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코파 아메리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코파 아메리카는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주관으로 개최되는 국가 대항 축구 대회이다. 1916년 아르헨티나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우루과이가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 1975년 대회부터 현재의 명칭을 사용하며, 1993년부터는 CONCACAF 소속팀을 초청하여 대회를 진행하고 있다. 대회는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단계로 진행되며,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가 각각 15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은 1999년, 2019년 대회에 초청받아 참가했으나 조별 리그에서 탈락했다. 대회 MVP, 득점왕, 최우수 골키퍼, 대회 베스트 팀, 페어플레이상 등 다양한 시상이 이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16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PGA 챔피언십
    PGA 챔피언십은 1916년 시작된 PGA 주관의 골프 메이저 대회로, 스트로크 플레이 방식으로 진행되며, 우승자에게는 와나메이커 트로피가 수여되고, 아마추어 없이 프로 골퍼들을 위한 대회이며, 잭 니클라우스와 월터 헤이건이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 CONMEBOL 대회에 관한 - 남미 축구 연맹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은 1916년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 축구 협회가 모여 창립되었으며, 코파 아메리카 등 남미의 축구를 관할하는 10개국 회원국으로 구성된 기구이다.
  • CONMEBOL 대회에 관한 - 코파 수다메리카나
    코파 수다메리카나는 남미 축구 연맹이 주관하는 클럽 축구 대회로, 코파 리베르타도레스 다음가는 남미 클럽 대항전이며,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진행되고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소속 클럽도 참가한 적이 있다.
  • 4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럭비 월드컵
    럭비 월드컵은 세계 럭비가 주관하는 럭비 유니온 최고 권위의 대회로, 4년마다 20개국이 참가하여 우승팀을 가리는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 중 하나이다.
  • 4년마다 열리는 스포츠 행사 - 크리켓 월드컵
    크리켓 월드컵은 국제 크리켓 협의회(ICC)가 주관하는 국제 원데이 국제 크리켓(ODI) 대회로, 오스트레일리아가 최다 우승국이며 세계적인 스포츠 이벤트이다.
코파 아메리카
기본 정보
코파 아메리카 로고
코파 아메리카 로고
정식 명칭CONMEBOL 코파 아메리카
다른 이름Americas Cup (영어)
Campeonato Sudamericano de Selecciones (스페인어)
Copa Sul-Americana de Futebol (포르투갈어)
주최CONMEBOL
창설1916년
지역남아메리카
참가 팀 수16 (2024년)
현재 챔피언(16번째 우승)
최다 우승 팀(16회 우승)
웹사이트copaamerica.com
대회 역사
1916년1916
1917년1917
1919년1919
1920년1920
1921년1921
1922년1922
1923년1923
1924년1924
1925년1925
1926년1926
1927년1927
1929년1929
1935년1935
1937년1937
1939년1939
1941년1941
1942년1942
1945년1945
1946년1946
1947년1947
1949년1949
1953년1953
1955년1955
1956년1956
1957년1957
1959년 (아르헨티나)1959 (A)
1959년 (에콰도르)1959 (E)
1963년1963
1967년1967
1975년1975
1979년1979
1983년1983
1987년1987
1989년1989
1991년1991
1993년1993
1995년1995
1997년1997
1999년1999
2001년2001
2004년2004
2007년2007
2011년2011
2015년2015
2016년2016
2019년2019
2021년2021
2024년2024
예정된 대회2028
관련 정보
참가 자격CONMEBOL-UEFA 컵 오브 챔피언스
팬아메리칸 챔피언십 (1952–1960)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1992–2017)
현재 대회코파 아메리카 2024

2. 역사

2. 1.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1916년 ~ 1967년)

1916년 우루과이가 우승을 차지한 첫 대회


남아메리카 최초의 축구팀인 리마 크리켓 앤 풋볼 클럽(Lima Cricket and Football Club)은 1859년 페루에서 창단되었으며,[7] 아르헨티나 축구 협회(Argentine Football Association)는 1893년에 설립되었다.[8] 20세기 초, 축구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남아메리카 대륙 국가 대표팀 간의 최초의 국제 대회가 1910년에 열렸다.[8] 당시 아르헨티나는 5월 혁명 10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를 개최했고, 칠레우루과이가 참가했지만, 이 대회는 CONMEBOL에서 공식 대회로 인정하지 않는다.

아르헨티나는 독립 100주년 기념으로 1916년 7월 2일부터 17일까지 대회를 개최하여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 브라질이 참가했다. 이 대회는 현재 코파 아메리카로 알려진 대회의 첫 번째 대회였으며, 우루과이는 에스타디오 레이싱 클럽(Estadio Racing Club) 아벨라네다에서 개최된 결승전에서 개최국 아르헨티나와 0-0으로 비긴 후 첫 대회에서 우승했다.[9]

대회의 성공에 힘입어 우루과이 축구 협회의 이사인 에크토르 리바다비아(Héctor Rivadavia Gómez)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칠레, 우루과이의 축구 협회 연합을 제안했고,[9] 7월 9일, 아르헨티나의 독립 기념일에 CONMEBOL이 설립되었다. 이듬해 우루과이에서 열린 대회에서 우루과이는 결승전에서 아르헨티나를 1-0으로 이기고 다시 우승하며 '비캄페오나토'(bicampeonato)를 달성했다.

브라질은 1919년에 첫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발생한 유행성 감기로 1918년 대회가 취소된 후,[10] 브라질은 1919년 대회를 개최했고, 우승을 결정하는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전년도 우승팀을 1-0으로 이기며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칠레의 비냐 델 마르에서는 1920년 대회가 열렸고, 우루과이가 우승했다.

1921년 대회에는 파라과이 축구 협회(Paraguayan Football Association)가 같은 해 CONMEBOL에 가입하면서 파라과이가 처음으로 참가했다. 아르헨티나는 훌리오 리보나티(Julio Libonatti)의 득점에 힘입어 처음으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몇 년 동안 우루과이는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축구 대회였던 이 대회를 지배했지만, 아르헨티나도 뒤처지지 않았고 '차루아'와 우승을 다퉈왔다. 암스테르담에서 열린 1928 하계 올림픽 축구 결승전에서 패한 후,[11] 아르헨티나는 1929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마지막 결정전에서 우루과이를 꺾고 설욕했다. 이 기간 동안 볼리비아페루는 각각 1926년과 1927년에 대회에 처음 참가했다.

1930년 우루과이에서 열린 첫 번째 월드컵 이후 우루과이와 아르헨티나 축구 연맹 간의 적대감으로 인해 대회가 여러 해 동안 열리지 못했다. 1935년에야 비로소 특별 대회가 열렸고, 공식적으로는 1939년에 재개되었다. 1939년 대회는 페루에서 개최되었으며, 페루는 이 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했다. 에콰도르는 이 대회에서 데뷔했다.

1941년에는 산티아고(Santiago de Chile) 건설 400주년을 기념하여 칠레가 대회를 개최했다. 이를 위해 새로 건설된 에스타디오 나시오날의 수용 인원이 3만 명에서 7만 명으로 확장되었다. 대규모 투자와 초기 팀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칠레는 마지막 경기에서 우승팀 아르헨티나에게 패했다. 우루과이는 1942년 대회를 개최하고 우승했다. 칠레는 1945년에 다시 대회를 개최했고, 아르헨티나와 우승을 다툴 뻔했지만 브라질이 그 가능성을 막았고, 아르헨티나는 다시 한번 칠레 땅에서 우승했다.

1957년 페루에서 열린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아르헨티나 대표팀의 별명인 "카라수시아스" ("더러운 얼굴들")


그 후 대회는 큰 혼란기에 접어들었다. 선수권 대회는 정기적으로 열리지 않았고, 많은 대회가 비공식적으로 간주되었지만 나중에 CONMEBOL에 의해 유효한 것으로 인정되었다. 아르헨티나는 1945년, 1946년, 1947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여 3연패를 달성한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한 팀이다. 이 세 번의 연례 토너먼트 이후, 대회는 2년, 그 후 3년, 그리고 나중에는 4년마다 개최되었다. 1959년에는 아르헨티나에서 한 번, 에콰도르에서 한 번, 두 번의 토너먼트가 열리기도 했다. 이 기간 동안 일부 국가 대표팀은 토너먼트에 무관심했다. 매년 참가하지 않은 팀도 있었고, 덜 중요한 팀을 보낸 팀도 있었다. 에콰도르에서 열린 1959년 대회에서는 브라질이 페르남부쿠 주의 팀을 출전시켰다. 볼리비아는 1963년에 자국에서 개최된 대회에서 처음으로 우승했지만, 1967년 대회의 첫 경기에서 데뷔팀인 베네수엘라에게 패했다. 1959년에 코파 리베르타도레스가 창설된 것도 참가자들이 토너먼트를 바라보는 방식에 영향을 미쳤다.

8년 만에 1975년에 대회가 재개되었고, 공식적으로 "코파 아메리카"라는 이름을 얻었다.

2. 2. 코파 아메리카 (1975년 ~ 현재)

1975년 코파 아메리카 대회는 8년 만에 재개되었으며, 공식적으로 "코파 아메리카"라는 명칭을 얻었다. 이 대회는 고정된 개최지 없이 모든 경기가 각 국가에서 연중 내내 진행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9개 팀이 조별 예선에 참가했고, 전 대회 우승팀은 준결승에 직행했다. 이 방식은 1987년까지 4년마다 유지되었다. 1979년 대회부터는 원칙적으로 4년마다 개최되었다. 그 후 1987년 아르헨티나 대회 이후로는 2년마다 개최로 변경되었지만, 2004년 페루 대회 이후 다시 4년마다 개최로 돌아왔다.

1986년, 남미 축구 연맹(CONMEBOL)은 대회 개최국을 한 국가로 정하고 격년제로 개최하기로 결정했다. 1987년부터 2001년까지 대회는 CONMEBOL 회원국 10개국이 순차적으로 돌아가며 2년마다 개최했다. 조별 예선은 유지되었지만, 결선 라운드는 새로운 최종 리그전 또는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자를 결정했다. 이러한 변화는 대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유럽과 북미에서도 TV 중계가 시작되었다.

1993년 에콰도르 대회부터는 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CONCACAF)에서 멕시코미국 두 나라를 초청했다. 이후 각 대회에서는 2개국(2001년 콜롬비아 대회는 아르헨티나가 참가를 포기했기 때문에 3개국)을 초청하고 있다. 1999년 파라과이 대회에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일본이 초청되기도 했다. 일본은 2011년 아르헨티나 대회에도 초청되었지만,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J리그 일정 변경 등의 이유로 출전을 포기했다.[39][40]

2015년 대회는 원래 브라질에서 개최될 예정이었으나, 2013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2014 FIFA 월드컵, 2016년 하계 올림픽 등 연이은 국제 스포츠 이벤트 개최로 인해 칠레와 개최권을 교환했다.

2016년에는 남미 축구 연맹(CONMEBOL)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미국에서 개최되었다. 이 대회는 남아메리카 이외 지역에서 처음으로 개최되었으며, CONMEBOL과 CONCACAF 소속 16개 팀이 참가하는 확대된 규모로 진행되었다.

2020년 코파 아메리카는 UEFA 유로 2020과 개최 시기를 맞추기 위해 짝수 해로 변경되었으나,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1년 연기되었다.[16][17]

3. 대회 방식

wikitext

== 현행 방식 ==

코파 아메리카는 창설 초기에는 참가국이 적어 개최국에서 단판 풀리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20년까지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만 참가했으나, 1921년부터 파라과이가, 1926년에는 볼리비아가, 1927년에는 페루가, 1939년에는 에콰도르가, 1945년에는 콜롬비아가 참가했다. 베네수엘라는 1967년부터 참가했으며, 이들 국가가 모두 참가한 첫 대회는 1975년 대회였다.

1975년 대회 명칭이 남미축구선수권대회에서 코파 아메리카로 변경되었고, 경기 방식도 풀리그에서 전년도 우승국을 제외한 3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조별 예선을 치른 후, 각 조 1위 팀과 전년도 우승국이 홈 앤드 어웨이 토너먼트로 결승전을 치르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세 번째 결승전은 다른 지역에서 열렸으며, 세 번의 결승 시합에서 우위를 점한 국가가 우승했다.

1987년부터는 개최국에 모여 3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각 팀당 한 번씩 경기를 치르고, 각 조 1위 팀과 전년도 우승 국가가 단판 토너먼트로 결승전을 치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3, 4위전도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1989년에는 5개 팀씩 2개 조로 나누어 단판 리그를 치르고, 각 조 1, 2위 팀이 다시 단판 리그를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993년부터는 CONMEBOL 소속 국가대표팀 외 2개국을 초청하여 4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단판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 2위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2개 팀이 단판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국을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이 방식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현행 코파 아메리카는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단계로 구성된다. 조별 리그에서는 12개 팀이 4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어 리그전을 치른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2개 팀, 총 8개 팀이 토너먼트 단계에 진출한다. 개최국을 포함한 3개 팀이 시드를 받고, 다른 시드 팀은 FIFA 랭킹을 기반으로 한 공식에 따라 선정된다. 나머지 팀들은 FIFA 랭킹을 기반으로 다른 포트에 배정되어 각 포트의 팀들이 무작위로 세 조에 배정된다.

1995년부터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 부여되며, 각 조에서 팀 순위는 다음 순서로 결정된다.

:a) 모든 조별 예선에서 획득한 점수의 합계가 가장 많은 팀;

:b) 모든 조별 예선에서의 골득실

:c) 모든 조별 예선에서 득점한 골 수가 가장 많은 팀;

위의 세 가지 기준으로 두 팀 이상이 동률인 경우, 다음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d) 해당 팀들 간의 조별 예선에서 획득한 점수의 합계가 가장 많은 팀;

:e) 해당 팀들 간의 조별 예선에서의 골득실;

:f) 해당 팀들 간의 모든 조별 예선에서 득점한 골 수가 가장 많은 팀;

:g) CONMEBOL 조직위원회의 추첨 (즉, 무작위 추첨);

토너먼트 단계는 8강전,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으로 구성된 단판 토너먼트이다. 8강전과 준결승전에서는 90분 후에도 동점일 경우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하고, 결승전에서는 연장전 후 승부차기를 사용한다.

코파 아메리카는 대륙별 챔피언을 가리는 대회 중 유일하게 예선이 없다.

== 과거 방식 ==

초창기에는 참가국이 많지 않아 개최국에 모여 단판 풀리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20년까지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만 참가했다. 이후 파라과이(1921년), 볼리비아(1926년), 페루(1927년), 에콰도르(1939년), 콜롬비아(1945년)가 순차적으로 합류했다. 베네수엘라는 1967년부터 참가했지만, 이들 국가가 모두 참가한 대회는 1975년부터였다.

1975년 대회 명칭이 남미축구선수권대회에서 코파 아메리카로 변경되었다. 경기 방식도 풀리그에서 전년도 우승국을 제외한 3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조별 예선을 치른 후, 각 조 1위와 전년도 우승국이 홈 앤드 어웨이 토너먼트로 결승까지 진행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세 번째 결승전은 타 지역에서 치러, 3번의 결승 시합에서 우위를 점한 국가가 우승했다.

1987년에는 개최국에 모여 3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각 팀당 한 번씩 경기하고, 조 1위와 전년도 우승 국가가 단판 토너먼트로 결승까지 치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때부터 3, 4위전도 시행되었다. 1989년에는 5개 팀씩 2개 조로 나누어 단판 리그를 치르고, 각 조 1, 2위 팀이 다시 단판 리그를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993년부터는 CONMEBOL 소속 외 2개국을 초청하여 4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단판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 2위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 좋은 2팀이 단판 토너먼트로 우승국을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이 방식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초기 대회에서는 모든 팀이 리그전 방식으로 경쟁했지만, 후기 대회에서는 여러 조로 나뉘어 단판 토너먼트 방식의 결승전을 치렀다.

3. 1. 현행 방식

코파 아메리카는 창설 초기에는 참가국이 적어 개최국에서 단판 풀리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20년까지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만 참가했으나, 1921년부터 파라과이가, 1926년에는 볼리비아가, 1927년에는 페루가, 1939년에는 에콰도르가, 1945년에는 콜롬비아가 참가했다. 베네수엘라는 1967년부터 참가했으며, 이들 국가가 모두 참가한 첫 대회는 1975년 대회였다.

1975년 대회 명칭이 남미축구선수권대회에서 코파 아메리카로 변경되었고, 경기 방식도 풀리그에서 전년도 우승국을 제외한 3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조별 예선을 치른 후, 각 조 1위 팀과 전년도 우승국이 홈 앤드 어웨이 토너먼트로 결승전을 치르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세 번째 결승전은 다른 지역에서 열렸으며, 세 번의 결승 시합에서 우위를 점한 국가가 우승했다.

1987년부터는 개최국에 모여 3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각 팀당 한 번씩 경기를 치르고, 각 조 1위 팀과 전년도 우승 국가가 단판 토너먼트로 결승전을 치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3, 4위전도 이때부터 시작되었다. 1989년에는 5개 팀씩 2개 조로 나누어 단판 리그를 치르고, 각 조 1, 2위 팀이 다시 단판 리그를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993년부터는 CONMEBOL 소속 국가대표팀 외 2개국을 초청하여 4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단판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 2위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2개 팀이 단판 토너먼트를 통해 우승국을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이 방식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년도참가팀경기 수방식
1916년464팀 리그전
1917년46
1919년467
1920년46
1921년46
1922년510115팀 리그전
1923년464팀 리그전
1924년46
1925년363팀 더블 리그전
1926년5105팀 리그전
1927년464팀 리그전
1929년46
1935년46
1937년615166팀 리그전
1939년5105팀 리그전
1941년510
1942년7217팀 리그전
1945년721
1946년6156팀 리그전
1947년8288팀 리그전
1949년82829
1953년721227팀 리그전
1955년6156팀 리그전
1956년615
1957년7217팀 리그전
721
5105팀 리그전
1963년7217팀 리그전
1967년6156팀 리그전
1975년1024253개 조(각 조 3팀), 준결승, 결승
(대회 내내 2차전 경기)
1979년102425
1983년1024
1987년10133개 조(각 조 3팀),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1989년10262개 조(각 조 5팀), 최종 4팀 리그전
1991년1026
1993년12263개 조(각 조 4팀), 8강전,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1995년1226
1997년1226
1999년1226
2001년1226
2004년1226
2007년1226
2011년1226
2015년1226
2016년16324개 조(각 조 4팀), 8강전,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2019년12263개 조(각 조 4팀), 8강전,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2021년10282개 조(각 조 5팀), 8강전,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2024년16324개 조(각 조 4팀), 8강전,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현행 코파 아메리카는 조별 리그와 토너먼트 단계로 구성된다. 조별 리그에서는 12개 팀이 4개 팀씩 3개 조로 나뉘어 리그전을 치른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이 좋은 2개 팀, 총 8개 팀이 토너먼트 단계에 진출한다. 개최국을 포함한 3개 팀이 시드를 받고, 다른 시드 팀은 FIFA 랭킹을 기반으로 한 공식에 따라 선정된다. 나머지 팀들은 FIFA 랭킹을 기반으로 다른 포트에 배정되어 각 포트의 팀들이 무작위로 세 조에 배정된다.

1995년부터 승리 시 3점, 무승부 시 1점, 패배 시 0점이 부여되며, 각 조에서 팀 순위는 다음 순서로 결정된다.

:a) 모든 조별 예선에서 획득한 점수의 합계가 가장 많은 팀;

:b) 모든 조별 예선에서의 골득실

:c) 모든 조별 예선에서 득점한 골 수가 가장 많은 팀;

위의 세 가지 기준으로 두 팀 이상이 동률인 경우, 다음 순서로 순위를 결정한다.

:d) 해당 팀들 간의 조별 예선에서 획득한 점수의 합계가 가장 많은 팀;

:e) 해당 팀들 간의 조별 예선에서의 골득실;

:f) 해당 팀들 간의 모든 조별 예선에서 득점한 골 수가 가장 많은 팀;

:g) CONMEBOL 조직위원회의 추첨 (즉, 무작위 추첨);

토너먼트 단계는 8강전,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으로 구성된 단판 토너먼트이다. 8강전과 준결승전에서는 90분 후에도 동점일 경우 승부차기로 승자를 결정하고, 결승전에서는 연장전 후 승부차기를 사용한다.

코파 아메리카는 대륙별 챔피언을 가리는 대회 중 유일하게 예선이 없다.

3. 2. 과거 방식

초창기에는 참가국이 많지 않아 개최국에 모여 단판 풀리그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20년까지는 브라질, 아르헨티나, 칠레, 우루과이만 참가했다. 이후 파라과이(1921년), 볼리비아(1926년), 페루(1927년), 에콰도르(1939년), 콜롬비아(1945년)가 순차적으로 합류했다. 베네수엘라는 1967년부터 참가했지만, 이들 국가가 모두 참가한 대회는 1975년부터였다.

1975년 대회 명칭이 남미축구선수권대회에서 코파 아메리카로 변경되었다. 경기 방식도 풀리그에서 전년도 우승국을 제외한 3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조별 예선을 치른 후, 각 조 1위와 전년도 우승국이 홈 앤드 어웨이 토너먼트로 결승까지 진행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세 번째 결승전은 타 지역에서 치러, 3번의 결승 시합에서 우위를 점한 국가가 우승했다.

1987년에는 개최국에 모여 3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각 팀당 한 번씩 경기하고, 조 1위와 전년도 우승 국가가 단판 토너먼트로 결승까지 치르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이때부터 3, 4위전도 시행되었다. 1989년에는 5개 팀씩 2개 조로 나누어 단판 리그를 치르고, 각 조 1, 2위 팀이 다시 단판 리그를 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1993년부터는 CONMEBOL 소속 외 2개국을 초청하여 4개 팀씩 3개 조로 나누어 단판 리그를 치른 후, 각 조 1, 2위 팀과 각 조 3위 팀 중 성적 좋은 2팀이 단판 토너먼트로 우승국을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고, 이 방식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

초기 대회에서는 모든 팀이 리그전 방식으로 경쟁했지만, 후기 대회에서는 여러 조로 나뉘어 단판 토너먼트 방식의 결승전을 치렀다.

년도참가팀경기 수방식
1916년464팀 리그전
1917년46
1919년47
1920년46
1921년46
1922년5115팀 리그전
1923년464팀 리그전
1924년46
1925년363팀 더블 리그전
1926년5105팀 리그전
1927년464팀 리그전
1929년46
1935년46
1937년6166팀 리그전
1939년5105팀 리그전
1941년510
1942년7217팀 리그전
1945년721
1946년6156팀 리그전
1947년8288팀 리그전
1949년829
1953년7227팀 리그전
1955년6156팀 리그전
1956년615
1957년7217팀 리그전
1959년 (아르헨티나)/1959 South American Championship (Argentina)영어721
1959년 (에콰도르)/1959 South American Championship (Ecuador)영어5105팀 리그전
1963년7217팀 리그전
1967년6156팀 리그전
1975년10253개 조(각 조 3팀), 준결승, 결승
(대회 내내 2차전 경기)
1979년1025
1983년1024
1987년10133개 조(각 조 3팀),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1989년10262개 조(각 조 5팀), 최종 4팀 리그전
1991년1026
1993년12263개 조(각 조 4팀), 8강전,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1995년1226
1997년1226
1999년1226
2001년1226
2004년1226
2007년1226
2011년1226
2015년1226
2016년16324개 조(각 조 4팀), 8강전,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2019년12263개 조(각 조 4팀), 8강전,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2021년10282개 조(각 조 5팀), 8강전,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2024년16324개 조(각 조 4팀), 8강전, 준결승, 3위 결정전, 결승


4. 역대 대회 결과

1916년 아르헨티나에서 처음으로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42] 초대 챔피언은 우루과이였다.[42] 이후 1967년까지 총 29번의 대회가 열렸다.

}

|
테두리

우루과이

|
테두리

아르헨티나

|
테두리

브라질

|
테두리

칠레

|-

|2회

|1917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칠레

|-style="background: #D0E6FF;"

|3회

|1919

|

|
브라질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칠레

|-

|4회

|1920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칠레

|-style="background: #D0E6FF;"

|5회

|1921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우루과이

|
테두리

파라과이

|-

|6회

|1922

|

|
브라질

|
파라과이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style="background: #D0E6FF;"

|7회

|1923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
브라질

|-

|8회

|1924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
칠레

|-style="background: #D0E6FF;"

|9회

|1925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파라과이

|'''4위 없음'''

|-

|10회

|1926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style="background: #D0E6FF;"

|11회

|1927

|

|
아르헨티나

|
우루과이

|
테두리

페루

|
테두리

볼리비아

|-

|12회

|1929

|

|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
우루과이

|
페루

|-style="background: #D0E6FF;"

|13회

|1935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페루

|
칠레

|-

|14회

|1937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우루과이

|
파라과이

|-style="background: #D0E6FF;"

|15회

|1939

|

|
페루

|
우루과이

|
파라과이

|
칠레

|-

|16회

|1941

|

|
아르헨티나

|
우루과이

|
칠레

|
페루

|-style="background: #D0E6FF;"

|17회

|1942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파라과이

|-

|18회

|1945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칠레

|
우루과이

|-style="background: #D0E6FF;"

|19회

|1946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파라과이

|
우루과이

|-

|20회

|1947

|

|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
우루과이

|
칠레

|-style="background: #D0E6FF;"

|21회

|1949

|

|
브라질

|
파라과이

|
페루

|
볼리비아

|-

|22회

|1953

|

|
파라과이

|
브라질

|
우루과이

|
칠레

|-style="background: #D0E6FF;"

|23회

|1955

|

|
아르헨티나

|
칠레

|
테두리

페루

|
우루과이

|-

|24회

|1956

|

|
우루과이

|
칠레

|
아르헨티나

|
브라질

|-style="background: #D0E6FF;"

|25회

|1957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우루과이

|
페루

|-

|26회

|1959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테두리

파라과이

|
페루

|-style="background: #D0E6FF;"

|27회

|1959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테두리

에콰도르

|-

|28회

|1963

|

|
볼리비아

|
테두리

파라과이

|
아르헨티나

|
테두리

브라질

|-style="background: #D0E6FF;"

|29회

|1967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

대회는 초창기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국 수는 3개국에서 최대 8개국까지 다양했다. 1935년 대회[43], 1941년 대회[44], 1945년 대회[45], 1946년 대회[46], 1956년 대회[47], 1959년 대회[48]는 특별 대회로 개최되었다.

4. 1.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1916년 ~ 1967년)

1916년 아르헨티나에서 처음으로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가 개최되었다.[42] 초대 챔피언은 우루과이였다.[42] 이후 1967년까지 총 29번의 대회가 열렸다.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회차연도개최국4강팀
우승준우승3위4위
1회1916{{국기나라|아르헨티나|}
}

|'''|100x20px|테두리]]
우루과이'''

||100x20px|테두리]]
아르헨티나

||100x20px|테두리]]
브라질

||100x20px|테두리]]
칠레

|-

|2회

|1917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칠레

|-style="background: #D0E6FF;"

|3회

|1919

|

|'''
브라질'''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칠레

|-

|4회

|1920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칠레

|-style="background: #D0E6FF;"

|5회

|1921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우루과이

||100x20px|테두리]]
파라과이

|-

|6회

|1922

|

|'''
브라질'''

|
파라과이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style="background: #D0E6FF;"

|7회

|1923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
브라질

|-

|8회

|1924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
칠레

|-style="background: #D0E6FF;"

|9회

|1925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파라과이

|'''4위 없음'''

|-

|10회

|1926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style="background: #D0E6FF;"

|11회

|1927

|

|'''
아르헨티나'''

|
우루과이

||100x20px|테두리]]
페루

||100x20px|테두리]]
볼리비아

|-

|12회

|1929

|

|'''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
우루과이

|
페루

|-style="background: #D0E6FF;"

|13회

|1935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페루

|
칠레

|-

|14회

|1937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우루과이

|
파라과이

|-style="background: #D0E6FF;"

|15회

|1939

|

|'''
페루'''

|
우루과이

|
파라과이

|
칠레

|-

|16회

|1941

|

|'''
아르헨티나'''

|
우루과이

|
칠레

|
페루

|-style="background: #D0E6FF;"

|17회

|1942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파라과이

|-

|18회

|1945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칠레

|
우루과이

|-style="background: #D0E6FF;"

|19회

|1946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파라과이

|
우루과이

|-

|20회

|1947

|

|'''
아르헨티나'''

|
파라과이

|
우루과이

|
칠레

|-style="background: #D0E6FF;"

|21회

|1949

|

|'''
브라질'''

|
파라과이

|
페루

|
볼리비아

|-

|22회

|1953

|

|'''
파라과이'''

|
브라질

|
우루과이

|
칠레

|-style="background: #D0E6FF;"

|23회

|1955

|

|'''
아르헨티나'''

|
칠레

||100x20px|테두리]]
페루

|
우루과이

|-

|24회

|1956

|

|'''
우루과이'''

|
칠레

|
아르헨티나

|
브라질

|-style="background: #D0E6FF;"

|25회

|1957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우루과이

|
페루

|-

|26회

|1959

|

|'''
아르헨티나'''

|
브라질

||100x20px|테두리]]
파라과이

|
페루

|-style="background: #D0E6FF;"

|27회

|1959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브라질

||100x20px|테두리]]
에콰도르

|-

|28회

|1963

|

|'''
볼리비아'''

||100x20px|테두리]]
파라과이

|
아르헨티나

|||100x20px|테두리]]
브라질

|-style="background: #D0E6FF;"

|29회

|1967

|

|'''
우루과이'''

|
아르헨티나

|
칠레

|
파라과이

|}

대회는 초창기 리그전 방식으로 진행되었으며, 참가국 수는 3개국에서 최대 8개국까지 다양했다. 1935년 대회[43], 1941년 대회[44], 1945년 대회[45], 1946년 대회[46], 1956년 대회[47], 1959년 대회[48]는 특별 대회로 개최되었다.

4. 2. 코파 아메리카 (1975년 ~ 현재)

1975년 대회부터 대회 명칭이 '남미 선수권 대회'에서 '코파 아메리카'로 변경되었다. 1975년, 1979년, 1983년 대회는 특정 개최국 없이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경기가 진행되었다. 이 세 대회에서는 3위 결정전이 열리지 않았고, 4강에 진출한 두 팀이 공동 3위로 기록되었다.

1987년 대회부터는 CONMEBOL 회원국들이 돌아가면서 대회를 개최하는 방식이 도입되었다. 1993년 대회부터는 CONMEBOL 소속 10개 팀 외에 다른 대륙 연맹(주로 CONCACAF) 소속 2개 팀을 초청하여 총 12개 팀이 참가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16년에는 코파 아메리카 100주년을 기념하여 미국에서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가 개최되었으며, 이 대회에는 CONMEBOL 10개 팀과 CONCACAF 6개 팀, 총 16개 팀이 참가했다.

1975년 대회에서는 페루콜롬비아를 꺾고 우승했으며, 1979년 대회에서는 파라과이칠레를 누르고 우승을 차지했다. 1983년 대회에서는 우루과이브라질을 꺾고 우승했다. 1987년 아르헨티나 대회에서는 우루과이가 칠레를 1-0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3-4위전에서는 콜롬비아가 디에고 마라도나가 이끌던 아르헨티나를 2-1로 이겼다.

1989년 브라질 대회에서는 브라질이 우루과이를 1-0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아르헨티나와 파라과이가 각각 3, 4위를 차지했다. 1991년 칠레 대회에서는 아르헨티나가 브라질을 3-2로 꺾고 우승했으며, 칠레와 콜롬비아가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 1993년 에콰도르 대회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초청팀 멕시코를 2-1로 이기고 우승했으며, 콜롬비아와 에콰도르가 각각 3, 4위를 차지했다. 1995년 우루과이 대회에서는 우루과이가 브라질과 1-1 무승부 후 승부차기(5-3) 끝에 우승했으며, 콜롬비아와 초청팀 미국이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

1997년 볼리비아 대회에서는 브라질이 홈팀 볼리비아를 3-1로 꺾고 우승했으며, 멕시코와 페루가 각각 3, 4위를 차지했다. 1999년 파라과이 대회에서는 브라질이 우루과이를 3-0으로 완파하고 우승했으며, 멕시코와 칠레가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 2001년 콜롬비아 대회에서는 콜롬비아가 멕시코를 1-0으로 꺾고 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온두라스와 우루과이가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 2004년 페루 대회에서는 브라질이 아르헨티나와 2-2 무승부 후 승부차기(4-2) 끝에 우승했으며, 우루과이와 콜롬비아가 각각 3, 4위를 차지했다.

2007년 베네수엘라 대회에서는 브라질이 아르헨티나를 3-0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멕시코와 우루과이가 각각 3, 4위를 차지했다. 2011년 아르헨티나 대회에서는 우루과이가 파라과이를 3-0으로 완파하고 우승했으며, 페루와 베네수엘라가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 2015년 칠레 대회에서는 칠레가 아르헨티나와 0-0 무승부 후 승부차기(4-1) 끝에 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으며, 페루와 파라과이가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

2016년 코파 아메리카 센테나리오에서는 칠레가 아르헨티나와 0-0 무승부 후 승부차기(4-2) 끝에 2연패를 달성했으며, 콜롬비아와 미국이 각각 3, 4위를 차지했다. 2019년 브라질 대회에서는 브라질이 페루를 3-1로 꺾고 우승했으며, 아르헨티나와 칠레가 각각 3, 4위를 차지했다. 2021년 브라질 대회에서는 아르헨티나가 브라질을 1-0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콜롬비아와 페루가 각각 3, 4위를 기록했다. 2024년 미국 대회에서는 아르헨티나가 콜롬비아를 연장전 끝에 1-0으로 꺾고 우승했으며, 우루과이와 초청팀 캐나다가 승부차기 끝에 각각 3, 4위를 차지했다.

5. 통계

(2024년 기준)

남미 축구 선수권 대회
회차연도개최국4강팀
우승준우승3위4위
1회1916{{국기나라|아르헨티나|} 첫 출전
아르헨티나441916년
볼리비아291926년
브라질381916년
칠레411916년
콜롬비아241945년
에콰도르301939년
파라과이391921년
페루341927년
우루과이461916년
베네수엘라201967년



;초청 국가

국가출전 횟수첫 출전최근 출전
CONCACAF
캐나다12024년
코스타리카61997년2024년
아이티12016년
온두라스12001년
자메이카32015년2024년
멕시코111993년2024년
파나마22016년2024년
미국51993년2024년
AFC
일본21999년2019년
카타르12019년



아르헨티나는 16번의 우승, 14번의 준우승을 기록하며 최다 우승, 최다 준우승, 최다 4강 진출(37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우루과이는 15번 우승하여 아르헨티나의 뒤를 잇고 있으며, 브라질이 9번의 우승으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파라과이, 칠레, 페루는 각각 2번의 우승을 차지했고, 콜롬비아와 볼리비아는 각각 1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초청 국가 중에서는 멕시코가 2번의 준우승으로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5. 1. 국가별 통산 성적

1916년 아르헨티나 대회부터 2016년 미국 대회까지 총 45회의 코파 아메리카에서 각 국가가 기록한 성적을 순위별로 나열한 통계표다. 남미 10개국은 자동 진출하며, 1993년부터 타 대륙 국가들도 초청받아 참가하고 있다. 멕시코, 코스타리카, 미국, 온두라스, 일본 등이 초청국으로 참가했다.

순위 결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승리 3점, 무승부 1점, 패배 0점으로 계산한다. (1993년까지는 승리가 2점이었지만 전부 3점으로 처리)
  • 승점이 많을수록 상위권에 랭크
  • 승점이 같으면 '''골득실 > 다득점 순'''으로 랭크
  • 굵은 글씨(숫자)는 각 기록에서 가장 높은 순위


순위국가승점진출 횟수경기 횟수무*득점실점득실차평균 점수최고 순위
1406421951224033462179+2832.11우승 (15)
2358431971083455399218+1811.82우승 (15)
333235178993544405200+2051.87우승 (9)
422536168623967253293-401.34우승 (2)
522339178643183285304-231.24 우승(2)
619731148543559213232-191.33 우승(2)
715021113422447131184-531.33 우승(1)
88726112202765104279-1750.78 우승(1)
97010481913166662+41.46준우승
107027118162280127311-1840.594위
113417627134247171-1240.554위
12185175391731-141.068강
131741852111829-110.944위
14101631275+21.673위
15313102410-61.00조별예선
16326033615-90.33조별예선
1702600609-90.00조별예선
18013003112-110.00조별예선



;정규 참가국

국가출전 횟수
(2024년 기준)
첫 출전
아르헨티나441916년
볼리비아291926년
브라질381916년
칠레411916년
콜롬비아241945년
에콰도르301939년
파라과이391921년
페루341927년
우루과이461916년
베네수엘라201967년



;초청 국가

국가출전 횟수첫 출전최근 출전
CONCACAF
캐나다12024년
코스타리카61997년2024년
아이티12016년
온두라스12001년
자메이카32015년2024년
멕시코111993년2024년
파나마22016년2024년
미국51993년2024년
AFC
일본21999년2019년
카타르12019년



아르헨티나는 16번의 우승, 14번의 준우승을 기록하며 최다 우승, 최다 준우승, 최다 4강 진출(37회)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우루과이는 15번 우승하여 아르헨티나의 뒤를 잇고 있으며, 브라질이 9번의 우승으로 그 뒤를 따르고 있다. 파라과이, 칠레, 페루는 각각 2번의 우승을 차지했고, 콜롬비아와 볼리비아는 각각 1번의 우승을 기록했다. 초청 국가 중에서는 멕시코가 2번의 준우승으로 가장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5. 2. 국가별 우승 횟수



코파 아메리카에서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한 국가는 아르헨티나와 우루과이로, 각각 15회 우승을 기록했다. 아르헨티나는 1921년 첫 우승을 시작으로 1925년, 1927년, 1929년, 1937년, 1941년, 1945년, 1946년, 1947년, 1955년, 1957년, 1959년, 1991년, 1993년, 2021년 그리고 2024년에 우승을 차지하였다. 우루과이는 1916년 첫 우승을 시작으로 1917년, 1920년, 1923년, 1924년, 1926년, 1935년, 1942년, 1956년, 1959년, 1967년, 1983년, 1987년, 1995년, 2011년에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브라질은 9회 우승으로 그 뒤를 잇고 있으며, 1919년, 1922년, 1949년, 1989년, 1997년, 1999년, 2004년, 2007년, 2019년에 우승했다. 파라과이, 칠레, 페루는 각각 2회 우승을, 볼리비아와 콜롬비아는 각각 1회 우승을 기록했다.

횟수국가년도
16회아르헨티나1921, 1925, 1927, 1929, 1937, 1941, 1945, 1946, 1947, 1955, 1957, 1959, 1991, 1993, 2021, 2024
15회우루과이1916, 1917, 1920, 1923, 1924, 1926, 1935, 1942, 1956, 1959, 1967, 1983, 1987, 1995, 2011
9회브라질1919, 1922, 1949, 1989, 1997, 1999, 2004, 2007, 2019
2회페루1939, 1975
파라과이1953, 1979
칠레2015, 2016
1회볼리비아1963
콜롬비아2001


5. 3. 개인 통산 득점

순위선수명득점수
122x15px 지지뉴17
22x15px 노르베르토 멘데스
322x15px 테오도로 페르난데스15
22x15px 세베리노 바렐라
522x15px 파올로 게레로14
22x15px 에두아르도 바르가스
22x15px 리오넬 메시
822x15px 에크토르 스카로네13
22x15px 호세 마누엘 모레노
22x15px 아데미르
22x15px 자이르지뉴
22x15px 가브리엘 바티스투타


6. 대한민국과 코파 아메리카

대한민국은 코파 아메리카에 초청국 자격으로 참가했다. 1999년 대회에 처음 초청되어 1무 2패로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56] 2011년 대회에도 초청되었으나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으로 불참했다. 2019년 대회에는 아시아 축구 연맹(AFC)의 카타르 대표팀과 함께 AFC 아시안컵 2019 결승 진출팀 자격으로 초청되었지만, 2무 1패로 다시 한번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57]

7. 시상

코파 아메리카 대회 종료 후에는 다음 5개의 상이 수여된다.


  • '''최우수 선수'''(MVP)상: 1987년 1987년 코파 아메리카 대회부터 수여되기 시작했다.
  • '''득점왕'''상: 최다 득점 선수에게 수여된다.
  • '''최우수 골키퍼'''상: 2011년 2011년 코파 아메리카 대회부터 수여되기 시작했다.
  • '''대회 베스트 팀'''상
  • '''페어플레이상''': 2011년 2011년 코파 아메리카 대회부터 최고의 페어플레이 기록을 보유한 팀에게 수여된다.

8. 기타

참조

[1] 웹사이트 X Campeonato Sud Americano de Football http://biblioteca.af[...] Biblioteca de Fútbol Argentino 2015-02-27
[2] 웹사이트 The oldest main continental tournament in the world https://web.archive.[...] CONMEBOL 2014-04-03
[3] 웹사이트 CONCACAF and CONMEBOL Announce Agreement to Bring Copa America 2016 to the United States https://web.archive.[...] CONCACAF 2014-05-01
[4] 웹사이트 Copa América: History http://www.conmebol.[...] CONMEBOL 2015-01-27
[5] 웹사이트 Teams | COPA America Centenario | USA 2016 https://web.archive.[...]
[6] 뉴스 CONMEBOL and Concacaf sign strategic collaboration agreement https://www.concacaf[...] CONCACAF 2023-01-27
[7] 웹사이트 Cricket Peru https://www.icc-cric[...] ICC Cricket
[8] 뉴스 A brief history of … the Copa América, the tournament with a special kind of beauty https://www.theguard[...] 2015-06-17
[9] 웹사이트 Se cumplen 100 años de la visionaria idea de Héctor Rivadavia Gómez https://www.conmebol[...] 2016-07-09
[10] 웹사이트 History provides hope that Copa America can come back stronger after coronavirus-forced postponement https://www.espn.com[...] 2020-03-17
[11] 뉴스 Brazil passes hosting of 2015 Copa America to Chile https://www.cnn.com/[...] CNN 2012-03-26
[12] 뉴스 Copa America 2016: Contradicting reports surface on U.S. becoming permanent home http://www.upi.com/S[...] 2016-06-08
[13] 뉴스 Chile win Copa América once again as Argentina title drought continues https://www.theguard[...] 2016-06-26
[14] 뉴스 Centenario edition is most successful Copa America in history https://www.latimes.[...] 2016-06-23
[15] 간행물 Brazil Shows Character, Quality in Winning Copa America, Restoring Faith https://www.si.com/s[...] 2019-07-07
[16] 뉴스 Copa America reboot features five group games, lots of travel and move to even years https://www.espn.com[...] ESPN 2019-12-05
[17] 뉴스 Football: Australia, Qatar pull out of 2021 Copa America https://www.straitst[...] 2021-02-24
[18] 뉴스 Copa America: Colombia will no longer co-host tournament after widespread protests https://www.bbc.com/[...] BBC Sport 2021-05-21
[19] 뉴스 Copa America moves to Brazil after Argentina dropped as hosts just 13 days before tournament start https://www.standard[...] 2021-05-31
[20] 간행물 Messi and Argentina Finally Have Their Peace https://www.si.com/s[...] 2021-07-10
[21] 뉴스 The CONCACAF/CONMEBOL partnership: Everything we know so far — Copa America, W Gold Cup and beyond https://theathletic.[...] 2023-01-27
[22] 뉴스 The 2024 Copa America is coming to the United States https://prosoccerwir[...] 2023-01-27
[23] 웹사이트 Copa América: a new cycle begins and the revolving calendar remains http://www.conmebol.[...] 2007-12-21
[24] 웹사이트 Reunión de Presidentes y el C. Ejecutivo https://archive.toda[...] CONMEBOL.com 2012-10-24
[25] 웹사이트 China accept 2015 Copa America invitation http://www.tribalfoo[...] tribalfootball.com 2014-03-03
[26] 웹사이트 足协正式拒绝美洲杯:冲世界杯 紧 https://web.archive.[...] Hupu.com 2014-04-19
[27] 웹사이트 Football Australia confirms Socceroos' withdrawal from Copa America https://www.football[...] 2021-02-23
[28] 웹사이트 Japón se Copa en América http://www.lagaceta.[...] 2011-04-14
[29] 간행물 Una historia que cumple 100 años Clarín 2016-06-06
[30] 웹사이트 El origen catalán de la Copa América http://www.sobrecesp[...]
[31] 웹사이트 Trofeo de la Copa América http://www.deperu.co[...]
[32] 웹사이트 History of Copa America https://web.archive.[...]
[33] 뉴스 Fue presentado en Bogotá el trofeo de la Copa América Centenario http://www.elespecta[...] El Espectador 2016-04-28
[34] 웹사이트 Copa América Centenario: La historia de los dos trofeos http://es.ca2016.com[...]
[35] 뉴스 Este es el trofeo que se llevará el ganador de la Copa América http://www.elcolombi[...] El Colombiano 2016-06-02
[36] 웹사이트 Así es el trofeo de la Copa América Centenario http://www.infobae.c[...] Infobae 2016-04-28
[37] 웹사이트 'Bolivia' para el segundo http://correodelsur.[...] Correo del Sur 2015-07-04
[38] 웹사이트 Entérate por qué el trofeo de subcampeón tiene una bandera de Bolivia http://ovaciondeport[...] Ovación Deportes 2016-07-05
[39] 뉴스 日本、サッカー南米選手権出場へ 11年大会に招待 https://web.archive.[...] 2009-06-04
[40] 참고자료 코파 아메리카 2011
[41] 웹사이트 2016年コパ・アメリカはアメリカで開催か メキシコ連盟会長が明かす-goal.com日本語版2012年7月5日 http://www.goal.com/[...]
[42] 일반
[43] 일반
[44] 일반
[45] 일반
[46] 일반
[47] 일반
[48] 일반
[49] 일반
[50] 일반
[51] 일반
[52] 일반
[53] 일반
[54] 일반
[55] 일반
[56] 웹사이트 代表TIMELINE {{!}} SAMURAI BLUE サッカー日本代表{{!}} 日本サッカー協会 http://samuraiblue.j[...] 2019-01-31
[57] 웹사이트 https://www.jfa.jp/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