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he West Was Won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How the West Was Won》은 1972년 레드 제플린의 북미 투어 중 롱비치 아레나와 LA 포럼 공연 실황을 담은 라이브 앨범이다.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는 이 시기를 레드 제플린의 예술적 정점으로 평가했으며, 앨범은 2003년 발매와 동시에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다. 《How the West Was Won》은 빌보드 200 차트 1위로 데뷔하여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으며, 여러 매체에서 역대 최고의 라이브 앨범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 앨범에는 3CD, 4LP, 블루레이 오디오, 슈퍼 디럭스 에디션 박스 세트 등 다양한 형태로 발매되었으며, 1972년 공연의 사운드보드 버전을 처음 들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레드 제플린의 라이브 음반 - The Song Remains the Same
The Song Remains the Same은 레드 제플린이 1976년에 발표한 라이브 음반이자 동명의 영화로, 1973년 북미 투어 중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에서 공연한 실황을 녹음한 것이며, 2007년 재발매되어 빌보드 200 차트에서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다. - 레드 제플린의 라이브 음반 - BBC Sessions (레드 제플린의 음반)
레드 제플린의 라이브 음반 《BBC Sessions》는 1969년 BBC 세션에서 녹음된 곡들을 담고 있으며, 초기 히트곡들을 포함하고 2016년에는 미발매 곡들을 추가하여 재발매되었다. - 2003년 라이브 음반 - Kiss Symphony: Alive IV
Kiss Symphony: Alive IV는 키스가 멜버른 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여 2003년에 발매한 라이브 앨범으로, 오리지널 멤버와 토미 세이어가 참여했으며, 키스의 자체 연주, 멜버른 심포니 앙상블과의 어쿠스틱 세트, 60인조 오케스트라와 함께하는 구성과 피터 크리스가 참여한 마지막 앨범이라는 특징을 가진 콘서트 실황이 담겨있다. - 2003년 라이브 음반 - Reflections (아포칼립티카의 음반)
Reflections는 아포칼립티카의 네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이전 앨범들과 달리 오리지널 곡들이 많이 수록되었으며, 에이카 토피넨과 페르투 키빌라크소가 작곡하고 데이브 롬바르도 등 다양한 뮤지션이 참여했고, 보너스 트랙과 DVD가 추가된 여러 버전으로 재발매되었다. - 영국의 음악 그룹 - 존 레논
존 레논은 비틀즈 멤버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솔로 활동과 평화 운동으로 20세기 대중음악과 문화에 큰 영향을 미친 영국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예술가이다. - 영국의 음악 그룹 - 핑크 플로이드
핑크 플로이드는 1965년 영국에서 결성되어 실험적인 사운드와 컨셉추얼한 앨범으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둔 록 밴드이며, 멤버 교체와 갈등, 재결합, 사실상 해체 후 우크라이나 지원 싱글 발표 등 다양한 활동을 보여주었다.
How the West Was Won - [음악]에 관한 문서 | |
---|---|
음반 정보 | |
![]() | |
형식 | 라이브 |
아티스트 | 레드 제플린 |
발매일 | 2003년 5월 27일 |
녹음일 | 1972년 6월 25일, 27일 1973년 1월 22일 |
녹음 장소 | L.A. 포럼 (1972년 6월 25일) 롱 비치 아레나 (1972년 6월 27일) 사우샘프턴 대학교 (1973년 1월 22일) |
장르 | 하드 록 헤비 메탈 블루스 록 포크 록 |
길이 | 150분 27초 |
레이블 | 애틀랜틱 레코드 |
프로듀서 | 지미 페이지 |
컴파일러 | 지미 페이지 |
관련 음반 | |
이전 음반 | 레드 제플린 DVD (2003년) |
다음 음반 | 마더십 (2007년) |
트랙 목록 | |
디스크 1 길이 | 56분 16초 |
디스크 2 길이 | 53분 08초 |
디스크 3 길이 | 40분 55초 |
차트 성적 | |
미국 | 1위 |
벨기에 (왈롱 지역) | 2위 |
일본 | 3위 |
영국 | 5위 |
이탈리아 | 7위 |
벨기에 (플랑드르 지역) | 9위 |
오스트레일리아 | 10위 |
노르웨이 | 10위 |
프랑스 | 11위 |
뉴질랜드 | 13위 |
독일 | 15위 |
스웨덴 | 16위 |
오스트리아 | 17위 |
스위스 | 20위 |
핀란드 | 23위 |
덴마크 | 25위 |
네덜란드 | 47위 |
기타 정보 | |
이전 음반 | 레터 데이즈 (2000년) |
다음 음반 | 없음 |
2. 배경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는 앨범 라이너 노트와 2010년 《타임스》 인터뷰에서 레드 제플린이 이 시점에 예술적 정점에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언급했다.[46] 오랫동안 이 공연들은 해적판 형태로만 유통되었으며,[47] 1980년대 중반 페이지의 개인 소장품이 도난당한 후 일부 사운드보드 녹음이 유통되었으나, 1972년 롱비치나 LA 포럼 공연은 포함되지 않았다.[47] 따라서 이 앨범은 팬들이 해당 공연의 사운드보드 버전을 처음 들을 수 있는 기회였다.[47] 앨범 발매 전 런던의 스튜디오에서 페이지에 의해 광범위한 편집과 오디오 엔지니어링 작업이 이루어졌다. 엔지니어 케빈 셜리는 《The Song Remains the Same》을 능가하려는 의도는 없었으며, 지미 페이지의 천재성과 존 보넘을 비롯한 뮤지션들의 기여가 훌륭한 공연을 만들었다고 언급했다.[3] 2018년 3월 23일, 3CD, 4LP, 블루레이 오디오, 슈퍼 디럭스 에디션 박스 세트 등 다양한 형식으로 리마스터링되어 재발매되었다.[48]
《How the West Was Won》은 발매와 동시에 비평가들의 극찬을 받았다. 리뷰 집계 사이트 《메타크리틱》에서 100점 만점에 97점을 기록했다.[49][5] 《AllMusic》, 《Entertainment Weekly》, ''Pitchfork'', ''Rolling Stone'', ''Stylus Magazine'', ''Uncut'' 등 여러 매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49]
3. 평가
2003년 6월 14일, 빌보드 200 차트 1위로 데뷔하여 16주 동안 차트에 머물렀으며,[56][13] 2003년 6월 30일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골드 및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57][14]
《클래식 록》,[15] 《레코드 콜렉터》,[17] 《빌리지 보이스》,[18] 《Q》,[19][20] ''롤링 스톤'',[22][45] 《기타 월드》,[23] 《플래닛 록 매거진》[23] 등 여러 매체에서 '역대 최고의 라이브 앨범' 중 하나로 선정되었다.간행물 국가 수상 내역 년도 순위 클래식 록 영국 "역대 최고의 라이브 앨범 50선"[15] 2003 4 레쟁로크튑티블 프랑스 "2003년 최고의 재발매"[16] 2003 4 레코드 콜렉터 영국 "새 앨범: 독자 선정 10선" (2003)[17] 2004 4 빌리지 보이스 미국 "올해의 앨범"[18] 2004 37 Q 영국 "소장해야 할 라이브 앨범 10선"[19] 2005 * Q 영국 "역대 최고의 라이브 앨범 20선"[20] 2006 11 록 하드 독일 "역대 최고의 록 & 메탈 앨범 500선"[21] 2005 342 롤링 스톤 미국 "역대 최고의 라이브 앨범 50선"[22] 2015 23 기타 월드 미국 "꼭 들어봐야 할 최고의 라이브 앨범 10선"[23] 2019 7 플래닛 록 매거진 영국 "역대 최고의 라이브 앨범 100선" 2020 *
3. 1.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4. 곡 목록
Walter's Walk
The Crunge
페이지, 플랜트
본햄, 존스, 페이지, 플랜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