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V 츠비카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FSV 츠비카우는 1912년 창단된 독일의 축구 클럽으로, 동독 시절에는 여러 차례 클럽명 변경을 거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 1949-50 시즌 동독 1부 리그에서 우승했으며, 1975-76 시즌에는 UEFA 컵 위너스 컵 4강에 진출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독일 통일 이후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으며 하위 리그로 강등되기도 했지만, 2016-2017 시즌 3. 리가로 승격했다. 현재는 4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1948년 소비에트 존 챔피언십 우승, 동독 컵 3회 우승 등의 기록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츠비카우 - 호르히
호르히는 1899년 아우구스트 호르히가 설립한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이며, 아우디, DKW, 반데러와 합병하여 아우토 유니온을 결성하고 고급차 라인을 담당했으며, 2차 세계 대전 이후 작센링과 아우디로 계승되었다. - 츠비카우 - 츠비카우 예언자들
츠비카우 예언자들은 16세기 초 독일 츠비카우에서 활동하며 성령의 계시, 유아 세례 반대, 종말론을 주장한 급진적 종교 개혁 운동 세력으로, 루터와 갈등을 겪었으며 토마스 뮌처와의 관계는 논쟁적이다. - 작센주의 축구단 -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는 1945년 창단되어 동독 시절 세 번의 우승을 기록하고 독일 통일 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으며, 2. 분데스리가와 3. 리가를 오가며 활동하는 독일의 축구 클럽이다. - 작센주의 축구단 - RB 라이프치히
RB 라이프치히는 레드불 그룹의 투자를 받아 빠르게 성장한 독일 라이프치히 연고의 축구 클럽으로, 분데스리가 진입 및 UEFA 챔피언스리그 4강 진출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모기업의 영향력과 폐쇄적인 회원 정책으로 비판적인 시각도 있다. -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구단 - SV 베르더 브레멘 II
SV 베르더 브레멘 II는 SV 베르더 브레멘의 2군 축구팀으로, 하위 리그에서 활동하며 독일 아마추어 선수권 대회와 오버리가 노르트,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우승 등 다수의 지역 및 전국 대회에서 우승했고, 현재는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에서 활약하며 손흥민과 같은 유소년 선수를 배출했다. - 레기오날리가 노르트 구단 - 홀슈타인 킬
홀슈타인 킬은 1900년에 창단된 독일의 스포츠 클럽으로, 1912년 독일 선수권 대회 우승 후 2024년 2. 분데스리가에서 2위를 기록하며 창단 이후 처음으로 분데스리가에 진출했다.
| FSV 츠비카우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전체 이름 | Fußball-Sport-Verein Zwickau e.V. |
| 별칭 | Die Schwäne (백조) |
| 창단 | 1912년 4월 27일 |
| 경기장 | 슈타디온 츠비카우 |
| 수용 인원 | 10,134명 |
| 회장 | 게하르트 니프 |
| 감독 | 리코 슈미트 |
| 리그 |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
| 시즌 | 2023-24 |
| 순위 | 12위 |
| 웹사이트 | FSV 츠비카우 공식 웹사이트 |
| 유니폼 정보 | |
| 홈 유니폼 | pattern_la1: _zwickau2324h pattern_b1: _zwickau2324h pattern_ra1: _zwickau2324h pattern_sh1: pattern_so1: leftarm1: FF0000 body1: FF0000 rightarm1: FF0000 shorts1: FF0000 socks1: FF0000 |
| 원정 유니폼 | pattern_la2: _whiteborder pattern_b2: _pumaliga2122b pattern_ra2: _whiteborder pattern_sh2: pattern_so2: leftarm2: 000000 body2: 000000 rightarm2: 000000 shorts2: 000000 socks2: 000000 |
| 세 번째 유니폼 | pattern_la3: pattern_b3: pattern_ra3: pattern_sh3: pattern_so3: leftarm3: body3: rightarm3: shorts3: socks3: |
2. 역사
FSV 츠비카우는 초기 동독 챔피언십 팀 외에도, 수많은 지역 협회를 전신으로 하고 있다. 구 동독 시대에 합병과 개칭을 반복했기 때문에 클럽의 기원을 정확히 정의하기는 어렵다. 기원이 되는 클럽 중 하나인 SG 플라니츠는 1912년에 창설되었으며, 가장 오래된 기원을 따지자면 이 해가 된다. 구 동독 1부 리그(DDR 오버리가)의 첫 시즌(1949년-1950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이 우승은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가 부르주아적 클럽으로 간주되어 정치적 압력을 받았기 때문에 가능했다는 평가도 있다.[2] 이후 "ZSG 호르히 츠비카우", "BSG 모터 츠비카우", "BSG 작센링 츠비카우" 등으로 클럽명이 변경되었고 현재의 클럽명을 사용하고 있다.
1975-1976 시즌 UEFA 컵 위너스 컵에서 4강에 진출하며 클럽 역사상 가장 큰 성공을 거두었다. 당시 츠비카우는 파나시나이코스, 피오렌티나, 셀틱과 같은 강팀들을 꺾는 저력을 보여주었다.[5]
동유럽 혁명과 독일 통일 이후, 츠비카우는 서독 클럽들과의 자금력 차이로 인해 침체기를 겪었다.[1][2] 한때 5부 리그까지 강등되기도 했지만, 꾸준한 노력으로 4부 리그에 복귀했고, 2015-16 시즌에는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2016-2017 시즌부터 분데스리가 3부로 승격했다.[1][2]
2. 1. 창단과 초기 (1912-1945)
플라니츠 축구 클럽(Fußball-Club Planitz)은 1912년 4월 27일 츠비카우 남쪽 플라니츠 마을에서 창단되었다. 같은 해 8월 28일 플라니츠 스포츠클럽(Planitzer Sportclub)으로 이름을 바꾸었고, 1918년에는 잠시 스포츠페라인리궁 플라니츠(Sportvereinigung Planitz)로 불렸다가 1919년 2월 2일에 다시 SC로 변경되었다. 1931년 지역 미텔도이칠란트(중앙 독일) 리그 플레이오프에서 준결승까지 진출하며 처음으로 주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1933년 나치 치하에서 독일 축구는 16개의 최상위 디비전인 가울리겐으로 재편되었다. 플라니츠는 가울리가 작센에서 초반에는 고전했지만, 꾸준히 실력을 향상시켜 1940년대 초에는 드레스드너 SC와 정기적으로 디비전 타이틀을 놓고 경쟁했고, 1942년에는 우승을 차지했다. 전국 8강에 진출했으나, 결국 준우승팀인 비엔나 빈에 2-3으로 패했다. 1930년대 후반과 1940년대 초반에는 DFB-포칼의 전신인 Tschammerpokal에 여러 차례 참가했다.[1]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 점령 당국은 스포츠 클럽과 축구 클럽을 포함한 대부분의 독일 단체를 해산시켰다. 1945년, 이 클럽은 여러 지역 클럽으로 구성된 단체인 Sportgruppe Planitz의 일부가 되었다. 축구 경기는 전국적으로 빠르게 재개되었고, SG 플라니츠는 1948년 7월 4일 라이프치히에서 SG 프라이임펠데 할레를 1-0으로 꺾고 소련 통제의 동부 지역(Ostzone) 챔피언이 되었다. 이 클럽은 1. FC 뉘른베르크와의 예선 경기에서 동부 지역을 대표하여 국가 플레이오프에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냉전 초기 긴장으로 인해 경기를 위해 슈투트가르트로 이동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았다. 뉘른베르크는 독일 축구 협회(Deutscher Fußball Bund) 주관 하에 서부 지역 팀들만으로 구성된 플레이오프에서 전국 타이틀을 차지했다. 이듬해 플라니츠는 부진한 시즌을 보내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1]
2. 2. 동독 시대 (1945-1990)
FSV 츠비카우는 초기 동독 챔피언십 팀 외에도, 수많은 지역 협회를 전신으로 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연합군 점령 당국은 스포츠 클럽과 축구 클럽을 포함한 대부분의 독일 단체를 해산시켰다. 1945년, 이 클럽은 여러 지역 클럽으로 구성된 Sportgruppe Planitz의 일부가 되었다. 축구 경기는 전국적으로 빠르게 재개되었고, SG 플라니츠는 1948년 7월 4일 라이프치히에서 SG 프라이임펠데 할레를 1-0으로 꺾고 소련 통제 동부 지역(Ostzone) 챔피언이 되었다.[1] 이 클럽은 1. FC 뉘른베르크와의 예선 경기에서 국가 플레이오프에 참가할 예정이었지만, 소련과 서방 연합국 간의 초기 냉전 긴장으로 인해 경기를 위해 슈투트가르트로 이동하는 것이 허가되지 않았다.[1] 뉘른베르크는 독일 축구 협회(Deutscher Fußball Bund) 주관 하에 개최되었고 서부 지역(Westzonen) 팀으로만 구성된 플레이오프에서 전국 타이틀을 차지했다.[1] 이듬해 플라니츠는 부진한 시즌을 보내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1]1950년, 이 클럽은 1949년 6월 14일에 결성된 또 다른 전후 팀인 BSG Aktivist Steinkohle Zwickau의 일부가 되었다.[1] 1951년, 이 클럽의 일부는 SV Planitz라는 이름을 1990년에 다시 채택하게 될 BSG Fortschritt Planitz가 되기 위해 분리되었다.[1] Aktivist Steinkohle Zwickau의 나머지는 BSG Aktivist Karl-Marx Zwickau로 개명되었다.[1] 이 클럽은 1948년 오스트존 챔피언십을 자신들의 역사로 주장했다.[1] 그들은 하위 지역 리그로 강등되었다가 1958년 3부 리그인 2. DDR-리가, 슈타펠 4에 다시 나타났다.[1] 1962년 해당 디비전을 우승하며 DDR-리가, 슈타펠 쥐트(2부 리그)로 승격되었다.[1] 몇 번의 평범한 시즌을 보낸 후, 1968년 BSG 모터 츠비카우에 합류했으며, 그 해 5월 1일에 BSG 작센링 츠비카우로 개명되었다.[1]
소련 점령 하의 동독의 다른 많은 팀들처럼, 플라니츠는 경제의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주의 노동력"과 클럽을 연관시키기 위해 여러 차례 이름이 변경되었다.[2] 1949년에 ZSG 호르흐 츠비카우로 개명되었고, DDR-Oberliga의 첫 시즌인 1949-50 시즌에 동독의 새로운 최고 리그에 참여하게 되었다.[2] 그들은 시즌 마지막 날 SG 드레스덴-프리드리히슈타트를 상대로 논란이 있는 승리를 거두며 리그의 초대 챔피언이 되었다.[2]
드레스덴은 공산주의 당국에 의해 너무 부르주아적이라고 여겨져 눈 밖에 났다.[2] 츠비카우는 거친 경기를 펼쳤고, 홈팀의 선수 교체를 거부하고 결국 프리드리히슈타트를 8인 스쿼드로 줄인 심판의 도움을 받아 5-1로 "승리"했다.[2] 불만을 품은 드레스덴 프리드리히슈타트 팬들은 여러 차례 경기장에 난입했고, 경기 종료 후 츠비카우 선수를 심하게 구타했다.[2] 질서를 회복하기 위해 기마 경찰이 출동했다.[2] 몇 주 안에 드레스덴 팀은 해체되었고 선수들은 다른 팀으로 흩어졌다.[2] 대부분은 결국 서독으로 도망갔고, 많은 선수들이 헤르타 베를린에서 뛰었다.[2] 이 경기는 고위 정치인이나 관료들이 다양한 목적으로 클럽과 경기를 조작하는 등 동독 축구에서 흔하게 일어나는 일의 전조가 되었다.[2]
ZSG는 1950년 BSG 아크티비스트 슈타인콜레 츠비카우 (1949년 6월 14일 설립)와 합병하여 베트리브스포르트게마인샤프트 호르흐 츠비카우가 되었다.[3] 1951년, 클럽은 BSG 아크티비스트 카를-마르크스 츠비카우로 개명되었다.[3] 1950년대 초반까지 경쟁력을 유지했지만, 이후 수십 년 동안 중위권 또는 하위권 팀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또 다른 전국 선수권 대회를 차지할 수 없었다.[3] 츠비카우는 FDGB-포칼 (동독 컵)에서 어느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다.[3] 1954년 컵 결승전에서 패한 후 1963년, 1967년, 1975년에 우승했다.[3]
1968년, 클럽은 BSG 아크티비스트 카를 마르크스 츠비카우와 합병하여 BSG 작센링 츠비카우가 되었다.[4] 1990년에 현재의 이름을 갖게 되었다.[4] 국제적으로, 클럽은 1975-76 시즌에 유러피언 컵 위너스컵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는데, 파나티나이코스, 피오렌티나, 셀틱을 꺾고 준결승에 진출한 후 최종 우승팀인 안데레흐트에게 패했다.[5] 1980년대 초반까지 2부 리그인 DDR-리가로 강등되었고, DDR-Oberliga에는 간헐적으로만 재출전했다.[5]
2. 3. 독일 통일 이후 (1990-현재)
독일 재통일 이후, FSV 츠비카우는 NOFV-Oberliga Süd (3부 리그)에 소속되었다. 1994년 2. 분데스리가로 승격하여 4시즌 동안 활동했다. 이후 팀은 3부 리그를 거쳐 4부 리그인 NOFV-Oberliga Süd에서 뛰었다. 2005년 재정 문제[1][2]로 인해 Landesliga Sachsen (5부 리그)으로 강등되었지만, 2005–06 시즌에 성공적인 활약으로 다시 오버리가로 승격했다.2012년에는 NOFV-Oberliga에서 6시즌을 보낸 후 리그에서 우승하여 개편된 4부 리그인 레기오날리가 노르도스트로 승격했으며, 2015–16 시즌까지 상위권 팀으로 활약했다.[1][2] 2015–16 시즌 종료 후에는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SV 엘버스베르크를 합계 2-1로 꺾고 독일 축구 3부 리그로 복귀했으며, 2023년 강등될 때까지 그곳에서 활동했다.
동유럽 혁명과 독일 통일 이후, 서독 클럽과의 자금력 차이 등으로 인해 침체를 겪었다. 한때 5부 리그까지 강등되기도 했지만, 2015-16 시즌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여 2016-2017 시즌부터 분데스리가 3부로 승격했다.
3. 경기장

FSV 츠비카우는 2016년부터 츠비카우 에커스바흐 지구에 새로 건설된 GGZ-아레나에서 경기를 치르고 있다. 현재 경기장의 최대 수용 인원은 10,000명이며, 2. 분데스리가로 승격하면 15,000명까지 늘어날 수 있다.[4][5]
4. 수상 경력
FSV 츠비카우는 DDR 오버리가 1949-50 시즌 우승, FDGB-포칼 세 차례 우승(1963년, 1967년, 1975년) 등 여러 대회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다.[1][2] 1948년에는 소비에트 존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4. 1. 국내 대회
| 대회 | 우승 횟수 | 우승 연도 |
|---|---|---|
| 동독 오버리가 | 1 | 1949-50 |
| FDGB-포칼 | 3 | 1962-63, 1966-67, 1974-75 |
|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IV) | 1 | 2015-16 |
| NOFV-Oberliga Süd (V) | 3 | 1991-92, 1993-94, 2011-12 |
| 작센 주 리그 (VI) | 1 | 2005-06 |
4. 2. 국제 대회
| 시즌 | 대회 | 라운드 | 국가 | 클럽 | 총 점수 | 1차전 | 2차전 | 이름 | PUC |
|---|---|---|---|---|---|---|---|---|---|
| 1963/64 | UEFA 컵 위너스 컵 | 1R | 헝가리 | MTK 부다페스트 | 1–2 | 1–0 (홈) | 0–2 (원정) | 모터 | 2.0 |
| 1967/68 | UEFA 컵 위너스 컵 | 1R | 소련 | 토르페도 모스크바 | 0–1 | 0–0 (원정) | 0–1 (홈) | 모터 | 1.0 |
| 1975/76 | UEFA 컵 위너스 컵 | 1R | 그리스 | 파나티나이코스 FC | 2–0 | 0–0 (원정) | 2–0 (홈) | 작센링 | 10.0 |
| 1/8 | 이탈리아 | ACF 피오렌티나 | 1–1 (5–4 승부차기) | 0–1 (원정) | 1–0 (홈) | ||||
| 1/4 | 스코틀랜드 | 셀틱 FC | 2–1 | 1–1 (원정) | 1–0 (홈) | ||||
| 1/2 | 벨기에 | RSC 안데레흐트 | 0–5 | 0–3 (홈) | 0–2 (원정) | ||||
| 총 UEFA 계수: 13.0 | |||||||||
5. 선수
FSV 츠비카우에서 활동했던 주요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국적 | 선수 이름 | 활동 기간 |
|---|---|---|
| 위르겐 크로이 | 1965-1981 | |
| 드웨인 데 로사리오 | 1997-1999 | |
| 요조 스타니치 | 2020-2021 | |
| 안토니 지레 | 2022- |
위르겐 크로이는 동독의 골키퍼 중 한 명으로, 1981년 은퇴할 때까지 츠비카우에서 17시즌을 보냈고, 1984년부터 1988년까지 이 클럽의 감독을 맡았다. 드웨인 데 로사리오는 메이저 리그 사커에서 선수로 활동하였으며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자이다.[3] 이 외에도 하인츠 자트라파, 올렉스 카라바예프스[4] 등이 츠비카우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5. 1.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9월 15일 기준)
| 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 1 | GK | 베냐민 레나이스 | Benjamin Leneis|베냐민 레나이스de |
| 3 | DF | 레네 뤼터 | Rene Rüther|레네 뤼터de |
| 4 | DF | 킬리안 센크베일 | Kilian Senkbeil|킬리안 센크베일de |
| 5 | DF | 루카스 알베르트 | Lucas Albert|루카스 알베르트de |
| 6 | DF | 필립 헬러 | Philipp Heller|필립 헬러de |
| 7 | MF | 야니크 포이그트 | Yannick Voigt|야니크 포이그트de |
| 8 | MF | 막시밀리안 좀니츠 | Maximilian Somnitz|막시밀리안 좀니츠de |
| 10 | MF | 얀 헤르만 | Jahn Herrmann|얀 헤르만de |
| 11 | FW | 테오 마르텐스 | Theo Martens|테오 마르텐스de |
| 12 | GK | 레온 아세트 | Leon Asseth|레온 아세트de |
| 13 | MF | 마이크 쾨네케 | Mike Könnecke|마이크 쾨네케de |
| 15 | MF | 안드레이 스타르체프 | Андрей Старцев|안드레이 스타르체프kk |
| 16 | DF | 잔드로 젠거스도르프 | Sandro Sengersdorf|잔드로 젠거스도르프de |
| 17 | DF | 요나스 디트리히 | Jonas Dittrich|요나스 디트리히de |
| 18 | MF | 루카스 아이슬러 | Lukas Eixler|루카스 아이슬러de |
| 21 | MF | 란돌프 리젠 | Randolf Riesen|란돌프 리젠de |
| 22 | DF | 올리버 포바삼 | Oliver Powasam|올리버 포바삼de |
| 23 | MF | 펠릭스 슐뤼셀부르크 | Felix Schlüsselburg|펠릭스 슐뤼셀부르크de |
| 24 | FW | 펠릭스 클라인 | Felix Klein|펠릭스 클라인de |
| 27 | DF | 로이드-아도 쿠푸어 | Lloyd-Addo Kuffour|로이드-아도 쿠푸어de |
| 28 | FW | 베론 도브루나 | Veron Dobruna|베론 도브루나sq |
| 29 | FW | 펠릭스 필거 | Felix Pilger|펠릭스 필거de |
| 30 | GK | 루카스 히만 | Lucas Hiemann|루카스 히만de |
| 31 | DF | 조니 치머 | Sonny Ziemer|조니 치머de |
| 33 | FW | 마르크-필리프 치머만 | Marc-Philipp Zimmermann|마르크-필리프 치머만de |
5. 2. 유명 선수
- '''위르겐 크로이'''는 동독의 골키퍼 중 한 명으로, 1981년 은퇴할 때까지 츠비카우에서 17시즌을 보냈고, 1984년부터 1988년까지 이 클럽의 감독을 맡았다.
- 하인츠 자트라파는 1950년 챔피언십 팀의 일원으로 DDR-Oberliga 득점왕을 차지했으며, 이후 여러 클럽에서 선수와 코치로 오랫동안 경력을 쌓았다.[1]
- '''드웨인 데 로사리오'''는 메이저 리그 사커에서 선수로 활동하였으며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최다 득점자이다.[3]
- '''올렉스 카라바예프스'''[4]
FSV 츠비카우에서 활동했던 선수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 국적 | 선수 이름 | 활동 기간 |
|---|---|---|
| 위르겐 크로이 | 1965-1981 | |
| 드웨인 데 로사리오 | 1997-1999 | |
| 요조 스타니치 | 2020-2021 | |
| 안토니 지레 | 2022- |
6. 역대 감독
| 감독 | 임기 |
|---|---|
| 프리츠 뮐러 | 1949 |
| 한스 울브리히트 | 1949/50 |
| 헤르베르트 멜처 | 1950 |
| 에리히 디텔 | 1950/55 |
| 한스 훼퍼 | 1955/57 |
| 카를 디테스 | 1957/64 |
| 호르스트 엣틀러 | 1964/65 |
| 하인츠 베르너 | 1965/66 |
| 호르스트 엣틀러 | 1966/67 |
| 요아힘 자일러 | 1967/68 |
| 만프레트 푸흐스 | 1968/69 |
| 호르스트 셔바움 | 1969/71 |
| 카를-하인츠 클루게 | 1971/76 |
| 한스 슈페트 | 1976/78 |
| 게르하르트 베슬러 | 1978/79 |
| 페터 헨셸 | 1979/81 |
| 게랄트 쿤스트만 | 1981/82 |
| 만프레트 쿠퍼슈미트 | 1982/84 |
| 위르겐 크로이 | 1984/88 |
| 우도 슈무크 | 1988/91 |
| 게르트 섀들리히 | 1991/96 |
| 요아힘 슈트라이히 | 1996/97 |
| 하인츠 베르너 | 1997 |
| 찰리 쾨르벨 | 1997/98 |
| 한스-우베 필츠 | 1998 |
| 한스-위르겐 되르너 | 1998/99 |
| 한스-우베 필츠 | 1999 |
| 콘라트 바이스 | 1999/02 |
| 로비 도에게 | 2002/03 |
| 페터 브랜델 | 2003 |
| 베른트 티폴트 | 2003/04 |
| 옌스 그로세 | 2003/04 |
| 클라우스 게오르기 | 2005 |
| 우베 페를 | 2005/06 |
| 하인츠 디에츠슈 | 2006/07 |
| 페터 켈러 | 2007/09 |
| 디르크 바르시코프 | 2009 |
| 마티아스 짐머링 | 2009/10 |
| 디르크 바르시코프 | 2010 |
| 니코 콰데 | 2010년 4월 – 2012 |
| 토르스텐 지그너 | 2012 – 2018년 4월 |
| 대니 쾨니히 (임시) | 2018년 4월–6월 |
| 조 이녹스 | 2018년 7월 – 2023년 2월 |
| 로빈 렌크 (임시) | 2023년 2월 |
| 로니 틸레만 | 2023년 2월– |
7. 역대 성적
FSV 츠비카우의 최근 시즌별 성적은 다음과 같다.[1][2]
| 연도 | 리그 | 티어 | 순위 |
|---|---|---|---|
| 1999–2000 |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 III | 18위 ↓ |
| 2000–01 | NOFV-오버리가 쥐트 | IV | 4위 |
| 2001–02 | NOFV-오버리가 쥐트 | 6위 | |
| 2002–03 | NOFV-오버리가 쥐트 | 6위 | |
| 2003–04 | NOFV-오버리가 쥐트 | 8위 | |
| 2004–05 | NOFV-오버리가 쥐트 | 14위 ↓ | |
| 2005–06 | 란데스리가 작센 | V | 1위 ↑ |
| 2006–07 | NOFV-오버리가 쥐트 | IV | 9위 |
| 2007–08 | NOFV-오버리가 쥐트 | 14위 | |
| 2008–09 | NOFV-오버리가 쥐트 | V | 7위 |
| 2009–10 | NOFV-오버리가 쥐트 | 9위 | |
| 2010–11 | NOFV-오버리가 쥐트 | 9위 | |
| 2011–12 | NOFV-오버리가 쥐트 | 1위 ↑ | |
| 2012–13 |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 IV | 3위 |
| 2013–14 |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 6위 | |
| 2014–15 |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 2위 | |
| 2015–16 |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 1위 ↑ | |
| 2016–17 | 3. 리가 | III | 5위 |
| 2017–18 | 3. 리가 | 15위 | |
| 2018–19 | 3. 리가 | 7위 | |
| 2019–20 | 3. 리가 | 16위 | |
| 2020–21 | 3. 리가 | 10위 | |
| 2021–22 | 3. 리가 | 10위 | |
| 2022–23 | 3. 리가 | 19위 ↓ | |
| 2023–24 | 레기오날리가 노르트오스트 | IV | 12위 |
1994년 레기오날리가와 2008년 3. 리가가 새로운 3부 리그로 도입되면서, 2. 분데스리가 아래의 모든 리그는 한 단계씩 하락했다.
| ↑ 승격 | ↓ 강등 |
참조
[1]
웹사이트
Das deutsche Fußball-Archiv
http://www.f-archiv.[...]
[2]
웹사이트
FSV Zwickau at Fussball.de
http://www.fussball.[...]
[3]
웹사이트
Unsere Profis
https://www.fsv-zwic[...]
[4]
웹사이트
Neue Liga, neues Stadion, altes Personal
https://www.sportbuz[...]
2020-02-19
[5]
웹사이트
Stadion Zwickau
https://www.fsv-zwic[...]
2020-02-19
[6]
웹사이트
Sportforum "Sojus 31"
http://www.fsv-zwick[...]
FSV Zwickau e.V.
2014-12-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