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777사령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777사령부는 1956년 3월 27일 창설된 대한민국의 군사 조직으로, 한미정보공유협정에 따라 설립되었다. 서울, 용산, 성남으로 본부를 이전했으며, 각 시마다 지사를 두고 있다. 2014년에는 북한 미사일 탐지 능력 향상을 위해 슈퍼컴퓨터를 도입했다.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SUSLAK과 협력 관계에 있으며, 과거 사령관의 강제추행 및 직권남용 의혹,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연평도 해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 관련 감청 논란 등의 사건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군사정보사령부 - 국군기무사령부
    국군기무사령부는 육군 특무부대를 기원으로 하는 대한민국의 군 정보기관으로, 방첩, 보안, 범죄 수사를 담당했으나 정치 개입 등의 부작용으로 해체 후 군사안보지원사령부로 재편되었다가 국군방첩사령부로 개칭되었다.
  • 성남시 소재의 관공서 -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은 성남시, 광주시, 하남시를 관할하며, 재판 관할은 위 세 지역이고 등기 관할은 성남시 수정구와 중원구이나 상업 등기는 성남시 전 지역을 관할한다.
  • 성남시 소재의 관공서 - 국군수도병원
    국군수도병원은 1949년 수도육군병원으로 시작하여 여러 차례 명칭과 위치가 변경되었으며, 군 전투력 보존을 위해 군 의료 특성화, 공공 의료 지원, 군 의료 인력 양성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군 병원이다.
  • 1956년 설립 - 일본 기상청
    일본 기상청은 일본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기상 관측, 예보, 지진 및 쓰나미 경보, 화산 감시 등을 담당하며, 1872년 설립 이후 1956년 현재 명칭으로 개칭, 2001년 국토교통성 외청으로 소속 변경, 2020년 본부 이전 후 전국 관측망과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관련 정보 제공 및 국민 안전과 사회 경제 활동에 기여한다.
  • 1956년 설립 - 아리마 기념
    아리마 기념은 팬 투표로 출전마를 선정하는 일본 중앙경마의 최고 권위 경주 중 하나로, 나카야마 경마장에서 개최되며 국제 경주로 지정되어 있고 일본 경마 부흥에 큰 영향을 미쳤다.
777사령부
기본 정보
이름777사령부
원어 이름七七七司令部
활동 기간1956년 3월 27일 ~ 현재
국가대한민국
소속대한민국 국방부
병과신호정보
첩보
종류기능사령부
역할통신 감청 및 정보 수집
규모기밀
명령 체계국방정보본부
본부경기도 성남시
별명쓰리세븐부대
지휘관
사령관[[파일:Flag of the ROK Army & Marine Corps Major General (OF-7).svg|30px]] 소장 박종선 (육사 50기)
영어 명칭
영어Defense Security Agency(DSA)

2. 역사

1956년 1월 10일, 한국과 미국은 한미정보공유협정을 체결하고 3월 27일에 777부대를 창설했다. 초기에는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서 200명 규모로 시작했다.[1] 1959년 용산구 이태원으로, 1979년 경기도 성남시로 본부를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각 시마다 지사를 두고 그 위치는 2급 기밀이다.[1]

2014년, 한국군은 272억을 투자해 777사령부에 슈퍼 컴퓨터를 도입하여 북한의 미사일 탐지 능력을 향상시켰다. 국방부는 2013년 9월부터 3개월간 서울대에 관련 연구 용역을 맡겼다.[2]

2. 1. 창설 및 초기 활동

1956년 1월 10일, 한국과 미국은 한미정보공유협정을 체결하고, 3월 27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에 777부대를 창설했다. 당시 부대 규모는 200명이었다.[1]

2. 2. 본부 이전 및 확장

1959년 용산구 이태원으로 본부를 이전했고, 1979년 경기도 성남시로 본부를 다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각 시기마다 지사를 두고 있으며, 장소는 2급 기밀이다.[1]

2. 3. 슈퍼컴퓨터 도입

2014년, 한국군은 777사령부에 슈퍼컴퓨터를 도입하기 위해 272억을 투자했다. 이로써 북한의 미사일 탐지 능력이 향상되었다.[2] 국방부는 2013년 9월부터 3개월간 서울대에 슈퍼컴퓨터 도입 관련 사업 추진 방법 등에 대한 연구 용역을 맡겼다.[2]

3. 국가안보국 협력

미국 국가안보국(NSA)은 한국에 Special U.S. Liaison Advisor-Korea|특별 미 연락 담당관-한국영어(SUSLAK)이라는 거점을 갖추고 있다.[3] SUSLAK은 777사령부와 함께 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4. 사건 및 사고

777사령부와 관련하여 발생한 사건 및 사고는 다음과 같다. 2019년 1월 11일, 777사령관이 부하 여직원에 대한 강제추행죄직권남용죄 의혹으로 보직에서 해임되었다.[4] 2020년 7월 30일에는 예하 부대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으며,[5] 같은 해 9월 26일에는 연평도 해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북한군 교신 감청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6]

4. 1. 777사령관 강제추행 및 직권남용 의혹

2019년 1월 11일, 777사령관이 부하 여직원을 강제추행죄직권남용죄 혐의로 보직 해임되었다.[4]

4. 2. 코로나19 확진자 발생

2020년 7월 30일, 777사령부 예하 부대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다.[5]

4. 3. 연평도 해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 감청 논란

2020년 9월 26일, 연평도 해역 공무원 피격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당시 북한군의 교신을 감청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제기되었다.[6]

참조

[1] 뉴스 선데이저널 https://sundayjourna[...]
[2] 뉴스 軍 슈퍼컴퓨터 첫 도입… 北미사일 발사 전 포착 https://n.news.naver[...] 2020-10-14
[3] 뉴스 NSA 한국지부 ‘서슬락’ 반세기 넘게 베일속에 https://m.hani.co.kr[...] 2021-09-05
[4] 뉴스 군 777사령관, 부하직원 강제추행 혐의로 보직해임 https://n.news.naver[...] 2020-10-11
[5] 뉴스 '대북정보부대' 777사령부, 코로나19 확진자 1명 발생 https://n.news.naver[...] 2020-10-14
[6] 뉴스 군 통신감청부대는 '서해 공무원 북한 피격' 과정을 알고 있다 [박수찬의 軍] https://n.news.naver[...] 2020-1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