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BVG E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BVG E형 전동차는 동베를린에서 운행하기 위해 개발된 베를린 지하철의 대형 규격 전동차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차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선 소형 규격 차량을 개조하여 투입했으나, 경제성 문제로 인해 새로운 형식의 차량 개발이 추진되었다. 1950년대에 EI형 시제차가 제작되었지만, 여러 결함과 기술적인 문제로 인해 상용화되지 못했다. 이후 EII형 개발 계획이 세워졌으나,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한 교통 상황 변화로 인해 취소되었다. 결국, 동독은 기존 S반 차량을 개조하여 EIII형 전동차를 제작하여 운행했다. EIII형은 1960년대부터 1990년대 초까지 여러 차수에 걸쳐 생산되었으며, 독일 통일 이후에는 점차 퇴역하여 1994년에 운행이 종료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베를린 U반 - BVG HK
    BVG HK 차량은 2001년 도입된 베를린 지하철 차량으로, H 차량과 유사하지만 폭이 좁고 4량 편성으로 구성되어 U2 노선에서 주로 운행되며 U1, U3 노선에서도 운행된다.
  • 베를린 U반 - BVG H
    BVG H형 전동차는 독일 베를린 지하철에서 운행하는 전동차이며, 독일 통일 이후 대중교통 수요에 맞춰 개발되어 완전 압출성형 차체, 플러그인 도어, 롱 시트, 개방형 통로 등의 특징을 가지고 U5, U6, U7, U8, U9 노선에서 운행한다.
  • 독일의 전동차 - ICE 3
    ICE 3는 독일철도의 고속열차인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3세대 모델로, 유선형 디자인과 동력 분산 시스템을 특징으로 하며, 국제 노선 운행을 위해 복전원 시스템을 갖춘 모델도 존재한다.
  • 독일의 전동차 - ICE 1
    ICE 1은 1991년 운행을 시작한 독일의 고속 열차로, 최고 속도 280km/h로 운행하며, 1998년 에셰데 사고를 겪고 2019년부터 운행 연장을 위한 정비를 진행한다.
BVG E
기본 정보
명칭BVG E형 전동차
운영 기간1960년–1994년
대체BVG C형 전동차
후계BVG F형 전동차
BVG H형 전동차
2017년 10월 비스도르프-쥐트 역에 있는 E형 전동차
2017년 10월 비스도르프-쥐트 역에 있는 E형 전동차
기술 정보
제작 년도1956년–1990년
편성4량 1편성
운행 회사베를린 교통 공사
차량 당 4쌍
전기 시스템750 V DC 제3궤조
집전 방식접촉 슈
연결기샤르펜베르크

2. 도입 배경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포츠담 협정에 따라 BVG C 차량 120량이 전쟁 배상으로 모스크바 지하철에 징발되었다.[4] 이로 인해 C형 차량으로만 운행하던 동베를린 알렉산더플라츠-프리드리히스펠데 간 E선에 차량이 부족해졌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선의 소형 규격 차량을 그루네발트 기지에서 프리드리히스펠데 기지로 이적시켜 임시 투입했다. 두 규격 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추가 개조가 진행되었고, 개조된 차량은 AIK형으로 불렸다.[4]

3. EI형 시제차

제2차 세계 대전 종전과 포츠담 협정으로 인해 BVG C 차량 120량이 전쟁 배상으로 모스크바 지하철에 징발되었다.[4] 동베를린 BVG는 차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선의 소형 규격용 차량을 개조하여 투입했으나, 이는 장기적인 해결책이 아니었다.[4] 이에 따라 동베를린 BVG는 1952년부터 새로운 대형 규격 차량 생산을 준비했다.

1954년 서베를린 BVG는 동베를린 BVG가 C형 차량을 정밀 측정하고 사진을 촬영하는 것을 허가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1955년부터 1957년까지 LOWA와 LEW에서 시제차 2량을 생산했다. 1956년 10월까지는 18 m 차량으로 알려졌으며, 이후 E형으로 불렸다.[5]

EI형 시제차의 주요 기술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차체: 평면형 천장, 세 부분으로 나뉜 전두부 유리창, 폭 1,200 mm의 양문형 출입문 (양쪽에 4개), 비상 탈출문 (운전대가 없는 쪽), 2매로 나뉜 창문, 압축 공기 순환 장치 (시간당 17-42회 교환 가능)
  • 객실: 롱시트 (44석), 접이식 좌석 (출입문 인근 1석), 입석 정원 120명 (5명/m² 기준), 1400호차는 갈색 리놀륨 바닥과 붉은색 시트, 1402호차는 녹색 시트와 바닥, 천장부는 아이보리색.
  • 전장품: 차량별 1조씩 장착, 대차별 2개씩 총 4개의 전동기 (각각 100 kW), 차체와 대차 프레임은 고무 스프링으로 연결, 저항제동 (10 km/h까지) 및 전기식 압축공기제동, 샤펜베르크식 자동연결기.


1957년 8월부터 기능시험 및 본선 시운전이 진행되었으나, 주행 및 조명 설비, 저항제동, 환기 등에서 여러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1960년 3월부터 영업 운행에 투입되었지만, 잦은 결함으로 인해 1961년 운행이 중단되었다. BVG는 독일국영철도의 RAW 쇠네바이데에 결함 해결 및 객차 제작을 요청했으나, 처리 능력 문제로 거절되었다. 결국 EI형 시제차는 1988년에 폐차되었다.[9][10]

4. EII형 계획

EI형 시제차가 시험 운행 중일 때부터 EII형이 계획되었고, 1961년까지의 운행 경험을 바탕으로 개선형 개발이 확정되었다. EI형과 유사한 구조를 사용하지만 경금속 재질 차체로 변경하고 기술적인 사양이 변경될 예정이었다. 보조 전원 전압을 48V에서 110V로 승압하는 것도 포함되었다.[11]

1959년 2월 18일 동베를린 BVG는 VEB 바곤바우 아멘도르프에 새로운 차량 제작을 의뢰했다. 전장품은 LEW 헤니히스도르프에서 제작되었고, 연결기는 VEB 바곤바우 바우첸 및 FAGA 베를린에서 제작되었다. 아멘도르프 공장의 용량 부족으로 최종 조립은 VEB 바곤바우 고타 및 VEB 바곤바우 바우첸이 계획되었다. 대차는 VEB 바곤바우 괴를리츠에서 제작될 예정이었다. 시제차 3량은 1964년, 양산차 1차분 36량은 1965년부터 반입이 시작될 예정이었다.[11]

동베를린 BVG에서 서베를린 D형 차량을 관람한 후 얻은 정보에 따라 일부 변경이 가해졌다. 전두부 유리가 약 6도 경사진 형태로 변경되었다. 행선 안내기는 이전과 동일하게 전두부 상면에 장착될 예정이었다. 출입문간 창문 개수는 1개로 축소되고, 자동 압축 공기 순환기 대신 개방 가능한 창문과 천장형 송풍기가 장착될 예정이었다. 운전실 공간이 커지면서 일부 좌석이 제거되었다. 대차는 공기 스프링으로 변경되어 차량 중량을 감소하고 최고 속도를 80km로 증속할 계획이었다.[11] 전폭은 2620mm, 전고는 3427mm로 계획되었다. 모스크바 지하철과 유사한 크기로 계획된 데에는 향후 소련으로의 차량 수출을 염두에 두고 있었다.[11]

1961년 8월 13일 베를린 장벽 건설로 인해 베를린의 교통 상황이 크게 변경되었다. 동베를린 시민들은 더 이상 서베를린으로 자유롭게 통행할 수 없었고, 쇤하우저 알레역에서 U반 A선과 S반 환승을 통해 이동해야 했다. 그 결과 E선에서 운행하고 있었던 소형 규격 차량이 다시 원래 노선에 필요하게 되었다. 동독 교통부는 서베를린에서 진행된 S반 보이콧으로 인해 수요가 감소한 S반 차량을 U반용으로 개조하도록 지시했다. 새로운 차량 개발보다 시간과 비용이 적게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기 때문이다. 그 결과 EII형 개발 계획은 취소되었고 양산형 차량은 S반 개조로 변경되었다.[12][13]

5. EIII형 양산차

동독 교통부는 1962년 초 ET 168형 S반 차량을 U반용으로 개조하도록 지시했다. S반 차량 개조는 동독 붕괴 직전까지 약 28년간 진행되었으며, 총 86편성(2량 1편성)이 U반으로 개조되었다. 반입 시기에 따라 5개 차분(1차분~5차분)으로 나뉜다.[12][14]


  • 1차분 (1963년-1965년): 독일국영철도 소유의 구형 S반 차량(ET 168, ET 169형)을 개조했다. 총 22편성이 제작되었으며, 1410/1411부터 1452/1453호까지 차호가 부여되었다. 1970년부터는 101 002/151 003부터 101 046/151 047까지로 변경되었다.

EIII형 1차분 차량 개요
번호
(1970년 이전)
번호
(1970년 이후)
번호
(1992년 이후)
처분된 열차
1410/1411101 002/151 0031802/1803ET 168 009/EB 168 009
1412/1413101 004/151 0051804/1805ET 168 022/EB 168 002
1414/1415101 006/151 0071806/1807ET 168 037/EB 168 037
1416/1417101 008/151 0091808/1809ET 168 036/EB 168 036
1418/1419101 010/151 0111810/1811ET 168 031/EB 168 031
1420/1421101 012/151 0131812/1813ET 168 042/EB 168 029
1422/1423101 014/151 0151814/1815ET 168 046/EB 168 042
1424/1425101 016/151 0171816/1817ET 168 028/EB 168 028
1426/1427101 018/151 0191818/1819ET 168 018/EB 168 018
1428/1429101 020/151 0211820/1821ET 168 019/EB 168 019
1430/1431101 022/151 0231822/1823ET 168 040/EB 168 040
1432/1433101 024/151 0251824/1825ET 168 047/EB 168 047
1434/1435101 026/151 0271826/1827ET 168 044/EB 168 044
1436/1437101 028/151 0291828/1829ET 168 024/EB 168 024
1438/1439101 030/151 0311830/1831ET 168 020/EB 168 020
1440/1441101 032/151 0331832/1833ET 168 007/EB 168 012
1442/1443101 034/151 0351834/1835ET 168 001/EB 168 001
1444/1445101 036/151 0371836/1837ET 168 017/EB 168 017
1446/1447101 038/151 0391838/1839ET 168 021/EB 168 021
1448/1449101 040/151 0411840/1841ET 165 419/EB 165 419
1450/1451101 042/151 0431842/1843ET 165 038/EB 165 038
1452/1453101 044/151 0451844/1845ET 165 037/EB 165 037


  • 2차분 (1966년-1968년): ET 169형 차량을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총 14편성이 반입되었으며, 1454/1455부터 1480/1481호까지 차호가 부여되었다. 1970년부터는 102 050/152 051부터 102 076/152 077까지로 변경되었다.

EIII형 2차분 차량 개요
번호
(1970년 이전)
번호
(1970년 이후)
번호
(1992년 이후)
투입된 열차
1454/1455102 050/152 0511850/1851ET 169 031a
1456/1457102 052/152 0531852/1853ET 169 013b
1458/1459102 054/152 0551854/1855ET 169 010a
1460/1461102 056/152 0571856/1857ET 169 010b
1462/1463102 058/152 0591858/1859ET 169 008a
1464/1465102 060/152 0611860/1861ET 169 008b
1466/1467102 062/152 0631862/1863ET 169 002a
1468/1469102 064/152 0651864/1865ET 169 002b
1470/1471102 066/152 0671866/1867ET 169 006a
1472/1473102 068/152 0691868/1869ET 169 006b
1474/1475102 070/152 0711870/1871ET 169 016a
1476/1477102 072/152 0731872/1873ET 169 016b
1478/1479102 074/152 0751874/1875ET 169 015a
1480/1481102 076/152 0771876/1877ET 169 015b


  • 3차분 (1972년-1973년): 275형 차량 중 사고차를 개조하여 사용했다. 1972년 9월 9일부터 1973년 1월 25일까지 4편성이 반입되었으며, 차호는 103 080/153 081부터 103 086/153 087까지였다.

EIII형 3차분 차량 개요
번호
(1970년 이후)
번호
(1992년 이후)
배치된 열차
103 080/153 0811880/1881275 837/275 838
103 082/153 0831882/1883275 839/275 840
103 084/153 0851884/1885275 849/275 850
103 086/153 0871886/1887275 835/275 836


  • 4차분 (1975년-1982년): 275형 전동차를 개조하여 사용했다. EIII/4라는 별도의 형식명을 부여받았으며, 차호는 104 090/154 091부터 104 098/154 099까지였다.

EIII/4형 차량 개요
번호
(1970년까지)
번호
(1970년부터)
배차 열차
104 090/154 0911890/1891275 671/275 672
104 092/154 0931892/1893275 759/275 760
104 094/154 0951894/1895275 217/275 218
104 096/154 0971896/1897275 795/275 796
104 097/154 0991898/1899275 823/275 824


  • 5차분 (1986년-1990년): 275형 차량을 개조하여 사용했다. 총 41편성이며, 차호는 105 100/155 101부터 105 180/155 181까지 부여되었다.

EIII/5형 차량 개요
번호
(1992년 이전)
번호
(1992년 이후)
배치된 열차
105 100/155 1011900/1901275 613/275 614
105 102/155 1031902/1903275 035/275 036
105 104/155 1051904/1905275 077/275 406
105 106/155 1071906/1907275 445/275 446
105 108/155 1091908/1909275 229/275 230
105 110/155 1111910/1911275 549/275 550
105 112/155 1131912/1913275 957/275 670
105 114/155 1151914/1915275 197/275 198
105 116/155 1171916/1917275 827/275 372
105 118/155 1191918/1919275 497/275 498
105 120/155 1211920/1921275 329/275 330
105 122/155 1231922/1923275 821/275 960
105 124/155 1251924/1925275 321/275 322
105 126/155 1271926/1927275 139/275 140
105 128/155 1291928/1929275 359/275 360
105 130/155 1311930/1931275 607/275 820
105 132/155 1331932/1933275 065/275 066
105 134/155 1351934/1935275 657/275 448
105 136/155 1371936/1937275 731/275 554
105 138/155 1391938/1939275 829/275 830
105 140/155 1411940/1941275 079/275 080
105 142/155 1431942/1943275 145/275 146
105 144/155 1451944/1945275 159/275 160
105 146/155 1471946/1947275 463/275 464
105 148/155 1491948/1949275 089/275 090
105 150/155 1511950/1951275 101/275 102
105 152/155 1531952/1953275 123/275 124
105 154/155 1551954/1955275 207/275 208
105 156/155 1571956/1957275 055/275 056
105 158/155 1591958/1959275 523/275 524
105 160/155 1611960/1961275 211/275 212
105 162/155 1631962/1963275 825/275 826
105 164/155 1651964/1965275 029/275 030
105 166/155 1671966/1967275 789/275 790
105 168/155 1691968/1969275 259/275 260
105 170/155 1711970/1971275 447/275 553
105 172/155 1731972/1973275 017/275 018
105 174/155 1751974/1975275 367/275 368
105 176/155 1771976/1977275 409/275 410
105 178/155 1791978/1979275 349/275 350
105 180/155 1811980/1981277 293/275 644


5. 1. 차량 설계

BVG E형 차량은 베를린 S반 차량의 기본 구조를 유지하면서 U반 규격에 맞게 변경되었다. 2량 1편성을 기본으로 하며, 영업 운행에는 4량 또는 6량 편성이 사용되었다. 각 편성의 차량은 영구 연결기로 연결되었고, 편성 간에는 샤펜베르크식 자동연결기가 사용되었다. 자동연결기는 압축공기 및 제어 시스템을 연결하지만, 고압 모선은 수동으로 연결해야 했다. 연결면 높이는 S반 차량을 기준으로 설계되었다.[12][13][15]

S반 차량에서 차체 하부, 전장품, 대차를 재활용했다. 대차에 부착된 집전 슈는 U반 노선에 맞게 변경되었고, 차축 역시 U반 기준으로 변경되었다. 1965년 개조분부터는 차체를 새로 제작했다. 새로 제작된 차체는 측면, 전후면, 지붕을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으로 완성했다. 차체 두께는 2mm이다. 전장품과 공기 구동부는 차체 하부 기계함 내에 설치되었다.[15][18]

각 차량 측면에는 4개의 출입문(너비 950mm)이 설치되었고, 기관사 출입을 위한 별도의 출입문도 1개씩 설치되었다. 객실과 운전실 간 출입문은 기관사의 비상 탈출 통로로도 사용되었다. 차량간 연결부에는 비상 출입문이 설치되었다. 창문 크기는 고타바겐 T4-62 노면전차와 동일하게 설계되었다.[15]

차체 크기는 17.44m × 2.57m이다. 전두부는 직선형이며, 두 부분으로 나뉜 창문은 2761 및 277형 베를린 S반 전동차, 오버바이스바흐 산악철도용 2792형 전동차에도 적용되었다. 전두부 중앙에는 행선 안내기가 설치되었고, 전조등 2개, 제동등 2개가 양쪽으로 장착되었으며, 중앙부에는 회송 및 임시열차 운행을 알리는 녹색 신호등이 설치되었다.[13][15][16]

103 084 (오른쪽) D급 in 부탈, 1990


101 034 in 비스도르프-쥐트, 1990


1962년 여름부터 S반 168형 열차 6대를 개조하여 EIII형 U반 열차를 제작했다. 차량 번호 체계는 14xx번대에서 10x번대(동력차) 및 15x번대(객차)로 변경되었다.

차량 개요 EIII, 1차 공급
번호
(1970년 이전)
번호
(1970년 이후)
번호
(1992년 이후)
처분된 열차
1410/1411101 002/151 0031802/1803ET 168 009/EB 168 009
1412/1413101 004/151 0051804/1805ET 168 022/EB 168 002
1414/1415101 006/151 0071806/1807ET 168 037/EB 168 037
1416/1417101 008/151 0091808/1809ET 168 036/EB 168 036
1418/1419101 010/151 0111810/1811ET 168 031/EB 168 031
1420/1421101 012/151 0131812/1813ET 168 042/EB 168 029
1422/1423101 014/151 0151814/1815ET 168 046/EB 168 042
1424/1425101 016/151 0171816/1817ET 168 028/EB 168 028
1426/1427101 018/151 0191818/1819ET 168 018/EB 168 018
1428/1429101 020/151 0211820/1821ET 168 019/EB 168 019
1430/1431101 022/151 0231822/1823ET 168 040/EB 168 040
1432/1433101 024/151 0251824/1825ET 168 047/EB 168 047
1434/1435101 026/151 0271826/1827ET 168 044/EB 168 044
1436/1437101 028/151 0291828/1829ET 168 024/EB 168 024
1438/1439101 030/151 0311830/1831ET 168 020/EB 168 020
1440/1441101 032/151 0331832/1833ET 168 007/EB 168 012
1442/1443101 034/151 0351834/1835ET 168 001/EB 168 001
1444/1445101 036/151 0371836/1837ET 168 017/EB 168 017
1446/1447101 038/151 0391838/1839ET 168 021/EB 168 021
1448/1449101 040/151 0411840/1841ET 165 419/EB 165 419
1450/1451101 042/151 0431842/1843ET 165 038/EB 165 038
1452/1453101 044/151 0451844/1845ET 165 037/EB 165 037



차량 개요 EIII, 2차 공급
번호
(1970년 이전)
번호
(1970년 이후)
번호
(1992년 이후)
투입된 열차
1454/1455102 050/152 0511850/1851ET 169 031a
1456/1457102 052/152 0531852/1853ET 169 013b
1458/1459102 054/152 0551854/1855ET 169 010a
1460/1461102 056/152 0571856/1857ET 169 010b
1462/1463102 058/152 0591858/1859ET 169 008a
1464/1465102 060/152 0611860/1861ET 169 008b
1466/1467102 062/152 0631862/1863ET 169 002a
1468/1469102 064/152 0651864/1865ET 169 002b
1470/1471102 066/152 0671866/1867ET 169 006a
1472/1473102 068/152 0691868/1869ET 169 006b
1474/1475102 070/152 0711870/1871ET 169 016a
1476/1477102 072/152 0731872/1873ET 169 016b
1478/1479102 074/152 0751874/1875ET 169 015a
1480/1481102 076/152 0771876/1877ET 169 015b


5. 2. 1차분 (1963년-1965년)

1차분 EIII 차량, 1990년


클로스터슈트라세역의 베를린 750주년 기념 전시 중 1420호. 구도색이 적용되어 있다.


서베를린 지역의 S반 운행 감소에 따라 독일국영철도 소유 구형 S반 차량이 개조에 투입되었는데, 이 중 ET 168, ET 169형 차량이 개조 대상이었다. 동베를린 BVG는 이를 통해 AIK형 차량을 다시 A선으로 보낼 수 있었지만, 개조된 차량은 개조 당시에도 차령이 35년에 달했고, 앞으로 더 오래된 차량을 계속 사용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S반 차량은 U반에 사용하기에는 너무 무거웠고, 역간 거리가 짧은 도시철도 운행에는 적합하지 않게 설계되었다.[12]

최초로 ET/EB 168 009 차량이 EIII 차량으로 개조되었다. 약 6개월간의 개발을 거쳐 1962년 12월에 1410/1411, 1412/1413, 1414/1415호 차량이 생산되었다. 1963년 1월 4일 BVG에서 차량을 인수한 후, 3일 뒤에 프리드리히스펠데 기지로 1410/1411편성이 회송되었다.[12][13][14][17]

차량 인수 후 야간 시험 운행이 진행되었다. 전 구간 차량한계를 만족함을 확인한 후 주행 및 제동시험이 진행되었다. S반 차륜은 원뿔형으로 설계되었지만, U반 차륜은 원통형이어서 운행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고, 이후 U반에 맞는 차륜 형태로 교체되었다. 제동계통에서도 추가적인 문제가 발견되었다. BVG에서는 금속제 답면제동 제륜자를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아 목제 제륜자를 사용했다. 그러나 제륜자에서 스며나온 윤활유가 궤도에 축적되어 제동성능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했다. S반에서 도입이 시작되었던 플라스틱 제륜자는 U반 차륜의 형태(폭과 경사 차이)에 적합하지 않아 별도의 U반용 제륜자가 개발되어야 했다. 제륜자 시험 운행 후 U반 전용 플라스틱 제륜자가 도입되었다.[13][17]

전장품 문제점은 RAW 쇠네바이데에도 보고되었으나, RAW 측에서는 개조 작업 비용을 맞추기 위해 일부 부품은 재생 과정을 거치지 않고 그대로 사용했기 때문에 미해결 상태로 방치했다.[17]

1963년 4월 1일 1410/1411+1412/1413 4량 편성이 알렉산더플라츠역에서 공개되었다. 영업 운행은 1963년 5월부터 시작되었다. 1965년 1월 8일까지 ET 168형에서 개조된 총 19편성이 U반에 반입되었다.[17] 그 해 말까지 ET 165형에서 개조된 3편성이 반입되었는데, 여기에는 사고로 손상된 차량 및 1927년에 생산된 시제차가 포함되었다. 나머지 19편성과는 기술적인 차이가 있었지만, 1차분으로 분류되었다. 총 22편성이 존재하며, 1410/1411부터 1452/1453호까지 연속으로 차호가 부여되었다. 1970년부터는 101 002/151 003부터 101 046/151 047까지로 개칭되었다.[18]

차량 개요 EIII, 1차 공급
번호
(1970년 이전)
번호
(1970년 이후)
번호
(1992년 이후)
처분된 열차
1410/1411101 002/151 0031802/1803ET 168 009/EB 168 009
1412/1413101 004/151 0051804/1805ET 168 022/EB 168 002
1414/1415101 006/151 0071806/1807ET 168 037/EB 168 037
1416/1417101 008/151 0091808/1809ET 168 036/EB 168 036
1418/1419101 010/151 0111810/1811ET 168 031/EB 168 031
1420/1421101 012/151 0131812/1813ET 168 042/EB 168 029
1422/1423101 014/151 0151814/1815ET 168 046/EB 168 042
1424/1425101 016/151 0171816/1817ET 168 028/EB 168 028
1426/1427101 018/151 0191818/1819ET 168 018/EB 168 018
1428/1429101 020/151 0211820/1821ET 168 019/EB 168 019
1430/1431101 022/151 0231822/1823ET 168 040/EB 168 040
1432/1433101 024/151 0251824/1825ET 168 047/EB 168 047
1434/1435101 026/151 0271826/1827ET 168 044/EB 168 044
1436/1437101 028/151 0291828/1829ET 168 024/EB 168 024
1438/1439101 030/151 0311830/1831ET 168 020/EB 168 020
1440/1441101 032/151 0331832/1833ET 168 007/EB 168 012
1442/1443101 034/151 0351834/1835ET 168 001/EB 168 001
1444/1445101 036/151 0371836/1837ET 168 017/EB 168 017
1446/1447101 038/151 0391838/1839ET 168 021/EB 168 021
1448/1449101 040/151 0411840/1841ET 165 419/EB 165 419
1450/1451101 042/151 0431842/1843ET 165 038/EB 165 038
1452/1453101 044/151 0451844/1845ET 165 037/EB 165 037


5. 3. 2차분 (1966년-1968년)

1차분이 반입될 당시 독일국영철도는 BVG에 ET 169형 차량을 기반으로 한 신차 구입을 제안했다. 베를린 S반 보이콧이 계속 진행되면서 독일국영철도는 구형 차량부터 퇴역시켰다. ET 169형 차량은 동력차는 2대차 장대형, 중간차 3량은 각 칸별로 대차가 1개씩만 장착되었으며, 중간차 3량 길이가 다른 차량 2량 길이와 유사했다.[19]

당시 계획으로는 U반에도 이러한 차량 구조를 유지할 예정이었으나, 대차 중량 때문에 실링슈트라세역과 알렉산더플라츠역 사이의 급곡선 구간 운행 시 궤도 마모가 발생했다. 독일국영철도는 바곤바우 바우첸에서 대차 개조 및 신규 대차 제작 후 ET 165형 7편성을 개조한 동력차 14편성 및 ET 165형 대차 매각을 제안했다. 1966년 10월 6일부터 1968년 12월 20일까지 개조 후 BVG에 차량 반입이 진행되었다. 동력차에는 ET 169형 전동차의 전장품 일부와 전동기, ET 165형 전동차의 대차가 장착되었다. 객차에는 ET 165형 대차가 재활용되었으나 나머지 부분은 신규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다른 차량에 비해 제동 성능이 더 좋았다. 1454/1455부터 1480/1481호까지 차호가 부여되었으며, 1970년부터는 102 050/152 051부터 102 076/152 077까지로 개칭되었다.[13][19]

14편성 반입 이후 E선을 운행했던 AIK형 전동차는 1968년까지 A선으로 복귀했고, 예비차는 1970년 이후에도 유지되었다.[19]

1968년 3월 12일에 ET 169 008a 차량이 폐차되면서 ET 169 003b 차량이 ET 169 008a"로 개칭되어 U반 차량으로 개조되었다.

차량 개요 EIII, 2차 공급
번호
(1970년 이전)
번호
(1970년 이후)
번호
(1992년 이후)
투입된 열차
1454/1455102 050/152 0511850/1851ET 169 031a
1456/1457102 052/152 0531852/1853ET 169 013b
1458/1459102 054/152 0551854/1855ET 169 010a
1460/1461102 056/152 0571856/1857ET 169 010b
1462/1463102 058/152 0591858/1859ET 169 008a
1464/1465102 060/152 0611860/1861ET 169 008b
1466/1467102 062/152 0631862/1863ET 169 002a
1468/1469102 064/152 0651864/1865ET 169 002b
1470/1471102 066/152 0671866/1867ET 169 006a
1472/1473102 068/152 0691868/1869ET 169 006b
1474/1475102 070/152 0711870/1871ET 169 016a
1476/1477102 072/152 0731872/1873ET 169 016b
1478/1479102 074/152 0751874/1875ET 169 015a
1480/1481102 076/152 0771876/1877ET 169 015b


5. 4. 3차분 (1972년-1973년)

1969년부터 티어파르크역 방면 노선 연장이 진행되면서, 동베를린 BVB는 독일국영철도와 4편성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 구형 차량이었던 ET 168, ET 169형 차량이 퇴역했고 동베를린의 S반 수요 증가로 인해 차량이 더 필요했기 때문에, 275형(기존 ET 165형) 차량 중 사고차를 개조하여 사용했다. 3차분 차량은 1968년 이전까지 차량과 기술적인 차이는 없었다.[29] 1972년 9월 9일부터 1973년 1월 25일까지 4편성이 반입되었으며, 차호는 103 080/153 081부터 103 086/153 087까지였다.[29]

차량 개요 EIII, 3차 생산분
번호
(1970년 이후)
번호
(1992년 이후)
배치된 열차
103 080/153 0811880/1881275 837/275 838
103 082/153 0831882/1883275 839/275 840
103 084/153 0851884/1885275 849/275 850
103 086/153 0871886/1887275 835/275 836


5. 5. 4차분 (1975년-1982년)

4차분 차량, 1991년


티어파르크역 연장으로 티어파크 베를린 수요와 오버쇠네바이데 지역에서의 노면전차 환승 수요가 증가하면서, BVB는 1973년 10월 1일부터 출퇴근 시간 배차간격을 4분으로 단축했다. 이를 위해 독일국영철도에 275형 전동차 5편성 구매 계약을 체결했다.[20]

U반용 차량 개조 시기에 277형 전동차 개수 작업이 진행되면서 S반 전동차에 적용된 기술 개선점이 함께 적용되었다. 보조전원장치 전압이 48V에서 110V로 증가했고, 1인 승무를 위한 데드맨 장치가 추가되었으며, 완전 자동식 샤펜베르크 연결기가 장착되었다. 그 결과 EIII/4 전동차는 3차분까지의 차량과 함께 운행할 수 없게 되었다.[20] 객실 조명등도 직류에서 교류로 변경되었고, 동력차에는 2개씩 11조, 객차에는 2개씩 13조가 설치되었으며 각 조명등은 40W이다. RAW 쇠네바이데에서는 안내방송 시스템과 출입문 닫힘 경고 시스템을 설치했다.[20] 출입문 폐쇄 경고음은 S반 전동차와 동일한 것이다.

이러한 기술적 차이로 인해 4차분 전동차는 EIII/4라는 별도의 형식명을 부여받았다. 차호는 104 090/154 091부터 104 098/154 099까지 부여받았다. 1975년부터 1차분부터 3차분까지의 차량이 EIII/4 수준으로 개조되었고, ET 168형에서 가져온 대차도 교체되었다. 개조 작업은 1982년에 완료되었다.[20][21]

차량 개요 EIII/4
번호
(1970년까지)
번호
(1970년부터)
배차 열차
104 090/154 0911890/1891275 671/275 672
104 092/154 0931892/1893275 759/275 760
104 094/154 0951894/1895275 217/275 218
104 096/154 0971896/1897275 795/275 796
104 097/154 0991898/1899275 823/275 824


5. 6. 5차분 (1986년-1990년)

1984년 E선의 헬러스도르프 방면 10 km 연장안이 확정되었다. 출퇴근 시간대에 비스도르프쥐트역까지는 2분 15초, 회노역까지는 4분 30초 배차 간격을 계획하고 있었다. 사회주의 국가에서의 지하철 차량 수입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BVB에서는 또 다시 독일국영철도에 차량 구매 의사를 타진했다. 그 결과 1986년 중순에 85편성을 무상으로 양도하는 계약이 체결되었고, 270형 차량 도입으로 인하여 기존 차량이 퇴역 예정이었기 때문에 개수 작업을 거치지 않은 275형 차량이 개조 대상에 포함되었다. 270형 차량 도입 이전까지는 사고로 인하여 운행을 중단한 차량 위주로 개조되었다.[22]

시제차 3편성은 EIII/4형과 외관은 동일했으나 전장품이 변경되었다. 보조 전원 전압은 110 V, 정적 전압 공급, 살사장치, 기계식 자동 열차 정지 장치, 무전기, 스피커 개선 등이 적용되었다. 장착 계기가 변경되면서 차체 하부 구조와 객실 내부 구조가 변경되었다.[22] 1986년 5월에 시제차 3편성이 반입된 후 1986년 9월부터 양산차 제작이 시작되었다. 기존 차량 운행 경험으로 인하여 전두부 현상이 변경되어, 유리가 약간 길어지는 대신 행선 안내기가 창문 위쪽으로 내려왔다. 이와 동시에 행선 안내기도 수동식에서 전동식으로 변경되었다. 측면 창문도 1매에서 2매로 변경되었으나, 이후에 다시 1매로 변경되었다. 클로스터슈트라세역 화재 사고로 인하여 천장 재질이 변경되었다.[22]

독일국영철도에서 차량 부족으로 인하여 개조를 일시 중단한 1988년 6월까지 총 29편성이 반입되었다. 동베를린 BVB에서는 서베를린 BVG에서 사용했던 D형 차량을 중고로 구입했고, 그 후 1989년 8월에 EIII/5형 차량 6편성 제작 계약을 맺었다. 차량 제작은 1990년 9월까지 진행되었으나, 이미 서독 마르크화로 계약금을 지불하기 시작했다. 독일 통일 이후 동독의 교통 수요가 감소하면서 개조 차량의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에 RAW 쇠네바이데에서는 1990년 가을에 개조 작업을 중단하고 작업 공정을 철거했다.[22]

마지막 5차분은 총 41편성으로 구성되어 있다. 275형 차량의 동력차 40량과 객차 41량 및 277형 차량의 사고 동력차 1량이 사용되었다. 차호는 105 100/155 101부터 105 180/155 181까지 부여되었다.[31]

차량 개요 EIII/5
번호
(1992년 이전)
번호
(1992년 이후)
배치된 열차
105 100/155 1011900/1901275 613/275 614
105 102/155 1031902/1903275 035/275 036
105 104/155 1051904/1905275 077/275 406
105 106/155 1071906/1907275 445/275 446
105 108/155 1091908/1909275 229/275 230
105 110/155 1111910/1911275 549/275 550
105 112/155 1131912/1913275 957/275 670
105 114/155 1151914/1915275 197/275 198
105 116/155 1171916/1917275 827/275 372
105 118/155 1191918/1919275 497/275 498
105 120/155 1211920/1921275 329/275 330
105 122/155 1231922/1923275 821/275 960
105 124/155 1251924/1925275 321/275 322
105 126/155 1271926/1927275 139/275 140
105 128/155 1291928/1929275 359/275 360
105 130/155 1311930/1931275 607/275 820
105 132/155 1331932/1933275 065/275 066
105 134/155 1351934/1935275 657/275 448
105 136/155 1371936/1937275 731/275 554
105 138/155 1391938/1939275 829/275 830
105 140/155 1411940/1941275 079/275 080
105 142/155 1431942/1943275 145/275 146
105 144/155 1451944/1945275 159/275 160
105 146/155 1471946/1947275 463/275 464
105 148/155 1491948/1949275 089/275 090
105 150/155 1511950/1951275 101/275 102
105 152/155 1531952/1953275 123/275 124
105 154/155 1551954/1955275 207/275 208
105 156/155 1571956/1957275 055/275 056
105 158/155 1591958/1959275 523/275 524
105 160/155 1611960/1961275 211/275 212
105 162/155 1631962/1963275 825/275 826
105 164/155 1651964/1965275 029/275 030
105 166/155 1671966/1967275 789/275 790
105 168/155 1691968/1969275 259/275 260
105 170/155 1711970/1971275 447/275 553
105 172/155 1731972/1973275 017/275 018
105 174/155 1751974/1975275 367/275 368
105 176/155 1771976/1977275 409/275 410
105 178/155 1791978/1979275 349/275 350
105 180/155 1811980/1981277 293/275 644


6. 통일 이후

1992년 1월 1일부터 베를린의 동서 교통공사가 통합되었다. 이 시점부터 EIII형 전동차 운행은 경제성을 상실했다. 하부 기기가 급전 궤도에 부딪히는 문제로 바이젠터널을 통한 회송 운행이 불가능했고, 1994년 1월 1일부터 BVG가 서베를린 S반 영업권을 도이체반에 반납하면서 반제 기지에서의 중검수도 불가능해졌다. 쇠네바이데 기지에서의 검수는 회사가 달라져 추가 비용을 지불해야 했다. 이에 BVG 이사회는 1992년 3월 EIII형 차량을 단계적으로 폐차하고 F형 차량을 추가 도입하기로 결정했다.[23]

EIII/4형 차량은 1994년부터 폐차되었다. 일부 편성은 BOStrab 기준으로 개수 공사가 진행 중이었으나, 폐차 결정으로 중검수를 받지 못했다. 1818/1819(구 101 018/151 019)편성은 1993년 1월 11일 RAW 쇠네바이데에서 개수 공사 및 검수 없이 회송되었다. 폐차 이후 바르샤바 지하철로 매각이 계획되었으나 실현되지 않았다.[23]

EIII/5형 차량은 추가 운행을 위해 개수 공사가 진행되었다. 1958/1959, 1960/1961편성은 RAW 쇠네바이데에서 개수되었다. 출입문은 10km/h 이상에서 자동으로 잠기고 압축 공기식으로 쇄정되었다. 가속 시작 후 10초 내에 비상제동 장치를 당기면 강제 제동되었고, 10초 후에는 경고음이 울려 기관사가 다음 역까지만 운행해야 했다. 영업최고속도는 63km/h에서 58km/h로 감소되었다. 개수된 차량은 EIII/5U형으로 구분되었으며, 다른 EIII/5형 차량과 병결 운행이 불가능하여 차량 앞유리에 주의 문구가 부착되었다.[23]

BVG는 총 3편성의 개수 공사를 진행했으나, 통일 후 임금 및 원자재비 인상으로 9편성만 EIII/5U형으로 개수되었다. 1908/1909, 1914/1915, 1916/1917, 1920/1921, 1958/1959-1966/1967편성이 개수 대상이었다. EIII형 전동차의 높은 운영 비용과 비경제적인 개수 비용으로 차량 사용을 최소화했다. 당초 EIII/4형은 1995년, EIII/5형 및 EIII/5U형은 2000년까지 퇴역할 계획이었으나, F형 차량이 충분히 반입되지 않아 U5 및 U8 노선의 영업최고속도를 상향하고 차량 수를 줄여 U8 노선의 D형 및 DL형 차량을 U5 노선으로 이적시켰다. 1999년 퇴역 계획 대신 1994년에 조기 퇴역하여 총 비용 절감이 예상되었다.[23]

U5 노선에 D형 및 DL형 차량이 충분히 이적한 후, EIII형 차량은 영업 운행에서 제외되었다. 1994년 7월 9일 마지막 EIII형 차량이 운행했고, 공식 퇴역은 7월 16일에 진행되었다. 이날 1830/1831+1810/1811+1842/1843, 1916/1917+1914/1915+1908/1909편성이 운행했다.[24] 1994년 12월까지 불레탈 연결선을 통해 페르히란트로 회송되었고, 1995년까지 폐차되었다.[25]

7. 차량 목록

BVG E형 전동차는 도입 당시 동서베를린 BVG에서 공유하던 차호 체계를 사용했다. 1970년 이후 동베를린에서는 독일국영철도의 차호 체계와 유사한 새로운 체계를 도입했다. U반 대형 규격용 차량에는 4자리 차호가 부여되었고, E형 차량은 1400호대 번호를 사용했다. 1957년 제작된 시제차는 1400, 1402호였으며, EIII형은 1410/1411호부터 시작한다.[5]

동베를린 BVB의 차호 체계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16][26]


  • 1번째 자리: 교통 수단 (1: U반)
  • 2번째 자리: 0: 동력차, 5: 객차
  • 3번째 자리: 차분 (1: 1차분, 2: 2차분, 3: 3차분, 4: 4차분, 5: 5차분)
  • 4번째부터 6번째 자리: 일련번호 (동력차는 짝수, 객차는 홀수, 002부터 시작)
  • 7번째 자리: 체크 숫자


1410/1411호 차량은 101 002-1/151 003-1로 변경되었다. EI형 시제차는 영업 운행에서 제외되어 번호가 변경되지 않았다. 각 차분별 일련번호는 여유를 두고 증가했으며, 4차분 차량은 104 090부터 시작한다.

독일 재통일 이후 서베를린 BVG 차호 체계로 전환되면서 1992년 7월부터 1993년 초까지 1800호대와 1900호대 번호를 부여받았다. 일련번호 마지막 두 자리는 동베를린과 동일하며, 101 002호 차량은 1802호로 개칭되었다.[23]

EIII 1차분 차량 목록[27]
차호(1970년 이전)차호(1970년-1992년)차호(1992년 이후)개조된 차량
1410/1411101 002/151 0031802/1803ET 168 009/EB 168 009
1412/1413101 004/151 0051804/1805ET 168 022/EB 168 022
1414/1415101 006/151 0071806/1807ET 168 037/EB 168 037
1416/1417101 008/151 0091808/1809ET 168 036/EB 168 036
1418/1419101 010/151 0111810/1811ET 168 031/EB 168 031
1420/1421101 012/151 0131812/1813ET 168 042/EB 168 029
1422/1423101 014/151 0151814/1815ET 168 046/EB 168 042
1424/1425101 016/151 0171816/1817ET 168 028/EB 168 028
1426/1427101 018/151 0191818/1819ET 168 018/EB 168 018
1428/1429101 020/151 0211820/1821ET 168 019/EB 168 019
1430/1431101 022/151 0231822/1823ET 168 040/EB 168 040
1432/1433101 024/151 0251824/1825ET 168 047/EB 168 047
1434/1435101 026/151 0271826/1827ET 168 044/EB 168 044
1436/1437101 028/151 0291828/1829ET 168 024/EB 168 024
1438/1439101 030/151 0311830/1831ET 168 020/EB 168 020
1440/1441101 032/151 0331832/1833ET 168 007/EB 168 012
1442/1443101 034/151 0351834/1835ET 168 001/EB 168 001
1444/1445101 036/151 0371836/1837ET 168 017/EB 168 017
1446/1447101 038/151 0391838/1839ET 168 021/EB 168 021
1448/1449101 040/151 0411840/1841ET 165 419/EB 165 419
1450/1451101 042/151 0431842/1843ET 165 038/EB 165 038
1452/1453101 044/151 0451844/1845ET 165 037/EB 165 037
EIII 2차분 차량 목록[28]
차호(1970년 이전)차호(1970년-1992년)차호(1992년 이후)개조된 차량
1454/1455102 050/152 0511850/1851ET 169 013a
1456/1457102 052/152 0531852/1853ET 169 013b
1458/1459102 054/152 0551854/1855ET 169 010a
1460/1461102 056/152 0571856/1857ET 169 010b
1462/1463102 058/152 0591858/1859ET 169 008a
1464/1465102 060/152 0611860/1861ET 169 008b
1466/1467102 062/152 0631862/1863ET 169 002a
1468/1469102 064/152 0651864/1865ET 169 002b
1470/1471102 066/152 0671866/1867ET 169 006a
1472/1473102 068/152 0691868/1869ET 169 006b
1474/1475102 070/152 0711870/1871ET 169 016a
1476/1477102 072/152 0731872/1873ET 169 016b
1478/1479102 074/152 0751874/1875ET 169 015a
1480/1481102 076/152 0771876/1877ET 169 015b
EIII 3차분 차량 목록[29]
차호(1970년-1992년)차호(1992년 이후)개조된 차량
103 080/153 0811880/1881275 837/275 838
103 082/153 0831882/1883275 839/275 840
103 084/153 0851884/1885275 849/275 850
103 086/153 0871886/1887275 835/275 836
EIII 4차분 차량 목록[30]
차호(1992년 이전)차호(1992년 이후)개조된 차량
104 090/154 0911890/1891275 671/275 672
104 092/154 0931892/1893275 759/275 760
104 094/154 0951894/1895275 217/275 218
104 096/154 0971896/1897275 795/275 796
104 097/154 0991898/1899275 823/275 824
EIII/5 차량 목록[31]
차호(1992년 이전)차호(1992년 이후)개조된 차량
105 100/155 1011900/1901275 613/275 614
105 102/155 1031902/1903275 035/275 036
105 104/155 1051904/1905275 077/275 406
105 106/155 1071906/1907275 445/275 446
105 108/155 1091908/1909275 229/275 230
105 110/155 1111910/1911275 549/275 550
105 112/155 1131912/1913275 957/275 670
105 114/155 1151914/1915275 197/275 198
105 116/155 1171916/1917275 827/275 372
105 118/155 1191918/1919275 497/275 498
105 120/155 1211920/1921275 329/275 330
105 122/155 1231922/1923275 821/275 960
105 124/155 1251924/1925275 321/275 322
105 126/155 1271926/1927275 139/275 140
105 128/155 1291928/1929275 359/275 360
105 130/155 1311930/1931275 607/275 820
105 132/155 1331932/1933275 065/275 066
105 134/155 1351934/1935275 657/275 448
105 136/155 1371936/1937275 731/275 554
105 138/155 1391938/1939275 829/275 830
105 140/155 1411940/1941275 079/275 080
105 142/155 1431942/1943275 145/275 146
105 144/155 1451944/1945275 159/275 160
105 146/155 1471946/1947275 463/275 464
105 148/155 1491948/1949275 089/275 090
105 150/155 1511950/1951275 101/275 102
105 152/155 1531952/1953275 123/275 124
105 154/155 1551954/1955275 207/275 208
105 156/155 1571956/1957275 055/275 056
105 158/155 1591958/1959275 523/275 524
105 160/155 1611960/1961275 211/275 212
105 162/155 1631962/1963275 825/275 826
105 164/155 1651964/1965275 029/275 030
105 166/155 1671966/1967275 789/275 790
105 168/155 1691968/1969275 259/275 260
105 170/155 1711970/1971275 447/275 553
105 172/155 1731972/1973275 017/275 018
105 174/155 1751974/1975275 367/275 368
105 176/155 1771976/1977275 409/275 410
105 178/155 1791978/1979275 349/275 350
105 180/155 1811980/1981277 293/275 644


8. 보존된 차량

EIII형 전동차는 1994년부터 단계적으로 폐차되기 시작했다. BVG는 운영 비용 절감과 신형 F형 차량 도입을 위해 EIII형 차량의 운행 중단을 결정했다.[23]

영업 운행에서 제외된 후 일부 차량은 보존되었다.[25]


  • 1880/1881 편성은 독일 기술박물관으로 옮겨졌으나, 상태 악화로 2007년 에베르스발데에서 폐차되었다.[25][32]
  • 1804/1805 편성은 1962년 최초 반입된 차량 중 일부로 1979년 당시 상태로 보존되었고, 1816/1817 편성과 함께 4량 편성 운행이 가능했다. 그러나 1816/1817 편성은 2014년 2월[32], 1804/1805 편성은 2014년 12월에 폐차되었다.[33]
  • 1914/1915+1916/1917 편성은 최종 영업 운행 당시 상태로 동태 보존되어 있다. 이 편성은 U5 노선에서 임시 운행에 사용되며, 2017년 여름에는 국제정원박람회 임시 열차로 운행하기도 했다.[25][34]


비스도르프쥐트역, 2017년

9. 도색

초기에는 서베를린과 동베를린의 도색 차이가 없었다. 노란색을 기본 색상으로 하며, 천장은 회색, 대차와 하부 기기는 검은색으로 도색되었다. 초기에는 니트로셀룰로스 페인트를 사용했으나 쉽게 어두워지는 문제가 있어 차량이 낡아 보이는 문제가 있었다. 1970년대 초반부터 폴리우레탄 페인트를 사용하여 도색의 오염 문제를 해결했다.[35]

1983년 6월 1일 동독 사회주의통일당에서는 동베를린 대중교통의 도색을 서베를린과 최대한 차이나게 할 것을 지시했다. 그 때까지는 동서베를린에서 분단 이전 시기의 공통된 도색을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VEB Designprojekt Studio Dresden에서 새로운 도색안을 개발했다. 기본 도색은 아이보리색이며 벽체 및 천장까지 적용되었다. 대차와 하부 기기는 검은색을 유지하며, 출입문 테두리도 검은색 도색이 적용되었다. 전두부 및 출입문 색상은 노란색을 유지했다. GI형 열차에 시범적으로 신도색을 적용한 후 1984년부터 EIII형 열차의 도색이 변경되었다. 1984년 9월 초 101 002/151 003편성이 동베를린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원래는 검수 기간에 도색을 변경할 예정이었으나, 1987년 베를린 750주년 기념식을 준비하면서 BVB에서는 도색을 그 이전까지 완료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서 소형 규격의 나머지 차량(AI, AII, GI)에도 통일된 도색이 적용되었다.[35]

독일 재통일 후 BVG에서는 EIII형 차량을 서베를린 U반 도색으로 재도색할 것을 계획했다. 1992년 1월 31일부터 7월 2일까지 검수 과정에서 1804/1805, 1810/1811, 1814/1815, 1818/1819, 1830/1831, 1842/1843, 1844/1845, 1876/1877, 1894/1895, 1900/1901부터 1916/1917까지 편성의 도색이 변경되었다. 도색이 변경된 18편성을 제외한 나머지 차량은 과거 동베를린 도색이 폐차 직전까지 유지되었다.[23][36]

10. 사고

EIII형 운행 중 발생한 주요 사고는 다음과 같다.[37]


  • 1972년 3월 리히텐베르크역에서 돌진사고가 발생하여 101 040 동력차가 손상되었다. 1974년에 RAW 쇠네바이데에서 복구되었다.
  • 1980년 1월 13일 101 034 동력차가 알렉산더플라츠역 인상선에서 탈선했다. 1980년 3월까지 RAW 쇠네바이데에서 복구되었고, 같은 장소에서 1981년 1월에 또 다시 탈선했다. 1982년 12월까지 복구 공사 및 중검수가 시행되었다.
  • 1992년 10월 21일 카울스도르프노르트역불레탈역 사이에서 110 317/318(DI형) 및 101 015/151 015(EIII형) 차량의 충돌 사고가 발생했다. EIII/4형 및 그 이전 차량의 퇴역이 결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사고가 발생한 차량은 복구되지 않았다.


위 사고들에서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참조

[1] 학술지 Die U-Bahnlinie E. Die Fahrzeuge
[2] 서적 U5. Geschichte(n) aus dem Untergrund. Zwischen Alex und Hönow. GVE
[3] 서적 U5. Geschichte(n) aus dem Untergrund. Zwischen "Alex" und Hönow GVE
[4]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5]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6]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7] 서적 Die Fahrzeuge
[8]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9] 서적 U5. Geschichte(n) aus dem Untergrund. Zwischen Alex und Hönow GVE
[10]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11]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12]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13] 서적 U5. Geschichte(n) aus dem Untergrund. Zwischen Alex und Hönow GVE
[14] 서적 vom Alex nach Hellersdorf transpress VEB Verlag für Verkehrswesen
[15]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16] 서적 Mehr und modernere E-Wagen Verlag GVE
[17]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18]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19]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20]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21]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22]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23]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24]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25]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26]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27]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28]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29]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30]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31]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32] 웹인용 Chronik der Fahrzeuge Typ E http://www.berliner-[...] 2014-05-18
[33] 서적 Kurzmeldungen – U-Bahn
[34] 웹인용 I’ll be back http://www.bvg.de/?s[...] 2017-10-15
[35]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36]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37] 서적 Die Fahrzeuge der Berliner U-Bahn. Typ E VBN Verlag Bernd Neddermey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