups http://www.jpbox-off[...] J.P.'s Box-Office 2012-05-18
[6] 웹사이트 The Greatest Films Poll https://www.bfi.org.[...] BFI 2024-01-15
[7] 서적 A history of narrative film W. W. Norton & Company 2016-02
[8] 웹사이트 400 Blows https://education.bu[...] 2019-04-24
[9] 웹사이트 The 400 Blows: Close to Home https://www.criterio[...] 2020-09-25
[10] 웹사이트 faire les quatre cents coups - Wiktionary https://en.wiktionar[...] 2019-01-27
[11] 웹사이트 Movie Poster of the Week: François Truffaut's "The 400 Blows" https://mubi.com/not[...] 2012-02-10
[12] 웹사이트 Introduction: The 400 Blows / Les Quatre cents coups https://web.cocc.edu[...]
[13] 웹사이트 The 400 Blows: finding that beach and the Paris locations today https://www.bfi.org.[...] 2022-01-11
[14] 웹사이트 Festival de Cannes: The 400 Blows http://www.festival-[...] 2009-02-15
[15] 웹사이트 Cinema City - Les quatre cents coups ! 1959. https://eng.cinemaci[...] 2022-12-13
[16] 웹사이트 '1960 ! Oscars.org ! Academy of Motion Picture Arts and Sciences' https://www.oscars.o[...] 2014-10-05
[17] 웹사이트 The 400 Blows (Les Quatre cents coups) http://www.rottentom[...] 2021-09-15
[18] 웹사이트 50 films to see by age 15-BFI https://www.bfi.org.[...] 2021-01-25
[19] 뉴스 Critics' Choices https://timesmachine[...] 2022-12-13
[20] 웹사이트 Cahiers du Cinema: Top Ten Lists 1951-2009 http://alumnus.calte[...] 2022-12-13
[21] 웹사이트 'Film in 1961 ! BAFTA Awards' http://awards.bafta.[...] 2022-12-13
[22] 웹사이트 'BFI ! Sight & Sound ! Top Ten Poll 2002' http://www.bfi.org.u[...]
[23] 웹사이트 Akira Kurosawa's Top 100 Movies! http://wildgrounds.c[...]
[24] 웹사이트 The 400 Blows http://www.movie-fil[...] 2010-08-06
[25] 웹사이트 Martin Scorsese Creates a List of 39 Essential Foreign Films for a Young Filmmaker http://www.opencultu[...] Open Culture 2015-02-01
[26] 웹사이트 'The 100 Best Films Of World Cinema ! 29. The 400 Blows' http://www.empireonl[...] 2010-07-30
[27] 웹사이트 The 100 greatest foreign-language films https://www.bbc.com/[...] 2020-12-17
[28] 웹사이트 Venice Film Fest Unveils Poster for 71st Edition http://www.hollywood[...] 2014-07-04
[29] 웹사이트 Venice Film Festival 2014: What we know so far http://www.swide.com[...] 2014-08-28
[30] 웹사이트 大人は判ってくれない https://www.imdb.com[...]
[31] 문서 『キネマ旬報』1959年11月下旬号、「特集批評 フランソワ・トリュフォ作品『大人は判ってくれない』」
[32] 웹사이트 Andre Bazin dies http://www.focusfeat[...] 2015-01-18
[33] 문서 Décret n°59-212 du 3 février 1959 relatif aux attributions d'un ministre d'État (chargé des affaires culturelles) http://www.legifranc[...]
[34] 웹사이트 Posters 1959 http://www.festival-[...] 2022-12-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