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A-100 MRL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100 MRL은 중국이 개발한 300mm 다연장 로켓 시스템으로, 1997년부터 2000년까지 개발되어 2000년에 실전 배치되었다. A-100은 8x8 트럭에 탑재된 10연장 로켓으로, 사거리는 40~100km이며 235kg의 탄두를 탑재한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A-100 대신 PHL03을 채택했으며, A-100은 파키스탄, 벨라루스, 아제르바이잔, 탄자니아 등에 수출되었다. 북한은 A-300의 수출형 모델로 추정되는 로켓을 발사하여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포병 - 아스트로스 II MLRS
    아스트로스 II MLRS는 브라질 아비브라스 항공우주에서 개발하여 1983년 브라질 육군에 배치된 다연장 로켓 시스템으로, 다양한 구경의 로켓과 미사일 발사가 가능하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이거나 도입을 검토 중이다.
  • 다연장 로켓포 - 카튜샤 로켓
    카튜샤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이 사용한 다연장 로켓포의 별칭으로, 흑색화약 로켓탄을 사용하며 융단폭격에 효과적이었으나 명중률은 낮았다.
  • 다연장 로켓포 - 구룡 다연장로켓
    구룡 다연장로켓(K136)은 북한의 BM-21 그라드에 대응하기 위해 1981년 대한민국 육군에 실전 배치된 다연장 로켓포 시스템으로, K136A1 개량형과 K33, K38 로켓 등이 개발되었으며 연평도와 백령도에 배치, 이집트에 수출되기도 하였다.
A-100 MRL
개요
유형다연장 로켓포
개발 국가중국
운용 시기2000년-현재
사용 전쟁마르 바르 사르마차르 작전
설계중국 발사체 기술 연구원
설계 시기1997-2000년
제작사중국 발사체 기술 연구원
제원
중량45 톤
길이9 미터
2.8 미터
높이3.2 미터
승무원4명
구경300 밀리미터
발사관 수10개
성능
최대 사거리120 킬로미터
차체8×8 륜형
엔진디젤
엔진 출력640 마력
작동 거리650 킬로미터
속도60 킬로미터 매 시
주요 무장로켓

2. 역사

1997년부터 2000년까지 베이징에 위치한 중국운재화전기술연구원(CALT)에서 개발했으며, 2000년 실전배치되었다.[1] 2002년 중국 육군은 A100을 테스트 했지만, A100 대신 PHL03을 구매했다.[1]

중국1997년에 소량의 러시아 스메르치 9K58 300mm 12연장 다연장 로켓 시스템과 탄약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4] 2000년 중국 미사일 및 방위 기술을 해외 고객에게 판매하는 무역 회사인 중국 정밀 기계 수입 수출 공사(CPMIEC)는 A-100 다연장 로켓 시스템을 공개했다.[4] 이 시스템은 창정(Long March) 우주 발사체 제품군과 동펑 탄도 미사일 제품군으로 유명한 CALT가 개발했다.[4] A-100 시스템은 CALT가 전술 무기 시장에 진출하려는 첫 시도였다.[4] A-100의 개발은 199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2002년 광저우 MR의 PLA 제1 포병 사단에서 시험 및 평가 목적으로 운용되는 것이 관찰되었다.[4]

이 시스템은 러시아 스메르치 9K58 300mm 로켓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이전에 추측되었던 것처럼 스메르치의 복제품은 아니다.[4] A-100 로켓에는 더 높은 정확도를 위해 간단한 유도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4]

2019년, 파키스탄은 중국이 A-100 시스템의 설계를 파키스탄에 판매했음을 인정했으며, 국군 홍보처(ISPR)는 자체 개발한 A-100에 대한 공식 성명을 발표하고 포병 연대에 배치했다.[5]

중국 항천과기집단 제1연구원이 러시아의 9K58을 참고하여 2000년에 공개했다.[6]

300mm 로켓탄은 발사 중량 780kg, 전장 7.276m, 최대 사거리는 약 100km, 전탄 발사 시간은 60초이다.[6] 중국 인민해방군에 도입되었지만 경쟁 기종인 03식 300mm 자주로켓포에 밀려 제한적인 채용에 그쳤으며, 수출로 전환되었다.[6]

3. 제원

A-100, A-200, A-300은 중국에서 개발된 다연장로켓 시스템이다.

A-100, A-200, A-300 제원
항목A-100[3]A-200[4]A-300
개발중국운재화전기술연구원(CALT)중국 항천과기집단 제1연구원 (CALT, 러시아 9K58 참고)중국 항천과기집단 제1연구원
개발 연도1997~2000년2000년 공개불명
실전 배치2000년불명불명
로켓 직경300 mm301 mm300 mm
로켓 길이7,300 mm7,264 mm불명
로켓 무게840 kg730 kg불명
탄두 중량235 kg150 kg150 kg
사거리40~100 km50~200 km290 km
속도마하 4.5불명
고도48 km불명
재장전 시간20분20분20분
유도 방식무유도GPS 유도GPS 유도
정확도CEP 30 mCEP 30 m
발사대8 x 8 트럭, 10연장8 x 8 트럭, 8연장8 x 8 트럭, 8연장



중국은 1997년에 러시아 스메르치 9K58 300mm 12연장 다연장 로켓 시스템과 탄약을 소량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스메르치 9K58 시스템은 종말 유도를 위해 듀얼 컬러 적외선 센서를 갖춘 '스마트' 자탄을 발사하여, 해당 사거리에서 비유도 로켓으로는 달성하기 어려웠던 정확도를 얻을 수 있다. 이 자탄에는 30° 각도로 70mm 장갑을 관통할 수 있다고 알려진 운동 에너지 파편 탄두가 장착되어 있다.[3]

중국 정밀 기계 수입 수출 공사(CPMIEC)는 2000년에 A-100 다연장 로켓 시스템을 공개했다. 이 시스템은 창정 우주 발사체와 동펑 탄도 미사일로 유명한 CALT가 개발했다. A-100 시스템은 CALT가 전술 무기 시장에 진출하려는 첫 시도였다. A-100의 개발은 1990년대 후반에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며, 2002년 광저우 MR의 PLA 제1 포병 사단에서 시험 및 평가 목적으로 운용되는 것이 관찰되었다.[3]

이 시스템은 러시아 스메르치 9K58 300mm 로켓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스메르치의 복제품은 아니다. A-100 로켓에는 더 높은 정확도를 위해 간단한 유도 시스템이 장착되어 있다.[3]

발사 차량은 타이안 특수 차량 제조소에서 개발한 타이안 TAS4500 8x8 바퀴 트럭 섀시를 기반으로 한다.[3] 차량 무게는 21t이며 최대 적재량은 22t이다. 차량의 최대 도로 속도는 60km/h이고 최대 주행 거리는 650km이다. 차량은 57%의 경사도와 1.1m의 도섭 깊이를 가진다. 차량에는 로켓 발사를 준비하기 위해 내릴 수 있는 4개의 유압식 안정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섀시에 장착된 10개의 발사관은 4개(상단)와 6개(하단)의 두 블록으로 배열되어 있다.[3]

중국 항천과기집단 제1연구원은 러시아의 9K58을 참고하여 2000년에 A-200을 공개했다. 발사 차량은 WS2400 8륜 트럭이며, 사격 지점에 진입 후 GPS로 위치를 확인하고 6분 정도에 사격 준비를 완료할 수 있다. 300mm 로켓탄은 발사 중량 780kg, 전장 7.276m, 최대 사거리는 약 100km, 전탄 발사 시간은 60초이다. 중국 인민해방군에 도입되었지만 경쟁 기종인 03식 300mm 자주로켓포에 밀려 제한적인 채용에 그쳤으며, 수출로 전환되었다.

3. 1. A-100

1997년부터 2000년까지 중국운재화전기술연구원(CALT)에서 개발했으며, 2000년에 실전배치되었다. 8 x 8 트럭에 10연장 300mm 다연장 로켓이다. 무유도 방식이며 사거리는 100km이다.[3]

2002년 중국 육군은 A100을 테스트 했지만, A100 대신 PHL03을 구매했다.[3]

2019년, 파키스탄은 중국이 A-100 시스템의 설계를 파키스탄에 판매했음을 인정했으며, 국군 홍보처(ISPR)는 자체 개발한 A-100에 대한 공식 성명을 발표하고 포병 연대에 배치했다.[3]

항목내용
로켓 직경300 mm
로켓 길이7,300 mm
로켓 무게840 kg
탄두중량235 kg
사거리40~100 km
재장전 시간20분



A-100은 300mm 고체 추진 로켓을 발사하며, 사거리는 40~100km이다. A-100 로켓은 길이가 7.3m이고 무게는 840kg이며, 235kg의 탄두를 탑재하고 있으며, 회전, 추력 및 안정 날개에 의해 안정된다. 이 로켓에는 500개의 HE-FRAG(고폭 파편) 대장갑/대인 자탄이 포함된 탄두가 장착되어 있다. 자탄은 50mm의 장갑을 관통할 수 있으며, 폭발 반경은 7m이다. 자탄의 살포 반경은 100 +/- 40미터이다.[3]

로켓은 탄두 및 신관, 추력 안정 시스템, 로켓 모터 및 꼬리 부분으로 구성된다. 로켓 모터는 고급 수산기 종결 폴리부타디엔(HTPB) 조성 로켓 추진제를 사용한 단일 챔버, 고체 로켓 모터이다. 안정 날개는 발사 튜브 내부에 접혀 있으며, 로켓이 튜브를 벗어나면 펼쳐진다.[3]

로켓에는 수평 및 수직 편차를 수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온보드 컴퓨터가 장착되어 있다. 로켓 비행의 처음 3초 동안 온보드 컴퓨터는 프로그래밍된 궤적과 로켓의 실제 상태 간의 수평 차이를 감지하고, 로켓의 비행 방향을 수정하기 위해 로켓의 안정 추력 시스템을 제어한다. 온보드 컴퓨터는 자탄이 높은 정확도로 살포되도록 탄두 폭발 시간을 조정하여 수직 편차를 수정한다.[3]

발사 차량은 타이안 특수 차량 제조소에서 개발한 타이안 TAS4500 8x8 바퀴 트럭 섀시를 기반으로 한다.[3] 차량 무게는 21t이며 최대 적재량은 22t이다. 차량의 최대 도로 속도는 60km/h이고 최대 주행 거리는 650km이다. 차량은 57%의 경사도와 1.1m의 도섭 깊이를 가지고 있다. 차량에는 로켓 발사를 준비하기 위해 내릴 수 있는 4개의 유압식 안정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섀시에 장착된 10개의 발사관은 4개(상단)와 6개(하단)의 두 블록으로 배열되어 있다.[3]

3. 2. A-200

A-200은 유도 기능을 갖춘 다연장로켓(GMLR)이다. 8 x 8 트럭에 탑재된 300 mm 다연장 로켓으로, 사거리는 200 km이다.

항목내용
명칭A-200 정밀 유도 다연장 로켓 시스템(Precision Guided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로켓 직경301 mm
로켓 길이7,264 mm
로켓 무게730 kg
탄두 중량150 kg
사거리50~200 km
속도마하 4.5
고도48 km
재장전 시간20분
유도 방식GPS 유도
정확도CEP 30 m
발사대8 x 8 트럭, 8연장



A-200은 GPS로 갱신된 단순한 캐스케이드 관성 종말 유도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A-200의 배열은 각 발사 상자가 세 줄의 발사관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서 A-100과 다르다.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세 개, 중간에 두 개가 있다. 또한, A-200 로켓에는 A-100 로켓에는 없었던 추가적인 전방 제어면이 있다.[4]

3. 3. A-300

A200보다 사거리를 늘린 A-300은 8 x 8 트럭에 탑재된 300 mm 다연장 로켓으로, 사거리는 290 km이다. GPS 유도를 통해 정밀 타격이 가능하며, 방공망 요격에 대비한 회피 기동 능력도 갖추고 있다. 50초 안에 8발을 모두 발사할 수 있으며, 8발 각각 다른 목표물을 조준할 수 있다. 승무원은 5명이며, 8x8 트럭을 사용한다.

A-300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로켓 직경300 mm
탄두 중량150 kg
사거리290 km
재장전 시간20분
유도 방식GPS 유도
정확도CEP 30 m
발사대8 x 8 트럭, 8연장



2019년 7월 31일, 북한은 A300 GMLR로 추정되는 발사체 2발을 발사했다. 한국군은 정확한 모델을 특정하지 않았지만, 다음 정황들을 통해 A300으로 추정했다.


  • 두 발 모두 사거리가 250 km였다. 이는 중국산 다연장 로켓 중 A300의 사거리와 유사하다.
  • 북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로켓 탄두부에 작은 카나드가 있었다. 이는 중국산 GMLR의 특징 중 하나이다.
  • 최고 고도는 30 km였다. A200의 최대 고도는 48km로 알려져 있다.
  • A300은 중국 웨이스 로켓의 수출형 모델이다.
  • 북한 언론은 유도 기능을 강조했으며, 목표물 명중 사진을 공개했다. A300은 CEP 30 m의 정확도를 가지며, 이는 F-16 전투기의 페이브웨이 레이저 유도 폭탄과 유사한 수준이다.
  • 한국 전문가들은 사진 분석 결과, 로켓 직경이 300 mm 또는 400 mm로 추정했다. A300의 직경은 300 mm이다.


이러한 정황을 근거로,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A300을 수입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 중국의 웨이스 로켓은 현장에서 탄두 부분만 교체하면 무유도 로켓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 A300의 탄두 중량은 150kg으로, 북한이 W80 핵탄두를 개발할 경우 150kt 수소폭탄을 장착할 수 있다.
  • 웨이스 로켓은 탄도 미사일보다 저렴하여 무력 시위에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 평양에서 서울까지의 거리는 200km가 되지 않아, 북한의 추가 발사 가능성이 예상된다.
  • 북한의 발사대는 8 x 8 트럭이 아닌 궤도형 차량이었다.


2019년 8월 2일, 북한은 또다시 2발을 발사했다. 오전 2시 59분과 3시 23분에 함경남도 영흥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했으며, 고도 25 km, 비행거리 220 km, 최대 비행속도 마하 6.9가 관측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300 mm 방사포(마하 5)나 중국 WS-2 400 mm 방사포(마하 6 이하)의 성능을 넘어서는 것으로, 한국 국방부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 가능성을 제기했다.

북한이 중국에서 웨이스 로켓을 수입한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웨이스 로켓은 미군의 M270 MLRS를 모방한 모델도 있다. 미국의 M270 MLRS, 한국의 천무 다연장로켓처럼, 중국도 다연장 로켓 대신 단거리 탄도 미사일 2발을 탑재하는 버전을 만들었다. 북한이 발사한 발사체의 속도가 마하 6.9였다는 점에서, 다연장 로켓이 아니라면 단거리 탄도 미사일일 가능성이 있다.

  • M270 MLRS: 227 mm 다연장 로켓 12문 또는 에이태킴스 미사일 2발
  • 천무 다연장로켓: 239 mm 다연장 로켓 12문 또는 KTSSM 미사일 2발
  • SY-400: 300 mm 다연장 로켓 8문 또는 BP-12A 미사일 2발


BP-12A 미사일은 탄두 중량 480 kg, 사거리 400 km이며, 다연장 로켓보다 속도가 빠르다. BP-12A 미사일의 초기형은 탄두 중량 500 kg, 사거리 250 km였다. SY-400은 2017년 카타르가 수입했다. A-200은 290km의 사거리와 통합된 GNSS/INS 유도 기능을 갖추도록 개발되었다.[5][6]

4. 운용

2019년 7월 31일, 북한은 A300 GMLR 2발을 발사했다.[3] 한국군은 정확한 모델을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다음 여섯 가지 이유로 A300으로 추정했다.

이유내용
사거리2발 모두 250km였다. 중국산 다연장 로켓 중 이 사거리에 해당하는 모델은 A300이 유력하다.
카나드북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로켓 탄두부에 작은 카나드가 있었다. 중국산 GMLR은 카나드가 부착되어 있다.
최고 고도30km였다. A200의 최대 고도는 48km로 알려져 있다.
수출형 모델A300은 중국 웨이스 로켓의 수출형 모델이다.
유도 기능북한 언론은 목표물 명중 사진과 함께 유도 기능을 갖췄다고 보도했다. A300은 유도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CEP 30m로 F-16 전투기의 페이브웨이 레이저 유도 폭탄과 비슷한 정확도를 가진다.
직경한국 전문가들은 사진을 통해 직경이 300mm 또는 400mm일 것으로 추정했다. A300의 직경은 300mm이다.



이상의 정황 증거들을 미루어 보아 북한이 중국산 A300을 수입한 것으로 보인다.


  • 중국의 웨이스 로켓은 현장의 병사가 간단히 탄두 부분만 무유도 방식으로 교체하면, 곧바로 무유도 로켓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고가의 유도용 전자장비, GPS 수신기, 카나드를 통째로 앞에 탈착식으로 디자인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 A300의 탄두중량은 150kg으로, 북한이 W80 핵탄두를 개발한다면 150kt 수소폭탄을 장착할 수 있다. 서울은 1메가톤 한발로 1천만명이 전멸한다고 알려져 있는데, A300 트럭 한대에 150kt 수소폭탄 8발을 탑재하면, 트럭 하나로 서울시가 전멸한다는 계산이 가능하다.
  • 웨이스 로켓은 탄도 미사일 보다 훨씬 저렴해서, 무력시위용으로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
  • 평양에서 서울까지가 200km가 안된다. 북한이 자주 발사할 것으로 예상된다.
  • 북한의 발사대는 8 x 8 트럭이 아니라 궤도형 차량이었다.


2019년 8월 2일, 북한은 또 2발을 발사했다. 오전 2시 59분, 3시 23분 함경남도 영흥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했으며, 고도 25km, 비행거리 220km, 최대 비행속도 마하 6.9가 관측되었다. 통상적으로 300mm 방사포는 마하 5이고 중국 WS-2 400mm 방사포 경우에도 마하 6을 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래서 한국 국방부는 이번 발사는 방사포가 아니라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 아닌가 추측한다.

북한은 중국에서 웨이스 로켓을 수입한 것으로 추정되며, 웨이스 로켓은 여러 가지 버전이 있지만, 미군의 M270 MLRS를 모방한 것도 있다. 미국 M270 MLRS는 무유도 다연장 로켓 12발, 유도 다연장 로켓 12발, 그리고 에이태킴스 미사일 2발을 발사할 수 있다. 한국의 천무 다연장로켓도 다연장 또는 KTSSM 미사일 2발을 발사한다. 중국도 이렇게, 다연장 대신 단거리 탄도 미사일 2발을 탑재하는 버전을 만들었다. 북한이 발사한 것이 마하 6.9라서 다연장이 아니라면, 다연장에 장착하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일 가능성이 있다.

모델국가구경구성
M270 MLRS227mm다연장 로켓 12문 또는 에이태킴스 미사일 2발
천무 다연장로켓239mm다연장 로켓 12문 또는 KTSSM 미사일 2발
SY-400300mm다연장 로켓 8문 또는 BP-12A 미사일 2발



BP-12A 미사일은 탄두중량 480kg, 사거리 400km이다. 다연장 보다 속도가 빠르다. BP-12A 미사일의 오리지날 초기형은 탄두중량 500kg, 사거리 250km였다. SY-400은 2017년 카타르가 수입했다.

중국 인민해방군은 2002년 A-100 MRL을 시험 운용했지만, 대신 PHL03을 선택했다.[3]

5. 파생형

A200은 A100의 개량형으로, 발사관 배열과 전방 제어면 유무에서 차이가 있다. A100은 발사 상자에 발사관이 두 줄로 배열되어 있지만, A200은 세 줄로 배열되어 있다. A200은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세 개, 중간에 두 개의 발사관을 배치한다. 또한 A200 로켓에는 A100 로켓에는 없는 전방 제어면이 추가되었다.[4]

A-200은 사거리가 290km로 늘어났으며, GNSS/INS 통합 유도 기능을 갖추고 있다.[5][6]

6. 운용 국가


  • - 파키스탄군은 2015년까지 중국에서 약 60대의 A-100E 차량을 인도받았다.[11] 2019년, 파키스탄은 중국이 A-100 시스템의 설계를 파키스탄에 판매했음을 인정했으며, 국군 홍보처(ISPR)는 자체 개발한 A-100에 대한 공식 성명을 발표하고 포병 연대에 배치했다.
  • - 탄자니아 인민 방위군은 2013년 중국에서 A-100 MLRS 12대를 수령했다.[12]
  • - 벨라루스군은 폴로네즈로 알려진 A-200을 현지에서 생산한다.[8][9] 2016년까지 중국으로부터 A-200 시스템 6대를 수령했다.[10]
  • - 아제르바이잔군은 2018년 벨라루스에서 폴로네즈 차량 6대를 수령했다.[7]

A-100 운용 국가 지도 (파란색)

7. 북한의 도입과 한반도 안보에 미치는 영향

2019년 7월 31일, 북한은 A300 GMLR 2발을 발사했다. 한국군은 정확한 모델을 특정하지는 않았지만, 여러 정황 증거를 통해 A300으로 추정했다.


  • 2발 모두 사거리 250 km였다. 중국산 다연장 로켓 중 이 사거리에 해당하는 모델은 A300이 유력하다.
  • 북한 언론 보도에 따르면 로켓 탄두부에 작은 카나드가 있었는데, 이는 중국산 GMLR의 특징이다.
  • 최고 고도는 30 km였다. A200의 최대 고도는 48km로 알려져 있다.
  • A300은 중국 웨이스 로켓의 수출형 모델이다.
  • 북한 언론은 목표물 명중 사진과 함께 유도 기능을 강조했다. A300은 CEP 30m의 정밀도를 가진다.
  • 한국 전문가들은 사진을 통해 직경이 300mm 또는 400mm로 추정했으며, A300의 직경은 300mm이다.


이러한 정황들을 종합해 볼 때, 북한이 중국산 A300을 수입한 것으로 보인다.

웨이스 로켓은 현장 병사가 탄두 부분을 교체하여 무유도 로켓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A300의 탄두 중량은 150kg으로, 북한이 W80 핵탄두를 개발한다면 150kt 수소폭탄을 장착할 수 있다. 이는 트럭 한 대로 서울시를 전멸시킬 수 있는 위력이다.[1]

웨이스 로켓은 탄도 미사일보다 저렴하여 무력시위용으로 적합하며, 평양에서 서울까지 거리가 200km가 안 되기 때문에 북한이 자주 발사할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 북한의 발사대는 8x8 트럭이 아닌 궤도형 차량이었다.[1]

2019년 8월 2일, 북한은 함경남도 영흥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2발을 추가 발사했다. 오전 2시 59분과 3시 23분에 발사했으며, 고도 25km, 비행거리 220km, 최대 비행속도 마하 6.9가 관측되었다. 이는 일반적인 300mm 방사포(마하 5)나 중국 WS-2 400mm 방사포(마하 6 이하)의 성능을 뛰어넘는 것으로, 한국 국방부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 가능성을 제기했다.[1]

북한은 중국에서 웨이스 로켓을 수입한 것으로 추정되며, 이 로켓은 미군의 M270 MLRS를 모방한 버전도 있다. 미국 M270 MLRS, 한국의 천무 다연장로켓처럼, 중국도 다연장 로켓 대신 단거리 탄도 미사일 2발을 탑재하는 버전을 만들었다. 북한이 발사한 것이 마하 6.9라면, 다연장 로켓이 아니라 단거리 탄도 미사일일 가능성이 있다.[1]

BP-12A 미사일은 탄두 중량 480kg, 사거리 400km이며, 다연장 로켓보다 속도가 빠르다. SY-400은 2017년 카타르가 수입했다.[1]

참조

[1] 웹사이트 MLRS for Army and Indigenous Capability https://www.spslandf[...] 2023-10-22
[2] 웹사이트 Army inducts indigenously developed A-100 rocket to its arsenal https://www.dawn.com[...] 2019-01-04
[3] 웹사이트 A-100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www.military-[...] 2024-06-17
[4] 웹사이트 国产A200远程制导火箭武器射程200公里火力猛 http://mil.news.sina[...] 2010-11-19
[5] 웹사이트 IDEX 2015 - A300 Precision Guided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www.idexuae.a[...] 2018-02-03
[6] 뉴스 Chinese army will purchase A300 MLRS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using GPS guidance http://www.armyrecog[...] 2015-04-01
[7] Searchable database Arms Transfers Database: Polonez, Belarus to Azerbaijan, delivered 2018 https://armstransfer[...]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24-06-17
[8] 웹사이트 Polonez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www.military-[...] 2024-06-17
[9] 웹사이트 A200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www.military-[...] 2024-06-17
[10] Searchable database Arms Transfers Database: A-200, China to Belarus, delivered by 2016 https://armstransfer[...]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24-06-17
[11] Searchable database Arms Transfers Database: A-100, China to Pakistan, delivered by 2015 https://armstransfer[...]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24-06-17
[12] Searchable database Arms Transfers Database: A-100, China to Tanzania, delivered 2013 https://armstransfer[...] 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2024-06-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