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54년 베네수엘라에서 처음 개최된 남미의 20세 이하 축구 국가대표팀 간의 대회이다. 처음에는 19세 이하 대회로 시작하여 1977년부터 20세 이하 대회로 변경되었으며, FIFA U-20 월드컵의 예선을 겸하기도 했다. 브라질이 12회로 최다 우승을 차지했으며, 2년에 한 번씩 개최된다. 대회는 조별 리그와 결선 라운드로 진행되며, 우승팀과 FIFA U-20 월드컵 진출팀을 결정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 - 2007년 남미 U-20 축구 선수권 대회
2007년 남미 U-20 축구 선수권 대회는 남미 축구 연맹 소속 10개국 U-20 대표팀이 참가하여 2007년 FIFA U-20 월드컵과 2008년 하계 올림픽 축구 출전권을 놓고 경쟁한 대회로, 파라과이에서 개최되어 브라질이 아홉 번째 우승을 차지했으며, 브라질,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칠레가 FIFA U-20 월드컵 진출권을, 브라질과 아르헨티나는 베이징 올림픽 축구 본선 진출권을 획득했다. -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 - 2011년 남미 U-20 축구 선수권 대회
2011년 남미 U-20 축구 선수권 대회는 페루에서 남미 축구 연맹 소속 10개국이 참가하여 브라질이 우승했고, 상위 4개 팀과 개최국 콜롬비아가 2011년 FIFA U-20 월드컵에, 브라질과 우루과이가 2012년 하계 올림픽 축구에 진출했다. - 1954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야구 연맹 주관으로 아시아 국가들의 야구 실력 향상과 교류 증진을 목표하며 대한민국도 여러 차례 우승한 국제 야구 대회이다. - 1954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
유럽 야구 선수권 대회는 유럽 국가대표팀들이 참가하여 최강팀을 가리는 격년제 야구 대회로, 초기에는 이탈리아가 우승하며 시작되었고 이후 네덜란드가 야구 강국으로 부상하면서 A, B 그룹 리그 및 토너먼트 방식으로 진행되며 하위 토너먼트인 B, C 챔피언십을 통해 상위 리그 진출 기회를 얻는다. - CONMEBOL 대회에 관한 - 코파 아메리카
코파 아메리카는 남아메리카 축구 연맹 주관으로 10개의 CONMEBOL 회원국과 초청국을 포함한 12개 팀이 참가하는 남아메리카 국가 대항 축구 대회로,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가 최다 우승을 기록했다. - CONMEBOL 대회에 관한 - 남미 축구 연맹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은 1916년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 축구 협회가 모여 창립되었으며, 코파 아메리카 등 남미의 축구를 관할하는 10개국 회원국으로 구성된 기구이다.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이름 | CONMEBOL 수다메리카노 Sub20 |
다른 이름 | 토르네오 후벤투데스 데 아메리카 (Torneo Juventudes de América, 에스파냐어) 주벤투데 다 아메리카 (Juventude da América, 포르투갈어) 남아메리카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South American Youth Championship, 영어) 수다메리카노 Sub 20 (Sudamericano Sub 20, 에스파냐어) 캄페오나투 술 아메리카누 sub 20 (Campeonato Sul Americano sub 20, 포르투갈어) |
![]() | |
주최 | CONMEBOL |
창립 | 1954년 |
참가 팀 수 | 10개국 |
참가 자격 | FIFA U-20 월드컵 |
현재 챔피언 | (2023년) |
최다 우승 팀 | (12회 우승) |
웹사이트 | https://www.conmebol.com/conmebol-sub-20/ |
현재 대회 | 2023년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 |
아메리카 대회 여부 | 예 |
2. 역사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54년 베네수엘라에서 처음 개최되었다.[1] 처음에는 19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대회였으나, 1977년 제8회 대회부터 20세 이하로 연령 제한이 상향되었다. 이는 같은 해에 열린 제1회 월드 유스 선수권(현 FIFA U-20 월드컵)의 남미 지역 예선을 겸하기 위해서였다. 브라질이 이 대회에서 최다 우승(12회)을 차지했다.[1]
2007년부터는 올림픽 전년에 열리는 대회가 남미 예선을 겸했으나, 2020년 올림픽부터는 별도의 예선 대회를 통해 올림픽 출전팀을 가리게 되면서 2008년, 2012년, 2016년 올림픽에만 적용되었다.[2] 현재 대회는 2년 주기로 개최되고 있다.
2. 1. 대회 연혁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는 1954년 베네수엘라에서 처음 개최되었다.[1] 처음에는 19세 이하 선수들이 참가하는 대회였으나, 1977년부터 20세 이하 대회로 변경되었다.[1] 이는 같은 해에 열린 제1회 월드 유스 선수권(현 FIFA U-20 월드컵)의 남미 지역 예선을 겸하기 위해서였다.2007년부터 2016년까지는 올림픽 축구 남미 지역 예선을 겸하기도 했으나, 2020년 올림픽부터는 별도의 예선 대회를 통해 올림픽 출전팀을 가리게 되었다.[2]
대회는 현재 2년 주기로 개최되고 있으며,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 | 개최국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1954년 자세히 | |||||
1958년 자세히 | |||||
1964년 자세히 | |||||
1967년 자세히 | 1 | ||||
1971년 자세히 | 2 | ||||
1974년 자세히 | |||||
1975년 자세히 | |||||
1977년 자세히 | |||||
1979년 자세히 | |||||
1981년 자세히 | |||||
1983년 자세히 | |||||
1985년 자세히 | |||||
1987년 자세히 | |||||
1988년 자세히 | |||||
1991년 자세히 | |||||
1992년 자세히 | |||||
1995년 자세히 | |||||
1997년 자세히 | |||||
1999년 자세히 | |||||
2001년 자세히 | |||||
2003년 자세히 | |||||
2005년 자세히 | |||||
2007년 자세히 | |||||
2009년 자세히 | |||||
2011년 자세히 | |||||
2013년 자세히 | |||||
2015년 자세히 | |||||
2017년 자세히 | |||||
2019년 자세히 |
'''1''' 아르헨티나는 동전 던지기로 우승하였다.
'''2''' 파라과이는 준결승전 다득점으로 우승하였다.
2. 2. 대한민국과의 관계
2017년 FIFA U-20 월드컵은 대한민국에서 개최되었으며, 이 대회에서 남미 팀들은 뛰어난 경기력을 선보였다. 특히 베네수엘라는 준우승을 차지하며 깊은 인상을 남겼다.3. 대회 방식
모든 경기는 개최국에서 열리며, CONMEBOL 소속 10개 U-20 축구 국가대표팀이 각 대회에 참가한다(협회 중 탈퇴하는 곳이 없다면). 이 대회는 예선과 결선 라운드로 구성된다.
범례 |
---|
1위 – 우승 |
2위 – 준우승 |
3위 – 3위 |
4위 – 4위 |
QF – 8강 |
R2 – 2라운드 |
R1 – 1라운드 |
개최국 |
q – 다음 토너먼트 진출 |
3. 1. 예선
CONMEBOL 소속 10개 U-20 축구 국가대표팀이 각 대회에 참가한다(협회 중 탈퇴하는 곳이 없다면). 다섯 팀씩 두 그룹으로 나뉘어 각 팀은 리그전 방식으로 4경기를 치른다.[1] 각 조 상위 3개 팀은 결선 라운드에 진출한다.[1]3. 2. 결선 라운드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의 결선 라운드는 6개 팀이 풀 리그전 방식으로 경기를 진행하여 최종 순위에 따라 우승팀과 FIFA U-20 월드컵 진출팀을 결정한다. 대부분의 국제 대회와는 달리, 결승전이나 3-4위전, 토너먼트는 진행되지 않는다.[1]4. 역대 대회 결과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의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1954년부터 1975년까지는 U-19 팀이 참가하였고, 1977년부터 현재까지는 U-20 팀이 참가하고 있다.[1]
연도 | 개최국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1954년 | |||||
1958년 | |||||
1964년 | |||||
1967년 | |||||
1971년 | |||||
1974년 | |||||
1975년 | |||||
1977년 | |||||
1979년 | |||||
1981년 | |||||
1983년 | |||||
1985년 | |||||
1987년 | |||||
1988년 | |||||
1991년 | |||||
1992년 | |||||
1995년 | |||||
1997년 | |||||
1999년 | |||||
2001년 | |||||
2003년 | |||||
2005년 | |||||
2007년 | |||||
2009년 | |||||
2011년 | |||||
2013년 | |||||
2015년 | |||||
2017년 | |||||
2019년 | |||||
2023년 |
4. 1. 종합 성적
순위 | 국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참가 횟수 |
---|---|---|---|---|---|---|
1 | 브라질 | 12 | 7 | 3 | 2 | 30 |
2 | 우루과이 | 8 | 8 | 6 | 1 | 30 |
3 | 아르헨티나 | 5 | 8 | 8 | 2 | 30 |
4 | 콜롬비아 | 3 | 2 | 4 | 2 | 27 |
5 | 파라과이 | 1 | 5 | 7 | 4 | 30 |
6 | 에콰도르 | 1 | 1 | 0 | 4 | 25 |
7 | 베네수엘라 | 0 | 0 | 2 | 1 | 26 |
8 | 칠레 | 0 | 1 | 1 | 6 | 30 |
9 | 볼리비아 | 0 | 0 | 0 | 2 | 19 |
10 | 페루 | 0 | 0 | 0 | 5 | 29 |
4. 2. 역대 최다 득점자
대회 | 국가 | 선수 | 득점 |
---|---|---|---|
1954 | 후안 바티스타 아궤로 | 7 | |
1958 | 노르베르토 라포 | 5 | |
1964 | 하이메 브라보 | 5 | |
1967 | 카를로스 가르시아 캄본 | 3 | |
1971 | 리카르도 이슬라스 | 4 | |
크리스토발 말도나도 | |||
1974 | 에베르트 레베트리아 | 8 | |
1975 | 에베르트 레베트리아 | 4 | |
토니뉴 세레조 | |||
1977 | 아마로 나달 (fr) | 4 | |
기냐 | |||
1979 | 아르세니오 루사르도 | 4 | |
1981 | 엔초 프란체스콜리 | 5 | |
레라 | |||
1983 | 카를로스 아귈레라 | 7 | |
1985 | 호마리우 | 4 | |
1987 | 알레한드로 루소 | 4 | |
1988 | 아시스 | 5 | |
페레이라 | |||
1991 | 후안 에스나이데르 | 7 | |
1992 | 페르난도 코레아 | 5 | |
1995 | 레오나르도 비아지니 | 4 | |
1997 | 아다일톤 | 8 | |
1999 | 루시아노 갈레티 | 9 | |
2001 | 아드리아누 | 6 | |
에베르통 | |||
2003 | 페르난도 카베나기 | 8 | |
2005 | 우고 로다예가 | 11 | |
2007 | 에딘손 카바니 | 7 | |
2009 | 에르난 페레스 | 5 | |
로빈 라미레스 | |||
아벨 에르난데스 | |||
발테르 | |||
2011 | 네이마르 | 9 | |
2013 | 니콜라스 로페스 | 6 | |
2015 | 조반니 시메오네 | 9 | |
2017 | 로드리고 아마랄 | 5 | |
브라이언 카베자스 | |||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 |||
마르셀로 토레스 | |||
2019 | 레오나르도 캄파나 | 6 | |
2023 | 비토르 호케 | 6 | |
안드레이 산토스 |
5. FIFA U-20 월드컵 성적
대회 | 국가 | 선수 | 득점 |
---|---|---|---|
1977 | 아마로 나달 {{lang|fr|Amaro Nadal|} | } ||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