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부 (프랑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프랑스 문화부(Ministère de la Culture)는 프랑스 정부 부처로, 16세기부터 예술에 대한 국가의 역할과 문화적 위상을 강조하는 개념에서 시작되었다. 1959년 샤를 드 골 대통령에 의해 현대적인 문화부 장관직이 창설되었으며, 초대 장관은 앙드레 말로였다. 문화부는 프랑스어 보존을 위한 법률 제정, 대중문화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 다양한 문화 행사 후원 등을 통해 프랑스 문화 발전에 기여해왔다. 문화부는 국립 박물관, 기록 보관소, 도서관 등 다양한 기관을 관리하며, 조형 미술, 국제 문화 교류, 프랑스어 보급 등 다양한 분야를 담당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중앙 행정 기관 - 프랑스 유럽외교부
프랑스 유럽외교부는 1547년 프랑스 왕실 기구로 설립되어 대외관계부, 외무국제개발부 등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콰이 도르세라고도 불리는 프랑스의 외교 부처이다. - 프랑스의 중앙 행정 기관 - 경제재정부 (프랑스)
프랑스 경제재정부는 프랑스의 경제, 재정, 산업 정책을 총괄하는 정부 부처로서, 프랑스 혁명 시기 재무장관 직함으로 시작하여 현재의 명칭과 권한을 갖게 되었으며, 경제 개발, 규제, 세금 정책 수립 및 집행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 문화부 - 예부
예부는 고려 시대에 궁중 의례와 제사를 관장하며, 불교 및 도교 승려 관리, 과거 시험, 외교 등의 업무를 수행한 관청이다. - 문화부 -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
베트남 문화체육관광부는 문화, 체육, 관광 분야를 총괄하는 정부 부처로, 문화유산 보호, 관광 산업 발전, 국제 협력을 통해 베트남의 문화적 가치를 높이고 국제 사회에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데 주력한다. - 프랑스의 문화 - 프랑스 문학
프랑스 문학은 갈리아 원주민의 켈트어에서 시작하여 로마 문화와의 융합을 거쳐 로망스어를 발전시키고, 중세 시대 신앙과 기사도 정신의 귀족 문학과 서민 문학, 르네상스 시대 고전 문예 부흥과 산문 문학, 17세기 바로크와 고전주의, 18세기 계몽주의, 19세기 다양한 사조, 20세기 새로운 사조를 거쳐 현대 사회를 비판하는 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채로운 역사를 지니며 프랑스어권 문학의 풍부함과 다양성을 보여준다. - 프랑스의 문화 - 투우
투우는 메소포타미아와 지중해 지역의 황소숭배 의식에서 기원하여 소와 인간 또는 소끼리 싸우는 전통 행사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규칙을 가지지만 동물 복지 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다.
문화부 (프랑스)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공식 명칭 | 문화부 |
현지 명칭 | fr |
영어 명칭 | Ministry of Culture |
주요 인사 | |
장관 | 라치다 다티 |
장관 임명일 | 2024년 1월 11일 |
조직 | |
소속 | 각료회의 |
보고 대상 | 대통령과 의회 |
상세 정보 | |
소재지 | 파리, 프랑스 |
주소 | 팔레-루아얄 |
상세 주소 | 발루아 거리 3번지, 75001 파리 |
직원 수 | 10,928명 (2013년) |
연간 예산 | 41억 유로 (2022년) |
웹사이트 | 문화부 공식 웹사이트 |
책임 범위 | |
주요 기능 | 문화유산 보존 국립 기록 보관소 관리 문화 센터 지원 |
역사 | |
설립일 | 1959년 1월 8일 |
초대 장관 | 앙드레 말로 |
급여 | |
월급 | 9,940 유로 |
2. 역사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와 부르고뉴 공국 궁정의 영향을 받은 프랑스는 16세기부터 예술 작품 제작 후원에 국가가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며, 예술이 국가적 위신과 관련 있다는 개념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개념은 혁명 이전 시대에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와 같은 국가 후원 예술 제작 기관 설립과 루이 14세의 재상 장바티스트 콜베르의 문화 정책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1959년 샤를 드 골 대통령은 현대적 의미의 문화부 장관직을 창설했으며, 초대 장관으로 작가 앙드레 말로를 임명했다. 말로는 프랑스 헌법과 세계 인권 선언(1948)에 포함된 '문화에 대한 권리'(''droit à la culture'')를 실현하여 문화 접근성을 높이고, 전후 프랑스의 "웅대함"("grandeur")을 드높이는 책임을 맡았다. 이를 위해 프랑스 전역에 여러 지역 문화 센터를 설립하고 예술을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말로는 현대 예술과 아방가르드를 포함한 다양한 예술을 지원했지만, 전반적으로는 보수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시절, 자크 랑 문화부 장관은 재즈, 로큰롤, 랩 음악, 그래피티, 만화, 패션, 음식 등 대중 문화에 대해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경제와 문화, 같은 싸움"("économie et culture, même combat")이라는 유명한 말을 남겼는데, 이는 문화 민주주의에 대한 그의 신념과 문화 생산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후원 및 참여를 보여준다. 그는 음악 축제를 만들고 프랑스 혁명 200주년(1989) 행사를 감독했으며, 대규모 건축 프로그램을 통해 국립 도서관, 루브르 박물관 신관, 아랍 세계 연구소, 오르세 미술관, 바스티유 오페라, 라데팡스의 그랑 아르슈, 프랑스 경제 재무부, 장-마리 지바우 문화 센터, 라 빌레트 공원의 과학 산업 도시와 음악 도시 건설을 추진했다.
자크 투봉 문화부 장관은 프랑스어를 보존하기 위해 여러 법률("투봉 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광고에 외국어가 사용될 경우 반드시 프랑스어 번역을 포함하도록 하고, 라디오에서 프랑스어 노래 방송 비율을 규정하는 등, 영어 사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볼 수 있다.
2. 1. 르네상스 시대부터 프랑스 혁명 이전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와 부르고뉴 공국 궁정의 영향을 받아, 프랑스에서는 예술 작품 제작에 국가가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며, 예술이 국가적 위신과 관련 있다는 개념이 적어도 16세기부터 나타났다. 혁명 이전 시대에는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화 및 조각 아카데미 등 국가 후원 예술 제작 기관 창설과 루이 14세의 재상 장바티스트 콜베르의 문화 정책에서 이러한 개념이 분명히 드러난다.2. 2. 앙드레 말로와 문화부 창설 (1959년)
1959년 샤를 드 골 대통령은 현대 문화부 장관직을 창설했으며, 초대 장관으로 작가 앙드레 말로를 임명했다. 말로는 프랑스 헌법과 세계 인권 선언(1948)에 포함된 '문화에 대한 권리'(''droit à la culture'')라는 개념을 실현하여, 문화에 대한 접근을 민주화하는 동시에 전후 프랑스의 "웅대함"("grandeur")을 드높이는 책임을 맡았다. 이를 위해 그는 프랑스 전역에 수많은 지역 문화 센터를 설립하고 예술을 적극적으로 후원했다. 말로는 현대 예술과 아방가르드를 이해했지만, 전반적으로는 보수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자유 프랑스"에서 함께 레지스탕스 운동을 하였고, 문화 장관 취임 이전에는 드골 밑에서 정보 장관 등을 역임했으며, 드골이 주창하는 "위대한 프랑스"에 대해 문화에 대한 접근의 민주화, 즉 "문화의 권리" 개념을 제창함과 동시에 이 개념을 새로운 프랑스 헌법과 세계 인권 선언에 담아 전후 프랑스의 위신을 전 세계에 알리려 했다.2. 3. 자크 랑과 문화 민주주의 (1981-1986, 1988-1993)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재임 시절 문화부 장관은 자크 랑이었으며, 그는 재즈, 로큰롤, 랩 음악, 그래피티, 만화, 패션, 음식 등 대중 문화 작품에 훨씬 더 개방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의 유명한 어구 "경제와 문화, 같은 싸움"("économie et culture, même combat")은 문화 민주주의에 대한 그의 헌신과 문화 생산에 대한 적극적인 국가 후원 및 참여를 대변한다. 그는 음악 축제 창설과 프랑스 혁명 200주년(1989)을 감독했을 뿐만 아니라 프랑수아 미테랑 시대의 대규모 건축 프로그램("대작업" - ''Grands travaux'')을 담당하여 국립 도서관, 새로운 루브르 박물관, 아랍 세계 연구소, 오르세 미술관, 바스티유 오페라, 라데팡스의 "그랑 아르슈"(파리 상업 지구), 프랑스 경제 재무부, 장-마리 지바우 문화 센터, 라 빌레트 공원에 있는 과학 산업 도시 및 음악 도시의 건설을 허가했다.2. 4. 자크 투봉과 프랑스어 보호 (1993-1995)
자크 투봉 문화부 장관은 프랑스어 보존을 위해 여러 법률("투봉 법")을 제정했다. 이 법은 광고에서 모든 외국어에 대한 프랑스어 번역을 포함하도록 의무화하고, 라디오 방송에서 프랑스어 노래의 비율을 40%로 규정하는 등, 영어 사용에 대한 반작용으로 평가된다. 이러한 정책은 프랑스어의 위상을 지키고, 영어의 과도한 유입을 막기 위한 조치였다.2. 5. 역대 문화부 장관 및 명칭 변천
프랑스 헌법은 특정 장관을 명시하지 않으므로, 각 정부는 부처 이름을 자유롭게 지정하거나 여러 부문을 담당하는 광범위한 부처를 둘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문화부는 여러 명칭을 거쳤다.연도 | 명칭 | 프랑스어 명칭 |
---|---|---|
1959년 | 문화부 | Ministère des Affaires culturelles|미니스테르 데 자페르 퀼튀렐프랑스어 |
1974년 | 문화 및 환경부 | Ministère des Affaires culturelles et de l'Environnement|미니스테르 데 자페르 퀼튀렐 에 드 랑비론느망프랑스어 |
1974년 | 문화국무부 | Secrétariat d'État à la Culture|세크레타리아 데타 아 라 퀼튀르프랑스어 |
1976년 | 문화 및 환경부 |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Environnement|미니스테르 드 라 퀼튀르 에 드 랑비론느망프랑스어 |
1978년 | 문화 및 통신부 |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미니스테르 드 라 퀼튀르 에 드 라 코뮈니카시옹프랑스어 |
1981년 | 문화부 | Ministère de la Culture|미니스테르 드 라 퀼튀르프랑스어 |
1986년 | 문화 및 통신부 |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미니스테르 드 라 퀼튀르 에 드 라 코뮈니카시옹프랑스어 |
1988년 | 문화, 통신, 주요 공사 및 건국 200주년 기념부 | Ministère de la Culture, de la Communication, des Grands Travaux et du Bicentenaire|미니스테르 드 라 퀼튀르, 드 라 코뮈니카시옹, 데 그랑 트라보 에 뒤 비상트네르프랑스어 |
1991년 | 문화 및 통신부 |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미니스테르 드 라 퀼튀르 에 드 라 코뮈니카시옹프랑스어 |
1992년 | 국민 교육 및 문화부 | Ministère de l'Éducation nationale et de la Culture|미니스테르 드 레뒤카시옹 나시오날 에 드 라 퀼튀르프랑스어 |
1993년 | 문화 및 프랑스어 사용 공동체 부 |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Francophonie|미니스테르 드 라 퀼튀르 에 드 라 프랑코포니프랑스어 |
1995년 | 문화부 | Ministère de la Culture|미니스테르 드 라 퀼튀르프랑스어 |
1997년 | 문화 및 통신부 | Ministère de la Culture et de la Communication|미니스테르 드 라 퀼튀르 에 드 라 코뮈니카시옹프랑스어 |
2017년 | 문화부 | Ministère de la Culture|미니스테르 드 라 퀼튀르프랑스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