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미 축구 연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은 남아메리카의 축구 행정을 관장하는 기구이다. 1916년 아르헨티나에서 열린 남미 선수권 대회를 계기로 설립되었으며,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가 창립 회원국이다. 현재 베네수엘라까지 총 10개국이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으며, 가이아나, 수리남, 프랑스령 기아나는 지리적으로 남아메리카에 속하지만 CONMEBOL이 아닌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에 속한다. CONMEBOL은 코파 아메리카,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등 다양한 국가대표팀 및 클럽 대회를 주관하며, FIFA 월드컵에서 뛰어난 성적을 기록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CONMEBOL - 남아메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
남아메리카 올해의 축구 선수는 남아메리카에서 활약하는 선수 중 한 해 동안 가장 뛰어난 활약을 보인 선수에게 주어지는 상으로, 여러 기관에서 수여해 왔으며, 1986년부터 엘 파이스가 공식적으로 수여하고 2021년부터는 여자 선수에게도 수여한다. - 1916년 설립된 단체 - 미국교사연맹
미국교사연맹은 1916년 설립된 미국의 교사 노동조합으로, 초등학교 교사들을 중심으로 시작하여 대공황 시기에 회원 수가 증가했으며, 단체 교섭권 확보, 교육 자료 공유, 정치 활동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 1916년 설립된 단체 - SMPTE
SMPTE는 1916년에 설립된 국제 표준 개발 기구로, 영화 및 텔레비전 기술 관련 표준을 제정하고 디지털 시네마 기술 개발에 기여하며, 관련 산업 기여자에게 상을 수여한다.
남미 축구 연맹 | |
---|---|
일반 정보 | |
명칭 | 남미 축구 연맹 |
원어 명칭 | langx: "스페인어: Confederación Sudamericana de Fútbol" langx: "포르투갈어: Confederação Sul-Americana de Futebol" |
약칭 | CONMEBOL, CSF |
창립일 | 1916년 7월 9일 |
창립 장소 | 부에노스아이레스, 아르헨티나 |
유형 | 스포츠 조직 |
회원 | 10개 회원 협회 |
본부 | 루케, 파라과이 |
관할 지역 | 남아메리카 |
사용 언어 |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
상위 조직 | FIFA |
웹사이트 | 남미 축구 연맹 공식 웹사이트 |
![]() | |
![]() | |
![]() | |
조직 | |
회장 |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
부회장 | Laureano González (1st) 클라우디오 타피아 (2nd) Ramón Jesurún (3rd) |
사무총장 | 호세 아스티가라가 |
재무 | 롤란도 로페스 |
2. 역사
1916년, 후에 "코파 아메리카"로 알려지게 된 "Campeonato Sudamericano de Fútbol"(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의 첫 번째 대회인 1916년 남미 선수권 대회가 아르헨티나 독립 선언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아르헨티나에서 열렸다. 이 대회에 참가한 네 개의 축구 협회는 대회 조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배 기구를 공식적으로 만들기 위해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모였다. 따라서, CONMEBOL은 우루과이인 헥토르 리바다비아 고메스(Héctor Rivadavia Gómez)의 주도로 1916년 7월 9일 설립되었지만,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의 축구 협회들에 의해 승인되었다. 같은 해 12월 15일에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첫 번째 헌법 회의는 이 결정을 비준했다.[19]
수년에 걸쳐 남미의 다른 축구 협회들이 가입했으며, 마지막으로 1952년 베네수엘라가 가입했다. 가이아나, 수리남 및 프랑스의 해외 도서 지역인 프랑스령 기아나는 지리적으로는 남아메리카에 있지만 CONMEBOL의 일원이 아니다. 각각 전 영국령, 전 네덜란드령, 프랑스령인 이들은 주로 역사적, 문화적, 스포츠적 이유로 "카리브해" 연안 국가로서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의 일원이다. 10개 회원국으로 구성된 CONMEBOL은 가장 작은 규모이며, 완전한 대륙 육지 기반의 FIFA 연맹(섬나라 또는 다른 대륙의 준회원 없음)이다.
2. 1. 설립 배경
1916년, 아르헨티나가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우루과이, 브라질, 칠레의 각국 축구 협회를 초청하여 개최한 대회(비공식 코파 아메리카)가 시초이다.[19] 이 대회는 후에 "코파 아메리카"로 알려지게 된 "Campeonato Sudamericano de Fútbol"(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의 첫 번째 대회인 1916년 남미 선수권 대회였다. 이 대회에 참가한 네 개의 축구 협회는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모여 대회 조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배 기구를 공식적으로 만들었다. 헥토르 리바다비아 고메스(Héctor Rivadavia Gómez)의 주도로 1916년 7월 9일 CONMEBOL이 설립되었고,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의 축구 협회들이 승인하였다. 같은 해 12월 15일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첫 번째 헌법 회의는 이 결정을 비준했다.1919년 공식적으로 코파 아메리카(구칭: 남미 선수권 대회)를 시작하였다.[19] 1952년 베네수엘라가 가입한 이후로는 신규 가맹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19] 가이아나, 수리남, 프랑스령 기아나는 지리적으로 남아메리카 대륙에 위치하지만, CONMEBOL이 아닌 북중미카리브해축구연맹(CONCACAF) 및 그 산하 카리브해축구연합에 속해 있다.[19] 이는 CONMEBOL 가맹국이 모두 과거 스페인 또는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데 반해, 기아나 3국의 구 종주국은 각각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라는 역사적·문화적 차이가 있으며, 실제로 기아나 3국은 카리브해 국가들과의 연관성이 더 강하다는 사정이 있기 때문이다.[19]
2. 2. 회원국 확장
1916년, 아르헨티나가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우루과이, 브라질, 칠레의 각국 축구 협회를 초청하여 개최한 대회(비공식 코파 아메리카)가 시초이다.[19] 이 대회에 참가한 네 개의 축구 협회는 대회 조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지배 기구를 공식적으로 만들기 위해 부에노스아이레스에 모였다. 헥토르 리바다비아 고메스(Héctor Rivadavia Gómez)의 주도로 1916년 7월 9일 CONMEBOL이 설립되었고,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의 축구 협회들이 승인했다.[19] 같은 해 12월 15일에 몬테비데오에서 열린 첫 번째 헌법 회의는 이 결정을 비준했다.이후 1952년 베네수엘라가 가입하면서 현재 10개국 체제가 완성되었다.[19] 가이아나, 수리남, 프랑스령 기아나는 지리적으로 남아메리카에 있지만, CONMEBOL의 회원이 아니다.[19] 이들은 역사적, 문화적, 스포츠적 이유로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의 회원국이다.[19] CONMEBOL 가맹국이 모두 과거 스페인 또는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데 반해, 기아나 3국의 구 종주국은 각각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라는 역사적·문화적 차이가 있으며, 실제로 기아나 3국은 카리브해 국가들과의 연관성이 더 강하다.[19]
2. 3. 가입 제한 및 예외
1916년 아르헨티나가 독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우루과이, 브라질, 칠레의 각국 축구 협회를 초청하여 개최한 대회(비공식 코파 아메리카)가 시초이다.[19] 또한, 세계 최초로 설립된 축구 대륙 연맹이기도 하다. 10개 협회가 가맹하였다.[19] 1919년 공식적으로 코파 아메리카(구칭: 남미 선수권 대회)를 시작하였다.1952년 베네수엘라 가맹 이후로는 신규 가맹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가이아나, 수리남, 프랑스령 기아나의 “기아나 3국”은 남아메리카 대륙에 위치하지만, CONMEBOL이 아닌 북중미카리브해축구연맹(CONCACAF) 및 그 산하 카리브해축구연합에 속해 있다. 이는 CONMEBOL 가맹국이 모두 과거 스페인 또는 포르투갈의 식민지였던 데 반해, 기아나 3국의 구 종주국은 각각 영국, 네덜란드, 프랑스라는 역사적·문화적 차이가 있으며, 실제로 기아나 3국은 카리브해 국가들과의 연관성이 더 강하다는 사정이 있다.
3. 회원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에는 10개의 회원국이 있다. 각 회원국의 축구 협회는 FIFA 국가 코드로 구분되며, 창립, FIFA 가입, CONMEBOL 가입, IOC 회원 여부, 국가대표팀 정보가 아래 표에 정리되어 있다.
FIFA 국가 코드 | 축구 협회 | 창립 | FIFA 가입 | CONMEBOL 가입 | IOC 회원 | 국가대표팀 | ||||||||||||||||||||||||||||||||||||
---|---|---|---|---|---|---|---|---|---|---|---|---|---|---|---|---|---|---|---|---|---|---|---|---|---|---|---|---|---|---|---|---|---|---|---|---|---|---|---|---|---|---|
ARG |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 | 1893 | 1912 | 1916 | 1925 | 1926 | 1926 | 1914 | 1923 | 1916 | 1895 | 1913 | 1916 | 1924 | 1936 | 1936 | 1925 | 1926 | 1927 | 1906 | 1925 | 1921 | 1922 | 1924 | 1925 | 1900 | 1923 | 1916 | 1925 | 1952 | 1953 | {{yes/Federación Venezolana de Fútboles | 베네수엘라 |
아루바, 보네르, 퀴라소, 포클랜드 제도, 프랑스령 기아나, 가이아나, 수리남,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남아메리카에 위치하지만 CONMEBOL 회원이 아니다. 이들은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 회원이거나 어떤 연맹에도 가입되어 있지 않다. 포클랜드 제도 주민들은 영국 시민권을 가지므로 영국 본토 4개국 또는 아르헨티나 대표팀을 선택할 수 있다. CONMEBOL 회원국 중 FIFA 월드컵 본선 진출 경험이 없는 국가는 베네수엘라 뿐이다.
4. 임원
wikitable
이름 | 국적 | 직책 |
---|---|---|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 파라과이 | 회장[1][6][7] |
라우레아노 곤잘레스 | 베네수엘라 | 1부회장[1] |
클라우디오 타피아 | 아르헨티나 | 2부회장[1] |
라몬 헤수룬 | 콜롬비아 | 3부회장[1] |
호세 아스티가라가 | 파라과이 | 사무총장[6] |
4. 1. 현 임원
wikitable
4. 2. 역대 회장
wikitable기간 | 국적 | 이름 |
---|---|---|
1916–1936 | 22x20px | 에크토르 리바다비아 고메스 (Héctor Rivadavia Gómez) |
1939–1955 | 22x20px | 루이스 발렌수엘라 에르모시야 (Luis Valenzuela Hermosilla) |
1955–1957 | 22x20px | 카를로스 디트본 (Carlos Dittborn) |
1959–1961 | 22x20px | 페르민 소르에타 (Fermín Sorhueta) |
1986–2013 | 22x20px | 니콜라스 레오스 (Nicolás Léoz) |
2013–2014 | 22x20px | 우제니오 피게레도 (Eugenio Figueredo) |
2014–2015 | 22x20px | 후안 안헬 나포트 (Juan Ángel Napout) |
2016–현재 | 22x20px | 알레한드로 도밍게스 (Alejandro Domínguez) |
5. 주관 대회
wikitext
; 국가대표팀:
- 코파 아메리카
- CONMEBOL 남자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8]
- 남미 U-20 축구 선수권 대회
- 남미 U-17 축구 선수권 대회
- 남미 U-15 축구 선수권 대회
-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 남미 U-20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남미 U-17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코파 아메리카 드 풋살
- 남미 풋살 리그
- 남미 U-20 풋살 선수권 대회
- 남미 U-17 풋살 선수권 대회
-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드 풋살
- 남미 U-20 여자 풋살 선수권 대회
- 코파 아메리카 드 비치 사커
- 남미 비치 사커 리그
- 남미 U-20 비치 사커 선수권 대회
- 수페르클라시코 데 라스 아메리카스
; 클럽: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코파 수다메리카나
-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드 풋살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 드 풋살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드 풋볼 플라야
- U-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폐지된 대회:
-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코파 CONMEBOL
- 남미 챔피언십 오브 챔피언스
- 코파 가나도레스 데 코파
- 코파 데 오로
- 코파 메르코술
- 코파 메르코노르테
- 코파 마에스트로 데 수페르코파
- 코파 마에스트로 데 CONMEBOL
- FIFA 풋살 월드컵 예선
- FIFA 비치 사커 월드컵 예선
; 대륙간 대회:
- CONMEBOL–UEFA 챔피언스컵
- UEFA–CONMEBOL 클럽 챌린지
- 여자 피날리시마
- 풋살 피날리시마
- U-20 대륙간컵
; 폐지된 대회:
5. 1. 국가대표팀 대회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이 주관하는 남자 국가대표팀 주요 대회는 1916년에 시작된 코파 아메리카이다.[10][11][12] 코파 아메리카는 다른 대륙과 연맹의 팀들이 참가하도록 초청받을 수 있는 유일한 대륙 대회이다. CONMEBOL은 보통 아시아 축구 연맹(AFC) 또는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에서 몇몇 팀을 선발하여 초청한다. 일본과 카타르는 2019년 코파 아메리카에 초청받았다.[12]CONMEBOL은 CONMEBOL U-20 축구 선수권 대회, CONMEBOL U-17 축구 선수권 대회, CONMEBOL U-15 챔피언십과 같은 청소년 국가대표팀 대회도 운영한다. 여자 국가대표팀을 위한 대회로는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CONMEBOL U-20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CONMEBOL U-17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가 있다.
풋살 대회로는 코파 아메리카 데 풋살, CONMEBOL U-20 풋살 선수권 대회가 있으며, 여자 풋살 대회로는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데 풋살이 있다.
대회 | 연도 | 우승팀 | 타이틀 | 준우승팀 | 다음 대회 | ||||
---|---|---|---|---|---|---|---|---|---|
대륙간 대회 (CONMEBOL–UEFA) | |||||||||
챔피언스컵 | 2022 | 2회 | 2025 | ||||||
UEFA–CONMEBOL 클럽 챌린지 | 2023 | 세비야 | 1회 | 인데펜디엔테 델 발레 | 2024 | ||||
U-20 대륙간컵 | 2023 | 보카 주니어스 | 1회 | AZ | 2024 | ||||
풋살 피날리시마 | 2022 | 1회 | 2026 | ||||||
국가대표팀 | |||||||||
코파 아메리카 | 2024 (결승전) | 16회 | 2028 (결승전) | ||||||
올림픽 예선 토너먼트 | 2024 | 파라과이 | 2회 | 아르헨티나 | 2028 | ||||
U-20 선수권 대회 | 2023 | 12회 | 2025 | ||||||
U-17 선수권 대회 | 2023 | 13회 | 2025 | ||||||
U-15 선수권 대회 | 2023 | 3회 | 미정 | ||||||
코파 아메리카 풋살 | 2024 | 11회 | 2028 | ||||||
U-20 풋살 선수권 대회 | 2022 | 8회 | 2024 | ||||||
U-17 풋살 선수권 대회 | 2022 | 1회 | 2024 | ||||||
코파 아메리카 비치 사커 | 2023 | 3회 | 2025 | ||||||
비치 사커 리그 | 2023 | 2회 | 2024 | ||||||
U-20 비치 사커 선수권 대회 | 2023 | 1회 | 2025 | ||||||
여자 국가대표팀 | |||||||||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 2022 (결승전) | 8회 | 2025 (결승전) | ||||||
U-20 여자 선수권 대회 | 2024 | 브라질 | 10회 | 파라과이 | 2026 | ||||
U-17 여자 선수권 대회 | 2024 | 브라질 | 5회 | 콜롬비아 | 2026 | ||||
코파 아메리카 페메니나 풋살 | 2023 | 7회 | 2025 | ||||||
U-20 여자 풋살 선수권 대회 | 2024 | 1회 | 2026 |
5. 2. 클럽 대회
CONMEBOL은 남아메리카의 주요 클럽 대회를 운영한다. 코파 리베르타도레스는 1960년에 처음 개최되었고, 코파 수다메리카나는 1988년에 시작된 수페르코파 리베르타도레스의 간접적인 후계 대회로 CONMEBOL에 의해 2002년에 출범했다. 코파 CONMEBOL은 1992년에 시작되어 1999년에 폐지되었다. 여자 축구에서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가 2009년에 처음 개최되었다.레코파 수다메리카나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과 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팀 간의 연례 경기이며 1989년에 시작되었다. UEFA와 공동으로 대륙간컵을 주최하여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우승팀과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팀 간의 경기를 진행했다.
대회 | 연도 | 우승팀 | 타이틀 | 준우승팀 | 다음 대회 | ||||
---|---|---|---|---|---|---|---|---|---|
남자 |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2024 (결승전) | 보타포고 | 1회 | 아틀레치쿠 미네이루 | 2025 (결승전) | ||||
코파 수다메리카나 | 2024 (결승전) | 라싱 | 1회 | 크루제이루 | 2025 (결승전) | ||||
레코파 수다메리카나 | 플루미넨세 | 1회 | LDU 키토 | ), (2차전)}} | |||||
UEFA–CONMEBOL 클럽 챌린지 | 2023 | 세비야 | 1회 | 인데펜디엔테 델 발레 | 2024 | ||||
U-20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 2024 (결승전) | 플라멩구 | 1회 | 보카 주니어스 | 2025 (결승전) | ||||
U-20 대륙간컵 | 2023 | 보카 주니어스 | 1회 | AZ | 2024 |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데 풋살 | 2024 (결승전) | 마그누스 풋살 | 2회 | 바라카스 센트랄 | 2025 (결승전) |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데 풋볼 플레이아 | 2023 (결승전) | 산 안토니오 | 1회 | 프레시덴테 아예스 | 2024 (결승전) | ||||
여자 |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 | 2024 (결승전) | 코린치앙스 | 5회 | 산타페 | 2025 (결승전) | ||||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페메니나 데 풋살 | 2023 (결승전) | 슈타인 카스카벨 | 1회 | 올웨이즈 레디 | 2024 (결승전) |
5. 3. 폐지된 대회
코파 CONMEBOL, 코파 메르코수르, 코파 메르코노르테, 수페르코파 수다메리카나는 남미 축구 연맹에서 주관했던 클럽 대항전이었다. 인터콘티넨털컵은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유럽의 UEFA 챔피언스리그 우승 클럽들이 맞붙었던 대회이다. 코파 인테라메리카나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와 북중미 카리브해의 CONCACAF 챔피언스컵 우승 클럽들이 맞붙었다. 코파 마스테르 데 수페르코파, 코파 마스테르 데 CONMEBOL, 코파 데 오로는 과거의 여러 대회 우승 클럽들이 참가했던 대회이다. 코파 가나도레스 데 코파는 각국의 컵 대회 우승 클럽 또는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출전권이 없는 클럽들이 참가했다.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기록 | |||||||||||
---|---|---|---|---|---|---|---|---|---|---|---|
팀 | 1992 (4) | 1995 (6) | 1997 (8) | 1999 (8) | 2001 (8) | 2003 (8) | 2005 (8) | 2009 (8) | 2013 (8) | 2017 (8) | 년도 |
1위 | 2위 | • | • | • | × | 2위 | • | • | • | 3 | |
• | • | • | 조별리그 | • | • | • | • | • | • | 1 | |
• | × | 1위 | 2위 | 4위 | 조별리그 | 1위 | 1위 | 1위 | • | 7 | |
• | • | • | • | • | • | • | • | • | 2위 | 1 | |
• | • | • | • | • | 4위 | • | • | • | • | 1 | |
• | • | 4위 | • | • | • | • | • | 4위 | • | 2 | |
총계 (6개 팀) | 1 | 1 | 2 | 2 | 1 | 2 | 2 | 1 | 2 | 1 |
J리그컵/코파 수다메리카나 왕자 결정전은 J리그컵과 코파 수다메리카나 우승 클럽이 맞붙는 대회였다.
6. 국제 대회 기록
wikitext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회원국들은 FIFA 월드컵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브라질은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며,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도 각각 여러 번 우승을 차지했다.
FIFA 월드컵 기록 | |||||||||||||||||||||||||
---|---|---|---|---|---|---|---|---|---|---|---|---|---|---|---|---|---|---|---|---|---|---|---|---|---|
국가 | 1930 (13) | 1934 (16) | 1938 (15) | 1950 (13) | 1954 (16) | 1958 (16) | 1962 (16) | 1966 (16) | 1970 (16) | 1974 (16) | 1978 (16) | 1982 (24) | 1986 (24) | 1990 (24) | 1994 (24) | 1998 (32) | 2002 (32) | 2006 (32) | 2010 (32) | 2014 (32) | 2018 (32) | 2022 (32) | 2026 (48) | 년도 | |
/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8 | 2022 | 2026 | |||
2위 | 1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8강 | 2라운드 | 1위 | 2라운드 | 1위 | 2위 | 2라운드 | 8강 | 1라운드 | 8강 | 8강 | 2위 | 2라운드 | 1위 | 18 | |||||||
1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3 | ||||||||||||||||||||||
1라운드 | 1라운드 | 3위 | 2위 | 8강 | 1위 | 1위 | 1라운드 | 1위 | 4위 | 3위 | 2라운드 | 8강 | 2라운드 | 1위 | 2위 | 1위 | 8강 | 8강 | 4위 | 8강 | 8강 | 22 | |||
1라운드 | 1라운드 | 3위 | 1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9 | ||||||||||||||||
1라운드 | 2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8강 | 2라운드 | 6 | |||||||||||||||||||
1라운드 | 2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4 | |||||||||||||||||||||
1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1라운드 | 8강 | 8 | |||||||||||||||||
1라운드 | 8강 | 2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5 | ||||||||||||||||||||
1위 | 1위 | 4위 | 1라운드 | 8강 | 4위 | 1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1라운드 | 4위 | 2라운드 | 8강 | 1라운드 | 14 | |||||||||||
0 | |||||||||||||||||||||||||
총계 (10개국) | 7 | 2 | 1 | 5 | 2 | 3 | 5 | 4 | 3 | 4 | 3 | 4 | 4 | 4 | 4 | 5 | 5 | 4 | 5 | 6 | 5 | 4 | 미정 | 89 |
남미 축구 연맹은 1930년 우루과이 월드컵부터 2022년 카타르 월드컵까지 총 89번의 본선 진출 기록을 가지고 있다.
FIFA 여자 월드컵에서 남미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의 최고 성적은 브라질이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기록한 준우승이다. 브라질은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3위를 차지했고,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아르헨티나는 4회, 콜롬비아는 3회, 칠레와 에콰도르는 각각 1회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
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
---|---|---|---|---|---|---|---|---|---|---|---|
국가 | 1991 (12) | 1995 (12) | 1999 (16) | 2003 (16) | 2007 (16) | 2011 (16) | 2015 (24) | 2019 (24) | 2023 (32) | 2027 (32) | 출전횟수 |
아르헨티나 | 조별리그 | 조별리그 | 조별리그 | 조별리그 | 4 | ||||||
볼리비아 | 0 | ||||||||||
브라질 | 조별리그 | 조별리그 | 3위 | 8강 | 준우승 | 8강 | 16강 | 16강 | 조별리그 | 8강 | 10 |
칠레 | 조별리그 | 1 | |||||||||
콜롬비아 | 조별리그 | 16강 | 8강 | 3 | |||||||
에콰도르 | 조별리그 | 1 | |||||||||
파라과이 | 0 | ||||||||||
페루 | 0 | ||||||||||
우루과이 | 0 | ||||||||||
베네수엘라 | 0 | ||||||||||
합계 (5개국) | 1 | 1 | 1 | 2 | 2 | 2 | 3 | 3 | 3 | 3–5 |
남미 축구 연맹 회원국들은 FIFA U-20 월드컵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아르헨티나는 6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1979년 일본 대회에서 디에고 마라도나가 활약한 아르헨티나가 첫 우승을 차지한 이래, 1995년 카타르, 1997년 말레이시아, 2001년 아르헨티나, 2005년 네덜란드, 2007년 캐나다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브라질은 5번 우승하여 아르헨티나의 뒤를 잇고 있으며, 1983년 멕시코, 1985년 소련, 1993년 오스트레일리아, 2003년 아랍에미리트, 2011년 콜롬비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우루과이는 2023년 아르헨티나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
FIFA U-20 월드컵 기록 | |||||||||||||||||||||||||
---|---|---|---|---|---|---|---|---|---|---|---|---|---|---|---|---|---|---|---|---|---|---|---|---|---|
팀 | 1977 (16) | 1979 (16) | 1981 (16) | 1983 (16) | 1985 (16) | 1987 (16) | 1989 (16) | 1991 (16) | 1993 (16) | 1995 (16) | 1997 (24) | 1999 (24) | 2001 (24) | 2003 (24) | 2005 (24) | 2007 (24) | 2009 (24) | 2011 (24) | 2013 (24) | 2015 (24) | 2017 (24) | 2019 (24) | 2023 (24) | 년도 | |
1위 | R1 | 2위 | QF | R1 | 1위 | 1위 | R2 | 1위 | 4위 | 1위 | 1위 | QF | R1 | R1 | R2 | QF | 17 | ||||||||
3위 | QF | 1위 | 1위 | QF | 3위 | 2위 | 1위 | 2위 | QF | QF | QF | 1위 | 3위 | R2 | 2위 | 1위 | 2위 | QF | 19 | ||||||
4위 | R1 | R1 | R2 | 3위 | QF | 6 | |||||||||||||||||||
QF | R1 | QF | R1 | 3위 | R2 | QF | R2 | R2 | QF | QF | 11 | ||||||||||||||
R2 | R2 | R1 | 3위 | R2 | 5 | ||||||||||||||||||||
R1 | QF | R1 | R1 | R2 | 4위 | R2 | R2 | R2 | 9 | ||||||||||||||||
4위 | 3위 | QF | QF | R1 | QF | 2위 | 4위 | R2 | R2 | R1 | 2위 | R2 | 4위 | R2 | 1위 | 16 | |||||||||
R2 | 2위 | 2 | |||||||||||||||||||||||
총계 (8개 팀)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4 | 4 | 5 | 4 | 4 | 4 | 4 | 5 | 4 | 4 | 4 | 4 | 5 |
FIFA U-17 월드컵에서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 국가들의 최고 성적은 우승이다. 브라질은 1997년, 1999년, 2003년, 2019년에 우승을 차지하여 총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브라질은 2019년 FIFA U-17 월드컵을 개최하였다. 원래 2019년 대회는 페루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19년 2월 개최권을 박탈당했다.[16]
FIFA U-17 월드컵 기록 | ||||||||||||||||||||||
---|---|---|---|---|---|---|---|---|---|---|---|---|---|---|---|---|---|---|---|---|---|---|
팀 | 1985 (16) | 1987 (16) | 1989 (16) | 1991 (16) | 1993 (16) | 1995 (16) | 1997 (16) | 1999 (16) | 2001 (16) | 2003 (16) | 2005 (16) | 2007 (24) | 2009 (24) | 2011 (24) | 2013 (24) | 2015 (24) | 2017 (24) | 2019 (24) | 2023 (24) | 년도 | ||
R1 | QF | 3위 | R1 | 3위 | QF | 4위 | 3위 | QF | R2 | R2 | 4위 | R1 | R2 | 4위 | 15 | |||||||
R1 | R1 | 2 | ||||||||||||||||||||
3위 | R1 | QF | QF | 준우승 | 우승 | 우승 | QF | 우승 | 준우승 | R2 | R1 | 4위 | QF | QF | 3위 | 우승 | QF | 18 | ||||
3위 | R1 | R2 | R1 | R2 | 5 | |||||||||||||||||
R1 | R1 | 4위 | R2 | 4위 | R2 | 6 | ||||||||||||||||
R1 | 8강 | R2 | QF | R2 | R2 | 6 | ||||||||||||||||
QF | R1 | R1 | R2 | QF | 5 | |||||||||||||||||
R1 | QF | 2 | ||||||||||||||||||||
R1 | QF | R1 | QF | 준우승 | QF | 6 | ||||||||||||||||
R1 | R2 | 2 | ||||||||||||||||||||
총계 (10개 팀)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4 | 4 | 4 | 4 | 5 | 4 | 5 | 4 |
6. 1. FIFA 월드컵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회원국들은 FIFA 월드컵에서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브라질은 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며,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도 각각 여러 번 우승을 차지했다.FIFA 월드컵 기록 | |||||||||||||||||||||||||
---|---|---|---|---|---|---|---|---|---|---|---|---|---|---|---|---|---|---|---|---|---|---|---|---|---|
국가 | 1930 (13) | 1934 (16) | 1938 (15) | 1950 (13) | 1954 (16) | 1958 (16) | 1962 (16) | 1966 (16) | 1970 (16) | 1974 (16) | 1978 (16) | 1982 (24) | 1986 (24) | 1990 (24) | 1994 (24) | 1998 (32) | 2002 (32) | 2006 (32) | 2010 (32) | 2014 (32) | 2018 (32) | 2022 (32) | 2026 (48) | 년도 | |
/ | 1934 | 1938 | 1950 | 1954 | 1958 | 1962 | 1966 | 1970 | 1974 | 1978 | 1982 | 1986 | 1990 | 1994 | 1998 | 2002 | 2006 | 2010 | 2014 | 2018 | 2022 | 2026 | |||
2위 | 1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8강 | • | 2라운드 | 1위 | 2라운드 | 1위 | 2위 | 2라운드 | 8강 | 1라운드 | 8강 | 8강 | 2위 | 2라운드 | 1위 | 18 | ||||||
1라운드 | 1라운드 | • | • | • | • | • | • | • | • | 1라운드 | • | • | • | • | • | • | • | 3 | |||||||
1라운드 | 1라운드 | 3위 | 2위 | 8강 | 1위 | 1위 | 1라운드 | 1위 | 4위 | 3위 | 2라운드 | 8강 | 2라운드 | 1위 | 2위 | 1위 | 8강 | 8강 | 4위 | 8강 | 8강 | 22 | |||
1라운드 | 1라운드 | 3위 | 1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9 | ||||||||||||||||
1라운드 | 2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8강 | 2라운드 | 6 | |||||||||||||||||||
• | • | • | • | • | • | • | • | • | • | 1라운드 | 2라운드 | • | 1라운드 | • | 1라운드 | 4 | |||||||||
1라운드 | 1라운드 | 1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1라운드 | 8강 | • | 8 | ||||||||||||||||
1라운드 | • | • | 8강 | 2라운드 | 1라운드 | • | 1라운드 | 5 | |||||||||||||||||
1위 | 1위 | 4위 | 1라운드 | 8강 | 4위 | 1라운드 | 2라운드 | 2라운드 | 1라운드 | 4위 | 2라운드 | 8강 | 1라운드 | 1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0 | |||||||||||
총계 (10개국) | 7 | 2 | 1 | 5 | 2 | 3 | 5 | 4 | 3 | 4 | 3 | 4 | 4 | 4 | 4 | 5 | 5 | 4 | 5 | 6 | 5 | 4 | 미정 | 89 |
남미 축구 연맹은 1930년 우루과이 월드컵부터 2022년 카타르 월드컵까지 총 89번의 본선 진출 기록을 가지고 있다.
6. 2. FIFA 여자 월드컵
FIFA 여자 월드컵에서 남미 축구 연맹 소속 국가들의 최고 성적은 브라질이 2007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기록한 준우승이다. 브라질은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3위를 차지했고,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는 8강에 진출했다. 아르헨티나는 4회, 콜롬비아는 3회, 칠레와 에콰도르는 각각 1회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했다.FIFA 여자 월드컵 기록 | |||||||||||
---|---|---|---|---|---|---|---|---|---|---|---|
국가 | 1991 (12) | 1995 (12) | 1999 (16) | 2003 (16) | 2007 (16) | 2011 (16) | 2015 (24) | 2019 (24) | 2023 (32) | 2027 (32) | 출전횟수 |
아르헨티나 | • | • | 조별리그 | 조별리그 | • | • | 조별리그 | 조별리그 | 4 | ||
볼리비아 | • | • | • | • | • | • | • | • | 0 | ||
브라질 | 조별리그 | 조별리그 | 3위 | 8강 | 준우승 | 8강 | 16강 | 16강 | 조별리그 | 8강 | 10 |
칠레 | • | • | • | • | • | • | • | 조별리그 | • | 1 | |
콜롬비아 | • | • | • | 조별리그 | 16강 | • | 8강 | 3 | |||
에콰도르 | • | • | • | • | • | 조별리그 | • | • | 1 | ||
파라과이 | • | • | • | • | • | • | • | 0 | |||
페루 | • | • | • | • | • | • | • | 0 | |||
우루과이 | • | • | • | • | • | • | • | 0 | |||
베네수엘라 | • | • | • | • | • | • | • | • | 0 | ||
합계 (5개국) | 1 | 1 | 1 | 2 | 2 | 2 | 3 | 3 | 3 | 3–5 |
6. 3. FIFA U-20 월드컵
남미 축구 연맹 회원국들은 FIFA U-20 월드컵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아르헨티나는 6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1979년 일본 대회에서 디에고 마라도나가 활약한 아르헨티나가 첫 우승을 차지한 이래, 1995년 카타르, 1997년 말레이시아, 2001년 아르헨티나, 2005년 네덜란드, 2007년 캐나다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브라질은 5번 우승하여 아르헨티나의 뒤를 잇고 있으며, 1983년 멕시코, 1985년 소련, 1993년 오스트레일리아, 2003년 아랍에미리트, 2011년 콜롬비아 대회에서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우루과이는 2023년 아르헨티나 대회에서 첫 우승을 차지했다.FIFA U-20 월드컵 기록 | ||||||||||||||||||||||||
---|---|---|---|---|---|---|---|---|---|---|---|---|---|---|---|---|---|---|---|---|---|---|---|---|
팀 | 1977 (16) | 1979 (16) | 1981 (16) | 1983 (16) | 1985 (16) | 1987 (16) | 1989 (16) | 1991 (16) | 1993 (16) | 1995 (16) | 1997 (24) | 1999 (24) | 2001 (24) | 2003 (24) | 2005 (24) | 2007 (24) | 2009 (24) | 2011 (24) | 2013 (24) | 2015 (24) | 2017 (24) | 2019 (24) | 2023 (24) | 년도 |
• | 1위 | R1 | 2위 | • | • | QF | R1 | • | 1위 | 1위 | R2 | 1위 | 4위 | 1위 | 1위 | • | QF | • | R1 | R1 | R2 | QF | 17 | |
3위 | • | QF | 1위 | 1위 | QF | 3위 | 2위 | 1위 | 2위 | QF | QF | QF | 1위 | 3위 | R2 | 2위 | 1위 | • | 2위 | • | • | QF | 19 | |
• | • | • | • | • | 4위 | • | • | • | R1 | • | • | R1 | • | R2 | 3위 | • | • | QF | • | • | • | • | 6 | |
• | • | • | • | QF | R1 | QF | • | R1 | • | • | • | • | 3위 | R2 | • | • | QF | R2 | R2 | • | QF | QF | 11 | |
• | • | • | • | • | • | • | • | • | • | • | • | R2 | • | • | • | • | R2 | • | • | R1 | 3위 | R2 | 5 | |
R1 | QF | • | • | R1 | • | • | • | • | • | R1 | R2 | 4위 | R2 | • | • | R2 | • | R2 | • | • | • | • | 9 | |
4위 | 3위 | QF | QF | • | • | • | R1 | QF | • | 2위 | 4위 | • | • | • | R2 | R2 | R1 | 2위 | R2 | 4위 | R2 | 1위 | 1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2 | • | • | • | 2위 | • | • | 2 | |
총계 (8개 팀)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4 | 4 | 5 | 4 | 4 | 4 | 4 | 5 | 4 | 4 | 4 | 4 | 5 |
6. 4. FIFA U-17 월드컵
FIFA U-17 월드컵에서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소속 국가들의 최고 성적은 우승이다. 브라질은 1997년, 1999년, 2003년, 2019년에 우승을 차지하여 총 4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브라질은 2019년 FIFA U-17 월드컵을 개최하였다. 원래 2019년 대회는 페루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19년 2월 개최권을 박탈당했다.[16]FIFA U-17 월드컵 기록 | ||||||||||||||||||||
---|---|---|---|---|---|---|---|---|---|---|---|---|---|---|---|---|---|---|---|---|
팀 | 1985 (16) | 1987 (16) | 1989 (16) | 1991 (16) | 1993 (16) | 1995 (16) | 1997 (16) | 1999 (16) | 2001 (16) | 2003 (16) | 2005 (16) | 2007 (24) | 2009 (24) | 2011 (24) | 2013 (24) | 2015 (24) | 2017 (24) | 2019 (24) | 2023 (24) | 년도 |
R1 | • | QF | 3위 | R1 | 3위 | QF | • | 4위 | 3위 | • | QF | R2 | R2 | 4위 | R1 | • | R2 | 4위 | 15 | |
R1 | R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
3위 | R1 | QF | QF | • | 준우승 | 우승 | 우승 | QF | 우승 | 준우승 | R2 | R1 | 4위 | QF | QF | 3위 | 우승 | QF | 18 | |
• | • | • | • | 3위 | • | R1 | • | • | • | • | • | • | • | • | R2 | R1 | R2 | • | 5 | |
• | • | R1 | • | R1 | • | • | • | • | 4위 | • | R2 | 4위 | • | • | • | R2 | • | • | 6 | |
• | R1 | • | • | • | 8강 | • | • | • | • | • | • | R2 | • | QF | • | R2 | R2 | 6 | ||
• | • | • | • | • | • | • | QF | R1 | • | • | • | • | • | • | R1 | R2 | QF | • | 5 | |
• | • | • | • | • | • | • | • | • | • | R1 | QF | • | • | • | • | • | • | • | 2 | |
• | • | • | R1 | • | • | • | QF | • | • | R1 | • | QF | 준우승 | QF | • | • | • | • | 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R1 | • | • | • | R2 | 2 | |
총계 (10개 팀)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3 | 4 | 4 | 4 | 4 | 5 | 4 | 5 | 4 |
참조
[1]
웹사이트
El Comité Ejecutivo
https://www.conmebol[...]
2021-09-14
[2]
웹사이트
CONMEBOL nombra a José Manuel Astigarraga como nuevo Secretario General
https://www.conmebol[...]
2016-11-01
[3]
웹사이트
What is CONMEBOL (South America)?
https://analyisport.[...]
2024-05-24
[4]
웹사이트
La eliminatoria más difícil del mundo
http://espndeportes.[...]
2011-10-11
[5]
뉴스
South American WCQ toughest in world
https://www.espn.com[...]
2011-10-18
[6]
웹사이트
CONMEBOL
https://www.fifa.com[...]
FIFA
[7]
웹사이트
The Executive Committee
http://www.conmebol.[...]
CONMEBOL
[8]
웹사이트
Colombia será sede del Campeonato Sudamericano Preolímpico Sub-23 del 2020 CONMEBOL
http://www.conmebol.[...]
2018-08-14
[9]
웹사이트
Las competiciones oficiales de la Conmebol Las competiciones
http://conmebol.com/[...]
2015-08-19
[10]
웹사이트
The AFC
https://www.the-afc.[...]
[11]
웹사이트
Concacaf
https://www.concacaf[...]
2020-11-17
[12]
웹사이트
Copa América Brasil 2019 | CONMEBOL
https://www.conmebol[...]
[13]
웹사이트
World Football / Soccer Clubs Ranking
http://footballdatab[...]
FootballDatabase
[14]
웹사이트
Rankings – Men's National Teams
https://beachsoccer.[...]
[15]
웹사이트
1930 FIFA World Cup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Update on the FIFA U-17 World Cup 2019
https://www.fifa.com[...]
2019-02-22
[17]
뉴스
FIFA Officials Face Corruption Charges in US
https://www.nytimes.[...]
2015-05-27
[18]
뉴스
Arrest of soccer bosses creates power vacuum at CONMEBOL
https://eu.usatoday.[...]
2015-12-04
[19]
웹사이트
Las Asociaciones Nacionales de la CONMEBOL
http://www.conmebo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