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A면과 B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면과 B면은 음반의 양면을 지칭하는 용어로서, 주로 아날로그 레코드 시대에 사용되었다. A면은 음반 회사에서 홍보하는 주요 곡을, B면은 부가적인 곡을 수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싱글 음반의 경우, A면에 타이틀곡, B면에는 다른 곡이나 가라오케 버전을 수록하기도 했다. 디지털 음원 시대에는 물리적인 A/B면의 구분은 사라졌지만, 싱글의 수록곡을 지칭하는 용어로 여전히 사용된다. 또한, 두 곡 모두를 A면으로 취급하는 '양A면 싱글'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리 저장 매체 - 베타맥스
    소니가 1975년에 출시한 베타맥스는 VHS와의 경쟁에서 패배했지만 우수한 화질과 작은 크기 등 기술적 장점을 가진 아날로그 비디오테이프 포맷이다.
  • 소리 저장 매체 - CD-RW
    CD-RW는 은-인듐-안티모니-텔루륨 합금 반사층을 사용하여 최대 10만 번까지 데이터 재기록이 가능한 광학 디스크로, 상전이 기술로 디스크 표면의 결정 구조를 변화시켜 데이터를 기록하지만, CD-RW 미지원 기기에서는 읽을 수 없고 재기록 횟수 증가에 따라 데이터 손상 가능성이 있으며 드라이브와 미디어의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A면과 B면
음반 면
정의축음기 음반 또는 카세트 테이프의 한 면
역할음악 콘텐츠를 담는 물리적 공간
A면
주요 특징일반적으로 더 중요한 곡 수록
싱글 음반의 경우 타이틀 곡 수록
싱글컷싱글 음반에서 홍보 목적으로 선정된 곡
역사적 의미"히트 싱글" 또는 "A-side hit"과 같은 용어 사용
라디오 방송에서 A면 재생 선호
B면
주요 특징A면보다 덜 중요한 곡 또는 실험적인 곡 수록
싱글 음반의 경우 A면의 반대쪽 면
다른 이름플립사이드 (Flipside)
언더사이드 (Underside)
역사적 의미팬들에게 희귀하거나 독특한 트랙을 제공하는 역할
관련 용어
더블 A-사이드 (Double A-side)양쪽 면 모두 동등하게 중요하다고 간주되는 싱글
히든 트랙 (Hidden Track)음반의 마지막 곡 이후에 숨겨진 트랙
EP (Extended Play)싱글보다 많고 정규 음반보다 적은 곡 수록

2. 역사

1960년대 초, 음반 회사들이 라디오 방송에 적합한 곡을 A면에 넣기 시작하면서 A면과 B면 구분에 변화가 생겼다. 당시에는 음반보다 45rpm 싱글 레코드("45s")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음반은 재정적으로 큰 인기를 얻지 못했다. 이후 10년 동안 음반 산업은 앨범 중심으로 점차 변화했다. 1968년 영국에서는 앨범 생산량이 싱글 생산량을 넘어섰다.[2]

2. 1. 아날로그 레코드 시대

아날로그 레코드에서는 양면에 음악 등을 기록할 수 있다. 이 표면과 뒷면을 통상 각각 '''A면''', '''B면'''이라고 불렀다. 폴리도르 레코드는 1976년까지 B면을 '''D면''', '''S면'''으로 표기하기도 했다. 워너 파이오니아나 토시바 EMI 등의 레코드반에는 '''SIDE 1'''영어, '''SIDE 2'''영어와 같이 인쇄되기도 했다.

아날로그 레코드의 싱글 음반은 보통 한 면에 약 5분 길이의 지름 17cm 레코드 양면에 1곡씩, 총 2곡을 수록했다. 각 면에는 A면/B면이 인쇄되어 있어서 A면 곡/B면 곡으로 불렀다. B면 곡이 히트할 가능성이 보이면, 인쇄를 다시 하여 A면 곡으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단, 미국 음반의 대부분에는 A/B면을 구분하는 인쇄가 없었으며, 처음 레코드 회사가 팔려고 했던 쪽을 A-side, 히트한 쪽을 hit-side, 뒷면을 flip-side라고 부르는 등 명칭이 정해져 있지 않았다.

2. 2. 디지털 음원 시대

오늘날 대부분의 음악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출시되고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기술적인 측면에서 전통적인 A면/B면의 구분은 사실상 의미가 없어졌다.[3]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현대 아티스트들은 싱글 발매 시 두 번째 트랙을 명목상의 B면으로 추가하기도 하는데, 이는 미학적인 선택이자 홍보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3]

CD는 단면 디스크이며, 두 곡이 모두 같은 면에 수록되지만, 예전의 관습에 따라 2곡이 수록된 싱글 음반에서 1번 트랙을 A면, 2번 트랙을 B면(또는 커플링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c/w'는 "coupled with"의 약자로, B면을 나타내는 용어로 사용된다. CBS 소니에서는 아날로그 레코드 시대인 1970년대 후반부터 싱글 음반 B면 곡에 C/W로 표기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3. 구성

싱글 음반 제작에서 어떤 곡을 A면으로 할지는 음반 회사에게 상업적으로 중요한 결정이었다. B면은 보통 음반 회사에서 중시하지 않았다.

A면 곡을 역회전시킨 음원을 B면으로 하거나, 프로모션용 아날로그 싱글 음반 중에는 B면이 없는 매끄러운 판, 또는 같은 곡으로 한 면은 모노럴, 다른 면은 스테레오인 판도 있었다.

싱글 A면에 표제곡을, B면에는 가라오케를 수록하기도 했다.

3. 1. A면과 B면의 차이

1960년대 초반, 음반 회사들은 라디오 방송에서 주로 재생되기를 원하는 곡을 A면에 배치하기 시작했다. 당시에는 음반보다 45 rpm 싱글 레코드("45s")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했고, 음반은 재정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그러나 10년 동안 업계는 점차 앨범 중심적인 방식으로 음악 발매 방식을 전환했다. 1968년에는 영국에서 앨범의 총 생산량이 싱글의 생산량을 넘어섰다.[2]

오늘날, 대부분의 음악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 디지털 방식으로 출시되고 접근 가능해짐에 따라, 기술적인 필요성으로서의 전통적인 A면/B면 구분은 사라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현대 예술가들은 싱글 발매에 명목상의 B면으로 두 번째 트랙을 추가하여 미학적 선택이나 홍보 도구로 활용하기도 한다.[3]

B면 곡은 종종 채우기 자료, 즉 품질이 낮은 곡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프린스, 스미스, 데프 레파드, 오아시스, 본 조비, 비틀즈와 같은 일부 팝 아티스트들은 B면에 훌륭한 곡들을 발표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11][12] B면 곡들은 확장판 또는 "디럭스" 앨범에 수록되거나, 아티스트의 여러 활동 기간에 걸쳐 "B-사이드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편집되기도 한다.[13]

아날로그 레코드에서는 양면에 음악 등을 기록할 수 있으며, 이 양면을 통상 A면과 B면이라고 불렀다. (일본 폴리도르 레코드는 1976년까지 D면, S면으로, 워너 파이오니아나 토시바 EMI 등은 SIDE 1영어, SIDE 2영어로 표기했다.) 싱글 음반은 보통 한 면에 약 5분 길이의 17cm 레코드 양면에 1곡씩, 총 2곡을 수록했기 때문에 각 면에 A면/B면을 표기하여 A면 곡/B면 곡으로 불렀다. B면 곡에서 히트 가능성이 보이면, 다시 인쇄하여 A면 곡으로 판매하는 경우도 있었다. 단, 미국 음반의 대부분에는 A/B면 구분이 없으며, 처음 레코드 회사가 팔려고 했던 쪽을 A-side, 히트한 쪽을 hit-side, 뒷면을 flip-side라고 부르는 등 명칭이 정해져 있지 않다.

CD는 단면 디스크이며, 두 곡이 모두 같은 면에 수록되지만, 과거의 관습으로 인해 2곡이 수록된 싱글 음반에서 1곡을 A면, 2곡을 B면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실태와 맞지 않아 타이틀곡/커플링곡이라는 표현이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커플링은 종종 '''c/w'''로 표기되는데, 이는 "coupled with영어"의 약자이다. 타이틀곡을 "A", 커플링곡을 "B"로 하면, "A c/w B"라고 쓰며, 이는 "B와 짝을 이룬 A"라는 의미이다. CBS 소니에서는 1970년대 후반부터 싱글 음반 B면 곡에 C/W 표기를 사용하기도 했다. 이나 빅터 등 일부 음반사에서는 B/W (backed with영어의 약자) 표기를 사용하기도 했다.

가라오케리믹스 등 다른 버전의 트랙은 일반적으로 고려하지 않지만, 1곡만 다른 버전을 포함하여 2트랙이 수록된 경우 2트랙째를 커플링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3곡 이상일 때도 2곡째 이후를 통칭하여 커플링곡이라고 부르지만, 커플링은 원래 2개가 한 쌍이라는 의미이므로 적절하지 않다.

싱글 음반 제작에 있어서 어떤 곡을 A면 곡으로 홍보할지는 상업적으로 중요한 결정 사항이다. 보통 B면은 음반 회사에서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특수한 예로, A면 곡을 역회전시킨 음원을 B면 곡으로 한 사례도 있다. 프로모션용 아날로그 싱글 음반 중에는 B면이 없고 매끄러운 판이나, 같은 곡으로 한 면이 모노럴이고 뒷면이 스테레오인 판도 존재한다. 싱글의 A면에 표제곡을 수록하고, B면에는 동일 곡의 보컬 등을 제외한 악곡(가라오케)을 수록하기도 한다.
양A면 싱글(double A-side single영어)은 2곡이 수록된 싱글 음반의 두 곡 모두를 A면 곡으로 칭하는 것이다. 이 경우 2번째 곡은 커플링 곡이라고 부르지 않는다(단, 수록곡이 3곡 이상인 경우 3번째 곡 이후를 B면 또는 커플링 곡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싱글 레코드에서는 통상 양면에 1곡씩 수록되며, 양A면이 아닌 일반적인 싱글에서는 각각 A면, B면으로 불린다. A면 곡의 곡명이 음반명이 되며, 프로모션에서도 우선시된다. 양A면으로 함으로써 그 구별이 없어지고, 음반명도 두 곡의 곡명을 함께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양A면 싱글 방식을 처음 도입한 작품은 1965년에 발매된 비틀즈의 「데이 트리퍼/사랑을 꼭 껴안아」이다. 롤링 스톤스1967년에 「밤을 날려버려/루비 튜즈데이」를 양A면으로 발매했다. 일반적으로 양A면(또는 더블 A사이드, 더블 A면) 싱글이라고 불린다. 최근에는 수록곡 3곡을 A면으로 한 「트리플 A면 싱글」[30]이나, 수록곡 4곡 전부를 A면으로 한 「콰트로(Quattro) A면 싱글」[31], 「멀티 A면 싱글」로 발표되는 경우도 있다. 드물게는 두 곡 모두를 B면 곡으로 한 양B면 싱글로 발매하는 경우도 있다[32]

양A면 싱글은 아티스트 측, 레코드 레이블, 레코드 회사가 두 곡 모두 프로모션하고 싶을 때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두 곡 모두 또는 두 번째 곡에만 타이업이 붙어 있고, 제작상의 의향에 따라 뮤직 비디오가 제작되기도 한다[33]。하지만 두 번째 곡을 양A면 곡으로 하면서도 프로모션이 이루어지지 않고, 명목상만의 양A면 싱글도 많이 존재한다[34]。반대로 양A면의 두 번째 곡이나 트리플 A면, 콰트로 A면의 두 번째 곡 이후의 곡이 첫 번째 곡에 비해 텔레비전이나 라디오 등의 방송 매체에서 더 많이 방송되고, 더 유명해지는 경우도 있다[35]。제작자의 의도와는 전혀 다르게 흘러가는 작품이 생겨나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36]애니메이션 음악에서는 첫 번째 곡을 오프닝 곡, 두 번째 곡을 엔딩 곡으로 한 양A면 싱글도 다수 존재한다[37]。또한, 양A면 곡의 곡 순서를 바꾼 것이나, 본래 B면 곡(커플링)으로 제작된 곡이 A면 곡(표제곡)으로 승격(변경)된 것[38], 그와 반대로 본래 A면 곡으로 제작한 곡이 B면 곡으로 강등(변경)된 것도 존재한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음악 배포 한정 싱글」로 발표된 악곡이 바로 다음 싱글의 양A면의 두 번째 곡으로 수록되거나[39], 커플링으로 수록되는 경우[40]가 늘고 있다.

일본 오리콘 차트에서는 싱글 곡은 원칙적으로 A면에만 제목이 실리지만, 「양A면」에서는 모든 수록곡의 제목이 「○○/○○」와 같이 실린다. 두 번째 곡 이후의 곡은 B면(커플링) 취급을 받는 경우도 적지 않으며, 일부 음악 프로그램을 제외하고는 첫 번째 곡 외에는 선보여지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다.

3. 1. 1. 대한민국

대한민국에서는 싱글 음반의 타이틀곡을 A면에, 그 외 수록곡("덤")을 B면에 배치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관행 때문에 라디오 방송 등에서는 주로 A면 곡만 방송되었고, B면 곡은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았다.[15] 하지만 B면 곡이 히트하여 A면으로 격상되거나,[16] 양 A면으로 발매되는 경우도 있었다.[17]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에서는 주로 A면 곡이 방송되었고, B면 곡은 프로모션에서 "격하"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었다. 타이업 곡은 통상적으로 A면 곡이 되었으며, B면 곡이 나중에 싱글 컷되어 A면 곡이 되는 경우도 있었다.

B면 곡은 마케팅 제약이 적어 음악가의 취향, 실험적인 시도, 라이브용 곡 등이 수록되기도 했다. B면 곡만을 모은 "B면집" 또는 "이면 베스트" 앨범이 발매되기도 한다.[23]

3. 1. 2. 일본

일본에서는 B면 곡이 싱글 컷 되는 경우도 있었다.[15] 팝 음악의 경우, 일본 독자적인 싱글 컷이나 타국반과 일본반에서 A면과 B면이 뒤바뀌거나,[21] 타국반에서는 동일 싱글의 A면·B면에 수록되어 있는 곡이 일본반에서는 별도의 싱글에 수록되어 발매되는[22] 경우가 있었다. 이는 레코드 계약이 느슨했던 1960년대에 많았다.

베스트 앨범에는 B면 곡이 수록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드물게 A면 곡을 수록하지 않고 B면 곡만 수록하는 경우가 있다.[27]

물품세 시대에는 레코드·CD가 동요로 판정되면 비과세였지만, A면 곡과 B면 곡 중 한쪽이 동요로 판정되어도, 다른 한쪽이 가요로 판정되어 과세되는 경우도 있었다.[28]

3. 1. 3. 자메이카

자메이카의 레게 음반에서는 B면에 A면 곡에서 보컬이나 호른 트랙을 뺀 반주 음원(버전이라고 한다)을 수록하는 경우가 많았다[29]. 하지만, 레코딩 엔지니어인 킹 타비가 B면의 버전에 강력한 이펙터를 걸어 만든 곡을 수록하면서, 1970년대에는 더브라고 불리는 기법이 전 세계로 퍼졌다[29].

3. 2. 양A면 싱글

'''양A면 싱글'''(double A-side single)은 싱글 음반에 수록된 두 곡 모두를 A면으로 취급하는 싱글이다. 이 경우, 두 번째 곡은 커플링 곡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단, 수록곡이 3곡 이상인 경우에는 세 번째 곡 이후를 B면 또는 커플링 곡이라고 부른다.

일반적인 싱글에서는 양면에 한 곡씩 수록되며, 각각 A면과 B면으로 불린다. A면 곡의 곡명이 음반명이 되고, 프로모션에서도 우선시된다. 양A면 싱글은 이러한 구별 없이 음반명이 두 곡의 곡명을 함께 표기하는 경우가 많다.

양A면 싱글은 1965년 비틀즈의 〈데이 트리퍼/사랑을 꼭 껴안아〉가 시초로 알려져 있다.[5] 이후 롤링 스톤스1967년 〈밤을 날려버려/루비 튜즈데이〉를 양A면 싱글로 발매했다.

보통 양A면, 더블 A사이드, 더블 A면 싱글 등으로 불린다. 최근에는 수록곡 3곡을 A면으로 한 트리플 A면 싱글,[30] 4곡 모두를 A면으로 한 콰트로(Quattro) A면 싱글,[31] 멀티 A면 싱글도 발표되고 있다. 드물게는 두 곡 모두를 B면으로 한 양B면 싱글도 발매된다.[32]

양A면 싱글은 아티스트나 레코드 레이블, 레코드 회사가 두 곡 모두를 홍보하고 싶을 때 사용되며, 두 곡 모두 또는 두 번째 곡에 타이업이 붙거나 뮤직 비디오가 제작되기도 한다.[33] 그러나 두 번째 곡을 양A면 곡으로 하면서도 프로모션이 이루어지지 않는, 명목상의 양A면 싱글도 많다.[34] 반대로 양A면의 두 번째 곡이나 트리플 A면, 콰트로 A면의 두 번째 곡 이후의 곡이 첫 번째 곡보다 텔레비전, 라디오 등에서 더 많이 방송되어 유명해지는 경우도 있다.[35] 심지어 제작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히트하는 곡이 생기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36] 애니메이션 음악에서는 첫 번째 곡을 오프닝 곡, 두 번째 곡을 엔딩 곡으로 한 양A면 싱글도 많이 발매된다.[37] 또한, 양A면 곡의 순서를 바꾸거나, 원래 B면 곡(커플링)으로 제작된 곡이 A면 곡(표제곡)으로 변경되거나,[38] 반대로 A면 곡으로 제작한 곡이 B면 곡으로 변경되는 경우도 있다.

2010년대부터는 음악 배포 한정 싱글로 발표된 곡이 다음 싱글의 양A면 두 번째 곡으로 수록되거나,[39] 커플링 곡으로 수록되는 경우가 늘고 있다.[40]

일본 오리콘 차트에서는 싱글 곡 제목이 원칙적으로 A면에만 실리지만, 양A면 싱글의 경우에는 모든 수록곡의 제목이 '○○/○○'와 같이 실린다. 하지만 두 번째 곡 이후는 B면(커플링)으로 취급되는 경우도 많으며, 일부를 제외한 음악 프로그램에서는 첫 번째 곡만 선보여지는 경우도 많다.

3. 3. 앨범의 A면/B면

LP 음반에서는 레코드의 특성을 살려 A면과 B면의 분위기를 다르게 연출하기도 했다.[41] A면과 B면을 "화이트 사이드", "블랙 사이드"로 나눈 다음, 작품 스타일과 작곡자를 완전히 구분한 작품[42]도 존재한다.

유럽과 미국의 2장 구성 앨범의 경우, 레코드 체인저를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하기도 했다.

1장2장
A면과 C면B면과 D면



1장2장
A면과 D면B면과 C면


4. 기타 매체에서의 구성

패밀리 컴퓨터 디스크 시스템은 게임 소프트웨어 매체로서는 드물게 양면 방식이었다. 소프트웨어에 따라 A면에만 데이터가 기록되고 B면은 비어 있는 경우가 있었으며, 전용 디스크 라이터로 기록하여 1장의 디스크에 2종류의 게임을 수록할 수도 있었다.[1]

4. 1. 양면 1층 DVD/Blu-ray

양면 1층 방식 DVD는 주로 한 면에 담기지 않는 장편 영화 등에 한정되므로, 그 시간적 순서에 따라 A면/B면이 정해지는 것이 보통이다. 뒤집는 수고가 필요 없는 단면 2층 방식 DVD나 블루레이 디스크 (Blu-ray)의 보급에 따라, 사용 편의성 면에서 불리한 공(空) 미디어 DVD-R, DVD-RW를 포함한 양면 1층 방식의 DVD는 시장에서 사라졌다.

4. 2. 게임에서의 A/B면

패밀리 컴퓨터 디스크 시스템은 게임 소프트웨어 매체로서는 드물게 양면 방식이었다. 소프트웨어에 따라 A면에만 데이터가 기록되고 B면은 비어 있는 경우가 있었으며, 전용 디스크 라이터로 기록하여 1장의 디스크에 2종류의 게임을 수록할 수 있는 경우도 있었다.

5. 더블 A-사이드

'''더블 A-사이드'''(double A-side), '''AA-사이드'''(AA-side), 또는 '''듀얼 싱글'''(dual single)은 양쪽 면 모두 A-사이드로 지정되어 B-사이드가 없는 싱글을 말한다. 이는 양쪽 면 모두 히트곡으로 기대되며 어느 쪽도 다른 쪽보다 우선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1949년, 사보이 레코드는 소속 아티스트인 폴 윌리엄스의 "House Rocker"와 "He Knows How to Hucklebuck"을 "새로운 더블 사이드 히트 - 양쪽 모두 'A' 사이드"로 홍보했다.[4] 1965년, 비틀즈의 "We Can Work It Out"과 "Day Tripper" 싱글은 EMI 레코드존 레논 사이의 의견 불일치로 인해 영국에서 양면 프로모션 캠페인으로 결정되었다.[5]

영국에서는 디지털 다운로드 시대 이전까지 두 A-사이드 모두 동일한 차트 순위로 인정되었으며, 싱글 차트는 전적으로 음반 판매량으로 집계되었다. 윙스가 1977년에 발매한 "Mull of Kintyre"/"Girls' School" 더블 A-사이드는 2백만 장 이상 판매되어 영국에서 역대 가장 많이 팔린 비자선 싱글이자 그 해 영국 크리스마스 1위를 차지했다.[6][7] 너바나는 1993년에 "All Apologies"와 "Rape Me"를 더블 A-사이드로 발매했고, 두 곡 모두 영국 싱글 차트[8]와 아일랜드 싱글 차트에서 히트했다.[9]

6. B/W

"b/w"는 "backed with"의 약자로, 레코드의 B면을 나타낼 때 쓰인다. "c/w"는 "coupled with"의 약자로, "b/w"와 비슷하게 쓰인다.[10]

7. 특징

B-사이드 곡은 종종 채우기용, 즉 품질이 낮은 곡으로 간주된다. 그러나 프린스, 스미스, 데프 레파드, 오아시스, 본 조비, 비틀즈와 같은 일부 팝 아티스트들은 B-사이드에 강력한 곡들을 발표한 것으로 특히 잘 알려져 있다.[11][12]

B-사이드 곡은 마케팅적인 제약이 적기 때문에 음악가의 취향이 강하게 드러난 곡, 실험적인 곡, 라이브용 곡(종종 라이브 단골 곡이 됨) 등이 되는 경우가 많다.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에서는 주로 A면 곡이 방송되고, B면 곡은 주목받는 경우가 적어 프로모션적으로는 "격하"로 간주된다.

8. B-사이드 컴필레이션

B-사이드 곡은 종종 채우기 자료, 즉 품질이 낮은 곡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그러나 프린스, 스미스, 데프 레파드, 오아시스, 본 조비, 비틀즈와 같은 일부 팝 아티스트들은 B-사이드에 강력한 곡을 발표한 것으로 특히 잘 알려져 있다.[11][12] B-사이드 곡은 종종 확장판 또는 "디럭스" 앨범에 수록되거나, 아티스트의 여러 활동 기간에 걸쳐 "B-사이드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편집될 수 있다.[13]

참조

[1] 서적 B-Sides, Undercurrents and Overtones: Peripheries to Popular in Music, 1960 to the Present Ashgate Publishing 2013-01-28
[2] 문서 MacDonald, p. 296
[3] 웹사이트 The Return Of The B-Side Single https://www.vinylmep[...] 2024-10-21
[4] 간행물 Rhythm & Blues Records 1949-06-25
[5] 뉴스 Music Capitals of the World https://books.google[...] Billboard 1965-12-04
[6] 웹사이트 1977-12-24 Top 40 Official UK Singles Archive {{!}} Official Charts https://www.official[...] 2020-05-06
[7] 웹사이트 Every Official Christmas Number 1 ever https://www.official[...] Official Charts Company 2020-12-25
[8] 웹사이트 Nirvana – UK Singles Chart Archive http://www.officialc[...] 2013-10-23
[9] 웹사이트 User needs to do an artist search for "Nirvana" http://www.irishchar[...] 2013-10-23
[10] 웹사이트 The Straight Dope: In the record business, what do "b/w" and "c/w" mean? http://www.straightd[...] 2009-01-12
[11] 웹사이트 It's time for a return of the good, old-fashioned B-side – and Sam Fender's leading the charge https://www.nme.com/[...] 2023-05-24
[12] 웹사이트 Oasis's greatest songs – ranked! https://www.theguard[...] 2023-05-24
[13] 웹사이트 The Return Of The B-Side Single https://www.vinylmep[...] 2023-05-24
[14] 문서 ナポレオン14世([[:en:Napoleon XIV|Napoleon XIV]])の「・・・・・・ハハ、ヒヒ、ンオレポナたっ狂 ({{lang|en|!aaaH-aH ,yawA eM ekaT ot gnimoC er'yehT}})」(『[[狂ったナポレオン、ヒヒ、ハハ・・・・・・]] ([[:en:They're Coming to Take Me Away, Ha-Haaa!|They're Coming to Take Me Away, Ha-Haaa!]])』のB面)
[15] 문서 [[KinKi Kids]]『愛のかたまり』(『[[Hey! みんな元気かい?]]』B面)、[[ダウン・タウン・ブギウギ・バンド]]『[[港のヨーコ・ヨコハマ・ヨコスカ]]』(『カッコマン・ブギ』B面)、[[ザ・ドリフターズ]]『いい湯だな(ビバノン・ロック)』(『ズッコケちゃん』B面)、{{lang|en|[[SMAP]]}}『オレンジ』(『[[らいおんハート]]』B面)、{{lang|en|[[AKB48]]}}『[[365日の紙飛行機]]』(『[[唇にBe My Baby]]』B面)、[[ガロ (フォークグループ)|GARO]]『[[学生街の喫茶店]]』(『美しすぎて』B面)、[[B'z]]『[[BLOWIN'|TIME]]』(『BLOWIN'』2nd beat)といったものが代表。ポルノグラフィティ『ジレンマ』(『[[ヒトリノ夜]]』B面)に至っては、メンバーが'''「ワシらのLIVEのラスト1曲といえばジレンマ。」'''と公言している。
[16] 문서 [[いしだあゆみ]]「[[太陽は泣いている|夢でいいから/太陽は泣いている]]」、{{lang|en|[[MEN'S 5]]}}「[[“ヘーコキ”ましたね|ソウルお父さん/“ヘーコキ”ましたね]]」などがこれに該当する。
[17] 문서 [[ビリーバンバン]]の『白いブランコ』、[[五輪真弓]]の『[[恋人よ (五輪真弓の曲)|恋人よ]]』、[[愛内里菜]]の『{{lang|en|[[NAVY BLUE]]}}』、[[SMAP]]の『[[君は君だよ]]』
[18] 문서 特筆すべき作品としては、[[オリコンチャート|オリコン]]1位を記録した[[椎名林檎]]の「[[茎 (STEM)|茎 (STEM) 〜大名遊ビ編〜]]」は曲タイトルを[[シンメトリー]]にするためという制作上の意図によるものである。
[19] 문서 その他、[[ユニコーン (バンド)|ユニコーン]]の「[[働く男]]」、[[tetsuya#TETSU69|TETSU69]]の「[[15 1/2 フィフティーンハーフ]]」、[[ポルノグラフィティ]]の「[[音のない森]]」
[20] 문서 ただし、A面曲がノンタイアップでB面曲のみにタイアップがつく場合もある。例としてはB'zの「[[May (B'zの曲)|May]]」(表題曲はノンタイアップだが2nd beatの「You pray, I stay」は[[サントリー|サントリースーパーチューハイ]]CMソング)等。
[21] 문서 [[ナンシー・シナトラ]]の『[[レモンのキッス]] (Like I Do)』(米盤では『逢ったとたんに一目ぼれ ([[:en:To Know Him Is to Love Him|{{lang|en|To Know Him Is to Love Him}}]])』のB面扱い)など。
[22] 문서 ナンシー・シナトラの「[[シュガー・タウンは恋の町]] (Sugar Town)」と「サマー・ワイン ([[:en:Summer Wine|{{lang|en|Summer Wine}}]])」は米盤では同一シングルのA面・B面扱いだが日本盤では別々のシングルA面曲として発売された。
[23] 문서 [[B'z]]の場合は、『{{lang|en|[[B'z The "Mixture"]]}}』を「'''マストアルバム'''」と呼んでいる。
[24] 문서 [[さだまさし]]の「[[雨やどり (さだまさしの曲)|雨やどり]]」、[[甲斐バンド]]の「[[安奈]]」、SMAPの「[[正義の味方はあてにならない]]」など。
[25] 문서 『[[The Best of L'Arc〜en〜Ciel#c/w|{{lang|en|The Best of}} {{lang|fr|L'Arc〜en〜Ciel}} c/w]]』({{lang|fr|[[L'Arc〜en〜Ciel]]}})や『[[いままでのA面、B面ですと!?]]』({{lang|en|[[GReeeeN]]}})
[26] 문서 『[[GOLDEN☆BEST 浅田美代子|{{lang|en|GOLDEN☆BEST}} 浅田美代子]]』([[浅田美代子]])
[27] 문서 「[[Berryz工房 スッペシャル ベスト Vol.1]]」([[Berryz工房]])の 『友情 純情 oh 青春』(「[[ハピネス〜幸福歓迎!〜]]」c/w)、「[[Hit&Fun]]」([[PUFFY]])の『ともだち』([[あたらしい日々 (PUFFYの曲)|あたらしい日々]] c/w)など。
[28] 문서 『[[めだかの兄妹]]』([[わらべ]])、『[[愛をとりもどせ!!]]』([[クリスタルキング]])など。
[29] 서적 音楽業界ウラわざ
[30] 문서 具体的な作品については[[:Category:トリプルA面シングル|Category:トリプルA面シングル]]参照。
[31] 문서 例:[[Every Little Thing]]「[[UNTITLED 4 ballads]]」、[[Mr.Children]]「[[四次元 Four Dimensions]]」、[[GLAY]] [[G4 (シングル)|G4]]シリーズ、[[May J.]]「[[ReBirth (May J.のシングル)|ReBirth]]」、[[OCHA NORMA]]「[[ちょっと情緒不安定?…夏/オチャノマ マホロバ イコイノバ〜昭和も令和もワッチャワチャ〜/シェケナーレ/ヨリドリ ME DREAM]]」など。[[:Category:クアトロA面シングル|Category:クアトロA面シングル]]も参照。
[32] 문서 [[東京プリン]]「まゆげ/ウーロン茶じゃだめですか」、[[雅-miyavi-]]「ロックの逆襲 -スーパースターの条件-/21世紀型行進曲」、[[山下真治|ヒライケンジ(山下真治)]]「大きな古時計/モテたい音頭」など。
[33] 문서 [[志村けんのバカ殿様|バカ殿様]]と[[ミニモニ。|ミニモニ姫。]]「[[アイ〜ン体操/アイ〜ン!ダンスの唄]]」、[[坂本冬美]]「[[また君に恋してる#坂本冬美バージョン|また君に恋してる/アジアの海賊]]」、2013年4月以降にリリースされた[[ハロー!プロジェクト]]系アイドルの楽曲など。
[34] 문서 KinKi Kids「[[心に夢を君には愛を/ギラ☆ギラ]]」、[[スターダスト☆レビュー]]「今夜だけきっと/ナチュラル〜抱きしめてこのままで〜」、[[依布サラサ]]「[[黄昏ムーン/夜空のおりがみ]]」、など。
[35] 문서 [[ザ・タイガース]]「[[花の首飾り]]」、[[ザ・スパイダース]]「[[いつまでもどこまでも/バン・バン・バン|バン・バン・バン]]」、[[松田聖子]]「SWEET MEMORIES」、[[郷ひろみ]]「[[どこまでアバンチュール/ケアレス・ウィスパー|ケアレス・ウィスパー]]」([[ワム!]]の[[ケアレス・ウィスパー|同曲]]の日本語カヴァー曲)、[[小田和正]]「[[ラブ・ストーリーは突然に]]」、[[島谷ひとみ]]「[[WAKE YOU UP/雨の日には 雨の中を 風の日には 風の中を/Marvelous|雨の日には 雨の中を 風の日には 風の中を]]」、坂本冬美「また君に恋してる」、[[新沼謙治]]「[[雪の宿/ふるさとは今もかわらず|ふるさとは今もかわらず]]」、[[モーニング娘。|モーニング娘。'14]]「[[時空を超え 宇宙を超え/Password is 0|Password is \scriptstyle\emptyset]]」、[[モーニング娘。|モーニング娘。'17]]「[[ジェラシー ジェラシー]]」「[[邪魔しないで Here We Go!/弩級のゴーサイン/若いんだし!|若いんだし!]]」、[[モーニング娘。|モーニング娘。'22]]「[[Swing Swing Paradise/Happy birthday to Me!|Happy birthday to Me!]]」、[[BUMP OF CHICKEN]]「[[supernova/カルマ]]」、[[Dream5]]「[[Break Out/ようかい体操第一|ようかい体操第一]]」、[[いきものがかり]]「[[涙がきえるなら]]」、[[アンジュルム]]「[[愛・魔性/ハデにやっちゃいな!/愛すべきべきHuman Life|愛すべきべき Human Life]]」などがこれに該当する。
[36] 문서 赤い鳥 (フォークグループ)の「翼をください」
[37] 문서 H2O (日本の歌手グループ)「想い出がいっぱい」(テレビアニメ「みゆき (漫画)|みゆき」エンディング曲)やWink「追憶のヒロイン/イマージュな関係|追憶のヒロイン」(テレビアニメ「わたしとわたし ふたりのロッテ」エンディング曲)
[38] 문서 小林幸子の「おもいで酒」やBUMP OF CHICKENの「Supernova/カルマ」、レミオロメンの「蛍/RUN」
[39] 문서 aiko「Loveletter/4月の雨」DREAMS COME TRUE「さぁ鐘を鳴らせ/MADE OF GOLD -featuring DABADA-」
[40] 문서 Mr.Children「足音 〜Be Strong」(「放たれる」を収録)、平井堅「グロテスク feat. 安室奈美恵」(「桔梗が丘 (曲)|桔梗が丘」収録)、相田翔子「一輪」(「ひかりのとびら」を収録)
[41] 문서 有名なもので松田聖子の『風立ちぬ (松田聖子のアルバム)|風立ちぬ』があり、A面を大瀧詠一、B面を鈴木茂 (ギタリスト)|鈴木茂によるプロデュースで収録
[42] 문서 クイーン II
[43] 서적 B-Sides, Undercurrents and Overtones: Peripheries to Popular in Music, 1960 to the Present Ashgate Publishing 2013-01-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