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4대 현대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4대 현대화는 1963년 중국에서 처음 제안된 경제 발전 정책으로, 농업, 공업, 국방, 과학 기술의 현대화를 목표로 했다.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추진이 지연되었으나, 덩샤오핑 집권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4대 현대화는 중국 경제의 급속한 성장을 이끌었지만, 소득 불평등, 환경 오염, 사회 불안 등 다양한 문제점을 야기했다. 이 정책은 대한민국에도 경제 발전, 사회 변화, 한중 관계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정치 - 인민대회당
    인민대회당은 중국 베이징 천안문 광장 서쪽에 위치하며 전국인민대표대회 등 주요 정치 행사와 문화 공연이 열리는 1959년 건립된 건축물로, 만인대회당, 국가연회장, 각 지역 이름을 딴 홀 등을 갖추고 일반인에게도 개방된다.
  • 중국의 정치 - 친중
    친중은 중국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를 의미하며, 문화 선호부터 정책 지지, 경제 협력 옹호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포괄하지만, 시대와 국가별 배경에 따라 성향이 다르게 나타나며, 최근에는 중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한 우려와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사 - 과학적 발전관
    과학적 발전관은 후진타오가 제시한 중국 공산당의 통치 이념으로, 인민 중심의 지속가능한 전면적 발전을 추구하며 경제 발전, 사회적 형평성, 환경 보전을 중시하는 포괄적인 발전 개념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경제사 - 중국 특색 사회주의
    중국 특색 사회주의는 중국 공산당이 소련식 사회주의 모델의 실패를 교훈 삼아 중국 현실에 맞춰 정립한 사회주의 발전 모델로, 시장경제 요소를 도입하면서도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는 독자적인 경제 운영 방식을 특징으로 한다.
  • 명수 4 - 시코쿠
    시코쿠는 일본의 주요 섬 중 하나로 세토 내해와 태평양에 둘러싸여 있으며 4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산지가 솟아 있으며, 다양한 기후와 독특한 문화를 가지고 있고, 관광 산업 육성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모색하고 있다.
  • 명수 4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아시아의 네 마리 용은 대한민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을 지칭하며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수출 주도형 경제 정책, 정부의 적극적인 개입, 교육 투자 등으로 급속한 경제 성장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저성장, 고령화, 사회 불평등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4대 현대화
개요
덩샤오핑
1979년 덩샤오핑
목표농업, 산업, 국방, 과학 기술의 현대화
주창자저우언라이 (최초 제안), 덩샤오핑 (실질적 추진)
시작 연도1978년 12월 (공식 채택)
중요 정책개혁개방
사회주의 시장경제
과학 기술 중시 정책
배경
이전 정책의 한계대약진 운동과 문화대혁명의 실패
경제적 필요성낙후된 경제 구조 개선 및 생산력 증대
정치적 안정덩샤오핑의 권력 강화 및 지지 기반 확대
주요 내용
농업 현대화인민공사 해체 및 가정 생산 책임제 도입
산업 현대화국영 기업 개혁 및 외국 자본 유치
국방 현대화군 현대화 및 무기 개발
과학 기술 현대화과학 기술 투자 확대 및 인재 양성
추진 과정
개혁개방 정책경제특구 설치 및 대외 무역 확대
사회주의 시장경제시장 경제 원리 도입 및 계획 경제 축소
과학 기술 중시 정책과학 기술 발전 장려 및 교육 강화
성과
경제 성장중국 경제의 비약적인 성장
생활 수준 향상국민 생활 수준의 전반적인 향상
국제적 위상 강화중국의 국제적 영향력 확대
비판 및 논쟁
빈부 격차 심화개혁개방으로 인한 소득 불균형 심화
환경 문제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인한 환경 오염 심각화
정치적 통제정치적 자유 제한 및 인권 문제 발생
관련 인물
주요 인물덩샤오핑
자오쯔양
후야오방
영향
중국의 부상중국이 세계적인 강대국으로 부상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
사회주의 국가의 변화다른 사회주의 국가들의 경제 개혁에 영향
참고 자료
관련 문서개혁개방
사회주의 시장경제
중국 특색 사회주의

2. 역사적 배경

1963년 1월 상하이에서 열린 과학 기술 작업 회의에서 저우언라이가 "4대 현대화"를 처음 언급하며 과학 기술 전문가들에게 이를 실현할 것을 촉구했다.[5] 같은 해 2월, 전국 농업 과학 기술 작업 회의에서 녜룽전은 4대 현대화를 농업, 공업, 국방, 과학 기술로 구체화했다.[6]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4대 현대화는 수년간 지연되었다. 1975년, 저우언라이는 제4차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4대 현대화를 다시 한번 강조했다.

1976년 저우언라이마오쩌둥 사망 이후, 화궈펑이 당권을 장악하고 4인방을 체포하면서 문화 대혁명은 종식되었다. 이후 4대 현대화 시행이 가능해졌고, 1977년부터 사회 각 부문에서 4대 현대화 실행에 집중했다.

1978년 12월 중국 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 덩샤오핑은 4대 현대화의 공식적인 시작을 발표했다.

2. 1. 저우언라이의 구상

1963년 1월 상하이에서 열린 과학 기술 작업 회의에서 저우언라이는 과학자들에게 "4대 현대화" 실현을 촉구했다.[5] 같은 해 2월, 전국 농업 과학 기술 작업 회의에서 녜룽전은 4대 현대화를 농업, 공업, 국방, 과학 기술로 구체화했다.[6] 이는 1956년 류사오치가 중국 공산당 제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제창한 4개 부문(공업, 농업, 국방, 과학기술)의 근대화 목표를 구체화한 것이다.[11][12]

1964년 저우언라이는 제3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 회의 "정부 활동 보고"에서 4대 현대화를 다시 제기했다.[10][11] 1973년 저우언라이사인방과 갈등하면서도 중국 공산당 제10차 전국대표대회를 주최하고, 린뱌오 사건을 수습하고, 덩샤오핑을 복권시켰다.[11] 마오쩌둥저우언라이 합의로 1973년 3월 덩샤오핑은 국무원 부총리 직무를 회복했다.[13]

1975년 1월, 11년 만에 열린 제4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 회의에서 저우언라이는 "정부 보고"를 통해 "금세기 안에 농업, 공업, 국방, 과학기술의 전면적인 근대화를 실현하여 중국 국민 경제를 세계 선두에 서게 하겠다"고 강조했다.[11][12]

저우언라이의 구상은 다음 기본 노선을 따랐다.[14]

# 미국과 국교를 회복하여 군사적, 기술 이전 봉쇄망을 해소한다.

# 외국 도입 선진 기술 중심으로 경제 건설 방향을 수립한다.

이는 전문가 중시 사회로 재편을 의미했고, "국제적 계급 투쟁 연대" 포기와 "육체 노동자 권력 장악"이라는 계급론 변화를 뜻했다.[14] 즉, 마오쩌둥과 문화대혁명파 사상과 배치되는 노선이었다.[14]

그러나 문화 대혁명으로 4대 현대화는 지연되었다.[11][12] 문화대혁명 좌파는 전문가 중용을 비판했고, 1976년 4월 당 기관지 '홍기'에서 외국 기술 도입 비판 글이 실렸다.[12] 저우언라이천윈, 왕전 등과 경제 재건에 힘썼으나, 암 투병으로 병상에 눕는 시간이 많아졌고, 덩샤오핑이 일상 업무를 대행했다.[13] 하지만 저우언라이덩샤오핑의 "탈 문화대혁명" 노선은 장칭사인방의 공격을 받았고,[15] 1976년 1월 저우언라이 사망 후 덩샤오핑은 실각했다.[16]

2. 2. 화궈펑의 추진

1976년 9월 9일 마오쩌둥이 사망하자, '사인방'과 '반사인방 그룹' 간의 권력 투쟁이 격화되었다.[17] 화궈펑을 중심으로 하는 '반사인방 그룹'이 '사인방'을 전격 체포하고, "당신이 하면 나는 안심이다"라는 '유훈'을 받은 화궈펑이 실권을 장악하게 되었다.[18] 화궈펑은 마오쩌둥 노선의 충실한 후계자임을 보여주기 위해 '두 개의 모든 것'을 내걸고 동시에 독자적으로 경제 재건에 임했다. 1978년 2월 제5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1차 회의에서 '네 개의 현대화'를 내걸었다.[19] 그러나 화궈펑 체제 하의 경제 건설 계획은, 원래 극히 적은 외자가 바닥나면서 좌초되었다.[20] 게다가 중국 경제의 현실에 입각하지 않았기 때문에, 선진 기술의 효과적인 이용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대량의 경제 낭비를 초래했다.[20] 덩샤오핑, 천윈 등은 화궈펑의 정책을 '대약진 운동'을 빗대어 '양약진'이라고 비판했다.[21]

2. 3. 덩샤오핑의 부활과 4대 현대화의 본격화

1978년 중국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중공 11기 3중전회)에서 '두 개의 모든 것'파가 물러난 후인 1979년, 덩샤오핑은 4대 현대화를 국가의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10] 덩샤오핑은 소강 사회를 4대 현대화의 목표로 묘사했다.[7] 1979년 오히라 마사요시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덩샤오핑은 "우리가 실현하고자 하는 4대 현대화는 중국식 4대 현대화입니다. 4대 현대화에 대한 우리의 개념은 여러분의 현대화 개념과 같지 않으며, 그것은 '소강' 가족입니다."라고 말했다.[7]

4대 현대화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10]

단계목표
1단계국민 총생산(GNP)을 1980년의 2배로 한다.
2단계20세기 말까지 GNP를 더욱 2배로 하여, 국민 생활을 어느 정도 윤택한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3단계21세기 중반까지 GNP를 더욱 4배로 하여, 중진국 수준으로 만든다.



1982년 제정된 현행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전문에는 '중국의 각 민족 인민은 계속하여 중국 공산당의 지도 아래,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의 인도 아래, 인민 민주 독재를 견지하고, 사회주의의 길을 견지하며, 끊임없이 사회주의의 제도를 개선하고, 사회주의적 민주를 발전시키며, 사회주의의 법 제도를 건전하게 하고, 자력갱생, 각고분투하며, 공업, 농업, 국방, 과학기술의 현대화를 차례로 실현하고, 우리나라를 고도의 문명과 고도의 민주주의를 갖춘 사회주의 국가로 건설할 것이다.'라고 기술되어 있다.[22]

4대 현대화를 추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중국 정부는 싼샤 댐에 대한 계획을 부활시키고 수력 발전을 개발할 필요성을 강조했다.[8] 최근에는 세계 최첨단 하이테크 도입에 대한 관심이 옮겨가고 있다.[10]

3. 내용

4대 현대화는 1963년 1월 상하이 과학 기술 작업 회의에서 처음 소개되었다. 저우언라이는 과학자들에게 "4대 현대화" 실현을 촉구했고,[5] 1963년 2월 전국 농업 과학 기술 작업 회의에서 녜룽전은 4대 현대화를 농업, 공업, 국방, 과학 기술로 구체적으로 언급했다.[6]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4대 현대화 실행은 수년간 지연되었다. 1975년 제4차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저우언라이는 다시 한번 4대 현대화를 강조했다. 1976년 저우언라이와 마오쩌둥 사망 후, 화궈펑이 당을 장악하고 4인방을 체포하면서 문화 대혁명이 종식되고 4대 현대화 시행이 가능해졌다. 1977년부터 사회 각 부문에서 4대 현대화 실행에 집중했으며, 생산성에 따른 임금 지급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추구했다. 1978년 12월 중국 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서 덩샤오핑은 4대 현대화의 공식적인 시작을 발표했다. 덩샤오핑은 소강 사회를 4대 현대화의 목표로 묘사했으며,[7] 1979년 오히라 마사요시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우리가 실현하고자 하는 4대 현대화는 중국식 4대 현대화"라고 언급했다.[7]

4대 현대화는 1956년 류사오치가 중공 제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제창했고,[11][12] 1964년 저우언라이가 제3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제기했다.[10][11] 1973년 저우언라이는 덩샤오핑의 복귀를 이루었고,[13] 1975년 제4기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금세기 내에 농업, 공업, 국방, 과학기술의 전면적인 근대화를 실현"하겠다고 제창했다.[11][12] 저우언라이의 기본 노선은 미국과의 국교 회복을 통해 기술 이전 봉쇄를 풀고, 외국 기술 도입을 중심으로 경제 건설을 추진하는 것이었다.[14] 그러나 이는 마오쩌둥의 사상과 충돌했고, 문화 대혁명으로 인해 실현되지 못했다.[14]

1976년 저우언라이 사망 후 덩샤오핑이 권력에서 밀려났지만,[16] 마오쩌둥 사망 후 화궈펑이 집권하면서 '4대 현대화'를 다시 추진했다.[19] 그러나 화궈펑의 경제 계획은 실패했고, 덩샤오핑은 이를 '양약진'이라고 비판했다.[21] 1979년 덩샤오핑은 '4대 현대화'를 국가 최중요 과제로 삼고, 3단계 발전 목표를 제시했다.[10] 1982년 제정된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전문에는 4대 현대화가 명시되었다.[22]

3. 1. 과학기술 현대화

1963년 1월 상하이에서 열린 과학 기술 작업 회의에서 처음 소개되었으며, 저우언라이는 과학 분야의 전문가들에게 "4대 현대화"를 실현할 것을 촉구했다.[5] 과학 기술 현대화는 중국 지도자들이 산업과 경제의 변화에 핵심적이라고 이해했지만, 달성 가능한 목표보다는 이론적인 목표에 가까운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주로 중국 과학자들이 수십 년 동안 국제 사회와 격리되어 있었고, 구식의 낙후된 대학, 첨단 과학 장비, 정보 기술 및 관리 노하우에 대한 전반적인 접근성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 해결과 과학기술 현대화를 촉진하기 위한 기술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중국 정부는 1978년 가을 유엔 개발 계획(UNDP)의 지원을 받아 초기 대상 프로젝트의 구현을 위한 재정 자원을 조사하고 제공했다. 1979년부터 1984년까지의 초기 프로젝트에는 해외 현장 교육 및 학술 프로그램 설립, 주요 정부 부서에 정보 처리 센터 설치, 시장 원칙에 따라 중국 상황 내에서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리는 방법 개발 등이 포함되었다. UNDP를 대신하여 중국 정부의 주요 고문은 미국의 잭 펜스터스톡이었다. UNDP의 이 첫 번째 기술 지원 노력(CPR/79-001)은 세계 은행과 아시아 개발 은행을 포함한 대규모 다자간 자금 지원 기관의 참여로 이어졌다.

4. 웨이징성의 "제5의 현대화"

1978년 12월 5일, 전직 홍위병이자 공원 정비 노동자였던 웨이징성은 베이징의 민주주의의 벽에 "민주주의"를 제5의 현대화로 게시했다.[9] 그는 등사판 잡지 『탐색』을 발행하여 "4대 현대화에 더하여, 정치의 현대화가 필요하다"라는 주장을 펼쳤다.[23] 웨이징성은 "민주주의인가, 아니면 새로운 독재인가"라는 벽보를 통해 덩샤오핑이 새로운 독재자가 되려 한다고 경고했다.[23] 그는 덩샤오핑에게 개혁가적인 면모와 권력적인 면모가 동시에 있음을 간파했으며, 덩샤오핑은 이에 격노했다고 한다.[23]

1979년 중국이 베트남과 전쟁을 벌이던 중, 웨이징성은 외국인 기자에게 중국군의 손해 등에 대한 "세간의 소문"을 이야기한 것이 "기밀 누설"에 해당한다는 이유로 체포되어 징역 15년형을 선고받았다.[23] 그는 1993년 가을에 "가석방"될 때까지 14년 반을 옥중에서 보냈다.[23] 1993년 가을은 중국이 2000년 올림픽의 베이징 유치에 필사적이었던 시기이다.[23]

5. 평가와 영향

"공업, 농업, 국방, 과학기술"의 4대 현대화는 건국 이래 중국 공산당 지도자들의 중요한 목표였다.[11] 1956년 류사오치가 제창했지만, 대약진 운동 전에 실현되지 못했다.[11][12] 1964년 저우언라이가 다시 제기했고, 1975년에는 "금세기 내에 농업, 공업, 국방, 과학기술의 전면적인 근대화를 실현하여 중국의 국민 경제를 세계의 선두에 서게 하겠다"고 선언했다.[11][12]

저우언라이는 미국과의 국교 회복을 통해 군사 및 기술 봉쇄를 풀고, 선진 기술 도입을 중심으로 경제 건설 방향을 수립하려 했다.[14] 이는 전문가를 중시하는 사회로의 재편을 의미하며, 마오쩌둥의 사상과는 다른 노선이었다.[14] 그러나 문화 대혁명의 영향으로 저우언라이의 구상은 실현되지 못했다.[11][12]

1976년 마오쩌둥 사망 후 권력 투쟁이 격화되었고, 화궈펑이 실권을 장악했다.[18] 화궈펑은 '두 개의 모든 것'을 내걸고 4대 현대화를 추진했으나, 외자 부족과 비효율적인 기술 이용으로 경제적 낭비를 초래했다.[19][20] 덩샤오핑 등은 이를 '양약진'이라고 비판했다.[21]

5. 1. 성과

1978년 중공 11기 3중전회 이후 1979년덩샤오핑은 '4대 현대화'를 국가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10] 덩샤오핑은 소강 사회를 4대 현대화의 목표로 제시하며, 1979년 오히라 마사요시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우리가 추구하는 4대 현대화는 중국식 4대 현대화입니다. 이는 여러분의 현대화 개념과는 다르며, '소강' 가족과 같습니다."라고 설명했다.[7]

4대 현대화의 3단계 실현 목표는 다음과 같다.[10]

단계내용
1단계국민 총생산(GNP)을 1980년의 2배로 증대
2단계20세기 말까지 GNP를 다시 2배로 늘려 국민 생활을 윤택한 수준으로 향상
3단계21세기 중반까지 GNP를 추가로 4배 늘려 중진국 수준으로 발전



1982년 제정된 현행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전문에는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다. "중국의 각 민족 인민은 중국 공산당의 지도 아래,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을 따르며, 인민 민주 독재와 사회주의 길을 견지하고, 사회주의 제도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며, 사회주의적 민주주의를 발전시키고, 사회주의 법 제도를 건전하게 하며, 자력갱생과 각고분투를 통해 공업, 농업, 국방, 과학기술의 현대화를 점진적으로 실현하여, 우리나라를 고도의 문명과 민주주의를 갖춘 사회주의 국가로 건설할 것이다."[22] 최근에는 세계 최첨단 하이테크 기술 도입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10]

5. 2. 과제

1978년 중공 11기 3중전회에서 '두 개의 모든 것'파가 물러난 후인 1979년, 덩샤오핑은 '4대 현대화'를 국가의 최중요 과제로 삼았다.[10]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단계내용
1단계국민 총생산(GNP)을 1980년의 2배로 한다.
2단계20세기 말까지 GNP를 더욱 2배로 하여, 국민 생활을 어느 정도 윤택한 수준으로 끌어올린다.
3단계21세기 중반까지 GNP를 더욱 4배로 하여, 중진국 수준으로 만든다.



1982년 제정된 현행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전문에는 '중국의 각 민족 인민은 계속하여 중국 공산당의 지도 아래, 마르크스-레닌주의와 마오쩌둥 사상의 인도 아래, 인민 민주 독재를 견지하고, 사회주의의 길을 견지하며, 끊임없이 사회주의의 제도를 개선하고, 사회주의적 민주를 발전시키며, 사회주의의 법 제도를 건전하게 하고, 자력갱생, 각고분투하며, 공업, 농업, 국방, 과학기술의 현대화를 차례로 실현하고, 우리나라를 고도의 문명과 고도의 민주주의를 갖춘 사회주의 국가로 건설할 것이다.'라고 기술되어 있다.[22]

덩샤오핑은 소강 사회를 4대 현대화의 목표로 묘사했다.[7] 1979년 오히라 마사요시 일본 총리와의 회담에서 덩샤오핑은 "우리가 실현하고자 하는 4대 현대화는 중국식 4대 현대화입니다. 4대 현대화에 대한 우리의 개념은 여러분의 현대화 개념과 같지 않으며, 그것은 '소강' 가족입니다."라고 말했다.[7]

최근에는 세계 최첨단 하이테크 도입에 대한 관심이 옮겨가고 있다.[10]

5. 3. 대한민국에 대한 시사점

중국의 4대 현대화는 대한민국 경제 발전과 사회 발전에 다음과 같은 교훈과 시사점을 제시한다.

덩샤오핑은 1979년 '4대 현대화'를 국가 최우선 과제로 설정하고, 국민 총생산(GNP) 증대를 통한 경제 성장을 3단계에 걸쳐 추진했다.[10] 이는 경제 발전의 중요성과 장기적인 목표 설정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1982년 제정된 중화인민공화국 헌법 전문에는 공업, 농업, 국방, 과학기술 현대화를 통해 고도의 문명과 민주주의를 갖춘 사회주의 국가를 건설한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10][22] 이는 국가 발전 전략의 헌법적 기반 마련과, 경제 발전과 함께 사회 제도 개선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최근 중국은 세계 최첨단 하이테크 기술 도입에 주력하고 있다.[10] 이는 대한민국이 지속적인 경제 성장을 위해 첨단 기술 개발과 혁신에 투자해야 함을 시사한다.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Politics and International Relations in China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19-03-21
[2] 웹사이트 Four Modernizations Era http://depts.washing[...] University of Washington 2012-10-20
[3] 웹사이트 从"小康"到"全面小康"——邓小平小康社会理论形成和发展述论--邓小平纪念网--人民网 http://cpc.people.co[...] 2020-05-26
[4] 웹사이트 Meet "moderately prosperous" China https://worldin.econ[...] 2019-11-21
[5] 뉴스 https://web.archive.[...] Central Committe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1963-01-31
[6] 뉴스 https://web.archive.[...] Central Committee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1963-02-22
[7] 서적 Afterlives of Chinese Communism: Political Concepts from Mao to Xi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Press 2019
[8] 서적 An Ecological History of Modern Chin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9] 서적 Modern revolution: social change and cultural continuity in Czechoslovakia and Chin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20-10-25
[10] 문서 峯村(2011年)84ページ
[11] 문서 天児(2013年)104ページ
[12] 문서 小島(1997年)76ページ
[13] 문서 天児(2013年)105ページ
[14] 문서 小島(1997年)75ページ
[15] 문서 天児(2013年)106ページ
[16] 문서 天児(2013年)109ページ
[17] 문서 天児(2013年)113ページ
[18] 문서 天児(2013年)115ページ
[19] 문서 天児(2013年)116ページ
[20] 문서 天児(2013年)118ページ
[21] 문서 天児(2013年)119ページ
[22] 문서 竹内(1991年)110ページ
[23] 문서 田畑(1995年)67ページ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