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이징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이징성은 중국의 민주화 운동가로, 1950년 베이징에서 태어났다. 문화 대혁명 시기 홍위병으로 활동했으며, 베이징 동물원에서 일하며 베이징 대학에서 역사를 공부했다. 1978년 민주주의 벽 운동에 참여하여 덩샤오핑의 4가지 현대화에 민주주의를 추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에세이 "제5의 현대화"를 발표했다. 1979년 잡지 『탐색』을 창간하여 중국 공산당의 독재를 비판하다가 반혁명죄로 체포되어 15년형을 선고받았다. 18년간의 투옥 생활 이후 미국으로 망명하여 중국의 인권 문제와 민주화를 위한 활동을 이어갔으며, 코로나19 관련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1996년 사하로프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하로프상 수상자 - 넬슨 만델라
넬슨 만델라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반 아파르트헤이트 운동가이자 정치인으로서, 아파르트헤이트 철폐 운동을 이끌고 27년간 수감 생활을 했으며, 석방 후 남아프리카공화국 첫 흑인 대통령이 되어 국민 화합과 경제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 사하로프상 수상자 - 알렉세이 나발니
알렉세이 나발니는 러시아의 변호사이자 정치 활동가, 반부패 운동가로서, 러시아 정부 고위층의 부정부패 폭로와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 비판 활동으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으나, 독살 시도 후 체포 및 투옥되었고, 그의 활동과 사망은 엇갈린 평가와 국제적 비난을 야기했다. - 중국의 반체제자 - 팡리즈
팡리즈는 중국의 저명한 천체물리학자이자 민주화 운동가로서, 중국 우주론 연구의 선구자였으나 톈안먼 사건 이후 망명하여 애리조나 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연구와 인권 운동을 지속했다. - 중국의 반체제자 - 우얼카이시
우얼카이시는 1989년 톈안먼 사건 당시 학생운동 지도자 중 한 명으로, 현재 대만에 거주하며 정치 평론가 및 텔레비전 앵커로 활동하면서 중국 귀환 호소, 대만 독립 지지 등 정치 활동을 펼치며 논란에 휘말리기도 했다. - 중국의 공산주의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중국의 공산주의자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웨이징성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웨이징성 (魏京生) |
로마자 표기 | Wei Jīngshēng |
출생일 | 1950년 5월 20일 |
출생지 | 베이징, 중국 |
직업 | 작가, 인권 운동가 |
학력 | 중국인민대학 부속 고등학교 |
알려진 업적 | 민주화 운동 주도 |
수상 | 올로프 팔메 상 사하로프 상 로버트 F. 케네디 인권상 |
![]() |
2. 초기 생애와 사상 형성
웨이징성은 1950년 베이징에서 중국 인민해방군 퇴역 군인이자 중국 공산당 간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출신지는 안후이성이다.)[4] 4명의 자녀 중 장남이었던 그는 1966년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16세의 학생 신분으로 홍위병에 가입했다.[4] 그는 중국 북부의 외딴 시골 지역에서 살면서, 몇 년 전 대약진 운동 기간 동안 발생했던 광범위한 기근에 대해 농민들과 이야기할 수 있었다.[5] 마오쩌둥 치하의 공산 정부가 기근을 일으키는 데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게 되면서, 자신이 살고 있는 체제의 본질에 대해 의문을 품게 되었다. 웨이는 훗날 이 시기에 대해 "마치 오랫동안 꿈에서 깨어난 듯했지만, 주변의 모든 사람은 여전히 어둠 속에 잠겨 있었다."라고 썼다.[6] 1969년부터는 병역에 종사했다.
2. 1. 베이징 동물원 근무
1973년부터 베이징 동물원에서 전기 기술자로 일했다.[4] 그는 베이징 대학에서 역사를 공부했다.3. 민주화 운동 참여
1978년, 웨이징성은 베이징에서 일어난 '민주주의의 벽' 운동에 참여하여 자신의 생각을 공개적으로 드러냈다. 그는 1978년 12월 5일, '제5의 현대화'라는 제목의 에세이를 발표하여 덩샤오핑이 제시한 4가지 현대화(산업, 농업, 과학 기술, 국방)에 민주주의를 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7]
웨이징성은 자신의 실명과 주소를 에세이에 밝히며 덩샤오핑을 독재자라고 비판하는 등 과감한 주장을 펼쳤다.[7] 그는 민주주의가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는 우려에 대해 "억압의 무게가 없으면 척추가 완전히 무너질까 두려워 억압을 묵묵히 견디는 것"과 같다고 반박하며, "우리는 우리 운명의 주인이 되기를 원합니다. 우리는 신이나 황제가 필요 없으며 어떤 종류의 구세주도 믿지 않습니다."라고 강조했다.[8]
웨이징성은 마르크스주의와 중국 공산당의 지도력에 반대하는 몇 안 되는 활동가 중 한 명이었다.[9][10] 1976년 제1차 천안문 사건 이후 민주화 운동이 고조되면서, 웨이징성은 "베이징의 봄"의 주도자 중 한 명이 되었다.
1978년 가을, 베이징 시단 지역에서 활발하게 전개된 '민주주의의 벽' 운동은 중국 공산당 제11기 중앙위원회 제3차 전체회의에 영향을 주어 문화 대혁명 청산과 개혁 개방 노선 결정에 기여했다. 웨이징성은 "진성"이라는 필명으로 "제5의 근대화 - 민주주의 및 기타"라는 벽보를 게시하여 중국 공산당의 독재와 비민주적인 현실을 비판했다.[21] 1979년 1월 8일, 잡지 『탐색』을 창간하여 덩샤오핑의 개혁 노선과 중국 공산당의 정책을 비판했다.[22]
하지만 1979년 3월, 베이징시 당 위원회는 집회, 데모, 벽보 게시 등을 규제하는 통고를 발표하고, 웨이징성을 반혁명죄로 체포했다. 덩샤오핑은 '4가지 기본 원칙'을 선언하며 '민주주의의 벽' 운동을 종식시켰다.[23] 웨이징성은 징역 15년형을 선고받고 1993년 가석방될 때까지 복역했다.
3. 1. '탐색'지 발간
1979년 1월 8일, 웨이징성은 잡지 '탐색'을 편집, 발행하기 시작했다.[22] 그는 이 잡지를 통해 덩샤오핑의 개혁 노선을 비판하고, 4개 현대화에 더해 '제5의 현대화'(정치 근대화, 즉 민주화)를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탐색'지는 중국 공산당의 정책을 비판하는 내용을 담고 있었는데, 판첸 라마의 수감 환경을 비판하는 글을 싣기도 했다.4. 체포와 투옥
웨이징성은 1979년 3월 29일 베이징의 봄 운동 참여, 덩샤오핑 비판, '제5의 현대화' 주장 등의 이유로 반혁명죄로 체포되었다.[21][23] 당시 베이징시 당 위원회는 집회, 데모 등을 규제하고 마르크스-레닌주의 등에 반대하는 출판을 금지했다.[23]
1979년 10월 16일, 웨이징성은 중월 전쟁 관련 군사 정보 누설 및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사회주의 체제 전복 선동 혐의로 15년 형을 선고받고 1993년까지 복역했다.[12][13][23] 가석방 후에도 정치, 제2차 톈안먼 사건, 인권 문제 등을 비판하다 1994년 4월 재체포, 1995년 12월 정부 전복 음모죄로 14년 형을 선고받았다.[16]
1997년 11월 16일, 건강 악화와 국제 사회의 압력으로 병 치료 목적 가석방 후 미국으로 추방되었다.[7][16] 1996년 옥중에서 사하로프 상을 수상했으며, 두 번의 투옥으로 총 18년을 복역했다.
4. 1. 옥중 서한
웨이는 수감 기간 동안 자신의 견해를 담은 편지들을 썼으며, 이 편지들은 《홀로 설 용기: 감옥에서 온 편지 및 기타 글》이라는 책으로 출판되었다. 일부 편지는 덩샤오핑에게 직접 보냈고, 다른 편지는 웨이의 가족들에게 보냈다.[3][14]5. 미국 망명과 활동
1997년 국제사회의 압력과 건강상의 이유로 석방되어 미국으로 망명했다.[24] 이는 사실상 국외 추방이었다. 이후 미국을 거점으로 중국 민주화 운동을 벌이고 있다. 인권 문제뿐만 아니라 정치·외교에서도 중화인민공화국을 비판하며, 중화민국을 여러 차례 방문하여 여야 간부들과 회담을 갖고, 베이징의 중화민국(타이완) 병합 움직임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2016년 미국 공화당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후보가 천안문 사건을 "폭동"이라고 표현했을 때, 왕단,[25] 우얼카이시[26] 등 다른 민주화 운동가들과 함께 "모욕"이라며 항의했다.[27]
5. 1. 코로나19 관련 주장
2021년 9월 오스트레일리아(호주)의 저널리스트이자 작가인 샤리 마크슨의 다큐멘터리 ''우한에서 실제로 무슨 일이 벌어졌는가''에서 웨이는 2019년 10월 베이징의 지인들로부터 발병 소식을 접한 후 미국 당국에 코로나19에 대해 경고하려 했다고 주장했다.[17] 그는 또한 중국이 인정했던 것보다 훨씬 일찍 바이러스를 인지하고 있었으며, 2019년 10월 19일부터 27일까지 열린 세계 군인 체육 대회 기간 동안 의도적으로 바이러스를 퍼뜨렸다고 주장한다.[18]5. 2. 일본과의 관계
1998년9월 국제앰네스티 일본 지부의 초청으로 일본을 방문할 예정이었으나, 직전에 여권 도난 사건이 발생하여 연기되었다.[28] 2006년 10월 하순 일본을 방문하여 중화인민공화국에 대해 북한 문제나 경제 관계뿐 아니라 빈부 격차, 인권 침해, 민주화 문제도 주시할 것을 강연회에서 주장했다.2007년 6월 3일 도쿄도에서 열린 톈안먼 사건 18주년 기념 집회에 강연하기 위해 6월 2일 뉴욕에서 나리타에 도착했으나, 비자 미소지를 이유로 일본 입국관리국에 입국을 거부당했다.[28] (이후 웨이징성이 기항지 상륙 허가를 신청했을 때, 원래는 허용되지 않는 집회에 참가하고 있었던 것이 입국 거부 이유로 제시되었다.[29]) 웨이는 귀국을 거부하고 공항 내 호텔에서 대기했으며,[29] 예정되었던 톈안먼 사건 18주년 기념 집회 강연은 취소되었다.[29]
6월 6일 법무성은 웨이징성의 지병(당뇨병) 악화를 이유로 인도적 배려 차원에서 도쿄도 내 진찰을 허가했다(기항지 상륙은 허가하지 않음).[30] 6월 7일 웨이징성은 치료 후 특정 실종자 문제 조사회 사무실에서 아라키 가즈히로 대표와 면회하고, 북한향 단파 방송 시오카제를 통해 납치 문제 해결을 호소했다.[30] 6월 8일 웨이징성은 나리타에서 미국으로 돌아갔다.[30] 그는 귀국에 즈음하여 일본 정부의 대응을 중국 편향적이라고 비판하며, "합법적으로 입국하려 했는데 끝까지 사과도 없었다. 조만간 다시 일본에 오고 싶다"고 말했다.[30]
6. 비판과 논란
웨이징성은 천안문 사건의 지도자였음에도 불구하고, "위구르인은 모두 테러리스트다"라는 발언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1] 양하이잉이 일본 위구르 협회 회장인 위톈 커림과의 회담에서 언급한 내용에 따르면, 웨이징성은 14년 이상 중국 교도소에 수감되었고 미국으로 망명한 후에도 이러한 발언을 하여 '중국의 민주화 운동'의 상징과 같은 인물로서 비판을 받았다.[31] 이는 소수민족 인권 문제에 대한 그의 인식이 부족함을 보여주는 사례로 지적된다.
6. 1. 천안문 사건 관련 발언
2016년 미국에서 도널드 트럼프 당시 공화당 대통령 후보가 천안문 사건의 민주화 운동 탄압을 긍정하는 듯한 과거 발언[24]으로 비판을 받았다. 트럼프가 천안문 사건을 "폭동"이라고 표현하자, 웨이징성은 "모욕"이라며 왕단[25], 우얼카이시[26] 등 다른 민주화 운동가들과 함께 항의했다.[27]7. 수상 경력
1996년 웨이징성은 사상의 자유를 위한 사하로프상을 수상했다.[19] 1996년 로버트 F. 케네디 인권상, 1997년 민주주의 기금상, 1994년 울로프 팔메 기념상, 1993년 글레이츠만 재단 국제 활동가상 등 여러 인권 및 민주주의 상을 받았다.[20]
참조
[1]
뉴스
Longtime Prisoner Freed in China
https://www.latimes.[...]
Los Angeles Times
1993-09-14
[2]
서적
New Ghosts, Old Ghosts:Prisons and Labor Reform Camps in China
M.E. Sharpe, Inc
[3]
서적
The Courage to Stand Alone: Letters from Prison and Other Writings
Penguin
[4]
웹사이트
魏京生
http://www.boxun.com[...]
2010-12-12
[5]
문서
The Courage to..
[6]
서적
Wei Jingsheng Autobiography
[7]
서적
The China reader: the reform era
Random House, Inc
[8]
서적
Fifth Modernization
[9]
논문
The Democracy Wall Movement, Marxist Revisionism, and the Variations on Socialist Democracy
http://www.tandfonli[...]
2007
[10]
논문
The Democracy Wall Movement, Marxist Revisionism, and the Variations on Socialist Democracy
http://www.tandfonli[...]
2007
[11]
웹사이트
Excerpts from Qincheng: A Twentieth Century Bastille, published in Exploration, March 1979
http://www.weijingsh[...]
[12]
서적
Discos and Democracy: China in the Throes of Reform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Digital, Inc.
2012-05-19
[13]
서적
Deng: a political biography
M.E. Sharpe publishing
[14]
문서
The letters were published in 1997, during Wei's last year of imprisonment.
[15]
서적
Beyond Tiananmen: The Politics of U.S.-China Relations, 1989–2000
https://archive.org/[...]
Brookings Institution Press
[16]
서적
About Face: A History of America's Curious Relationship with China from Nixon to Clinton
https://archive.org/[...]
Alfred Knopf: Distributed by Random House
[17]
웹사이트
Covid-19 coronavirus: Chinese defector Wei Jingsheng claims he warned US of Covid months before pandemic declared
https://www.nzherald[...]
2021-09-28
[18]
웹사이트
Covid 19 coronavirus: Allegations of first 'superspreader' event occurred at Wuhan Military Games in October 2019
https://www.nzherald[...]
2021-10-02
[19]
웹사이트
Wei Jingsheng profile on the Sakharov prize Network homepage
http://www.europarl.[...]
2013-12-09
[20]
서적
The Overseas Chinese Democracy Movement: Assessing China's Only Open Political Opposition
https://books.google[...]
Edward Elgar Publishing
2019-12-27
[21]
서적
文化大革命十年史
岩波書店
[22]
문서
文化大革命十年史の著者でもある。
[23]
웹사이트
鄧小平文選第二巻、「四つの基本原則を堅持する」(1979年3月30日)
http://cpc.people.co[...]
[24]
뉴스
トランプ氏、天安門事件を「暴動」
https://www.afpbb.co[...]
2016-03-12
[25]
뉴스
Tiananmen protest leader Wang Dan: Donald Trump sounds like a communist
http://www3.nhk.or.j[...]
2016-05-05
[26]
뉴스
Tiananmen dissident Wuer Kaixi condemns Trump as an enemy of American values
http://www.scmp.com/[...]
2016-03-14
[27]
뉴스
トランプ氏の天安門事件「暴動」発言 謝罪求める声
http://www3.nhk.or.j[...]
2016-03-13
[28]
뉴스
魏京生氏の入国を拒否 ビザ持たず、成田空港で
http://www.47news.jp[...]
47NEWS
2015-10-10
[29]
뉴스
魏京生氏が引き返し拒否 成田空港、ホテルに足止め
http://www.47news.jp[...]
47NEWS
2015-10-10
[30]
뉴스
魏京生氏、米国に引き返し 「無責任」と入国拒否を批判
http://www.47news.jp[...]
47NEWS
2015-10-10
[31]
뉴스
《在日ウイグル人の吐露》「ジェノサイドを見過ごした漢民族も日本企業も共犯者」“ウイグル人弾圧”を見て見ぬふりする日本に抱く思い
https://bunshun.jp/a[...]
2021-1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