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62 × 25 mm 토카레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7.62 × 25 mm 토카레프는 1930년 소련에서 개발된 권총 및 기관단총용 탄약이다. 이 탄약은 7.63×25mm 마우저 탄약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마우저 탄약보다 화약 장약량이 증가하여 더 강력한 성능을 낸다. 7.62 × 25 mm 토카레프 탄약은 주로 토카레프 TT-33 권총, PPD-40, PPSh-41, PPS-43 등 소련제 기관단총에 사용되었으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국가에서 생산 및 사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권총과 소총 탄약통 - .22 롱 라이플
.22 롱 라이플은 1887년 스티븐스 암스 & 툴 컴퍼니에 의해 개발된 5.6×15mmR 규격의 림파이어 탄약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반동이 적어 스포츠 사격, 훈련 등에 널리 사용되지만 위력이 약해 군 및 경찰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 권총과 소총 탄약통 - .45 ACP
.45 ACP탄은 필리핀-미국 전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되어 높은 저지력으로 오랫동안 미군 제식 탄약으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9mm탄에 비해 휴대성과 탄창 용량의 제약으로 주요 제식 탄약의 지위를 잃었지만 일부에서 여전히 사용되며 대중문화에도 널리 알려진 권총용 탄약이다. - 소련의 군사에 관한 - SU-76
SU-76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임무에 투입된 자주포로, T-26, T-70 경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 - 소련의 군사에 관한 - 미하일 투하쳅스키
미하일 투하체프스키는 러시아 내전에서 붉은 군대 지휘관으로 활약하며 "붉은 나폴레옹"이라는 별명을 얻었지만, 폴란드-소비에트 전쟁 패배의 책임을 지고 스탈린과의 갈등 끝에 처형당한 후 복권된, 종심타격이론 개발 등 붉은 군대 현대화에 기여한 인물이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무기 - SU-76
SU-76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에서 개발되어 다양한 임무에 투입된 자주포로, T-26, T-70 경전차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한국 전쟁에도 참전했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무기 - 루이스 경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은 아이작 뉴턴 루이스 대령이 개발한 가스 작동식 경기관총으로, 알루미늄 방열판과 판형 탄창이 특징이며, 다양한 전투에서 사용되었고, 최초의 항공기 탑재 기관총으로도 기록되었으나, 신뢰성과 탄약 공급 문제로 후발 기관총에 비해 평가가 다소 낮았다.
7.62 × 25 mm 토카레프 | |
---|---|
탄약 정보 | |
명칭 | 7.62×25mm 토카레프 |
종류 | 권총탄 |
원산지 | 소련 |
개발 시기 | 1930년–현재 |
사용 국가 | (정보 없음, 문서 내에 명시된 사용 국가는 없음) |
모탄 | 7.63×25mm 마우저 |
제원 | |
종류 | 림리스, 병목형 |
탄피 재질 | (정보 없음, 강철 약협 언급은 있으나 재질 정보는 명확하지 않음) |
총알 직경 | 7.85 mm |
강선 직경 | 7.62 mm |
목 직경 | 8.50 mm |
어깨 직경 | 9.48 mm |
밑면 직경 | 9.83 mm |
림 직경 | 9.95 mm |
림 두께 | 1.32 mm |
탄피 길이 | 25.00 mm |
전체 길이 | 35.20 mm |
탄피 용적 | 1.09 cc |
강선 | 240 mm (1:9.45 인치) |
뇌관 종류 | 베르단 또는 복서 소형 권총 |
탄도 정보 | |
단위 | 그램 |
탄두 무게 1 | 5.5 |
탄두 종류 1 | JHP (할로우 포인트 탄환) |
속도 1 | 376 m/s |
에너지 1 | 390 J |
탄두 무게 2 | 5.8 |
탄두 종류 2 | FMJ (풀 메탈 재킷 탄환) |
속도 2 | 409 m/s |
에너지 2 | 488 J |
탄두 무게 3 | 5.5 |
탄두 종류 3 | FMJ (풀 메탈 재킷 탄환) |
속도 3 | 469 m/s |
에너지 3 | 605 J |
탄두 무게 4 | 5.5 |
탄두 종류 4 | FMJ (풀 메탈 재킷 탄환) |
속도 4 | 497 m/s |
에너지 4 | 697 J |
탄두 무게 5 | 5.5 |
탄두 종류 5 | JHP (할로우 포인트 탄환) |
속도 5 | 482 m/s |
에너지 5 | 655 J |
시험 배럴 길이 | 120 mm (4.724 인치) |
사용 무기 | |
권총 | TT-33 나강 M1895 마우저 C96 |
기타 정보 | |
관련 항목 | 제2차 세계 대전의 소련군 보병 무기 |
2. 역사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7.63×25mm 마우저 C96 권총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1908년, 차르군은 C96을 장교들이 나강 M1895 리볼버 대신 자비로 구매할 수 있는 승인된 개인 화기 목록에 올렸다. 1914년에서 1917년 사이에 독일 및 터키군으로부터 노획한 무기로서 더 많은 마우저 권총과 탄약을 획득했다.
마우저와 그 탄약은 러시아 내전의 모든 전선에서 사용되었으며, 1920년대에 소련과 바이마르 공화국 사이의 비교적 긴밀한 협력 기간 동안, 붉은 군대는 소형 볼로 버전과 장교들이 사용할 탄약을 대량 구매했다. 포돌스키 탄약 공장에서 이 탄약의 복제품이 생산되었지만, 소련은 결국 독일의 DWM으로부터 이 탄약을 생산하기 위한 라이선스와 제조 장비를 구매했다.
1929년, 소련 포병 위원회는 마우저 탄약을 사용하는 국산 권총 개발을 제안했다. 상당한 연구 개발 후, 약간의 수정이 가해진 마우저 탄약인 "1930년형 7.62mm 권총 탄약"이 소련 권총 및 기관단총의 표준 구경이 되기로 결정되었다. 바실리 데그탸료프가 설계한 PPD-40 기관단총의 초기 버전에는 "마우저 탄약 구경 7.62 mm"라고 표시되었다.
마우저 탄약과 치수가 유사하여 (두 탄약 모두 이러한 화기에서 장전, 발사될 수 있을 정도로), 소련은 토카레프 탄약의 화약 장약을 상당히 증가시켰다. 따라서, 저출력 마우저 탄약은 이러한 화기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토카레프 탄약은 추가 압력을 위해 설계되지 않은 화기에서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없다.
2. 1. 개발 배경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7.63×25mm 마우저 C96 권총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1908년, 차르군은 C96을 장교들이 나강 M1895 리볼버 대신 자비로 구매할 수 있는 승인된 개인 화기 목록에 올렸다. 1914년에서 1917년 사이에 독일 및 터키군으로부터 노획한 무기로서 더 많은 마우저 권총과 탄약을 획득했다.마우저와 그 탄약은 러시아 내전의 모든 전선에서 사용되었으며, 1920년대에 소련과 바이마르 공화국 사이의 비교적 긴밀한 협력 기간 동안, 붉은 군대는 소형 볼로 버전과 장교들이 사용할 탄약을 대량 구매했다. 포돌스키 탄약 공장에서 이 탄약의 복제품이 생산되었지만, 소련은 결국 독일의 DWM으로부터 이 탄약을 생산하기 위한 라이선스와 제조 장비를 구매했다.
1929년, 소련 포병 위원회는 마우저 탄약을 사용하는 국산 권총 개발을 제안했다.
2. 2. 소련 제식 채택
제1차 세계 대전 이전, 7.63×25mm 마우저 C96 권총이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었다. 1908년, 차르군은 C96을 장교들이 나강 M1895 리볼버 대신 자비로 구매할 수 있는 승인된 개인 화기 목록에 올렸다. 1914년에서 1917년 사이에 독일 및 터키군으로부터 노획한 무기로서 더 많은 마우저 권총과 탄약을 획득했다.마우저와 그 탄약은 러시아 내전의 모든 전선에서 사용되었으며, 1920년대에 소련과 바이마르 공화국 사이의 비교적 긴밀한 협력 기간 동안, 붉은 군대는 소형 볼로 버전과 장교들이 사용할 탄약을 대량 구매했다. 포돌스키 탄약 공장에서 이 탄약의 복제품이 생산되었지만, 소련은 결국 독일의 DWM으로부터 이 탄약을 생산하기 위한 라이선스와 제조 장비를 구매했다.
1929년, 소련 포병 위원회는 마우저 탄약을 사용하는 국산 권총 개발을 제안했다. 연구 개발을 거쳐 1930년, 7.62mm "1930년형 권총 탄약"이 소련 권총 및 기관단총의 표준 구경으로 결정되었다. 바실리 데그탸료프가 설계한 PPD-40 기관단총의 초기 버전에는 "마우저 탄약 구경 7.62 mm"라고 표시되었다.
마우저 탄약과 치수가 유사하여 두 탄약 모두 이러한 화기에서 장전, 발사될 수 있었지만, 소련은 토카레프 탄약의 화약 장약을 상당히 증가시켰다.
3. 설계
7.62 × 25 mm 토카레프탄은 기본적으로 7.63×25mm 마우저탄의 개량형이며, 두 탄약은 서로 호환 가능하다.[19] 토카레프탄은 마우저탄보다 화약 장약량이 증가하여 더 강력하다.
이 탄약은 원칙적으로 7.63×25mm 마우저의 개량된 러시아 버전이다. 러시아는 이 탄약으로 기관단총에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장탄을 생산했다.[7] 여기에는 철갑탄, 예광탄, 그리고 소이탄이 포함된다. 이 탄약은 뛰어난 관통력을 가지고 있으며, 가벼운 방탄복(NIJ 레벨 I 및 IIA)과 미국의 PASGT 헬멧과 같은 일부 케블라 헬멧을 쉽게 관통할 수 있다.[7]
카빈 길이의 총열에서 발사할 경우, 이 탄약은 NIJ 레벨 II를 관통할 수 있지만, 때로는 현재 표준 방탄복인 NIJ 레벨 IIIA에서 멈추기도 한다.[8]
군용 7.62 토카레프 탄약이 구리 코팅된 연강 탄환을 사용하며, 이것이 단단한 표적에 발사될 때 위험한 도탄의 가능성을 높이고 사격장에서 자주 사용되는 방탄판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흔한 오해가 있다. 7.62×25mm의 강철 코어 탄약은 국제적으로 유통되지만, 미국에서는 구리 코팅 강철 탄환이 장전된 7.62×25mm 탄약의 수입이 불법이다; 연방 법률은 이를 철갑 권총 탄약으로 정의한다. 소위 강철 탄환으로 판매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구리 피복 강철 피복을 가진 납 코어 탄환이며, 이는 표준 구리 피복 발사체보다 도탄의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는다.
토카레프 탄은 권총탄으로는 드물게 병목형으로 설계되었다. 설계의 참고가 된 것은 독일의 7.63 × 25 mm 마우저 탄이며, 치수가 거의 같기 때문에 총기에 따라 토카레프 탄과 마우저 탄 모두 발사할 수 있다.
다만, 토카레프 탄은 마우저 탄보다 경도가 높은 강철 재킷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마우저 탄 전용 총기에서 토카레프 탄을 발사하면 총신 내의 강선이 마모되기 쉬워 총신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있다.
토카레프 탄의 평균 총구 초속은 400 m/s, 운동 에너지는 600 J 정도이다. 발사음과 발사광은 비교적 크다.
서방 국가의 9 × 19 mm 파라벨럼 탄과 비교하면 관통력이 뛰어나 방탄 능력이 NIJ 규격 타입 IIIA (.357 SIG, .44 매그넘 대응) 미만의 방탄복으로는 아머 착용자를 방호할 수 없다. 이는 토카레프 탄이 납 자원 절약을 위해 철 탄심을 사용하는 탄환이 많은 것과 고강도 섬유를 적층하여 제조되는 방탄복은 소구경에 고초속을 가진 탄환에 약한 특성이 있기 때문이며, 토카레프 탄이 처음부터 아머 피어싱 탄을 의식하고 제작된 것은 아니다.
서방에서 유통되는 일반적인 납제 탄심의 탄약을 사용하고 철 탄심에 의한 관통력의 차이를 없앤 실험 결과[19]에서는, 7야드 거리에서 발사된 9 × 19 mm 탄은 1 mm 두께의 철판을 4장 정도 관통하고, 토카레프 탄은 동등한 철판을 6장 관통한다고 한다.
'''탄약 치수 및 제원'''
7.62 × 25mm 토카레프 탄약의 탄피 용적은 1.09 ml (16.8 그레인 H2O)이다.
공식 C.I.P. (Commission Internationale Permanente pour l'Epreuve des Armes à Feu Portatives) 규정에 따르면 7.62×25mm 토카레프 탄피는 최대 250.00 MPa Pmax 압전 압력을 견딜 수 있다. C.I.P. 규제 국가에서는 모든 권총 탄약 조합이 소비자 판매를 위해 인증받기 위해 이 최대 C.I.P. 압력의 130%에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미국식으로 어깨 각도를 알파/2 = 19도로 정의한다. 이 탄약의 일반적인 강선 강선 회전율은 240 mm (9.45 in당 1 in), 4조선이다.
'''성능'''
토카레프 탄약은 종류에 따라 대략 442m/s의 탄속을 낸다. 일반적인 운동 에너지는 약 544J이다. 여러 나라에서 생산된 다양한 탄약 종류를 고려할 때, 더 빠르거나 느린 탄속을 가진 탄약도 존재한다.
울프 골드 FMJ 탄약과 PPU 탄약은 524m/s의 탄속과 745J의 운동 에너지를 낸다. 울프 골드 및 셀리에 & 벨롯과 같은 일부 탄약은 재장전이 가능한 복서 프라이머 방식의 황동 탄피를 사용한다.
3. 1. 탄약 치수 및 제원
7.62 × 25mm 토카레프 탄약의 탄피 용적은 1.09 ml (16.8 그레인 H2O)이다.공식 C.I.P. (Commission Internationale Permanente pour l'Epreuve des Armes à Feu Portatives, 상설 휴대 화기 시험 위원회) 규정에 따르면 7.62×25mm 토카레프 탄피는 최대 250.00 MPa Pmax 압전 압력을 견딜 수 있다. C.I.P. 규제 국가에서는 모든 권총 탄약 조합이 소비자 판매를 위해 인증받기 위해 이 최대 C.I.P. 압력의 130%에서 검사를 받아야 한다.
미국식으로 어깨 각도를 알파/2 = 19도로 정의한다. 이 탄약의 일반적인 강선 강선 회전율은 240 mm (9.45 in당 1 in), 4조선이다.
3. 2. 성능
토카레프 탄약은 종류에 따라 대략 442m/s의 탄속을 낸다. 일반적인 운동 에너지는 약 544J이다. 여러 나라에서 생산된 다양한 탄약 종류를 고려할 때, 더 빠르거나 느린 탄속을 가진 탄약도 존재한다.울프 골드 FMJ 탄약과 PPU 탄약은 524m/s의 탄속과 745J의 운동 에너지를 낸다. 울프 골드 및 셀리에 & 벨롯과 같은 일부 탄약은 재장전이 가능한 복서 프라이머 방식의 황동 탄피를 사용한다.
4. 종류
소련은 철갑탄, 예광탄, 소이탄 등 다양한 종류의 7.62×25mm 토카레프탄을 생산했다. P-41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PPSh-41과 PPS-43에 사용하기 위해 생산된 74 그레인 강철 코어 소이탄이다. 이 탄약은 이 총기에서 발사될 때 초당 1,600피트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
4. 1. 파생형
소련은 2차 세계 대전 중 PPSh-41과 PPS-43에 사용하기 위해 74 그레인 강철 코어 소이탄인 P-41을 생산했다. 이 탄약은 이 총기에서 발사될 때 초당 1,600피트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체코슬로바키아는 기관단총용 [강력 탄약]을 제조해 온 전통이 있으며, M48이라는 강력한 토카레프 탄을 생산했다. M48탄은 발사 압력이 일반 토카레프 탄보다 18% 높아 더 긴 유효 사거리와 에너지 값을 갖지만, Vz.52 권총 등 이외의 권총에서 발사할 경우 총기가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중국은 소음기 장착 총기에 사용하도록 특별히 설계된 아음속, 중량, 첨두형(스피처) 탄약인 7.62mm Type P를 개발했다. 중국에서 생산된 이 탄약의 표준 제식 명칭은 ''Type 64''이다.[11]
5. 사용 화기
이 탄약은 토카레프 TT-33 권총에 주로 사용되었다.[12] 토카레프 TT-33은 1930년대 초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소련의 제식 권총이었다. 유고슬라비아 자스타바 M57 권총과 ČZ vz. 52 권총에도 사용되었다.[12]
PPD-40, PPSh-41, PPS-43 등 소련제 기관단총에도 널리 사용되었다.[12] 이 외에도 러시아의 PP-19 바이슨, 동독의 WG66, 체코의 Sa 24 및 Sa 26 등에도 사용되었다.[12]
COMECON 국가 외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냉전 이후 많은 화기가 수출되었으며, 이 탄약은 여전히 생산되고 있다. 러시아의 OTs-39 기관단총,[14] 북베트남의 K-50M과 VPA/베트민이 개조한 MAT-49, 체코의 Sa 23 및 유고슬라비아의 M49 및 M56에 사용되었으며, M56은 독일의 MP40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5. 1. 기관단총
7.62 × 25 mm 토카레프 탄약은 PPD-40, PPSh-41, PPS-43 등 소련제 기관단총에 널리 사용되었다.[12] 이 외에도 러시아의 PP-19 바이슨, 동독의 WG66, 체코의 Sa 24 및 Sa 26 등에도 사용되었다.[12]COMECON 국가 외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냉전 이후 많은 화기가 수출되었으며, 이 탄약은 여전히 생산되고 있다.[13] 러시아의 OTs-39 기관단총,[14] 북베트남의 K-50M과 VPA/베트민이 개조한 MAT-49, 체코의 Sa 23 및 유고슬라비아의 M49 및 M56에 사용되었으며, M56은 독일의 MP40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5. 2. 기타
7.62 × 25 mm 토카레프 탄약은 1930년대 초부터 1950년대 중반까지 소련의 제식 권총이었던 토카레프 TT-33에 사용되었다.[12] 유고슬라비아 자스타바 M57, ČZ vz. 52 권총에도 사용되었다.[12] 소련의 PPD-40, PPSh-41, PPS-43, 러시아의 PP-19 바이슨, 동독의 WG66, 체코의 Sa 24 및 Sa 26 등 다양한 기관단총에도 사용되었다.[12] 중국 노린코(Norinco)는 7.62×25mm 토카레프 탄약을 사용하는 NP762를 포함한 시그 사우어(Sig-Sauer) 복제품 라인을 생산한다.
1942년-1943년에는 소련의 설계자 V.F. 류티, N.M. 아파나시예프, V.S. 데이킨이 개발한 LAD 경기관총(공탄 상태 5.6 kg, 길이 960 mm)에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다.[13] 프로토타입 2정만 제작되었고 제식 채용되지는 않았다.[13]
COMECON 국가 외에서는 흔하지 않지만, 냉전 이후 많은 화기가 수출되었으며, 이 탄약은 여전히 생산되고 있다. 러시아의 OTs-27 베르디시[14] 및 OTs-39 기관단총, 북베트남의 K-50M과 VPA/베트민이 개조한 MAT-49, 체코의 Sa 23 및 유고슬라비아의 M49 및 M56에 사용되었으며, 후자는 독일의 MP40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AR 및 AK 플랫폼을 포함한 많은 화기에 토카레프 탄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조 키트도 있다.
6. 현대적 사용
냉전 종식 이후 많은 화기, 특히 권총이 수출되었으며, 7.62 × 25 mm 토카레프 탄약은 여전히 생산되고 있다.[12] 이 탄약은 러시아의 OTs-27 베르디시[14] 및 OTs-39 기관단총, 북베트남의 K-50M과 VPA/베트민이 개조한 MAT-49, 체코의 Sa 23 및 유고슬라비아의 M49 및 M56에 사용되었으며, 후자는 독일의 MP40 설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AR 및 AK 플랫폼을 포함한 많은 화기에 토카레프 탄약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애프터마켓 개조 키트도 있다.
9x18mm 마카로프탄에 주력 군용 권총탄 자리를 넘겨주었지만, 러시아나 중국의 경찰 부대·특수 부대의 일부는 방탄복에 대한 높은 관통력에 주목하여 사용을 계속하고 있다.[12] 또한, 냉전 종결 후에는 해당 탄약을 사용하는 총기(주로 권총)와 함께 구 서방 국가의 시장으로 유입되었으며, 루마니아, 체코, 불가리아, 세르비아, 러시아 등에서 생산은 현재도 계속되고 있다.
참조
[1]
서적
Cartridges of the World
https://archive.org/[...]
DBI Books
[2]
웹사이트
Load data
http://www.makarov.c[...]
Makarov
2008-12-19
[3]
웹사이트
Sellier and Bellot Cartridge Data
http://www.sellier-b[...]
2008-12-19
[4]
웹사이트
Wolf Ammunition Cartridge Data
http://wolfammo.com/[...]
2008-12-19
[5]
웹사이트
C.I.P. TDCC datasheet 7,62 x 25 Takorev
http://www.cip-bobp.[...]
[6]
웹사이트
Журнал для спецназа "Братишка" — АРСЕНАЛ: Пистолет ГШ-18 - детище тульских оружейников
http://bratishka.ru/[...]
2011-05-13
[7]
AV media
PSM Shooting: 5.45x18mm vs 7.62x25mm on Soft Armor
https://www.youtube.[...]
Forgotten Weapons
2017-07-01
[8]
웹사이트
Ballistic Resistance of Body Armour
https://nij.ojp.gov/[...]
2020-08-17
[9]
AV media
Polish Tokarev (PW wz.33) Pistol, Shooting 7.63 Mauser?
https://www.youtube.[...]
MilsurpBros
2016-06-23
[10]
웹사이트
JAEGER PLATOON: FINNISH ARMY 1918 - 1945 WEBSITE
http://www.jaegerpla[...]
[11]
웹사이트
Type 85
https://modernfirear[...]
2010-10-27
[12]
웹사이트
Norinco P226 Style "7.62×25 Tokarev" – MARSTAR CANADA
https://marstar.ca/p[...]
[13]
간행물
"Не вписавшийся в классификации. Лёгкий пулемёт под пистолетный патрон конструкции Лютого, Афанасьева и Дейкина."
http://www.kalashnik[...]
Братишка
2012-05
[14]
서적
Jane's Infantry Weapons 2009/2010
Jane's Information Group
[15]
서적
Cartridges of the World
DBI Books
[16]
웹사이트
Load data at Makarov.com
http://www.makarov.c[...]
2008-12-19
[17]
웹사이트
Sellier and Bellot Cartridge Data
http://www.sellier-b[...]
2008-12-19
[18]
웹사이트
Wolf Ammunition Cartridge Data
http://www.wolfammo.[...]
2008-12-19
[19]
Citation
7.62 NAGANT / 7.62 TOKAREV / 9 mm MAKAROV / 9 mm LUGER / 45 ACP 1911 PENETRATION TEST
https://www.youtube.[...]
2020-03-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