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atest Hits Vol. 2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Greatest Hits Vol. 2는 ABBA의 컴필레이션 앨범으로, 1979년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은 "Gimme! Gimme! Gimme! (A Man After Midnight)", "Dancing Queen", "Knowing Me, Knowing You" 등 ABBA의 대표곡들을 수록하고 있다. 이 앨범은 일본에서 92만 장 이상 판매되며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으며, 여러 국가에서 플래티넘 또는 골드 인증을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79년 10월 - 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
김영삼 의원 제명 파동은 1979년 김영삼 신민당 총재가 뉴욕 타임스 회견에서 박정희 정권을 비판한 것을 계기로 국회에서 의원직을 제명당한 사건으로, 유신 체제에 대한 저항을 억누르려는 정치적 의도 속에서 국회법을 위반한 날치기 통과로 이루어졌으며 부마항쟁의 도화선이자 10·26 사건으로 이어진 박정희 정권 붕괴의 계기가 되었다. - 1979년 10월 -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1979년 10월 7일에 실시된 제3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는 자유민주당이 압승했으나 일본사회당 의석 감소와 일본공산당의 약진 등 다양한 정당들의 성과와 지역별 의석 분포 변화를 보였다. - ABBA의 음반 - ABBA (음반)
ABBA의 세 번째 정규 앨범 《ABBA》는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우승 이후 "Mamma Mia", "SOS" 등의 히트곡을 탄생시키며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레게, 클래식 등 다양한 장르를 시도한 앨범이다. - ABBA의 음반 - ABBA: The Album
ABBA의 다섯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ABBA: The Album"은 1977년 발매되었으며, 유럽 및 호주 투어의 미니 뮤지컬 《금발의 소녀》 수록곡과 "Eagle", "Take a Chance on Me", "The Name of the Game" 등의 히트 싱글을 포함하여 전 세계적인 상업적 성공과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1979년 음반 - Fate for Breakfast
아트 가펑클이 1979년에 발표한 음반 Fate for Breakfast는 미국에서는 저조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Bright Eyes〉가 수록된 유럽 발매반은 유럽 여러 국가에서 톱 10에 진입하며 국제적인 성공을 거두었고 네덜란드와 뉴질랜드에서 1위를 차지했다. - 1979년 음반 - The Wall
The Wall은 핑크 플로이드의 록 오페라 앨범으로, 록 스타 핑크의 삶을 통해 버려짐, 폭력, 고립과 같은 주제를 탐구하며, 멤버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제작되어 상업적 성공과 함께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었다.
Greatest Hits Vol. 2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가수 | ABBA |
음반 종류 | 베스트 히트 음반 |
발매일 | 1979년 10월 29일 |
녹음 기간 | 1974년 10월 – 1979년 8월 |
장르 | 유로 팝 유로 디스코 |
길이 | 58분 25초 |
레이블 | Polar (스웨덴) Epic (영국) Atlantic (미국) |
프로듀서 | Benny Andersson & Björn Ulvaeus |
싱글 | |
싱글 1 | Summer Night City |
싱글 1 발매일 | 1978년 9월 6일 |
싱글 2 | Gimme! Gimme! Gimme! |
싱글 2 발매일 | 1979년 10월 12일 |
평가 | |
Allmusic | Allmusic |
Allmusic 점수 | 2/5 |
Christgau's Record Guide | Christgau's Record Guide |
Christgau's Record Guide 점수 | C |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점수 | 3/5 |
2. 상세
''Greatest Hits Vol. 2''는 ABBA가 1979년에 발매한 두 번째 베스트 앨범으로, 1975년에 발매된 첫 번째 베스트 앨범 ''ABBA의 골든 히트'' 이후의 히트곡들을 모아놓았다.
1982년에 폴리도르를 통해 CD로 처음 발매되었으나, 1992년 ''ABBA 골드'' 발매와 함께 ABBA CD 라인에서 제외되었다. 1983년에는 애틀랜틱 레코드를 통해 미국에서 발매되었고, 폴리도르 CD와 동일한 마스터링을 거쳤지만 1980년대 후반에 단종되었다.
2. 1. 수록곡 선정
1976년부터 1979년까지의 히트곡들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으며, ''ABBA'', ''ABBA: The Album'', ''Voulez-Vous'' 앨범 수록곡과 앨범 외 싱글 "섬머 나잇 시티"가 포함되었다. 예외적으로 1975년 앨범 ''ABBA''의 "록 미"가 수록되었는데, 이 곡은 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에서 싱글로 발매되어 좋은 반응을 얻었다.영국에서 더블 A 사이드 싱글로 성공한 "엔젤아이즈"가 포함되었고, "더 네임 오브 더 게임"의 B 사이드 곡이었던 "아이 원더 (디파쳐)"의 라이브 버전도 수록되었다.
3. 곡 목록
이 음반은 총 14곡이 수록되어 있으며, Side One과 Side Two로 나뉜다.
Side One에는 Gimme! Gimme! Gimme! (A Man After Midnight), Knowing Me, Knowing You, Take a Chance on Me, Money, Money, Money, Rock Me, Eagle, Angeleyes가 수록되어 있다.
Side Two에는 Dancing Queen, Does Your Mother Know, Chiquitita, Summer Night City, I Wonder (Departure), The Name of the Game, Thank You for the Music이 수록되어 있다.
3. 1. Side One
번호 | 곡 제목 | 작사/작곡 | 시간 |
---|---|---|---|
1 | Gimme! Gimme! Gimme! (A Man After Midnight) | 베니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4:49 |
2 | Knowing Me, Knowing You | 베니 안데르손, 스티그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4:01 |
3 | Take a Chance on Me | 베니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4:05 |
4 | Money, Money, Money | 베니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3:06 |
5 | Rock Me | 베니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3:03 |
6 | Eagle | 베니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5:48 |
7 | Angeleyes | 베니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4:17 |
모든 곡은 특별히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 베니 안데르손과 비요른 울바에우스가 작사/작곡했다.
3. 2. Side Two
제목 | 작사/작곡 | 재생 시간 |
---|---|---|
Dancing Queen | 베니 안데르손, 스티그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3:48 |
Does Your Mother Know | 베니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3:12 |
Chiquitita | 베니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5:21 |
Summer Night City | 베니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3:31 |
I Wonder (Departure) | 베니 안데르손, 스티그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4:31 |
The Name of the Game | 베니 안데르손, 스티그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4:50 |
Thank You for the Music | 베니 안데르손, 비요른 울바에우스 | 3:47 |
4. 참여진
이 음반에는 다음과 같은 사람들이 참여했다.
'''ABBA 멤버'''
- 아그네타 펠트스코그
- 아니프리드 륑스타
- 비요른 울바에우스
- 베니 안데르손
'''추가 연주자'''
- 롤프 알렉스
- 올라 브룬케르트
- 라르스 칼손
- 크리스터 다니엘손
- 앤드루 에이야스
- 말란도 가사마
- 루트게르 군나르손
- 글로리아 룬델
- 로저 팜
- 할도르 팔손
- 얀네 셰페르
- 벵트 순드베리
- 오케 순드크비스트
- 마이크 왓슨
- 라세 벨란데르
- 군나르 벤네보르그
- 카이테크 보이치에호프스키
'''제작진'''
- 베니 안데르손과 비요른 울바에우스 (프로듀싱 및 편곡)
- 마이클 B. 트레토 (엔지니어)
4. 1. ABBA 멤버
- 아그네타 펠트스코그 – 리드 보컬 (1, 10, 14), 공동 리드 보컬 (3, 6, 7, 8, 9, 11, 13), 백 보컬
- 아니프리드 륑스타 – 리드 보컬 (2, 4, 12), 공동 리드 보컬 (3, 6, 7, 8, 9, 11, 13), 백 보컬
- 비요른 울바에우스 – 리드 보컬 (5, 9, 11),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백 보컬
- 베니 안데르손 – 키보드, 신시사이저, 백 보컬
4. 2. 추가 연주자
- 롤프 알렉스 - 드럼
- 올라 브룬케르트 - 드럼
- 라르스 칼손 - 혼
- 크리스터 다니엘손 - 혼
- 앤드루 에이야스 - 혼
- 말란도 가사마 - 퍼커션
- 루트게르 군나르손 - 베이스
- 글로리아 룬델 - 하프
- 로저 팜 - 드럼
- 할도르 팔손 - 색소폰
- 얀네 셰페르 - 기타
- 벵트 순드베리 - 혼
- 오케 순드크비스트 - 퍼커션
- 마이크 왓슨 - 베이스
- 라세 벨란데르 - 기타
- 군나르 벤네보르그 - 혼
- 카이테크 보이치에호프스키 - 색소폰
4. 3. 제작진
참여자 | 역할 |
---|---|
아그네타 펠트스코그 | 리드 보컬 (1, 10, 14), 공동 리드 보컬 (3, 6, 7, 8, 9, 11, 13), 백 보컬 |
아니프리드 륑스타 | 리드 보컬 (2, 4, 12), 공동 리드 보컬 (3, 6, 7, 8, 9, 11, 13), 백 보컬 |
비요른 울바에우스 | 리드 보컬 (5, 9, 11), 어쿠스틱 기타, 일렉트릭 기타, 백 보컬 |
베니 안데르손 | 키보드, 신시사이저, 백 보컬 |
추가 연주자 | |
롤프 알렉스 | 드럼 |
올라 브룬케르트 | 드럼 |
라르스 칼손 | 혼 |
크리스터 다니엘손 | 혼 |
앤드루 에이야스 | 혼 |
말란도 가사마 | 퍼커션 |
루트게르 군나르손 | 베이스 |
글로리아 룬델 | 하프 |
로저 팜 | 드럼 |
할도르 팔손 | 색소폰 |
얀네 셰페르 | 기타 |
벵트 순드베리 | 혼 |
오케 순드크비스트 | 퍼커션 |
마이크 왓슨 | 베이스 |
라세 벨란데르 | 기타 |
군나르 벤네보르그 | 혼 |
카이테크 보이치에호프스키 | 색소폰 |
제작 | |
베니 안데르손과 비요른 울바에우스 | 프로듀싱 및 편곡 |
마이클 B. 트레토 | 엔지니어 |
5. 상업적 성과
''Greatest Hits Vol. 2''는 일본에서 92만 장 이상 판매되며 큰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당시 일본의 비(非) 자국 아티스트 앨범 중 최고 판매량이었으며, 마이클 잭슨의 ''Thriller''가 1980년대에 100만 장 이상 판매되기 전까지 이 기록이 유지되었다. 미국에서는 골드 인증을 받았다.
5. 1. 주간 차트
차트 (1979–81) | 최고 순위 |
---|---|
아르헨티나 앨범 (CAPIF)[4] | 1 |
호주 앨범 (Kent Music Report)[5] | 20 |
오스트리아 앨범 | 2 |
캐나다 앨범 | 1 |
네덜란드 앨범 | 2 |
핀란드 앨범 (Suomen virallinen lista)[6] | 4 |
독일 앨범 | 6 |
이스라엘 앨범 (IBA)[7] | 4 |
일본 앨범 (Oricon)[8] | 2 |
뉴질랜드 앨범 | 3 |
노르웨이 앨범 | 25 |
스페인 앨범 (AFE)[9] | 3 |
스웨덴 앨범 | 20 |
영국 앨범 (OCC) | 1 |
빌보드 200 | 46 |
5. 2. 연말 차트
차트 (1980년) | 순위 |
---|---|
오스트리아 앨범 (Ö3 오스트리아)[10] | 3 |
캐나다 톱 앨범/CD (RPM)[11] | 26 |
네덜란드 앨범 (앨범 톱 100)[12] | 25 |
독일 앨범 (오피셜리 톱 100)[13] | 5 |
영국 앨범 (OCC)[14] | 17 |
6. 인증
지역 | 인증 | 판매량/출하량 |
---|---|---|
오스트레일리아[15] | 플래티넘 | |
핀란드[18] | 골드 | 25,000 |
프랑스[16] | 100,000 | |
독일[18] | 플래티넘 | |
홍콩[18] | 골드 | |
네덜란드[18] | 플래티넘 | |
영국[17] | 플래티넘 | 1,000,000 |
미국[18] | 골드 | |
요약 | ||
전 세계 | 2,000,000[17] |
참조
[1]
AllMusic
[2]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9-12
[3]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Omnibus Press
2007
[4]
간행물
Cash Box - International Best Sellers
https://worldradiohi[...]
2023-07-26
[5]
서적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Australian Chart Book
[6]
서적
Sisältää hitin - 2. laitos Levyt ja esittäjät Suomen musiikkilistoilla 1.1.1960–30.6.2021
https://musiikkiarki[...]
Kustannusosakeyhtiö Otava
2022-08-24
[7]
간행물
Hits of the World
https://worldradiohi[...]
2022-04-02
[8]
서적
Oricon Album Chart Book: Complete Edition 1970-2005
Oricon Entertainment
[9]
서적
Sólo éxitos 1959–2012
Fundación Autor-SGAE
2015
[10]
웹사이트
Jahreshitparade Alben 1980
https://austrianchar[...]
Hung Medien
2022-04-02
[11]
간행물
Top 100 Albums
https://www.bac-lac.[...]
1980-12-20
[12]
웹사이트
Jaaroverzichten – Album 1980
https://dutchcharts.[...]
Dutch Charts
2022-04-02
[13]
웹사이트
Top 100 Album-Jahrescharts
https://www.offiziel[...]
GfK Entertainment Charts
2022-04-02
[14]
간행물
Chart File – Top 100 Albums 1980
https://worldradiohi[...]
1981-04-04
[15]
웹사이트
International Briefs - Australia
https://www.american[...]
Billboard
2019-07-20
[16]
웹사이트
TOP – 1978
http://www.top-franc[...]
2022-05-08
[17]
서적
ABBA: The Complete Recording Sessions
CPI Group
2017
[18]
웹인용
International Briefs - Australia
https://www.american[...]
Billboard
2019-07-20
[19]
AllMusic
[20]
서적
Christgau's Record Guide: Rock Albums of the Seventies
Ticknor & Fields
2019-09-12
[21]
서적
The Encyclopedia of Popular Music
https://archive.org/[...]
Omnibus Press
20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