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웨이스 로켓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웨이스 로켓은 중국에서 개발된 무유도 다연장 로켓 시스템으로, 다양한 모델과 파생형이 존재한다. 1980년대 후반 개발된 WS-1을 시작으로, 사거리와 유도 방식이 개선된 WS-1B, WS-2, WS-3, WS-6, WS-15, WS-22, WS-32, WS-33, WS-35, WS-43, WS-63, WS-64, WS-400, WS-600L 등이 있다. WS-1B는 터키에서 T-300 카스르가로, 북한에서 KN-09로 생산되었으며, SY-300, SY-400과 같은 파생형도 존재한다. 웨이스 로켓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방글라데시, 벨라루스, 에티오피아, 하마스, 이란, 북한,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수단, 태국, 터키, 모로코 등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있으며, 이 로켓의 확산은 동북아시아 지역의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킬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주포 - PLZ-05 자주포
    PLZ-05 자주포는 중국이 개발하여 인민해방군 포병의 주력으로 운용되는 155mm 자주포로, 자동 장전 시스템과 사거리 연장탄, 정밀 유도 포탄을 사용하여 사거리를 늘릴 수 있으며 다양한 개량형이 존재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자주포 - PLZ-45 자주포
    PLZ-45 자주포는 1980년대 후반 중국에서 노리쿰 GHN-45 곡사포를 기반으로 개발되어 1990년대 중반 실전 배치된 155mm 궤도형 자주포로, 중국 자주포 기술 발전의 이정표가 되었으며, 다양한 포탄과 레이저 유도 발사체를 사용하고 525마력 디젤 엔진으로 최대 55km/h 속도를 내며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고 사우디 아라비아의 예멘 내전 개입을 통해 실전 사용된 바 있다.
  • 다연장 로켓포 - 카튜샤 로켓
    카튜샤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이 사용한 다연장 로켓포의 별칭으로, 흑색화약 로켓탄을 사용하며 융단폭격에 효과적이었으나 명중률은 낮았다.
  • 다연장 로켓포 - 구룡 다연장로켓
    구룡 다연장로켓(K136)은 북한의 BM-21 그라드에 대응하기 위해 1981년 대한민국 육군에 실전 배치된 다연장 로켓포 시스템으로, K136A1 개량형과 K33, K38 로켓 등이 개발되었으며 연평도와 백령도에 배치, 이집트에 수출되기도 하였다.
  • 로켓포 - 카튜샤 로켓
    카튜샤 로켓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소련군이 사용한 다연장 로켓포의 별칭으로, 흑색화약 로켓탄을 사용하며 융단폭격에 효과적이었으나 명중률은 낮았다.
  • 로켓포 - RPG-7
    RPG-7은 제2차 세계 대전 말 독일의 판처파우스트 250을 발전시킨 휴대용 대전차 로켓 발사기로, 1961년 소련군에 채용되어 전 세계 분쟁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웨이스 로켓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종류다연장 로켓포
개발 국가중화인민공화국
개발 회사중국항천과공집단 (CASC)
변형
WS-1구경: 302mm
사거리: 100km
WS-1B구경: 302mm
사거리: 180km
WS-2구경: 400mm
사거리: 200km
WS-3구경: 122mm
사거리: 40km
특징
정밀도다양한 정밀도 옵션 제공
사거리다양한 사거리 옵션 제공
시장ALBIT (CASC) 마케팅
추가 정보
기타중국어 이름: 卫士 (웨이스)

2. 역사 및 개발

웨이스 로켓 시리즈는 1980년대 후반 중국 인민해방군 지상군을 위한 무유도 대구경 다연장 로켓 시스템으로 개발되기 시작했다. 초기 모델인 WS-1과 그 개량형들은 중국군에 채택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개발은 계속되어 더욱 발전된 모델들이 등장했다. (초기 모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서를 참조하시오.)

2004년 주하이 에어쇼에서는 WS-2가 공개되었다. 이 시스템은 GPS 유도 기능을 갖춘 400mm 로켓을 사용하며, 기본 사거리는 70km에서 200km에 달한다. 개량형인 WS-2C는 350km, WS-2D는 400km까지 사거리가 연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9][10] WS-2는 단거리 탄도 미사일에 비해 비용 효율적인 대안으로 여겨지며, 대만 서해안 전역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정확도 향상을 위해 간단한 관성 유도 시스템이 적용되었고, 2008년에는 3기의 소형 무인 항공기를 탑재하여 목표 레이더를 공격하는 특수 탄두가 개발되었다는 정보도 있으나, 확인되지는 않았다.

2008년 주하이 에어쇼에서는 중국항천과학기술집단공사(CASC) 산하 중국항천과학기술국제무역유한공사(Alit)가 개발한 WS-3가 처음 공개되었다. 400mm (일부 자료는 406mm[14]) 로켓 6발을 탑재하며, 사거리는 70km에서 200km이다.[14] [15] 중국은 사거리 400km 이내의 목표는 다연장 로켓으로, 그 이상의 거리는 DF-11이나 DF-15와 같은 단거리 탄도 미사일로 공격하는 전략을 가진 것으로 보인다. WS-3 포대는 일반적으로 지휘 차량 1대, 발사 차량 6대, 재장전 차량 6대로 구성된다. WS-3는 재래식 탄두를 사용하지만, 유사한 크기의 다른 미사일(프랑스 ASMP, 이스라엘 하푼 미사일 개량형 등)은 핵탄두 탑재가 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WS-3A는 민간용 또는 군사용 GPS/GLONASS 수신기를 탑재하여 WS-3보다 정확도를 높인 개량형이다.

WS-3의 기본 제원은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무게1398kg
길이7150mm
직경400 mm
사거리70km – 200km
탄두중량200kg
정확도 (CEP)300m (INS 유도), 50m (GPS 유도)
발사 간격단발 또는 연발 (6초 간격)
발사대Taian TAS-5450 8x8 트럭 (6연장)
운용 인원3명 (발사 차량 기준)



2019년 5월 4일, 북한원산 미사일 기지에서 사거리 70km에서 200km 사이의 단거리 발사체 여러 발을 발사했을 때,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300mm 방사포(KN-09 계열)로 추정했으나, 일각에서는 400mm 구경의 WS-3 계열 로켓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원산 미사일 기지에서 서울까지의 거리는 약 200km이며, 개성시에서 세종시까지는 약 170km이다.

WS-3는 과거 주한미군에 배치되었던 미국MGM-52 랜스 미사일(무게 1.3ton, 탄두 122kg, 사거리 70km, 100kt급 W70 핵탄두 탑재 가능)보다 크고 사거리가 길다. 랜스 미사일은 이후 미국MGM-140 ATACMS(무게 1.6ton, 탄두 560kg, 사거리 120km 이상)로 대체되었으며, 대한민국 역시 ATACMS와 유사한 KTSSM(무게 1.5ton, 탄두 500kg, 사거리 120km 이상)을 개발했다. WS-3는 이들 미사일에 비해 탄두 중량은 작지만 사거리가 길다는 특징이 있다.

2. 1. 초기 모델 (WS-1)

1980년대 후반, 중국의 쓰촨성 항공우주공사(SCAIC)는 중국 인민해방군 지상군을 위한 무유도 대구경 다연장 로켓 시스템 개발을 시작했다. 그 결과물인 위석-1(WS-1) 302mm 4연장 다연장 로켓 시스템은 1990년에 처음 시험 발사되었으나, 인민해방군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해 생산 주문을 받지 못했다. WS-1 시스템의 지상 장비는 로켓 발사 트럭, 수송 및 적재 트럭, 사격 지휘 트럭으로 구성된다.

WS-1 로켓 대대의 일반적인 편제는 다음과 같다.

장비 종류운용 인원수량
DZ-88B 사격 지휘 트럭4명1대
MF-4 로켓 발사 트럭3명6~9대
QY-88 수송 및 적재 트럭3명6~9대
고고도 기상 레이더3명1대
발사 트럭당 로켓-40~60발



시리아의 M-302(카이바르-1으로도 불림) 로켓은 WS-1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2. 2. 개량형 (WS-1B, WS-1E, WS-1F)

사천항천공업총공사(SCAIC)는 1990년대 후반에 기존 302mm WS-1(사거리 100km)의 개량형인 302mm WS-1B를 개발했다. WS-1B는 주로 해외 수출을 목표로 개발되었으며, 베이징에 위치한 중국국영정밀기계수출입공사(COMIEC)가 수출을 담당하고 있다. WS-1과 비교했을 때, WS-1B는 사거리가 180km로 증가했다.[5]

WS-1B 로켓 대대는 다음과 같은 장비로 구성된다.

장비수량탑승 인원
DZ-4B 화력통제 트럭1대5명
HF-4B 로켓 발사대 트럭6~9대3명
QY-4B 수송 트럭6~9대3명
Type 702 고고도 레이다1대3명


  • 트럭당 로켓 수: 40~60발


WS-1B의 제원은 다음과 같다.

항목내용
직경302 mm
길이6.37m
발사중량725kg
탄두중량150kg
속도마하 5.2
최대고도60km
사거리60km–180km



사용되는 탄두는 다음과 같다.


  • '''ZDB-2''': 강철 구슬로 채워져 있다.
  • '''SZB-1''': 밀집된 전차들을 공격하기 위한 탄두로, 500개의 탄환을 분산시킨다.


WS-1E는 사천항천공업총공사(SCAIC)가 중국 인민해방군의 기존 Type 81 122mm 다연장로켓포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122mm 다연장로켓포 시스템이다. Type 90 122mm 다연장로켓포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양산에는 이르지 못했다. WS-1E 로켓 대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장비수량탑승 인원
DZ-88B 사격 지휘 차량1대5명
MF-40 로켓 발사 차량6대3명


  • 발사 차량당 로켓 수: 120~160발


WS-1F는 사거리가 500km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

3. 주요 모델 및 제원

웨이스(卫士|Wèishìzho) 로켓 시스템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사천항천공업총공사(SCAIC)와 중국항천과학기술집단공사(CASC) 등에서 개발한 다연장로켓 시스템으로, 다양한 구경과 사거리를 가진 여러 모델로 구성되어 있다.

대표적으로 1980년대 후반 개발이 시작된 302mm 구경의 WS-1 시리즈, 2004년 처음 공개되어 최대 400km의 사거리를 갖는 400mm 구경의 WS-2 시리즈[9][13], 그리고 406mm 구경의 WS-3 시리즈[14] 등이 있다. 이 외에도 122mm 구경의 WS-6, WS-22부터 로이터링 탄약 형태인 WS-43, 대함 미사일 버전인 WS-64, 단거리 탄도 미사일인 WS-600L 등 다양한 목적과 성능을 가진 파생형 모델들이 존재한다. 각 모델의 구체적인 제원과 특징은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WS-1 시리즈

사천항천공업총공사는 1980년대 후반 중국 인민해방군 지상군을 위한 무유도 대구경 다연장로켓 시스템 개발에 착수했다. 그 결과물인 웨이스-1(WS-1) 302mm 4연장 다연장 로켓 시스템은 1990년에 처음 시험되었으나, 인민해방군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여 실제 생산으로는 이어지지 않았다. WS-1의 기본 사거리는 100km이다. 시리아의 M-302 로켓(또는 카이바르-1)은 이 WS-1 로켓을 기반으로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WS-1 로켓 대대의 기본 구성은 다음과 같다.

장비수량운용 인원
DZ-88B 사격 지휘 트럭1대4명
MF-4 로켓 발사 트럭6~9대대당 3명
QY-88 수송 및 적재 트럭6~9대대당 3명
고고도 기상 레이더1대3명
발사 트럭당 로켓 수40~60발



사천항천공업총공사는 1990년대에도 WS-1 개발을 지속하여, 1990년대 후반에 개량형인 웨이스-1B(WS-1B)를 선보였다. WS-1B는 주로 해외 수출 시장을 겨냥했으며, 베이징에 본사를 둔 중국국영정밀기계수출입공사(CPMIEC)가 적극적으로 마케팅했다. WS-1과 비교했을 때 WS-1B의 가장 큰 특징은 사거리가 180km로 크게 늘어난 점이다.[5]

WS-1B의 주요 제원은 다음과 같다.

제원내용
직경302 mm
길이6.37m
발사중량725kg
탄두중량150kg
속도마하 5.2
최대고도60km
사거리60km ~ 180km



WS-1B는 다양한 탄두를 사용할 수 있다. ZDB-2 탄두는 내부에 강철 구슬이 채워져 파편 효과를 내며, SZB-1 탄두는 밀집된 기갑 장비를 공격하기 위한 것으로, 500개의 작은 탄환(bomblet)을 뿌린다.

WS-1B 로켓 대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장비수량운용 인원
DZ-4B 화력통제 트럭1대5명
HF-4B 로켓 발사대 트럭6대~9대대당 3명
QY-4B 수송 트럭6대~9대대당 3명
Type 702 고고도 레이다1대3명
발사 트럭당 로켓 수40~60발



WS-1B는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거나 기술 기반이 되었다.


  • 터키는 2009년 WS-1B를 도입하여 이를 기반으로 로켓산에서 T-300 카스르가(Kasırga) 다연장로켓 시스템을 개발했다.[6][7] T-300 시스템은 독일 MAN사의 6x6 트럭 섀시를 사용하며, WS-1B 발사대와 유사하지만 일부 개량이 이루어졌다. 터키 육군은 T-300 시스템을 장거리 화력 지원용으로 운용한다. T-300 시스템은 사용 로켓에 따라 사거리가 다르다. (TR300S: 36km~65km, TR300E: 65km~100km, TR300K(유도형): 30km~120km)[8]

T-300용 300mm 로켓


터키 T-300 카스르가

  • 북한의 300mm KN-09 방사포 역시 중국의 WS-1B를 도입하여 개발한 것이라는 추정이 있다.

3. 2. WS-2 시리즈

2004년 주하이 에어쇼에서 처음 공개된 WS-2는 GPS 유도 기능을 갖춘 400mm 구경의 다연장 로켓 시스템이다.[9] 기본형인 WS-2의 사거리는 70km에서 200km에 이르며,[9] 일부 자료에서는 최대 350km까지 도달할 수 있다고 언급된다.[10] 이는 중국인민해방군이 타이완 서해안의 주요 목표물, 예를 들어 타이베이를 포함한 지역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함을 의미한다. WS-2는 고가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대체할 저렴한 대안으로 개발되었다. 장거리 비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정확도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간단한 관성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

2008년에는 WS-2를 위한 소형 탄두가 개발되었으며, 여기에는 특수한 대레이더 버전도 포함된다. 이 대레이더 버전은 로켓 내부에 3기의 무인기를 탑재한다. 목표 지역 상공에서 로켓이 분리되면 무인기가 방출되어 순항 비행을 시작한다. 무인기는 탑재된 탐색기를 이용해 적의 레이더 신호를 탐지하고, 신호가 포착되면 해당 레이더를 향해 돌진하여 파괴한다. 일부 중국 내 군사 애호가들은 이 기술이 이스라엘의 하피 대레이더 무인기 기술에 기반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이는 외부 독립 정보원에 의해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

WS-2는 지속적으로 개량되어 여러 파생형이 개발되었다.

  • '''WS-2B:''' WS-2의 개량형으로, 사거리가 200km로 늘어났다.[11]
  • '''WS-2C:''' GPS 유도 기능이 추가되어 정확도가 향상되었으며, 사거리는 350km에 달한다.[11][12] 수동 호밍 유도 기능도 갖추고 있다.[5]
  • '''WS-2D:''' GPS 유도 기능을 갖추고 사거리가 400km로 더욱 연장되었으며, 목표 타격 능력이 향상된 무인기 발사 기능이 추가되었다.[13]


WS-1E 및 WS-2 로켓 대대는 동일한 장비를 운용하며, 일반적인 대대 구성 및 제원은 다음과 같다.

장비 종류수량운용 인원
사격 지휘 차량1대5명
로켓 발사 차량6대3명 (차량당)
수송 및 적재 차량6~9대3명 (차량당)


  • '''발사 차량당 로켓 탑재량:''' 30~48발
  • '''준비 시간 (이동 상태에서 발사 준비 완료까지):''' 12분 미만
  • '''발사 밀도:''' 1/600m 이상
  • '''정확도:''' 0.3% 미만

3. 3. WS-3 시리즈

중국항천과학기술집단공사(CASC)의 자회사인 중국항천과학기술국제무역유한공사(Alit)는 2008년 주하이 에어쇼에서 400mm 구경의 WS-3 다연장 로켓을 처음 공개했다.[14][15] WS-3는 6개의 직사각형 발사관에 406mm 로켓을 탑재하며, 단순 캐스케이드 관성 종단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 1개 포대는 지휘차량 1대, 발사대 차량 6대, 재장전 차량 6대로 구성된다.

WS-3의 기본 제원은 다음과 같다.

구분내용
무게1398kg
길이7150mm
직경400mm
사거리70km – 200km
탄두중량200kg
정확도 (CEP)300m (INS 유도), 50m (GPS 유도)
발사 간격연발 발사 시 6초
발사대Taian TAS-5450 8x8 트럭 (6연장)
승무원3명



2019년 5월 4일, 북한이 원산 미사일 기지에서 발사한 사거리 70km에서 200km 사이의 단거리 발사체에 대해, 한국군 당국은 300mm 방사포로 추정했으나 일각에서는 400mm 구경의 WS-3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원산 미사일 기지에서 서울까지의 거리는 약 200km, 개성시에서 세종시까지는 약 170km이다.

'''WS-3A'''는 ALIT이 개발한 WS-3의 개량형으로, 민간용 GPS 및 GLONASS 위성항법 시스템을 추가하여 유도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고객의 요구에 따라 군사용 GPS/GLONASS 시스템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16]

'''WS-3 ASW 미사일'''은 중국폴리그룹(China Poly Group Corporation)의 자회사인 폴리 테크놀로지(Poly Technologies)가 WS-3A를 기반으로 개발한 대잠수함전(ASW)용 로켓이다. 이 로켓은 탄두 부분에 경량 대잠 어뢰를 탑재하며, 최대 사거리는 100km에 달한다. 위성, 항공기, 수상함, 잠수함, 해안 및 해저 음파탐지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탐지한 표적 정보를 발사 차량이 수신하여 미사일을 발사하면, 로켓에서 분리된 어뢰가 수중으로 진입하여 표적을 추적하고 파괴하는 방식으로 운용된다.[17]

3. 4. 기타 모델


  • '''WS-6:''' 122mm PR50 MLS를 기반으로 발사관 수를 100개에서 40개로 줄여 경량화한 모델이다. 빠른 배치를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2010년 북한이 연평도 포격 당시 사용한 40연장 122mm 방사포와 유사한 형태이다.
  • '''WS-15:''' 사거리가 40km이며, 단순한 캐스케이드 관성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18]
  • '''WS-22:'''
    방글라데시 육군의 웨이스 WS-22
    122mm PR50 MLS에 유도 기능을 추가한 버전이다. 단순 캐스케이드 관성 유도 방식을 사용하며, 표준 사거리는 45km이다.[19] PR50 계열은 다양한 사거리(20km ~ 40km)의 로켓을 운용할 수 있으며, 운영 및 수명 주기 비용 절감을 목표로 개발되었다. PR50 SPMRL의 중국 명칭은 사첸바오(沙尘暴, 모래폭풍)이며, 2006년 제6회 중국 국제 항공우주 박람회에서 처음 공개되었다.[20]
  • '''WS-32:''' 8X8 트럭에 300mm 유도 로켓 발사관 2개(각 5발)를 탑재한다. 로켓 길이는 7.5m이며, 170kg의 탄두를 탑재하고 최대 150km 이상 떨어진 목표물을 CEP(원형 공산 오차) 30m의 정확도로 타격할 수 있다.[21][22]
  • '''WS-33:''' 중국산 대함 미사일을 지상 공격용으로 개조한 것으로 추정된다. 길이는 3.3m, 무게는 200kg, 구경은 200mm이며, 사거리는 70km이다.[23]
  • '''WS-35:''' WS-1 시리즈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사거리는 150km이다. 민간용 GPS/GLONASS 위성 유도 시스템을 기본으로 탑재하며, 요청 시 군사용 GPS/GLONASS로 변경할 수 있다.[24]
  • '''WS-43:''' 로이터링 탄약(배회형 자폭 무인기) 또는 순항 미사일로 분류된다. 구경은 200mm, 사거리는 60km이며, CEP는 10m이다.[25] 최대 30분간 공중에서 대기할 수 있으며, 20kg의 탄두를 탑재한다.[26]
  • '''WS-63:''' 지대지 미사일로, 길이는 7.4m, 구경은 300mm이다. 150kg의 다양한 종류의 탄두를 사용하여 최대 260km 거리의 표적을 공격할 수 있다. 관성/위성 유도 방식과 레이더 종말 유도 방식을 함께 사용한다.[27]
  • '''WS-64:''' HQ-16을 기반으로 개발된 것으로 추정되는 대함 미사일이다. 사거리는 버전에 따라 120km에서 280km까지 다양하다. 웨이스(Weishi) 다련장 로켓 시스템에서 발사된다. 위성항법 유도 시 CEP는 30m, 액티브 레이다 유도 시 CEP는 10m이다. 2014년 주하이 에어쇼에서 중국항천과기집단공사(CASC)가 공개했다.[28]
  • '''WS-400:''' 대잠 미사일이다.
  • '''WS-600L:''' 중국항천과기집단공사(CASC)가 개발한 신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이다. 사거리는 290km이며, CEP는 10m 미만이다.[29]

4. 기술적 특징

웨이스 로켓은 2004년 주하이 에어쇼에서 처음 공개된 중국의 다연장로켓 시스템이다. 기본적으로 GPS 유도 방식을 사용하는 400mm 구경의 로켓탄을 발사하며, 초기 모델의 사거리는 70km에서 200km에 달했다. 이후 개량형인 WS-2C는 350km, WS-2D는 400km까지 사거리가 늘어났다. 웨이스 로켓은 유사한 사거리를 가진 단거리 탄도 미사일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중국은 2008년 주하이 에어쇼에서 400mm 구경의 WS-3 모델을 선보였다. 중국군은 사거리 400km까지는 웨이스 로켓과 같은 다연장 로켓을 운용하고, 그 이상의 사거리는 DF-11, DF-15와 같은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웨이스 로켓 포대는 지휘 차량, 발사대 차량, 재장전 차량 등으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재래식 탄두를 사용하지만, 프랑스의 ASMP나 이스라엘의 하푼 미사일 개량형처럼 탄두 중량 200kg 정도의 플랫폼에 핵탄두를 탑재하는 경우도 있다.

2019년 5월 4일, 북한이 원산 미사일 기지에서 사거리 70km에서 200km로 추정되는 단거리 발사체를 여러 발 발사했을 때, 한국군은 이를 300mm 방사포(KN-09)로 추정했지만, 일각에서는 400mm 구경인 웨이스 3호(WS-3) 계열 로켓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원산 미사일 기지에서 서울까지의 거리는 약 200km, 개성시에서 세종시까지는 약 170km이다.

WS-3의 개량형인 WS-3A는 GPS/GLONASS 위성 항법 시스템을 추가하여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위사 3호(WS-3) 제원'''

항목내용
무게1398kg
길이7150mm
직경400mm
사거리70km – 200km
탄두중량200kg
정확도 (CEP)300m (INS 유도), 50m (GPS 유도)
발사 간격단발 또는 연발 (6초 간격)
발사대Taian TAS-5450 8x8 트럭 (25톤급), 6연장
승무원3명



'''위사 로켓 시리즈 비교'''

모델직경사거리비고
위사 1호 (WS-1)300mm60km – 180km북한 KN-09와 유사
위사 2호 (WS-2)400mm70km – 200km
위사 3호 (WS-3)400mm70km – 200km



'''주요 단거리 미사일/로켓 비교'''

구분국가무게탄두중량사거리비고
MGM-52 랜스-- 미국1.3ton122kg70km100 kt W70 핵탄두 탑재 가능, 퇴역
MGM-140 ATACMS-- 미국1.6ton560kg120km 이상랜스 대체, 프리즘 미사일로 교체 예정
위사 3호 (WS-3)-- 중국1.4ton200kg200km
KTSSM-- 대한민국1.5ton500kg120km 이상ATACMS 국산화 모델


4. 1. 유도 방식

웨이스 로켓의 초기 모델은 별도의 유도 장치가 없는 무유도 방식으로 추정된다. 이후 개발된 모델들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유도 방식을 채택했다.

WS-2 로켓은 장거리 비행 시 발생하는 정확도 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관성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9] 또한, WS-2용 특수 탄두 중에는 3대의 무인 항공기를 탑재한 대레이더 버전도 개발되었다. 이 무인기는 목표 지역 상공에서 방출되어 적의 레이더 신호를 탐색하고, 신호가 포착되면 레이더를 향해 돌진하여 파괴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일부에서는 이 기술이 이스라엘의 하피 대레이더 무인기에 기반한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공식적으로 확인된 바는 없다.

WS-3 로켓은 관성 유도 방식을 사용하며,[14][15] INS 유도 시 CEP는 300m 수준이다. 개량형인 WS-3A는 여기에 민간용 GPS/GLONASS 위성 항법 시스템을 추가하여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고객의 요구에 따라 군사용 GPS/GLONASS를 탑재할 수도 있으며,[16] GPS 유도 시 CEP는 50m까지 줄어든다.

중국의 다른 다연장로켓 시스템인 A-100 MRL의 경우, INS와 위성 항법 시스템을 함께 사용하며, 종말 유도 단계에서는 액티브 레이다 유도 방식을 사용하여 정밀 타격 능력을 더욱 높였다. 수출형인 A300 모델은 GPS 유도 방식을 사용하며, CEP는 30m 수준이다.

4. 2. 탄두

웨이스 로켓은 탑재 가능한 탄두 종류가 고폭탄(HE), 파편탄, 연료-공기 폭발탄(FAE), 자탄(소형탄) 등으로 다양하다.

  • 파쇄탄 (ZDB-2): 강철 구슬과 예비 성형 파편을 내장하여 파괴력을 높인 탄두이다.
  • 자탄 (SZB-1): 밀집된 전차 부대나 보병 부대와 같은 넓은 지역의 목표물을 공격하기 위해 설계되었다. 폭발 시 약 500개의 작은 탄환(submunition)을 분산시켜 광범위한 피해를 입힌다. 이는 대규모 병력이나 장비 집결지에 효과적이다.
  • 대레이더 탄두 (WS-2용): WS-2 로켓 시스템을 위해 개발된 특수 탄두도 있다. 이 탄두는 3대의 소형 무인 항공기를 탑재하고 있다. 로켓이 목표 지역 상공에 도달하면, 이 무인기들이 분리되어 비행하며 적의 레이더 신호를 탐색한다. 레이더 신호를 포착하면 해당 레이더를 향해 돌진하여 파괴하는 임무를 수행한다.


웨이스 로켓은 이처럼 목표물의 성격에 따라 다양한 탄두를 선택하여 운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다.

4. 3. 발사 플랫폼

웨이스 로켓 시스템은 이동성을 확보하기 위해 트럭 차대를 기반으로 한 발사 플랫폼을 사용한다. 발사대 트럭은 모델별로 다양한 차대를 활용하며, 발사 준비 시에는 4개의 유압식 안정 장치를 내려 안정성을 확보한다. 발사관은 일반적으로 고각 0°에서 60°, 방위각 -30°에서 +30°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웨이스 로켓 모델별 발사 플랫폼
모델발사 트럭트럭 차대발사관 수비고
WS-1MF-4중국산 6x64연장 (302mm)
WS-1BHF-4BTiema XC2200 6x64연장 (302mm)
WS-2-타이안 TA580/TAS5380 8x86연장 (400mm, 상자형)[9]
WS-3-Taian TAS-5450 8x8 (25톤)6연장 (400mm/406mm, 컨테이너형)[14][15]제원상 400mm, 설명상 406mm 로켓 언급[14][15]



일반적으로 웨이스 로켓 포대 또는 대대는 발사 차량 외에 지휘 차량, 수송 및 적재 차량, 기상 레이더 등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WS-1 대대는 DZ-88B 사격 지휘 트럭 1대, MF-4 로켓 발사 트럭 6~9대, QY-88 수송 및 적재 트럭 6~9대, 고고도 기상 레이더 1대로 구성된다. WS-1E 및 WS-2 대대는 사격 지휘 차량 1대, 로켓 발사 차량 6대, 수송 및 적재 차량 6~9대로 구성되며, 이동 상태에서 발사 준비까지 12분 미만이 소요된다. WS-3의 경우, 1개 포대가 지휘차량 1대, 발사대 차량 6대, 재장전 차량 6대로 구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 파생형 및 해외 운용

웨이스 로켓 시스템은 다양한 목적과 성능 요구에 맞춰 여러 파생형으로 발전해왔다. 초기 모델을 기반으로 유도 성능과 사거리를 점진적으로 개선한 A 시리즈, 새로운 플랫폼과 유도 방식을 적용한 SY 시리즈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SY 시리즈는 탄도 미사일과 발사대를 공유하는 등 운용 효율성을 높인 모델도 포함한다.

또한, 지상 발사형 외에도 전술 탄도 미사일을 기반으로 개발된 공중 발사형 미사일인 CM-400AKG도 존재한다. 이는 전투기를 통해 발사되어 원거리 타격 능력을 제공한다.

웨이스 로켓 시스템은 개발국인 중화인민공화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아프리카, 중동 등 여러 국가에 수출되거나 기술이 이전되었다. 터키는 기술 이전을 통해 자체적인 TRG-300 카스르가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으며, 이는 웨이스 로켓 기술 확산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모델이 운용 중이며, 특히 북한이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KN-09를 개발하고 SY-400을 도입한 정황은 대한민국의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 요소로 간주된다.[39][40] 각 파생형과 해외 운용 현황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5. 1. A 시리즈

A100WS-1 시리즈를 기반으로 개발된 다연장로켓으로, 단순 캐스케이드 관성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 표준탄을 사용할 경우 사거리는 40km에서 80km이며, 사거리 연장탄을 사용하면 60km에서 120km까지 늘어난다. 10개의 발사관은 5발씩 묶인 발사 상자 2개(상단 2개, 하단 3개 배열)가 2열로 배치된 형태로 구성된다.
A200A100을 개량한 모델로, GPS로 유도 정확도를 높인 단순 캐스케이드 관성 종단 유도 방식을 사용한다. 발사관 배치가 A100과 다른데, 발사 박스는 상단과 하단에 3개, 중간에 2개씩 총 3열의 발사관으로 구성된다. 또한 A100에는 없던 추가적인 전방 조종면이 장착되어 있다.[30] 사거리는 200km이다.
A300A200을 기반으로 개발된 수출형 모델이다. 직경 300mm 로켓 4발을 각각 탑재한 2개의 발사관으로 구성된다. 사거리는 290km로 늘어났으며, GNSS와 INS 유도 시스템을 통합하여 원형 공산 오차(CEP)를 30m에서 45m 수준으로 향상시켰다.[34] 탄두 중량은 150kg이다. 적의 방공망 요격을 피하기 위한 회피 기동 능력을 갖추고 있다. 총 8발의 로켓을 50초 안에 모두 발사할 수 있으며, 각 로켓은 서로 다른 목표물을 조준할 수 있다. 8x8 트럭을 발사 차량으로 사용하며, 5명의 승무원이 탑승한다. 방글라데시 등에서 운용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31][32][33]

5. 2. SY 시리즈

'''SY-300'''은 WS-2, WS-3 다연장로켓을 개량한 모델이다. SY는 神鹰|신잉중국어, 즉 '신성한 매'를 의미한다. 중국항천과기집단공사(CASC)의 제4아카데미와 제9아카데미가 통합되어 새로운 제4아카데미가 된 후 개발되었다. 기존 WS-2/3와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점은 탄두 부분의 외형으로, SY-300은 제어부와 탄두가 분리되어 있다. 이 설계 덕분에 유도 기능이 필요 없는 무유도 로켓으로 사용할 경우, 현장에서 병사가 유도 시스템을 간단히 제거하고 무게추로 교체할 수 있다.[35] 발사대 차량은 SY-300 로켓 6발 또는 12발을 탑재한다.

'''SY-400'''은 SY-300을 개량한 모델이다. 사거리 400km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인 BP-12A 2발 또는 300mm PHL-03 로켓 12발을 하나의 발사대에서 운용할 수 있다. 기존의 관성항법 유도 방식에 GPS 유도를 추가하여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개발사에 따르면 민간용 GPS 대신 군용 GPS 신호를 사용할 경우 정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고 한다. 또한 BP-12A 탄도 미사일과 발사대 차량 및 화력통제시스템을 공유하여 군수 지원을 간소화했다는 장점이 있다.[36][37]

카타르(2017년)와 미얀마(2020년)가 SY-400 시스템을 도입했으나, 도입 수량은 공개되지 않았다.[38][39][40]

=== CM-400AKG ===

CM-400AKG는 SY-400 전술 탄도 미사일을 기반으로 중국항천과기공업집단(CASIC, China Aerospace Science and Industry Corporation)이 개발한 공중 발사형 미사일이다.[41]

길이 5.1m, 직경 400mm, 무게 910kg이며, 사거리는 100km에서 240km 사이로 알려져 있다.[41] 탄두는 150kg의 고폭탄두 또는 200kg의 관통탄두를 탑재할 수 있다.[42] 고고도로 순항 비행한 후 목표물을 향해 급강하하며, 최종 돌입 속도는 마하 4.5에서 5에 달한다. 유도 방식으로는 "INS + GNSS + 수동 레이더 탐색기"(대함 공격용, CEP 5m 추정) 또는 "INS + GNSS + 적외선/TV 탐색기"(CEP 5m~10m)를 선택할 수 있다.[41] 파키스탄 공군 관계자는 이 미사일을 "항공모함 킬러"라고 칭하기도 했다.[43]

CM-400AKG는 2012년 주하이 에어쇼에서 처음 공개되었으며, 파키스탄 공군의 CAC/PAC JF-17 썬더 전투기에 탑재되어 운용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3년 두바이 에어쇼에서는 파키스탄 군 관계자가 이 미사일이 중국군에서도 운용되고 있으며, 대함 공격용 버전이 개발 중이라고 언급했다. 2014년에는 파키스탄 공군의 JF-17 전투기가 CM-400AKG 2발(모형일 가능성 있음)을 장착한 모습이 포착되기도 하여, 당시까지 개발이 진행 중이었음을 시사했다.[41]

2013년 파리 에어쇼에서는 아르헨티나 항공공장 관계자가 CM-400AKG의 성능 때문에 JF-17 공동 생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고 밝히기도 했다.[41]

5. 3. 해외 운용

파란색이 웨이스 로켓 운용 국가


웨이스 로켓 시스템은 개발국인 중화인민공화국 외 여러 국가에서 운용 중이다. 특히 북한은 WS-1B를 기반으로 KN-09 다연장로켓을 개발하고 SY-400을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대한민국 안보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39][40] KN-09는 사거리가 길어 수도권을 포함한 대한민국의 주요 시설 타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우려가 제기된다.

다음은 웨이스 로켓 시스템 및 그 파생형을 운용하는 국가 목록이다.

국가운용 모델비고
알제리SR-5[50]
아르메니아AR-1A보고됨[44]
아제르바이잔T-300 카스르가터키의 TRG-300 모델
방글라데시WS-22
T-300 카스르가
WS-22 74대 운용[45]
바레인SR-5[51]
벨라루스A200[46]
에티오피아A200[47]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A200에티오피아로부터 노획 추정[47]
하마스WS-1E[48]
이란WS-11980년대 후반 또는 1990년대 초 도입
북한KN-09
SY-400
WS-1B 기반 개발 추정
도입 수량 미상[39][40]
미얀마SY-4002020년 도입, 수량 미상[39][40]
파키스탄A-100
팔레스타인M-302[49]
수단WS-2
A-100
2009년 WS-2 도입, 수량 미상
태국WS-1B (DTI-1)기술 이전 받아 태국 소프트웨어로 라이선스 생산
터키TRG-300 카스르가WS-1B 기반 자체 개발
모로코WS-2D발사기 36대 도입 [https://www.armyrecognition.com/february_2018_global_defense_security_army_news_industry/chinese_ws-2d_rocket_launchers_for_morocco.html 관련 기사 1] [https://www.assahafa.com/%D8%A7%D9%84%D8%AC%D9%8A%D8%B4-%D8%A7%D9%84%D9%85%D8%BA%D8%B1%D8%A8%D9%8A-%D9%8A%D8%AA%D8%B3%D9%84%D9%85-%D8%A7%D9%84%D8%AF%D9%81%D9%89-%D8%A7%D9%84%D8%A3%D9%88%D9%84%D9%89-%D9%85%D9%86-%D8%B5 관련 기사 2]



=== 터키의 TRG-300 카스르가 ===

터키군의 TRG-300 카스르가 다연장로켓 시스템은 중국의 WS-1B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6][7] 발사대는 WS-1B와 유사하지만 일부 설계 변경이 이루어졌다. 터키 육군은 이 시스템을 장거리 화력 지원용으로 운용한다.

TRG-300 시스템은 발사대(T-300)와 로켓(TR-300)으로 구성된다. 발사대는 독일 MAN(6×6) 26.372 10톤 트럭 섀시를 기반으로 하며, 4발의 로켓을 탑재한 전투 중량은 23ton이다. 이 섀시는 터키군의 T-122 발사대 플랫폼으로도 사용된다. 발사대 차량의 캐빈 창문(F-302T)에는 발사 전 보호를 위한 셔터가 장착되어 있다.

TRG-300 로켓은 유도 방식과 사거리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다.


  • '''TR300S:''' 무유도, 사거리 36km ~ 65km
  • '''TR300E:''' 무유도, 사거리 65km ~ 100km
  • '''TR300K:''' 유도, 사거리 30km ~ 120km[8]

참조

[1] 웹사이트 航天七院 https://www.spacetal[...] 中国航天人才网 2024-03-30
[2] 뉴스 WS-1 https://www.globalse[...]
[3] 웹사이트 A rocket for every occasion - #China ALBIT (CASC) markets respective range and precision options at #IDEX2017pic.twitter.com/a4vgVXZjn0 https://twitter.com/[...] 2017-02-23
[4] 뉴스 Hamas Firing China-Designed, Syria-Made M-302 Rockets: Israel https://www.nbcnews.[...] 2014-07-10
[5] 서적 China's Military Modernization: Building for Regional and Global Reach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6] 웹사이트 TRG-300 TIGER Missile « Roketsan http://www.roketsan.[...]
[7] 웹사이트 Login to read http://theasiandefen[...] 2009-02-03
[8] 웹사이트 TR-300 Kasırga Güdümsüz – Güdümlü (K+) Roket http://www.millisavu[...] 2016-09-24
[9] 웹사이트 Annual Report to Congress: Military and Security Developments Involving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 2011 https://www.defense.[...] Defense.gov
[10] 웹사이트 WS-2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www.military-[...] Military-Today.com
[11] 웹사이트 恐怖:中国WS-2D火箭炮射程竟达400公里[图]-军事频道-中华网-中国最大职业人士门户 http://military.chin[...] Military.china.com 2007-01-14
[12] 웹사이트 WS-2 Guided MLRS MGLRS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data sheet specifications pictures video | China artillery vehicles and weapon systems UK | Chinese China army military equipment armoured UK https://www.armyreco[...] 2018-02-19
[13] 웹사이트 WS-2 Guided MLRS MGLRS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data sheet specifications pictures video https://www.armyreco[...] 2018-02-19
[14] 웹사이트 WS-3 400mm Guided MLRS MGLRS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data sheet specifications pictures video | China artillery vehicles and weapon systems UK | Chinese China army military equipment armoured UK https://www.armyreco[...]
[15] 웹사이트 WS-3 Precision Guided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cloud.alitchi[...] Aerospace Long-March International Trade Co., Ltd (ALIT)
[16] 웹사이트 WS-3A Precision Guided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cloud.alitchi[...] Aerospace Long-March International Trade Co., Ltd (ALIT)
[17] 웹사이트 WS-3 ASW Rocket http://www.navyrecog[...] 2014-09-18
[18] 웹사이트 http://military.chin[...] 2012-11-13
[19] 뉴스 WS-22 http://news.21cn.com[...] 2012-08-09
[20] 웹사이트 PR50 SPMRL http://www.warchina.[...]
[21] 웹사이트 Janes | Latest defence and security news https://www.janes.co[...]
[22] 웹사이트 Army of Thailand could purchase WS-1B and WS-32 MLRS rocket launcher systems from China 3103145 https://www.armyreco[...] 2014-03-31
[23] 웹사이트 中國火箭炮權威手冊之「衛士」-33 https://kknews.cc/mi[...]
[24] 웹사이트 中国WS-3配新型超远程火箭弹 精度堪比弹道导弹 _ 证券之星 http://focus.stockst[...]
[25] 웹사이트 中国火箭炮权威手册之"卫士"-43 http://www.twoeggz.c[...]
[26] 웹사이트 Come look at China's coolest new missiles https://www.popsci.c[...] 2016-11-08
[27] 웹사이트 中國火箭炮權威手冊之衛士-63、衛士-64 https://kknews.cc/mi[...]
[28] 웹사이트 The PLA Navy's Plan for Dominance: Subs, Shipborne ASBMs, and Carrier Aviation http://cimsec.org/pl[...] 2017-10-24
[29] 웹사이트 跨界到防空飛彈陣營的衛士,ws600L飛彈現身珠海航展 https://kknews.cc/mi[...]
[30] 웹사이트 http://mil.news.sina[...] 2010-11-19
[31] 웹사이트 IDEX 2015 - A300 Precision Guided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http://www.idexuae.a[...]
[32] 뉴스 Chinese army will purchase A300 MLRS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using GPS guidance http://www.armyrecog[...] 2015-04-01
[33] 웹사이트 A300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 Military-Today.com http://www.military-[...]
[34] 웹사이트 A300 hybrid rocket system http://errymath.blog[...]
[35] 뉴스 没能装备解放军的出口利器:SY300制导火箭炮 http://news.qq.com/a[...] Tencent 2012-11-16
[36] 웹사이트 [独家专访]SY400战术导弹最大射程180公里_网易新闻中心 http://war.163.com/1[...] War.163.com 2010-11-19
[37] 웹사이트 SY-400 Guided Rocket Makes TV Debut https://www.popsci.c[...] 2014-09-18
[38] 웹사이트 Qatar Parades New Chinese Short-Range Ballistic Missile System https://thediplomat.[...]
[39] 웹사이트 Myanmar to receive first batch of Chinese SY-400 short-range ballistic missiles https://www.armyreco[...] 2020-11-05
[40] 웹사이트 Myanmar parades Chinese-made SY-400 short-range ballistic missiles https://www.globalde[...] 2021-07-01
[41] 웹사이트 Images show JF-17 flying with CM-400AKG hypersonic ASM http://www.janes.com[...] 2014-10-22
[42] 뉴스 DUBAI: China details performance of 'carrier killer' missile for JF-17 http://www.flightglo[...] Reed Business Information 2013-11-19
[43] 웹사이트 Images show JF-17 flying with CM-400AKG hypersonic ASM http://www.janes.com[...] 2014-10-22
[44] 뉴스 New Chinese Rockets 'Acquired By Armenia' https://www.azatutyu[...] 2013-08-19
[45] 웹사이트 Trade-Register-1971-2019.rft http://armstrade.sip[...]
[46] 웹사이트 Belarus reveals purchase of Chinese A200 guided MLRS http://www.janes.com[...] 2015-06-23
[47] 웹사이트 Go Ballistic: Tigray's Forgotten Missile War With Ethiopia and Eritrea https://www.oryxspio[...] 2021-09-15
[48] 뉴스 Hamas using rockets against Israel https://apps.washing[...]
[49] 웹사이트 NBC https://www.nbcnews.[...] 2014-07-10
[50] 웹인용 L’Algérie achète des MLRS SR5 https://www.menadefe[...] 2017-11-19
[51] 뉴스 Royal Bahraini Army gets Chinese SR5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s http://defence-blog.[...] 2016-10-28
[52] 웹인용 Belarus reveals purchase of Chinese A200 guided MLRS http://www.janes.com[...] 2015-06-23
[53] 뉴스 Hamas using rockets against Israel https://apps.washin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