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BGB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BGB는 1973년 뉴욕 이스트 빌리지의 바워리에 설립된 라이브 음악 클럽으로, 컨트리, 블루그래스, 블루스 음악을 표방했으나 펑크 록의 발생지로 유명해졌다. 라몬즈, 패티 스미스 그룹, 블론디 등 펑크 록과 뉴 웨이브 밴드들의 공연을 통해 1970년대 뉴욕 펑크 씬을 대표하는 장소가 되었다. 1980년대에는 하드코어 펑크 공연의 중심지가 되었으며, 2006년 임대료 문제로 폐쇄되었다. 폐쇄 이후에도 CBGB의 유산은 영화, 페스티벌, 패션 매장 등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한국 인디 음악 씬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뉴욕의 나이트클럽 - 스튜디오 54
1970년대 후반 디스코 문화의 상징이었던 뉴욕의 나이트클럽 스튜디오 54는 갈로 오페라 하우스로 시작해 나이트클럽으로 변모하여 짧은 전성기를 누렸으나 탈세 혐의로 문을 닫았고, 재개장 후 다시 문을 닫은 뒤 현재는 브로드웨이 극장으로 운영되며 나이트클럽 문화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뉴욕의 없어진 건축물 - 폴로 그라운즈
폴로 그라운즈는 1880년부터 1963년까지 뉴욕 맨해튼에 존재했던 네 개의 야구장 이름으로, 뉴욕 자이언츠의 홈 구장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프로 스포츠 팀들이 거쳐가고 여러 스포츠 경기가 개최된 뉴욕 스포츠 역사의 중요한 장소이다. - 뉴욕의 없어진 건축물 - 양키 스타디움 (1923년)
양키 스타디움 (1923년)은 1923년 개장하여 2008년까지 뉴욕 양키스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고 161번의 포스트 시즌 경기를 개최하는 등 야구 역사에 중요한 장소였다. - 2006년 폐지 - 서귀포시
서귀포시는 제주도 남부에 위치하며, 천혜의 자연경관과 다양한 관광 명소를 자랑하고, 제주 유나이티드 FC의 연고지이며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 2006년 폐지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유고슬라비아 해체 후 세르비아와 몬테네그로로 구성된 국가로,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으로 불리다 2003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개칭되었으나 몬테네그로 독립으로 2006년 해체되었다.
| CBGB - [경기장/극장]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위치 | 맨해튼, 뉴욕 시, 미국 |
| 개장 | 1973년 12월 10일 |
| 폐장 | 2006년 10월 15일 |
| 소유주 | 힐리 크리스탈 |
| 수용 인원 | 350명 |
| 웹사이트 | CBGB.com |
| 역사적 위치 | |
| 명칭 | CBGB |
| NRHP 유형 | 기여 자산 |
| 일부 | 바워리 역사 지구 |
| 참조 번호 | 13000027 |
| 위치 | 315 바워리, 맨해튼, 뉴욕 시, 미국 |
| 좌표 | 40°43′31″N 73°59′31″W |
| 건축 연도 | 1878년 |
| 등록일 | 2013년 2월 20일 |
| 추가 정보 | |
| 장르 | 펑크 록 하드코어 펑크 블루그래스 블루스 컨트리 음악 |
2. 역사
CBGB는 1973년 12월 10일 힐리 크리스탈에 의해 설립되었다.[9] 원래 CBGB는 컨트리, 블루그래스, 블루스를 중심으로 운영될 예정이었으나, 펑크 록 밴드들이 주로 공연하면서 새로운 흐름을 맞이했다.
1970년대 중반부터 텔레비전, 패티 스미스 그룹, 블론디, 라몬즈 등 다양한 밴드들이 CBGB 무대에 오르며 뉴욕 펑크 씬의 중심지로 자리 잡았다. 1977년에는 더 댐드가 공연하며 영국 펑크 밴드 최초로 미국 공연을 한 사례가 되었다.[14]
1980년대에는 하드코어 펑크가 CBGB의 주류를 이루었다. 일요일에는 '마티네'라는 낮 공연이 열렸고, 리건 유스, 배드 브레인스, 아그노스틱 프론트 등 여러 하드코어 밴드들이 출연했다. 1990년 공연장 안팎의 폭력 사태로 하드코어 공연이 잠시 중단되기도 했지만, 이후 다시 재개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서 CBGB는 임대료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2005년, 임대주인 바워리 주민 위원회(BRC)와의 소송 끝에, 2006년 9월 30일까지 CBGB를 떠나기로 합의했다.[19] 힐리 크리스탈은 CBGB를 라스베이거스로 이전할 계획을 세웠고, "소변기를 가져갈 것입니다.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가져갈 거예요."라고 말했다.[20]
2006년 10월 15일, 패티 스미스의 마지막 공연을 끝으로 CBGB는 문을 닫았다.[22]
2. 1. 설립과 초기 (1973년 ~ 1970년대 중반)
CBGB영어는 1973년 12월 10일 힐리 크리스탈이 바워리에 설립했다.[9] 처음에는 컨트리, 블루그래스, 블루스 음악을 중심으로 운영할 계획이었다. CBGB & OMFUG영어라는 전체 이름은 "컨트리, 블루그래스, 블루스, 그리고 기타 음악은 미식가를 고양시키기 위한 것"을 의미했는데, 크리스탈이 의도한 것은 '음악을 탐욕스럽게 먹는 사람'이었다.[10] 그러나 펑크 록 밴드들의 공연이 늘어나면서 방향을 전환했다.1973년 머서 아트 센터 붕괴 이후, 갈 곳 없던 자살, 더 패스트,[13] 루비 앤 더 레드넥스, 제인 카운티, 매직 트램프 등의 밴드들이 CBGB영어에서 공연하기 시작했다.
1974년, 텔레비전이 CBGB영어에서 정기 공연을 시작했는데, 이는 많은 사람들이 뉴욕 펑크 씬의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순간으로 보고 있다. 1974년 4월 14일, 텔레비전의 세 번째 공연에 패티 스미스와 레니 케이가 관객으로 참석했고, 1975년 2월 14일, 패티 스미스 그룹이 CBGB영어에서 데뷔했다.[12]
그 외에도 데보라 해리가 백 보컬을 맡았던 The Stillettoes영어, 블론디(원래 이름은 엔젤 앤 더 스네이크), 라몬즈, 밍크 데빌, 토킹 헤즈, 리처드 헬 & 보이드, 딕테이터스, 조니 선더스 & 더 하트브레이커스, 데드 보이즈, 미스피츠 등 많은 밴드들이 CBGB영어 무대에 올랐다.
CBGB영어의 규칙은 "연주하는 곡은 모두 오리지널이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출연 밴드의 독창성을 촉진하여, CBGB영어가 많은 재능을 배출하는 데 기여했다.
2. 2. 펑크 록의 전성기 (1970년대 중반 ~ 1980년대)
1974년 4월 14일, 텔레비전의 세 번째 공연에 패티 스미스와 레니 케이가 관객으로 참석했으며, 패티 스미스 그룹은 1975년 2월 14일 CBGB에서 데뷔했다. 다른 초기 공연자로는 데보라 해리가 백 보컬을 맡았던 The Stillettoes(스틸레토, 후에 블론디의 보컬리스트가 됨), 1974년 8월에 등장한 블론디(원래 이름은 엔젤 앤 더 스네이크)와 라몬즈가 있었다. 밍크 데빌, 토킹 헤즈, 리처드 헬 & 보이드이즈, 딕테이터스, 조니 선더스 & 더 하트브레이커스, 데드 보이즈, 미스피츠 등 많은 밴드들이 라이브 공연을 했다.[11]1977년 4월, 더 댐드가 클럽에서 공연했는데, 이는 영국의 펑크 밴드가 미국에서 공연한 최초의 사례였다.[14]
1978년, 뉴 웨이브 싱어송라이터인 엘비스 코스텔로는 더 보이드이즈의 오프닝 공연을 했고, 더 폴리스는 미국 첫 공연을 위해 CBGB에서 공연했다. 한편, CBGB는 미스피츠, 텔레비전, 패티 스미스 그룹, 밍크 데빌, 데드 보이즈, 딕테이터스, 더 보이드이즈, 더 크램프스, B-52's, 블론디, 조안 제트 앤 더 블랙하츠, 더 셔츠, 토킹 헤즈로 유명해졌다.
1980년대에는 하드코어 펑크의 뉴욕 언더그라운드가 CBGB의 주류였다. CBGB의 일요일은 "마티네"라고 불리는 낮 공연 날이었으며, 매주 일요일, 보통 저렴한 요금으로, 주로 몇몇 하드코어 밴드 등이 오후부터 저녁까지 무대에 섰다. 후에 "하드코어 마티네"로 널리 알려지게 된 이 낮 공연에 출연하여 유명해진 밴드로는 고릴라 비스킷츠, 크로-맥스, 아그노스틱 프론트, 식 오브 잇 올, 레이건 유스, 워존, 유스 오브 투데이 등이 있다.
2. 3. 하드코어 펑크와 마티네 (1980년대 ~ 1990년)
1980년대에 하드코어 펑크의 뉴욕 언더그라운드가 CBGB의 주류였다. CBGB의 일요일은 마티네 데이였으며, 리건 유스, 배드 브레인스, 비스티 보이즈, 아그노스틱 프론트, 머피스 로우, 크로-매그스, 리웨이, 워존, 고릴라 비스킷, 식 오브 잇 올, 미스피츠, 쉬어 테러, 스틸본 및 투데이의 젊음과 같은 하드코어 밴드들이 오후부터 저녁까지 공연하면서 제도가 되었다.[16]CBGB는 뉴욕을 거치는 밴드들의 인기 장소였고, 1980년대에 뉴욕 언더그라운드 하드코어 씬이 번성하였다. CBGB의 일요일은 "마티네"라고 불리는 낮 공연 날이었으며, 매주 일요일, 보통 저렴한 요금으로, 몇몇 하드코어 밴드들이 오후부터 저녁까지 무대에 섰다. "하드코어 마티네"로 널리 알려진 이 낮 공연에 출연하여 유명해진 밴드로는 고릴라 비스킷츠, 크로-맥스, 아그노스틱 프론트, 식 오브 잇 올, 레이건 유스, 워존, 유스 오브 투데이 등이 있다.
1990년, 공연장 안팎의 폭력 사태로 인해 크리스탈은 하드코어 예약을 중단했지만, CBGB는 때때로 하드코어를 다시 가져왔다. CBGB의 마지막 몇 년은 장르별 공식 금지가 없었다.
2. 4. 임대 분쟁과 폐업 (2000년대)
2005년, CBGB는 통상적으로 월세 19000USD를 지불하고 있었으나, 임대주인 바워리 주민 위원회(BRC)에 90000USD의 임대료를 미납했다는 이유로 소송을 당했다.[17] BRC의 전무 이사 머지 로젠블라트는 여러 해 동안 누적된 임대료 인상분을 주장했지만, CBGB의 소유주 힐리 크리스탈은 이에 대해 통보받은 적이 없다고 주장하며 지불을 거부했다.[17] 판사는 채무가 허위이며 BRC가 임대료 인상에 대해 적절하게 청구한 적이 없다고 판결했다.[17] 판사는 CBGB가 랜드마크로 지정되어야 한다고 언급했지만, 곧 만료될 임대 계약을 로젠블라트가 갱신할 필요는 없다고 지적했다.[18]로젠블라트는 항소할 것을 다짐했고,[18] 크리스탈은 임대료 인상에는 동의했지만, BRC가 원하는 55000USD의 월세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생각했다.[18] BRC는 대부분 기부금과 정부 자금으로 CBGB 위에 홈리스를 위한 주거 시설을 운영하는 비영리 법인이었다.[17] BRC는 상업 임차인은 CBGB 하나뿐이었으며, 월세를 35000USD로 인상했다.[19] 결국 크리스탈과 BRC는 CBGB가 2006년 9월 30일까지 떠나기로 합의했다.[19]
크리스탈은 CBGB를 라스베이거스로 옮길 계획을 세우면서, "우리는 소변기를 가져갈 것입니다. 내가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가져갈 거예요."라고 말했다.[20]
많은 펑크 록 밴드들이 CBGB의 폐업 소식을 듣고, 지지를 통해 폐업을 막을 수 있기를 바라며 CBGB에서 공연했다. 뉴욕의 기획사인 록스 오프(Rocks off)는 CBGB의 마지막 몇 주간의 공연을 기획했다.[19] 어베일(Avail), 바운싱 소울스(the Bouncing Souls)와 같은 신예 밴드들이 마지막 주에 공연을 시작했고, 배드 브레인스(Bad Brains), 딕테이터스(the Dictators)의 여러 밤 공연과 블론디(Blondie)의 어쿠스틱 세트가 포함되었다. 10월 15일, 시리우스 위성 라디오를 통해 생중계된 마지막 공연은 패티 스미스(Patti Smith)가 공연했으며, 레드 핫 칠리 페퍼스(Red Hot Chili Peppers)의 플리가 몇몇 곡에서 도움을 주었다. 텔레비전(Television)의 리처드 로이드도 "마키 문(Marquee Moon)"을 포함한 몇 곡에서 연주했다. 거의 마지막 곡으로, 스미스와 밴드는 "글로리아(Gloria)"를 연주하면서 라몬스(Ramones)의 "블리츠크리크 밥(Blitzkrieg Bop)"—''헤이! 호! 가자!''—의 후렴구를 번갈아 불렀다. 마지막 앙코르곡 "엘레지(Elegie)"에서 스미스는 CBGB에서 공연한 이후 사망한 뮤지션과 다른 음악계 인물들의 이름을 언급했다.[21] 2006년 10월 15일, 패티 스미스의 마지막 공연을 끝으로 CBGB는 문을 닫았다.[22]
3. CBGB 이후
CBGB는 2006년 10월 15일 패티 스미스의 마지막 공연을 끝으로 폐업했다.[43] 배드 브레인즈, 딕테이터즈, 블론디 등 많은 음악가들이 CBGB의 마지막 무대를 장식했으며, 마지막 콘서트는 시리우스 XM에서 생방송되었고, 레드 핫 칠리 페퍼스의 프리가 특별 출연했다.[43]
CBGB의 폐업은 임대료 분쟁 때문이었다.[43] 힐리 크리스탈은 CBGB를 역사적 건축물로 지정하려 했으나, 결국 네바다 주 라스베이거스로 이전하기로 결정하고, 클럽 내부의 모든 것을 그대로 옮길 계획을 세웠다.
CBGB 폐업 이후 그 자리에는 존 바바토스 패션 매장이 입점해 있으며, CBGB의 두 번째 차양막은 로큰롤 명예의 전당 로비로 옮겨졌다.[36]
CBGB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서 언급되었다.
| 작품 종류 | 작품 이름 | 비고 |
|---|---|---|
| 2012년 올림픽 게임 유치 홍보 광고 | 뉴욕시 홍보 광고[44] | |
| 리듬 게임 | Guitar Hero: Warriors of Rock[45] | |
| 노래 | "Old School Punk Star" | The Shapers의 노래, 브리지에서 언급[46] |
| 노래 | "Shrunk" | 래퍼 에이솝 록의 노래[47] |
| 노래 | "Life During Wartime" | 토킹 헤즈의 노래[48] |
| 노래 | "Punk Lolita" | The Heads의 앨범 No Talking, Just Head의 수록곡[49] |
| 노래 | "Losing My Edge" | LCD 사운드시스템의 2002년 데뷔 싱글[50] |
3. 1. CBGB 패션
CBGB가 폐쇄된 후, 옛 CBGB 공연장은 2006년 10월 31일까지 소매점, 도매 부서 및 온라인 매장인 '''CBGB 패션'''으로 계속 운영되었다. CBGB 패션은 11월 1일에 세인트 마크스 플레이스 19–23번지로 이전했고, 거의 2년 후인 2008년 여름에 폐쇄되었다.[23]3. 2. 힐리 크리스탈의 죽음
힐리 크리스탈(Hilly Kristal영어)은 2007년 8월 28일 폐암 합병증으로 사망했다.[23] 10월 초, 크리스탈의 가족과 친구들은 인근 YMCA에서 비공개 추모식을 열었고, 곧이어 CBGB 전 직원들과 다른 사람들의 기여로 공개 추모식이 열렸다.3. 3. 유산과 재개장 시도
CBGB의 상징적인 간판은 현재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전시되어 있다.[36] 2011년에는 익명의 투자자 그룹이 CBGB의 자산을 인수했다.[24]2012년 7월, 타임스 스퀘어와 센트럴 파크에서 대규모 무료 콘서트가 열리는 등 뉴욕 시내 곳곳에서 CBGB 페스티벌이 개최되었다.[37][38] 이 페스티벌에서는 수백 개의 밴드가 공연을 펼쳤고, 맨해튼 일대의 극장에서는 수십 편의 로큰롤 영화가 상영되었다.[39]
2013년에는 랜들 밀러가 감독하고 앨런 릭먼이 힐리 크리스탈 역을 맡은 영화 ''CBGB''가 개봉되었으나, 평론가들의 혹평을 받았다.[40][41][42][43]
2015년 12월에는 뉴어크 국제공항에 CBGB L.A.B. (라운지 앤 바)가 개장했다.[25][26]
4. 현재의 CBGB 자리

2007년 말, 패션 디자이너 존 바바토스(John Varvatos)는 CBGB가 있던 315 보워리에 매장을 열 계획을 세웠다.[27] CBGB의 유산을 기리기 위해 벽에는 로큰롤 스티커를 붙이고,[28] 화장실 낙서 대부분을 보존했으며, 1983년 클럽 10주년 기념 공연 공연 안내서 일부를 벽 뒤에서 발견하여 보존했다.[29] 매장은 2008년 4월에 문을 열었다.[30]
5. 한국 대중음악에 끼친 영향
CBGB가 미국 펑크 록과 뉴 웨이브 음악 씬에 끼친 영향은 1990년대 후반부터 홍대앞을 중심으로 형성된 한국의 인디 음악 씬과 라이브 클럽 문화 형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CBGB는 다양한 장르의 음악가들이 자유롭게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공간으로 기능하였다.
5. 1. 홍대 앞 라이브 클럽 문화
CBGB영어처럼 1990년대 후반부터 홍대앞을 중심으로 형성된 라이브 클럽들은 다양한 장르의 음악가들이 자유롭게 실험적인 음악을 선보이는 공간으로 기능하며 한국 대중음악의 다양성에 기여했다.5. 2. 인디 밴드의 성장
힐리 크리스탈은 뉴욕 시내에서 몇몇 유명 클럽의 매니저 등을 역임한 후, 뉴욕 다운타운에서 바를 경영했다. 1973년 이스트 빌리지 바워리에 있던 "힐리즈 온 바워리"(1969~1972)를 "CBGB & OMFUG"로 변경했다. "CBGB & OMFUG"는 "Country Bluegrass Blues and Other Music For Uplifting Gormandizers"의 약자로, 대부분 "CBGB"라고 불렸다. 크리스탈은 CBGB를 컨트리, 블루그래스, 블루스를 내세운 장소로 만들 생각이었지만, 이들을 연주하는 밴드가 적어 록을 중심으로 한 음악으로 빠르게 전환했고, 후에 펑크 무브먼트의 발생지로 유명해졌다.6. 유명 출연자
CBGB에서 공연한 유명 음악가 목록은 별도 문서로 분리되어 있다. 초기에는 텔레비전, 패티 스미스, 블론디, 라몬즈 등이 공연했다. 밍크 데빌, 토킹 헤즈, 리처드 헬 & 보이드, 딕테이터스, 조니 선더스 & 더 하트브레이커스, 데드 보이즈, 미스피츠 등도 CBGB 무대에 섰다.
참조
[1]
웹사이트
CBGB sounds its final note
http://www.cnn.com/2[...]
CNN
2016-05-18
[2]
서적
Television's Marquee Moon
Th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3]
웹사이트
Alchemy
http://www.nycgoth.c[...]
2018-07-20
[4]
웹사이트
Alchemy Gothic Mondays
https://absolution.n[...]
1996-09-09
[5]
뉴스
Playing in the neighborhood
https://www.nytimes.[...]
1993-12-19
[6]
뉴스
Pop And jazz guide
https://www.nytimes.[...]
2003-01-24
[7]
웹사이트
Yahoo Music coverage of concert
http://music.yahoo.c[...]
2008-07-26
[8]
웹사이트
CBGB now a festival, could reopen in new location
https://www.avclub.c[...]
The A.V. Club
2012-05-08
[9]
간행물
Q
Q (magazine)
2002
[10]
웹사이트
Official CBGB website
http://cbgb.com
2006-08-08
[11]
문서
Interview with Hilly
The mad Monks guide to NYC
1999
[12]
웹사이트
Debunking CBGB myths: An interview with Dana, Hilly Kristal's son
http://www.tinymixta[...]
Tiny Mix Tapes
2007-09-11
[13]
서적
Suicide: No Compromise
SAF Publishing
[14]
웹사이트
The Damned at CBGB: The Night Punk Was Officially Born in the USA
http://www.huffingto[...]
2010-11-02
[15]
웹사이트
NIGHTCLUBBING Archive by Pat Ivers and Emily Armstrong. MSS 305.
http://dlib.nyu.edu/[...]
2016-03-08
[16]
웹사이트
Debunking CBGB myths: An interview with Dana, Hilly Kristal's Son
http://www.tinymixta[...]
Tiny Mix Tapes
2007-09-11
[17]
뉴스
CBGB doesn't have to pay $90,000 in back rent, judge rules
http://www.mtv.com/n[...]
MTV News
2005-08-10
[18]
뉴스
Judge rules punk landmark CBGB doesn't owe back rent
http://www.ny1.com/c[...]
NY1
2005-08-11
[19]
웹사이트
CBGB to shut down on Sept. 30
http://www.billboard[...]
Billboard
2006-07-06
[20]
뉴스
Stars return in CBGB's last shows
http://news.bbc.co.u[...]
BBC News
2006-10-12
[21]
웹사이트
How far would you go to see a show
https://www.npr.org/[...]
NPR
2010-09-30
[22]
뉴스
CBGB Brings Down the Curtain With Nostalgia and One Last Night of Rock
https://www.nytimes.[...]
2006-10-16
[23]
웹사이트
CBGB St. Mark's shop closing at the end of June
http://blogs.village[...]
2008-03-25
[24]
웹사이트
The final CBGB settlement: Hilly Kristal's estate takes its last legal bow
http://blogs.village[...]
Village Voice
2009-06-16
[25]
간행물
CBGB to Reopen as Restaurant in Newark Airport
https://www.rollings[...]
2015-12-21
[26]
웹사이트
CBGB Is Reopening At Newark Airport, As A Restaurant
http://gothamist.com[...]
[27]
뉴스
A punk temple reborn: Would you like to see the $200 safety pins?
https://www.washingt[...]
2007-11-02
[28]
뉴스
Now Opening Saturday Special
http://ny.racked.com[...]
Racked.com
2008-01-14
[29]
뉴스
NY gallery keeps punk alive in old CBGB space
http://uk.reuters.co[...]
Reuters
2008-03-27
[30]
뉴스
At the former CBGB, the punks once played but the rich now pomp
https://www.nytimes.[...]
2008-04-19
[31]
뉴스
WilmerHale eyes 7 WTC
http://www.nypost.co[...]
New York Post
2011-03-08
[32]
웹사이트
Patagonia New York Bowery Store - 313 Bowery NY, NY 10003
http://www.patagonia[...]
2014-12-03
[33]
웹사이트
Wipe Out: Patagonia Closes its Bowery Surf Shop
https://boweryboogie[...]
2021-11-16
[34]
뉴스
Hobo Goes haute
http://www.nypost.co[...]
2008-03-25
[35]
문서
National Register of Historic Places Registration Form: The Bowery Historic District
http://www.nps.gov/h[...]
[36]
간행물
CBGB Awning Sells at Auction for $30,000
https://www.rollings[...]
2021-05-16
[37]
간행물
CBGB Festival Brings Veteran Bands Back to the Stage
https://www.rollings[...]
2021-05-16
[38]
뉴스
A Raucous Weekend for a Rock Club That's Long Gone
2012-07-08
[39]
웹사이트
About Us
https://www.cbgb.com[...]
2021-05-16
[40]
웹사이트
"CBGB'', new film tells the history of New York City's legendary club"
http://laughingsquid[...]
2013-05-07
[41]
웹사이트
CBGB (2013)
https://www.imdb.com[...]
imdb.com
2013-12-01
[42]
웹사이트
"'Punk rock' inventor Legs McNeil coming to Savannah post 'CBGB'"
http://savannahnow.c[...]
2013-12-01
[43]
웹사이트
If you thought CBGB's bathrooms were full of shit, check out the movie
http://dangerousmind[...]
2013-12-01
[44]
Youtube
NYC 2012 Olympics Promo Video
https://www.youtube.[...]
2016-04-09
[45]
웹사이트
A Los Angeles Social Diary
http://www.thedailyt[...]
2016-12-03
[46]
웹사이트
Old School Punk Star, by The Shapers
http://theshapers.ba[...]
2016-12-03
[47]
웹사이트
When checked against the CBGB women's room graffiti
https://genius.com/9[...]
2019-01-28
[48]
웹사이트
This ain't no Mudd Club, or C.B.G.B.
https://genius.com/1[...]
2022-11-01
[49]
Citation
The Heads (Ft. Debbie Harry & Johnette Napolitano) – Punk Lolita
https://genius.com/T[...]
2023-11-13
[50]
Citation
LCD Soundsystem – Losing My Edge
https://genius.com/L[...]
2022-12-16
[51]
웹사이트
Debunking CBGB Myths: An Interview with Dana Kristal
https://www.tinymixt[...]
2019-11-15
[52]
서적
Television's Marquee Moon
https://archive.org/[...]
The Continuum International Publishing Group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