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6.25 전쟁 기간 영국의 군사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6.25 전쟁 기간 영국의 군사사는 1950년 북한의 남침 이후 영국이 참전을 결정하고 해군과 육군을 파견하면서 시작되었다. 영국은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전투 부대를 파견했으며, 총 81,084명이 참전하여 1,108명이 전사하고 4,909명의 인명 피해를 입었다. 주요 전투로는 임진강 전투, 가평 전투, 고양 전투 등이 있으며, 영국군은 제27, 29 보병여단, 제41해병독립특공대, 제1영연방사단 등으로 부대를 편성했다.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국군을 기리는 기념물로 파주 설마리 전투 추모 공원과 런던 한국전쟁 기념비가 있다.

2. 참전 경과

영국은 북한의 남침 소식을 접한 후, 미국에 이어 두 번째로 전투 부대를 파견했다.[4] 1950년 6월 27일, 유엔 안보리의 한국에 대한 군사 원조 제안에 지지를 표명했다.[5] 6월 29일, 경항공모함 1척, 순양함 2척, 구축함 3척, 프리깃함 3척 등 총 8척으로 편성된 함대를 파견하여 미 극동해군사령부 통제 하에 한국 해역에서의 해상 작전에 참가하였다.[6]

영국은 1950년 7월 26일 제29보병여단 파병을 결정하고 공식 발표했다.[7] 8월 20일, 홍콩에 주둔 중이던 제40보병사단에서 제27여단본부와 예하 아길대대 및 미들섹스대대를 선발하여 한국에 파견했다.[8] 8월 25일 항공모함 유니콘(Unicorn)호와 순양함 세일론(Ceylon)호에 승선시켜 한국에 파견하였다.[9]

또한 영국은 본국에 대기하고 있던 제41해병독립특공대에서 225명을 선발하여 증강된 중대 규모의 특수임무부대를 편성하여 파견했다.[10]

2. 1. 한국 전쟁 중 영국군 인명 피해

British casualties영어는 6.25 전쟁에 참전한 영국군에게 발생했으며, 그 규모는 다음과 같다.[1]

사망부상실종포로총계
1,1082,6741799784,909



총 81,084명의 영국군이 한국 전쟁에 참전했으며, 사망자 1,078명 중 886명이 부산 유엔기념공원에 안장되었다.[1]

3. 부대 편성

영국은 6.25 전쟁에 총 56,000명의 병력을 파견했다. 주요 편성은 다음과 같다.

제1영연방사단 부대 마크


제29보병여단 부대 마크


임진강 전투 이후 영국군의 군사 의례


임진강 전투 이후 영국군의 군사 의례

  • '''육군'''
  • 사단: 제1영연방사단
  • 여단: 제27보병여단, 제28영연방보병여단, 제29보병여단
  • 보병 대대: 제1 미들섹스 대대, 제1 아가일 & 서덜랜드 하이랜더 대대, 제1 로열 노섬벌랜드 퓨질리어 대대, 제1 글로스터셔 대대, 제1 로열 얼스터 라이플 대대, 제1 킹스 오운 스코티쉬 보더러스 대대, 제1 킹스 슈롭셔 라이트 보병 대대, 제1 로열 노퍽 대대, 제1 웰치 대대, 제1 블랙 워치 대대, 제1 로열 퓨질리어 대대, 제1 더럼 경보병 대대, 제1 킹스 리버풀 대대, 제1 웰링턴 공작 대대, 제1 로열 스코츠 대대, 제1 에섹스 대대, 제1 로열 워릭셔 대대, 제1 킹스 오운 로열 대대, 제1 노스 스태포드셔 대대, 제1 로열 레스터셔 대대
  • 기갑/기갑: 제8 킹스 로열 아일랜드 후사르, 제5 이니스킬린 드래군 가드, 제1 로열 전차 연대, 제7 로열 전차 연대
  • 포병: 제14 로열 포병 연대
  • '''해병대'''
  • 제41해병독립특공대

3. 1. 육군

B.A. Coad 준장 (왼쪽)


1950년 8월, 홍콩에 주둔하던 제40보병사단에서 제27보병여단 본부와 예하 아길대대 및 미들섹스대대를 차출하여 긴급 파병하였다.[8] 이들은 8월 25일 항공모함 유니콘호와 순양함 세일론호에 승선했다.

제27보병여단 지휘관[14]
부대명지휘관
계급성명재임기간
제27보병여단준장B.A. Coad1950.8.~1951.3
준장B.A. Burke1951.3.~1951.4



제27보병여단 배속 대대 및 지휘관[12]
부대명지휘관
계급성명재임기간
Middlesex연대 제1대대중령A.M. Man1950.8.~1951.5.
Argyll and Southerland Highlanders연대 제1대대중령C.L. Neilson1950.8.~1951.4



제27보병여단은 6.25 전쟁에 파견된 이후 제1영연방사단이 창설되기 전까지 제1기병사단에 배속되어 전투를 수행했다. 이후 1951년 4월 제28영연방보병여단으로 재편되어 제1영연방사단에 배속되었다.

1950년 10월 초, 본국에서 파병을 준비하던 제 29보병여단도 전투편성이 완료되어 여단장 브로디(T. Brodie) 준장 지휘 하에 영국을 출발하였다.[13] 제27보병여단에 비해 제 29보병여단은 완전편성된 여단이었다. 그러나 제29보병여단이 6.25 전쟁에 도착했을 당시는 중공군의 참전으로 상황이 급박하게 돌아가고 있어 긴급하게 미 제187공수단에 배속되었다.

벨기에대대와 룩셈부르크대대가 제29보병여단에 배속되었다.

제29보병여단 지휘관[14]
부대명지휘관
계급성명재임기간
제29보병여단준장T. Brodie1950.11.~1951.10
준장A.H.G. Ricketts1951.10.~1952.12.
준장D.A.Kendrew1952.12.~1953.11.
준장R.N.H.C. Bray1953.11~미상



제29보병여단 배속 대대 및 지휘관
부대명지휘관
계급성명재임기간
Royal Northumberland Fusiliers연대 제1대대중령K.O.N. Foster1950.11.~1951.4.
중령M.C. Speer1951.4.~미상
Gloucester연대 제1대대중령J.P. Carne1950.11.~1951.10.
중령D.B.A. Grist1951.10.~미상
Royal Ulster Rifles연대 제1대대중령R.J.H. Carson1950.11.~1951.10.
Welch연대 제1대대중령H.H. Deane1951.11.~1952.11.
Black Watch연대 제1대대중령D. McN.C. Rose1952.6.~1953.7.
King`s Liverpool연대 제1대대중령A.J. Snodgrass1952.9.~1953.10.
Duke of Wellington연대 제1대대중령F.R.St.P. Bunbury1952.10.~1953.11.



1951년 7월 28일, 영국 육군영연방국가에서 파병된 부대들을 통합해 지휘할 목적으로 제1영연방사단을 창설했다. 제28영연방보병여단, 제29보병여단(벨기에, 룩셈부르크 배속), 캐나다군 제25여단이 주축이 되었다.

영국 육군, 캐나다 육군, 오스트레일리아 보병뉴질랜드군 포병, 캐나다군의 전차대대 및 공병대대, 인도 육군 의료부대 등이 배속되어 제1영연방사단을 이루었다.[15]

제1영연방사단 지휘관[14]
부대명지휘관
계급성명재임기간
제1영연방사단소장A.J.H. Cassels1951.7.~1952.9.
소장M.M.A.R. West1952.9.~1953.10
소장H. Murray1953.10~미상



제28영연방보병여단 배속 대대 및 지휘관 계보
부대명지휘관
계급성명재임기간
King`s Own Scottish Borderers연대 제1대대중령J.F.M. Macdonald1951.4.~1951.10.
중령D.H. Tadman1951.10.~미상
King`s Shropshire Light Infantry연대 제1대대중령V.W. Barlow1951.5.~1952.9.
Royal Norfolk연대 제1대대중령H.R. Orlebar1951.10.~1952.11
Leicestershire연대 제1대대중령G.E.P. Hutchins1951.10.~1952.6.
Durham Light Infantry연대 제1대대중령P.J. Jeffreys1952.9.~1953.9.


3. 2. 해군

영국 해군은 1950년 6월 27일 유엔안보리의 한국에 대한 군사원조 제안에 지지한 다음 날, 홍콩에 주둔하던 극동함대의 일부 함정을 파견했다.[16] 경항공모함 1척, 순양함 2척, 구축함 3척, 프리깃함 3척으로 구성된 함대는 미 극동해군사령부에 배속되어 통제를 받았다.[17] 인천 상륙 작전에서 전과를 올린 함대는 서해안지원분대(TH-96.53)에서 서해지원전대(TG-95.1)로 승격되기도 했다.[17]

1955년 3월 한국 해군이 서해안 작전 지휘관을 전담하며 철수할 때까지 항공모함 5척, 순양함 6척, 구축함 7척, 프리깃함 13척, 기타 함정 21척 등 총 52척의 영국 해군 함정이 전쟁에 참전했다.[18]

영국 해군 함대 참전 함정[18]
구분함정명합계
항공모함Triumph, Ocean, Theseus, Glory, Unicorn5척
순양함Belfast, Jamaica, Ceylon, Kenya, Newcastle, Birmingham6척
구축함Cossack, Consort, Comus, Concord, Constance, Cockade, Charty7척
프리깃함Mounts Bay, Morecamble, Black Swan, Whitesand Bay, Cardigan Bay,13척
기타Maine(병원선), Tyne(보급선), Ladybird(본부선), 보조선 18척21척


3. 3. 해병대

영국 본토의 제41해병독립특공대에서 225명을 선발하여 중대 규모의 특수임무부대를 편성한 후 파견하였다. 이들은 일본에 있는 미 극동해군에 배속되어 미 해병대와 연합으로 작전을 수행했다.[19]

4. 주요 전투

기념 공원 내 조각상


런던 한국전쟁 기념비

  • 임진강 전투 : 1951년 4월 22일부터 4월 25일까지 벌어진 전투로, 영국 연방 제29여단이 중공군 제63군, 제65군에 맞서 싸웠다. 제29여단은 이 전투에서 큰 피해를 입었지만, 서울 방어에 중요한 시간을 벌어주었다.
  • 가평 전투 : 1951년 4월 23일부터 4월 24일까지 벌어진 전투로, 영국 연방 제27여단이 중공군 제118사단에 맞서 싸웠다.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의 협동 작전으로 중공군의 공격을 격퇴하고, UN군 방어선 구축에 기여했다.
  • 고양 전투 : 1951년 1월 2일부터 1월 3일까지 영국군 제29여단이 중공군 제39군, 제50군, 북한군 제2군단에 맞서 싸운 전투이다. 얼스터 대대는 큰 피해를 입었지만, 중공군을 지연시켜 유엔군 주력 부대의 한강 이남 철수를 도왔다.
  • 장군산 전투
  • 마량산 전투
  • 후크 고지 전투

4. 1. 설마리 전투 (임진강 전투)

1951년 4월 22일부터 4월 25일까지 벌어진 전투로, 영국 연방 제29여단이 중공군 제63군, 제65군에 맞서 싸웠다.

적성(설마리) 전투
전투기간병력 편성
1951년 4월 22일 ~ 1951년 4월 25일UN군영국 연방 제29여단(글로스터대대, 퓨질리어대대, 벨기에대대, 필리핀대대)
중공군중공군 제63군, 중공군 제65군



전투배치
글로스터연대 제1대대퓨질리어연대 제1대대벨기에대대
감악산을 등지고 적성 일대에 배치강 남안의 장현리 일대에 배치강 북안의 금굴사 일대에 배치



1951년 4월 22일, 중공군은 이른바 ‘4월 공세’인 제 1차 춘계공세를 개시했다. 21시경 글로스터대대와 벨기에대대 주전지를 탐색 공격한 직후 전방 3개 대대를 공격하기 시작했다. 글로스터대대는 148고지에서 적의 도하를 저지하였지만, 인해전술과 파상공격으로 진지 일부가 무너졌고, 백병전이 벌어졌다. 퓨질리어대대와 벨기에대대도 중공군과 격전을 벌였다. 중공군은 후속부대를 투입하여 3면에서 글로스터대대를 집중 공격했다.

4월 23일 11시, 글로스터대대는 대대장 칸(J. P. Carene) 중령의 명령으로 철수했다. A중대와 D중대는 설마리의 235고지로, B중대는 316고지로 철수했다. 퓨질리어대대는 후방진지로 철수했고, 벨기에대대는 화산리로 이동했다. 중공군은 316고지의 글로스터대대 B중대를 기습했다. B중대는 백병전으로 맞서 싸웠으나 사상자가 속출함에 따라 235고지로 철수했다.

4월 24일 7시 30분경, 필리핀대대를 투입하여 글로스터대대 구출작전을 시도하였으나 실패했다. 벨기에대대의 지원 아래 제2차 구출작전도 실패했다. 글로스터대대는 설마리 고지에 사주방어진지를 구축하고 수차에 걸친 중공군의 공격을 격퇴했다.[22] 칸 중령은 외부 지원이 불가능하다는 무전을 받은 후, 남쪽 계곡만 통과하면 좌인접의 한국군 제 1사단으로 철수 가능하다는 판단 하에 철수 명령을 내렸다.

4월 25일 10시, 대대장을 비롯하여 군목과 군의관, 의무요원 등은 50여 명의 부상자와 함께 고지에 잔류한 가운데, D중대 엄호를 받으며 하산을 시작하였다.[23] 남쪽으로 철수한 대대주력과 235고지에 잔류한 요원들은 중공군에 포로가 되거나 사살되었고, 북쪽으로 철수한 D중대원 39명만 한국군 제 1사단에 의해 구출되었다.[23]

제29여단은 군단 명령으로 벨기에대대 엄호 하에 덕정으로 철수했다. 중공군은 전과확대를 노려 추격전을 시작했다. 제29여단은 철수 과정에서 다수의 인명 및 장비 피해를 입고 덕정과 의정부로 분산 철수하여 의정부에 재집결하였다.[23]

결과적으로 영국 연방 제29여단은 적성 전투에서 글로스터대대 D중대를 제외한 전 대대가 포로가 된 것을 포함하여 전체 병력의 1/3에 해당하는 손실을 입었다. 그러나 이 희생으로 적성-설마리-동두천으로 돌파하려는 중공군을 3일간이나 저지시켜 군단 주력부대들의 안전한 철수는 물론 서울 방어를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획득하는 데 결정적으로 공헌하였다.[24]

4. 2. 가평 전투

1951년 4월 23일부터 4월 24일까지 벌어진 전투로, 영국 연방 제27여단이 중공군 제118사단에 맞서 싸웠다.[32] 캐나다 대대, 호주 대대, 뉴질랜드 포병 연대 등의 협동 작전으로 중공군의 공격을 격퇴하고, UN군 방어선 구축에 기여했다.[32]

가평 전투
전투 기간병력 편성
1951년 4월 23일 ~ 1951년 4월 24일한국군한국군 제6사단
UN군영연방 제27여단(캐나다대대, 호주대대, 미 제72전차대대 1개 소대), 뉴질랜드 제16포병연대
중공군중공군 제118사단



전투 배치
캐나다대대호주대대미 제72전차대대 1개소대제2박격포대대 제B중대제74공병대대 B중대와 C중대뉴질랜드 제16포병연대와 미들섹스대대
좌전방 내촌 부근 677고지우전방 죽둔리 일대죽둔리504고지 후방가평 북쪽가평 북쪽 가평천변



4월 22일 중공군이 제1차 춘계공세를 시작했다.[27] 중공군 제20군 예하 제60사단은 사창리 지역 한국군을 집중적으로 공격했고,[27] 한국군 제6사단과 뉴질랜드 제16포병연대는 가평지역으로 철수했다. 4월 23일 저녁, 영연방 제27여단장 버크(B. A. Burke) 준장은 미 제9단장으로부터 "뉴질랜드 포병연대로 한국군 제6사단을 지원하고, 예하 각 대대를 전방에 배치하여 이들의 철수로를 확보, 엄호하라"라는 명령을 받았다.[28]

4월 23일 22시경, 한국군 제6사단의 주력을 우회한 중공군은 호주대대 방어진지를 탐색한 후 다음날 01시 30분경 가평을 점령하기 위해 도로와 계곡을 따라 내려왔다.[29] 호주대대 B중대는 전 화력을 집중하여 중공군을 격퇴했다. UN군 전차소대가 한국군을 중공군으로 오인하여 후퇴했고, 전차의 위험에서 벗어난 중공군은 호주대대 B중대를 우회하여 대대를 공격했다. 날이 밝자 중공군은 가평에 이르는 도로를 감제할 수 있는 고지를 확보한 채 끊임없이 공격했다.[30]

4월 24일 17시경, 영국군 여단장은 호주대대 대대장에게 철수 명령을 내렸다. 여단장은 호주대대의 우전방 감제고지인 504고지와 후방의 미들섹스대대의 지역이 적의 포격권에 들어있어 부상자 후송과 재보급에 문제가 되므로 이 지역에 장시간 체류하면 오히려 피해만 증가할 것으로 판단했다.[31]

4월 24일 20시경, 중공군은 가평천 서쪽 캐나다대대진지에 박격포탄을 집중한 후 증강된 1개 중대규모의 병력으로 공격을 시작했다. 제16포병연대가 가평천을 건너는 중공군을 집중 포격하고 대대가 전 화력을 집중하자 자정 무렵 중공군은 공격을 중지하고 철수했다.[30] 재정비를 완료한 중공군이 4월 25일 02시경 캐나다대대를 재공격하였으나, D중대 유인작전에 말려 UN군의 탄막사격으로 격멸되었다.[30]

4월 23일4월 24일 양일간 여단의 강력한 저지 작전과 포병 화력지원에 많은 인명피해를 입게 된 중공군은 4월 25일 새벽에 공격을 포기하고 철수를 단행하여 가평전투는 영연방 제27여단 승리로 일단락되었다.[32] 이 전투 결과 중공군은 UN군 전선에 대한 분할 기도가 좌절되어 그들의 4월 공세에 차질을 초래하였고, 반면에 UN군은 북한강 남쪽에 새로운 방어선을 구축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얻게 되었다.

4. 3. 고양 전투

1951년 1월 2일부터 1월 3일까지 영국군 제29여단이 중공군 제39군, 제50군, 북한군 제2군단에 맞서 싸운 전투이다. 얼스터 대대는 큰 피해를 입었지만, 중공군을 지연시켜 유엔군 주력 부대의 한강 이남 철수를 도왔다.[34]

고양 전투
전투 기간병력 편성
1951년 1월 2일 ~ 1951년 1월 3일한국군한국군 제1사단
UN군영국군 제29여단 (얼스터 대대, 글로스터 대대, 퓨질리어 대대, 태국 대대, 제7전차대대 C중대, 제8전차대대, 본부중대), 제1군단, 미 제25사단
중공군중공군 제39군, 중공군 제50군(제149사단 제446연대)
북한군북한군 제2군단



전투 배치
얼스터 대대글로스터 대대퓨질리어 대대태국 대대
서울-의정부를 연결하는 서울 교외선 좌전방서울-의정부를 연결하는 서울 교외선 중앙서울-의정부를 연결하는 서울 교외선 우전방신둔리 여단 본부 경계



1950년 12월 31일, 중공군의 제3차 공세(신정공세)가 시작되었다. 중공군 제50군이 고량포 일대에서 임진강을 건너 제39군과 합세해 한국군 제1사단을 공격했다. 전황이 불리해지자 제8군사령관 리지웨이 중장은 제1군단, 제9군단에게 미 제25사단, 영국 제29여단의 엄호 아래 철수 명령을 내렸다.[35]

영국 제29여단은 한국군 제1사단을 엄호하기 위해 서울-의정부 교외선에 얼스터 대대, 글로스터 대대, 퓨질리어 대대를 배치했다. 그리고 태국 대대에게는 예비로 신둔리 여단 본부 경계 임무를 부여했다.

1951년 1월 3일 04시경, 중공군 제50군 예하 제149사단 제446연대가 여단 좌전방의 얼스터 대대를 집중 공격했다. 얼스터 대대는 적의 최초 공격을 저지했으나, 이어진 공격에 진지 일부가 뚫렸다. 09시경, 중공군 일부가 우전방의 퓨질리어 대대를 공격했으나, 퓨질리어 대대는 제7전차대대 C중대의 지원을 받아 14시경 격퇴했다. 후방으로 진출한 중공군이 예비 D중대 진지를 공격했으나, 11시경 D중대의 역습으로 격퇴되었다.

1월 3일 오전, 미 제8군사령관은 철수 명령을 내렸다.[35] 18시 30분경부터 제29여단은 철수를 시작했다. 글로스터 대대와 퓨질리어 대대는 별다른 교전 없이 신둔리 후방으로 철수했다. 그러나 얼스터 대대는 우회하여 매복한 중공군의 기습 공격을 받았다.[36] 상황이 악화되자 여단장은 제8전차대대로 증강된 본부중대를 투입했고, 자정 무렵까지 이어진 백병전 끝에 중공군을 격퇴했다. 이후 여단은 서울을 경유해 수원으로 철수했다.

이 전투에서 얼스터 대대는 부대대장과 전차파견대장이 전사하는 등 300여 명의 인원과 전차 10대가 파괴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 하지만 고양 일대에서 중공군을 장시간 지연시켜 군단 주력 부대들이 안전하게 한강 남쪽으로 철수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34]

4. 4. 기타 주요 전투

[1][2]

5. 참전 기념물

경기도 파주시에 임진강 전투 기념 공원이 있으며, 글로스터 언덕 전투 기념비가 있다. 런던에는 한국 전쟁 기념비가 2014년 12월 3일에 공개되었다.

5. 1. 영국군 설마리 전투 추모 공원

설마리 전투에서 희생된 영국군을 기리기 위해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설마리에 설립된 추모공원이다. 2014년 준공된 이 추모공원의 설립식에는 국가보훈처의 초청으로 한국 전쟁 영국군 참전용사들도 자리에 함께 했다.[37]

설마리 전투를 기리기 위한 공원의 한 기념물에는 "Freedom, Friendship, Peace(자유, 우정, 평화)"가 새겨져 있는데, 이는 영국군이 끝까지 지키려고 했던 것들이다.

당시 글로스터 대대장인 제임스 칸(J. P. Carene) 중령은 혹독한 포로 생활 끝에 본국으로 송환되어 영국 최고 빅토리아 훈장을 수여받았다. 그가 포로 생활을 견디기 위해 만들었던 돌 십자가의 모형이 이곳에 전시되어 있다.

이외에도 영국군의 상징인 베레모 조형물과 35m 추모의 벽 조형물 등 다양한 추모 기념물들이 있다.

5. 2. 런던 한국전 참전기념비

런던 한국전 참전기념비(Korean War Memorial)는 영국 런던 템즈 강변에 있는 기념비로, 한국 전쟁에 참전한 영국군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졌다. 2014년 12월 3일에 준공식이 열렸다. 참전비는 영국의 식민지 개척에 공을 세운 찰스 고든 장군 동상이 있는 영국 국방부 뒷마당에 세워졌다.

참전비는 사다리꼴 세 개의 탑으로 이루어졌으며 3개 면에는 태극기와 영국의 유니언기, 그리고 다른 한쪽 면에는 유엔 깃발이 새겨져 있다. 기념비에는 다음과 같은 문구가 새겨져 있다.[38]

"이 치열하고 참혹한 전쟁에 영국군은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했던 수많은 용사들이 참전하였으며, 예비군 및 젊은 의무징집병들도 합류하였다. 육상 전투는 수적으로 우세한 공산군을 맞아 험한 산악지대에서 혹독한 날씨를 무릅쓰고 싸워야 했다. 81,084명의 영국군이 전쟁 전역에 투입되었으며, 이 중 1,106명이 전사하고 수천 명이 부상당하였으며 1,060명이 포로가 되는 고초를 겪었다."


6. 연표

1950
1951
1952
1953
1955
1954–1957


참조

[1] 뉴스 윤 대통령, 영국 ‘조문외교’ 마치고 뉴욕行…내일 유엔총회 연설 https://n.news.naver[...]
[2] 서적 Truce Tent and Fighting Front
[3] 서적 통계로 본 6.25전쟁
[4]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5] 서적 미 해군 한국전 참전사 해군본부 1985
[6] 서적 The British Part in the Korean War, Vol, I, A Distant Obligation LHMSO 1990
[7] 서적 The British Part in the Korean War, Bol. I, A Distant Obligation
[8]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9] 서적 UN군 지원사 국방군사연구소 1998
[10]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11] 웹인용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 통계 https://www.imhc.mil[...]
[12]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13]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14]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15]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16]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17]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18]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19]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여구소
[21]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2] 서적 임진강 전투 국방부 전사편찬위원회
[23]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여구소
[24]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여구소
[25]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6]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7] 서적 중국군의 한국전쟁사
[28] 서적 한국전쟁(중) 국방군사연구소
[29]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30]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31] 서적 Ebb and FLow
[32] 서적 한국전쟁(중) 국방군사연구소
[33] 서적 6.25전쟁과 UN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34] 서적 Ebb and Flow
[35] 서적 Ebb and Flow
[36] 서적 중국군의 한국전쟁사 2
[37] 웹인용 영국군 설마리전투 추모공원 준공식 https://www.korea.kr[...]
[38] 웹인용 영국 런던의 한국 전쟁 참전비 의미 https://www.rfa.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