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IQ 분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IQ 분류는 IQ 테스트 결과를 '우수', '평균' 등과 같은 범주로 나누어 지정하는 것이다. IQ 테스트는 19세기 후반 알프레드 비네가 정신지체아와 정상아를 구별하기 위해 개발한 비네-시몽 검사에서 시작되었으며, 현재는 편차 IQ를 채점 방식으로 사용한다. IQ 분류는 루이스 터먼, 데이비드 웩슬러 등 여러 학자에 의해 발전해 왔으며, 스탠포드-비네 지능 검사, 웩슬러 지능 검사 등 다양한 검사 도구들이 사용된다. IQ는 개인의 지적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되지만, IQ 점수는 동일인이라도 검사 도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IQ가 개인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능 - 유전 알고리즘
    유전 알고리즘은 생물 진화 과정을 모방하여 최적해를 탐색하는 계산 최적화 기법으로, 해를 유전자로 표현하고 적합도 함수를 통해 평가하며 선택, 교차, 돌연변이 연산을 반복하여 최적해에 근접하는 해를 생성하며, 성능은 매개변수에 영향을 받고 초기 수렴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변형 기법과 관련 기법이 존재한다.
  • 지능 - 초지능
    초지능은 모든 분야에서 인간의 인지 능력을 능가하는 가설상의 지능으로, 인공지능 기술 발전과 함께 인공 초지능의 실현 가능성이 논의되며 윤리적, 안전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IQ 분류
개요
정의지능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화된 검사에서 얻은 점수
일반적인 척도IQ 점수
평균 점수100
표준 편차15
IQ 분류
140 이상매우 우수 (천재)
130 ~ 139우수
120 ~ 129보통보다 우수
110 ~ 119평균 상
90 ~ 109평균
80 ~ 89평균 하
70 ~ 79경계선 (지적 장애)
69 이하지적 장애
역사적 분류 (터먼, 1916)
140 초과천재 또는 거의 천재
120-140매우 우수
110-120우수
90-110보통 또는 평균
80-90둔함
70-80경계선 상의 지능 부족
70 미만확실한 지능 부족
역사적 분류 (웩슬러, 1939)
130 이상매우 우수
120-129우수
110-119평균 이상
90-109평균
80-89평균 이하
70-79경계선
69 이하지적 장애

2. IQ의 역사

19세기 후반 알프레드 비네는 프랑스 정부의 위탁을 받아 정신지체아와 정상아를 구별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했으며, 그가 개발한 Binet-Simon Test는 현재 IQ 검사의 원형이 되었다.[22]

그러나 1970년대 이후 IQ는 인간의 다양하고 무한한 지능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IQ 위주의 지적 능력뿐 아니라 EQ(감성지수), MQ(도덕지수), EnQ(엔터테인먼트지수) 등 여러 분야의 다양한 재능을 측정하는 지수들이 소개되고 있다.[23]

2. 1. 초기: 프랜시스 골턴의 선구적 연구

지능을 최초로 수량화하여 측정하고자 시도한 사람은 19세기 중반 영국의 수학자인 프랜시스 골턴이다. 그는 사람의 감각과 운동을 통해서 지능을 수량화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의 제안은 복잡한 지능 구조를 밝혀내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2. 2. 알프레드 비네와 비네-시몽 검사

19세기 후반 알프레드 비네는 프랑스 정부의 위탁을 받아 일반 학급에서 정신지체아와 정상아를 구별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했다.[22]

비네는 3~15세 아동을 대상으로 지능 평가 문항을 만들고, 답변을 토대로 지능을 측정하여 초등학교 정규 교육 과정을 수학할 능력이 없는 지체 아동을 판별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개발된 Binet-Simon Test는 현재 IQ 검사의 원형이 되었다.[22]

2. 3. 스탠포드-비네 검사와 IQ 개념의 확립

알프레드 비네는 19세기 후반 프랑스 정부로부터 일반 학급에서 정신지체아와 정상아를 구별할 수 있는 검사 개발을 위탁받았다. 비네는 3세에서 15세 아동을 대상으로 지능 평가 문항을 설정하고, 그 답변을 토대로 지능을 측정하여 초등학교 정규 교육 과정을 수학할 능력이 없는 지체 아동을 판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Binet-Simon Test를 개발했는데, 이는 현재 IQ 검사의 원형이 되었다.[22]

2. 4. 비판과 대안적 지능 이론

1970년대 이후 IQ는 인간의 무한하고도 다양한 지능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았고, IQ 위주의 지적 재능뿐 아니라 EQ(감성 지수), MQ(도덕 지수), EnQ(엔터테인먼트 지수)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다양한 재능을 측정하는 지수들이 소개되고 있다.[23]

3. IQ 분류

IQ 분류는 IQ 테스트 점수를 '우수', '평균' 등과 같은 범주로 나누어 지정하는 것이다.[24][25] IQ 테스트 이전에는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여 지능을 분류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이러한 방식과 IQ 테스트에 의한 분류 모두 "지능"의 정의는 절차의 신뢰성과 오류에 따라 달라진다.[28]

IQ 검사는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높아 10세 이상은 평생 비슷한 IQ 점수를 받는다. 그러나 일부 개인은 같은 검사를 다른 시기에 보거나, 같은 나이에 여러 종류의 IQ 검사를 받을 때 매우 다른 점수를 받기도 한다. 재검사 시 어린이의 약 42%가 5점 이상 점수가 변경된다.[1]

예를 들어, 1921년 루이스 터먼이 시작한 천재의 유전자 연구에서는 IQ가 140 이상인 어린이 64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는데, 고등학교 때 재검사했을 때 평균 9점, 일부는 15~25점까지 IQ 점수가 감소했다. 하지만 부모들은 자녀들이 여전히 똑똑하거나 더 똑똑하다고 생각했다.

모든 IQ 검사에는 측정 오류가 있어, 검사자는 항상 신뢰 구간을 알려야 한다. IQ 점수는 서수 척도이며, 간격 측정 단위로 표현되지 않는다. 검사자의 실수로 검사가 너무 관대하게 채점되거나, 후광 효과로 인해 실제보다 높거나 낮은 점수를 부여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IQ 범주는 검사 발행사마다 다르며, 범주 레이블도 각 브랜드에 특화되어 통일된 관행이 없다. 따라서 심리학자는 원시 IQ 점수를 보고하지 않을 경우 어떤 검사를 실시했는지 명시해야 하며, 각 검사 발행사의 용어를 채택할 것을 권장한다.

IQ 분류는 인생의 성공 여부나 학교/직업 훈련 프로그램 배치에 대한 유일한 정보가 아니며, IQ 점수만으로는 사람들 간의 행동 차이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IQ 외의 요인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개별적으로 실시되는 다양한 지능 검사가 사용되고 있다.

3. 1. 편차 IQ

1916년 스탠포드-비넷 테스트에서 테스트한 905명의 어린이 표본에 대한 점수 분포도


모든 IQ 테스트의 채점 방법은 "편차 IQ"이다. 이 방법에서 IQ 점수가 100이라면, 응시자의 시험 성적이 시험에 사용된 비슷한 연령의 응시자 표본에서 중간 수준의 성적임을 의미한다.

루이스 터먼과 다른 초기 IQ 테스트 개발자들은 대부분의 어린이 IQ 점수가 두 절차 모두 대략 같은 수로 나온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편차 IQ는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일정한 정의를 나타내기 때문에 대부분 모든 IQ 테스트의 표준 채점에 사용된다.

모든 IQ 검사는 같은 사람이 같은 시험을 반복해서 보거나, 같은 나이에 다른 IQ 테스트를 받는 경우에도 점수 차이를 보여준다.[26][27] 즉, IQ 점수 분류에 대해 모두 동일한 이름이나 정의를 사용하지 않는다.

검사 응시자가 중앙값보다 높거나 낮은 점수를 받으면, 해당 점수는 검사 응시자의 검사 문항 내용에 대한 수행에서 표준 편차 차이만큼, 15 표준 점수 포인트씩 높거나 낮게 표시된다.

3. 2. IQ 분류의 역사적 변천

IQ 분류는 IQ 테스트 점수를 '우수', '평균' 등과 같은 범주로 나누는 것을 의미한다.[24][25] 모든 IQ 테스트는 "편차 IQ" 방식으로 채점되는데, 이는 응시자의 성적이 비슷한 연령대 표본의 중간 수준이면 IQ 점수가 100이 됨을 의미한다.

루이스 터먼을 비롯한 초기 IQ 테스트 개발자들은 대부분의 어린이 IQ 점수가 두 가지 절차에서 거의 같게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편차 IQ는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일관된 정의를 제공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IQ 테스트에서 표준 채점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같은 사람이 같은 시험을 반복해서 보거나, 서로 다른 IQ 테스트를 받는 경우 점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26][27] 따라서 IQ 점수 분류는 통일된 명칭이나 정의를 사용하지 않는다.

IQ 테스트 발명 이전에는 사람들의 행동을 관찰하여 지능을 분류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이러한 행동 관찰에 의한 분류와 IQ 테스트에 의한 분류 모두, "지능"의 정의는 절차의 신뢰성과 오류에 따라 달라진다.[28]

1908년 Binet-Simon 지능 척도에서 발췌한 그림으로, 검사 대상 아동에게 "이 두 얼굴 중 어떤 얼굴이 더 예쁘니?"라고 질문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은 역사적으로 사용된 IQ 분류 체계의 일부 예시이다.

  • 루이스 터먼의 스탠포드-비네 초기 분류 (1916)


루이스 터먼은 스탠포드-비네 지능 검사를 개발했으며, 그의 영어 기반 검사는 알프레드 비네의 프랑스어 기반 비네-시몬 검사를 바탕으로 만들어졌다. 터먼은 자신의 검사가 찰스 스피어만이 주장한 "일반 지능"을 측정한다고 믿었다. 그는 윌리엄 스턴 (심리학자)의 제안에 따라 "정신 연령"을 실제 연령으로 나눈 지능 지수 형태로 점수를 보고했다. 터먼은 IQ 검사 이전 독립적인 성인 생활을 할 수 없는 개인에 대한 이전 저자들의 사용법에 부분적으로 의존하여 점수 수준에 대한 범주 이름을 선택했다. 초기 스탠포드-비네 검사는 주로 캘리포니아, 네바다, 오리건 출신의 백인 미국 태생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표준화 표본을 기반으로 했다.

터먼의 스탠포드-비네 초기 분류 (1916)
IQ 범위 ("비율 IQ")IQ 분류
140 이상"거의" 천재 또는 천재
120–140매우 우수한 지능
110–120우수한 지능
90–110정상 또는 평균 지능
80–90둔함, 지적 장애로 분류되는 경우는 드묾
70–80경계선상 결함, 때로는 둔함으로, 종종 지적 장애로 분류됨
70 미만명백한 지적 장애


  • 루돌프 핀터의 IQ 분류 (1923)


루돌프 핀터는 1923년 저서 ''지능 검사: 방법과 결과''에서 분류 용어를 제안했다. 그는 당시 심리학자들이 "적절한 심리학적 정의를 기다리지 않고 개인의 일반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방식"을 사용했다고 언급했다.

핀터의 1923 IQ 분류
IQ 범위 ("비율 IQ")IQ 분류
130 이상매우 우수
120–129매우 총명
110–119총명
90–109정상
80–89뒤쳐짐
70–79경계선


  • 앨버트 줄리어스 레빈과 루이스 마크스의 IQ 분류 (1928)


앨버트 줄리어스 레빈과 루이스 마크스는 1928년 저서 ''지능과 성취도 검사''에서 더 광범위한 분류를 제안했다. 일부 항목은 당시 지적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위한 용어에서 가져왔다.

레빈과 마크스의 1928 IQ 분류
IQ 범위 ("비율 IQ")IQ 분류
175 이상조숙함
150–174매우 우수
125–149우수
115–124매우 총명
105–114총명
95–104평균
85–94둔함
75–84경계선
50–74저능아
25–49정신 박약자
0–24바보


  • 터먼의 스탠포드-비네 두 번째 개정판 (1937) 분류


스탠포드-비네 검사의 두 번째 개정판(1937)은 "지수 IQ" 점수를 유지했지만, "천재"라는 용어는 사용하지 않았다. 이 개정판은 어린이와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표준화되었으며, "미국 태생의 백인 어린이"만 포함했다.

터먼의 스탠포드-비네 두 번째 개정판 (1937) 분류
IQ 범위 ("비율 IQ")IQ 분류
140 이상매우 우수
120–139우수
110–119높은 평균
90–109정상 또는 평균
80–89낮은 평균
70–79경계선 결함
70 미만정신적 결함


  • 데이비드 웨슬러의 웩슬러-벨뷰 (1939) 및 웩슬러 성인 지능 검사 (1958) 분류


데이비드 웨슬러는 1939년 웩슬러-벨뷰 척도를 개발하고, "지수 IQ" 대신 "편차 IQ"를 사용하는 것을 대중화했다. 그는 루이스 터먼과는 다른 범주 이름을 제안했으며, IQ 검사를 명시하지 않고 분류 표를 출판한 이전 저자들을 비판했다.

웩슬러-벨뷰 1939 IQ 분류
IQ 범위 ("편차 IQ")IQ 분류포함된 백분율
128 이상매우 우수2.2
120–127우수6.7
111–119밝은 정상16.1
91–110평균50.0
80–90둔한 정상16.1
66–79경계선6.7
65 이하결함2.2



웩슬러 성인 지능 검사 1958 분류
IQ 범위 ("편차 IQ")IQ 분류(이론적) 포함된 백분율
128 이상매우 우수2.2
120–127우수6.7
111–119밝은 정상16.1
91–110평균50.0
80–90둔한 정상16.1
66–79경계선6.7
65 이하결함2.2


  • 스탠포드-비네 세 번째 개정판 (1960) 및 네 번째 개정판 (1986) 분류


스탠포드-비네 검사의 세 번째 개정판(1960)은 데이비드 웨슬러가 개척한 편차 점수를 사용했다. 스탠포드-비네 L-M 점수에 대한 분류에는 "특별한 재능" 및 "심오한 재능"과 같은 용어가 포함되지 않았다. 네 번째 개정판(1986)은 새로운 분류 용어를 채택했다.

터먼의 스탠포드-비네 세 번째 개정판 (Form L-M) 분류
IQ 범위 ("편차 IQ")IQ 분류
140 이상매우 우수
120–139우수
110–119높은 평균
90–109정상 또는 평균
80–89낮은 평균
70–79경계선 결함
70 미만정신적 결함



스탠포드-비네 지능 척도, 네 번째 판 (S-B IV) 1986 분류
IQ 범위 ("편차 IQ")IQ 분류
132 이상매우 우수
121–131우수
111–120높은 평균
89–110평균
79–88낮은 평균
68–78느린 학습자
67 이하정신 지체


  • 우드콕-존슨 인지 능력 검사 (1977) 분류


우드콕-존슨 인지 능력 검사의 첫 번째 판은 1977년 리버사이드에서 출판되었다. WJ-R Cog에서 사용된 분류는 "진단을 제공하는 것과 반대로 수행 수준을 설명한다는 점에서 현대적"이었다.

우드콕-존슨 R (1977) 분류
IQ 점수WJ-R Cog 1977 분류
131 이상매우 우수
121 ~ 130우수
111 ~ 120높은 평균
90 ~ 110평균
80 ~ 89낮은 평균
70 ~ 79낮음
69 이하매우 낮음


  • 웩슬러 성인 지능 검사 개정판 (1981) 및 세 번째 판 (1997) 분류


웩슬러 성인 지능 검사의 개정판(WAIS-R)은 1981년 심리 연구소에서 출판했다. 웨슬러는 검사의 1958년 버전과 비교하여 분류 범주의 경계와 일부 이름을 변경했다.

웩슬러 성인 지능 검사 1981 분류
IQ 범위 ("편차 IQ")IQ 분류실제 포함된 백분율이론적 포함된 백분율
130+매우 우수2.62.2
120–129우수6.96.7
110–119높은 평균16.616.1
90–109평균49.150.0
80–89낮은 평균16.116.1
70–79경계선6.46.7
70 미만정신 지체2.32.2



웩슬러 (WAIS–III) 1997 IQ 검사 분류
IQ 범위 ("편차 IQ")IQ 분류
130 이상매우 우수
120–129우수
110–119높은 평균
90–109평균
80–89낮은 평균
70–79경계선
69 이하극도로 낮음


  • 카우프만 아동 능력 평가 (1983) 분류


카우프만 아동 능력 평가(K-ABC)은 1983년 아메리칸 가이던스 서비스에서 출판했다.

K-ABC 1983 능력 분류
표준 점수 범위범주 이름표준 표본의 백분율이론적 포함된 백분율
130+상위 극단2.32.2
120–129평균 이상7.46.7
110–119평균 이상16.716.1
90–109평균49.550.0
80–89평균 미만16.116.1
70–79평균 미만6.16.7
70 미만하위 극단2.12.2


  • 레이놀즈 지능 능력 척도(RIAS) 2003 분류

레이놀즈 지능 능력 척도(Reynolds Intellectual Ability Scales, RIAS)는 세실 레이놀즈(Cecil Reynolds)와 랜디 캄파우스(Randy Kamphaus)에 의해 개발되었다. RIAS는 2003년 심리 평가 자원(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에 의해 출판되었다.

RIAS 2003 지능 검사 수행의 언어적 설명 방식
지능 검사 점수 범위언어적 설명
≥ 130매우 우수
120–129상당히 우수
110–119우수
90–109평균
80–89평균 이하
70–79상당히 평균 이하
≤ 69매우 평균 이하



이처럼 다양한 IQ 분류 체계가 존재하며, 각 체계마다 사용되는 용어와 범위가 다르다. 현대에는 진단보다는 수행 수준을 설명하는 방식의 분류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3. 3. 분류 기준의 다양성과 한계

IQ 분류는 IQ 테스트를 통해 얻은 점수를 '우수', '평균' 등과 같은 범주로 나누어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24][25] 모든 IQ 테스트는 "편차 IQ"라는 채점 방식을 사용하는데, 이는 개인의 점수가 비슷한 연령대의 다른 사람들과 비교했을 때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IQ 점수가 100점이라면 해당 연령대에서 중간 수준의 성적임을 의미한다.

Lewis Terman을 비롯한 초기 IQ 테스트 개발자들은 대부분의 어린이들이 어떤 방식으로 검사를 받든 비슷한 IQ 점수를 얻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러한 이유로 편차 IQ는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일관된 기준을 제공하며, 현재 대부분의 IQ 테스트에서 표준 채점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모든 IQ 검사는 동일한 사람이 같은 시험을 반복해서 보더라도 점수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26][27] 또한 같은 나이에 서로 다른 IQ 테스트를 받는 경우에도 점수가 다를 수 있다. 즉, IQ 점수 분류는 검사 종류에 따라 동일한 이름이나 정의를 사용하지 않는다.

IQ 점수는 동일한 사람이 서로 다른 IQ 검사에서 어느 정도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검사를 받을 때마다 항상 동일한 IQ 점수 범위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학생KABC-IIWISC-IIIWJ-III
Asher9095111
Brianna125110105
Colin10093101
Danica116127118
Elpha9310593
Fritz106105105
Georgi9510090
Hector112113103
Imelda1049697
Jose1019986
Keoku817875
Leo116124102



IQ 검사는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높아서 10세 이후에는 대부분 평생 비슷한 IQ 점수를 유지한다. 하지만, 같은 검사를 다른 시기에 보거나 여러 종류의 IQ 검사를 받는 경우, 개인에 따라 매우 다른 점수를 받을 수 있다. 실제로, 재검사 시 어린이의 약 42%는 5점 이상 점수가 변동된다.[1]

1921년 루이스 터먼이 시작한 천재의 유전자 연구라는 유명한 연구에서는, 교사 추천을 받은 학생들에게 스탠퍼드-비네 IQ 검사를 실시하여 IQ가 140 이상인 어린이를 선발했다. 주요 연구 그룹에는 643명의 어린이가 참여했는데, 고등학교 때 다시 검사를 받았을 때 평균 9점의 IQ 점수 감소를 보였다. 심지어 어떤 어린이는 15점 또는 25점 이상 감소하기도 했다. 그러나 부모들은 여전히 자녀들이 예전만큼 똑똑하거나 더 똑똑하다고 생각했다.

모든 IQ 검사에는 측정 오류가 존재하기 때문에, 검사자는 항상 검사 대상자에게 신뢰 구간을 알려주어야 한다. IQ 점수는 서수 척도이므로, 간격 측정 단위로 표현되지 않는다. 또한, 검사자가 표준화된 절차를 따르지 않으면 IQ 점수가 왜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너무 관대하게 채점하거나, 후광 효과로 인해 낮은 IQ를 가진 사람은 더 낮게, 높은 IQ를 가진 사람은 더 높게 평가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IQ 검사 발행사마다 IQ 범주가 다르며, IQ 점수 범위에 대한 범주 레이블은 각 검사 브랜드에 따라 다르다. 검사 발행사들은 IQ 점수 범위를 레이블링하는 통일된 관행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IQ 점수 범위를 동일한 크기 또는 동일한 경계 점수로 나누는 일관된 관행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심리학자는 원시 IQ 점수를 보고하지 않는 경우 검사 대상자의 IQ 범위를 보고할 때 어떤 검사를 실시했는지 명시해야 한다. 심리학자와 IQ 검사 저자는 IQ 점수 범위를 보고할 때 각 검사 발행사의 용어를 채택할 것을 권장한다.

IQ 검사의 IQ 분류는 한 사람이 인생에서 어떻게 살아갈지에 대한 최종적인 판단이 아니며, 학교나 직업 훈련 프로그램 배치에 고려해야 할 유일한 정보도 아니다. IQ 점수만으로는 사람들 간의 행동 차이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학교 프로그램 배치, 의료 진단, 진로 상담 등에는 IQ 외의 다른 요인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4. 개별 IQ 분류의 차이

모든 IQ 테스트는 "편차 IQ" 방식으로 채점한다. 이 방식에서 IQ 100점은 응시자의 성적이 비슷한 연령대 표본에서 중간 수준임을 의미한다. Lewis Terman 등 초기 IQ 테스트 개발자들은 대부분 어린이의 IQ 점수가 편차 IQ와 비율 IQ 두 절차에서 거의 같게 나온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편차 IQ는 어린이와 성인 모두에게 일정한 정의를 제공하므로, 대부분 IQ 테스트에서 표준 채점 방식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같은 사람이 같은 시험을 반복해서 보거나, 같은 나이에 다른 IQ 테스트를 받는 경우 점수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26][27] IQ 점수 분류는 모든 검사에서 동일한 이름이나 정의를 사용하지 않는다.

IQ 점수는 동일한 사람이라도 IQ 테스트마다 다를 수 있다. (학생 이름은 가명)[29]
학생KABC-IIWISC-IIIWJ-III
지민116127118
준서9095111
지원106105105
민수116124102
민재123135127
우진1019986
수빈817875
은주125110105
윤서112113103
정호1049697
영진10093101
현지9510090



위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같은 학생이라도 어떤 IQ 검사를 받느냐에 따라 다른 점수를 받을 수 있다.

4. 1. IQ 검사의 신뢰도와 변동성

IQ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10세 이상의 사람들이 평생 비슷한 점수를 가질 수 있을 만큼 신뢰성이 높다.[30] 하지만, 같은 사람이 같은 시험을 반복해서 보거나, 같은 나이에 다른 IQ 테스트를 받는 경우에도 점수 차이를 보일 수 있다.[26][27]

IQ 점수는 동일한 사람이라도 IQ 테스트마다 점수가 다를 수 있다. (학생의 이름은 가명)[29]
학생KABC-IIWISC-IIIWJ-III
지민116127118
준서9095111
지원106105105
민수116124102
민재123135127
우진1019986
수빈817875
은주125110105
윤서112113103
정호1049697
영진10093101
현지9510090



예를 들어, 1921년 루이스 터먼이 시작한 천재의 유전자 연구에 참여한 많은 어린이들은 자라면서 IQ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터먼은 교사들의 추천을 바탕으로 학생들을 모집하여 스탠포드-비넷 IQ 테스트를 실시했다. IQ가 140 이상인 643명의 어린이가 연구에 포함되었는데, 고등학생이 된 후 재시험을 받은 503명의 아이들은 스탠포드-비넷 IQ에서 평균 9점 하락했다. 24명 이상의 아이들이 15점, 6명은 25점 이상 하락했다. 그러나 그 아이들의 부모들은 그들이 여전히 예전처럼, 혹은 훨씬 더 똑똑하다고 판단했다.[32]

모든 IQ 검사에는 측정 오류가 있기 때문에, 검사자는 각 검사를 치르는 특정 시점에 얻은 점수 주변의 신뢰 구간을 항상 검사 대상자에게 알려야 한다.

4. 2. 종단 연구 사례

루이스 터먼의 천재 연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IQ 점수가 변동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1921년, 터먼은 교사들의 추천을 받은 학생들에게 스탠퍼드-비네 IQ 테스트를 실시하여 IQ 140 이상인 643명의 아이들을 선발했다. 이후 고등학생이 된 503명을 대상으로 재검사를 실시한 결과, 평균 9점의 IQ 감소가 나타났다. 24명 이상의 아이들은 15점 이상, 6명은 25점 이상 IQ가 하락했다. 그러나 아이들의 부모들은 아이들이 여전히 예전처럼 똑똑하거나, 심지어 더 똑똑하다고 평가했다.[32]

4. 3. IQ 점수 해석의 유의점

IQ 테스트는 일반적으로 신뢰도가 높아 대부분의 10세 이상은 평생 비슷한 IQ 점수를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개인은 동일한 검사를 다른 시기에 보거나, 같은 나이에 여러 종류의 IQ 검사를 볼 때 매우 다른 점수를 받기도 한다. 모든 IQ 검사에는 측정 오류가 있기 때문에, 검사자는 각 검사를 치르는 특정 시점에 얻은 점수 주변의 신뢰 구간을 항상 검사 대상자에게 알려야 한다.

IQ 점수는 서수 척도이며, 간격 측정 단위로 표현되지 않는다. IQ 검사 점수 주변의 보고된 오류 구간 외에도, 검사자가 표준화된 관리 및 채점 절차를 따르지 못한 경우 IQ 점수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검사자의 실수로 인해 검사가 너무 관대하게 채점되어 검사 대상자에게 더 높은 IQ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반면에, 일부 검사자는 "후광 효과"를 보여 낮은 IQ를 가진 개인이 더 낮은 IQ 점수를 받고, 높은 IQ를 가진 개인이 부풀려진 IQ 점수를 받게 된다.

IQ의 범주는 IQ 검사 발행사마다 다르며, IQ 점수 범위에 대한 범주 레이블은 각 검사 브랜드에 특화되어 있다. 검사 발행사는 IQ 점수 범위를 나타내는 통일된 관행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IQ 점수 범위를 동일한 크기 또는 동일한 경계 점수로 나누는 일관된 관행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심리학자는 원시 IQ 점수를 보고하지 않는 경우 검사 대상자의 IQ 범위를 보고할 때 어떤 검사를 실시했는지 명시해야 한다. 심리학자와 IQ 검사 저자는 IQ 점수 범위를 보고할 때 각 검사 발행사의 용어를 채택할 것을 권장한다.

IQ 검사의 IQ 분류가 검사 대상자의 인생을 좌우하는 요소가 아니며, 학교나 직업 훈련 프로그램 배치에 고려해야 할 유일한 정보도 아니다. IQ 점수가 다른 사람들 간의 행동 차이에 대한 정보는 여전히 부족하다. 학교 프로그램 배치, 의료 진단 및 진로 상담의 경우, IQ 외의 요인도 개별 평가의 일부가 될 수 있다.

5. 현대의 IQ 분류

영어권에서는 다양한 개별 IQ 테스트가 사용되고 있다.[34] 모든 검사 결과가 "IQ"로 판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현재 대부분의 중상위 점수 수준은 표준 점수 100으로 보고한다. 시험 응시자가 중상위 점수보다 높거나 낮은 경우, 시험 항목 내용에 대한 응시자의 성적에서 표준 편차 각각에 대해 표준 점수 15점 높거나 낮은 점수로 표시한다.

인지 평가 시스템(CAS) 검사는 잭 나글리에리(Jack Naglieri)와 J. P. 다스(J. P. Das)가 개발했으며, 1997년 리버사이드(Riverside)에서 출판했다. 인지 평가 시스템의 전체 점수 분류는 다음과 같다.

인지 평가 시스템 1997 전체 점수 분류
표준 점수분류
130 이상매우 우수
120–129우수
110–119상위 평균
90–109평균
80–89하위 평균
70–79평균 이하
69 이하매우 평균 이하



지적 영재성에 관한 학자들 사이의 주요 합의점은 영재성에 대한 일반적으로 합의된 정의가 없다는 것이다. 영재 학습자를 식별하는 것에 대한 학문적 합의는 없지만, 학교 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참가자를 식별하기 위해 IQ 점수에 의존하는 것이 사실이다. 미국의 많은 학군에서는 학교 영재 프로그램에 포함시키기 위한 컷오프 점수로, 전국 인구의 상위 2~3%에 해당하는 IQ 130점을 사용한다.

영재 스펙트럼의 다양한 끝에 있는 어린이들 간의 능력 차이를 구분하기 위해 5단계의 영재성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정량화에 대한 강력한 합의는 없지만, 많은 영재 아동 전문가들이 이를 받아들인다.

영재성 수준 (M.U. Gross)
분류IQ 범위σ유병률
경미한 영재115–129+1.00–+1.991:6–1:44
중간 영재130–144+2.00–+2.991:44–1:1,000
고도 영재145–159+3.00–+3.991:1,000–1:10,000
예외적 영재160–179+4.00–+5.331:10,000–1:1,000,000
심도 영재180–+5.33–> 1:1,000,000



1937년 즈음에, 루이스 터먼(Lewis Terman)은 IQ 점수가 증가함에 따라 IQ 채점의 추정 오차가 증가하여, 더 높은 점수대에 속하는 검사 응시자를 특정 점수대에 할당하는 데 대한 불확실성이 점점 더 커진다고 지적했다. 현재의 IQ 검사 역시 높은 IQ 점수에 대해 큰 오차 범위를 갖는다.

5. 1. 웩슬러 지능 검사(Wechsler Intelligence Scales)

데이비드 웩슬러가 개발한 웩슬러 지능 검사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지능 검사이다.[34] 성인용(WAIS), 소아용(WISC), 영유아용(WPPSI) 등 다양한 버전이 있으며, 현재까지 가장 신뢰성이 높은 지능검사로 인정받고 있다.

웩슬러 지능 검사는 언어 이해, 지각 추론, 작업 기억, 처리 속도의 네 가지 영역을 측정한다. 각 영역별 검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검사 내용
분야문제유형
언어 이해공통성, 어휘, 상식
지각 추론토막 짜기, 행렬 추론, 퍼즐
작업 기억숫자 외우기 및 산수 문제
처리 속도동형 찾기와 기호 쓰기, 타 영역 풀이 시간



웩슬러 검사는 "편차 IQ"를 사용하며, 평균 점수는 100, 표준편차는 15로 설정되어 있다. 즉, IQ 115는 평균보다 1 표준편차 높은 점수를 의미한다. 웩슬러 지능 검사의 IQ 분류는 다음과 같다.

Wechsler (WAIS–IV, WPPSI–IV) IQ 분류
IQ 범위 ("편차 IQ")IQ 분류
130 이상매우 우수
120–129우수
110–119높은 평균
90–109평균
80–89낮은 평균
70–79경계선
69 이하극히 낮음



Wechsler 아동 지능 검사 – 제5판 (WISC-V) IQ 분류[3]
IQ 범위 ("편차 IQ")IQ 분류
130 이상극도로 높음
120–129매우 높음
110–119높은 평균
90–109평균
80–89낮은 평균
70–79매우 낮음
69 이하극히 낮음



한편, 심리학자들은 기존 웩슬러 IQ 분류 용어, 특히 '경계선'과 같은 용어가 지적 장애를 연상시킨다는 점을 지적하며, 보다 가치 중립적인 용어로 대체할 것을 제안했다.

대안적인 Wechsler IQ 분류 (Groth-Marnat 2009 이후)
해당 IQ 범위분류더 가치 중립적인 용어
130+매우 우수최상
120–129우수평균보다 훨씬 높음
110–119높은 평균높은 평균
90–109평균평균
80–89낮은 평균낮은 평균
70–79경계선평균보다 훨씬 낮음
69 이하극히 낮음최하


5. 2. 스탠포드-비네 지능 검사(Stanford-Binet Intelligence Scale)

현재의 스탠퍼드-비네 지능 검사 제5판(SB5)은 게일 H. 로이드가 개발했으며 2003년 리버사이드 출판사에서 출판되었다. 이전 버전의 스탠퍼드-비네 검사 점수와 달리 SB5 IQ 점수는 편차 점수를 사용하며, 이는 표준화 표본 중앙값에서 표준 편차가 위 또는 아래로 15점씩 떨어지는 방식으로, IQ 100을 중앙값으로 한다. 이는 웩슬러 검사의 표준 점수 방식과 같다.

스탠퍼드-비네 제5판(SB5) 분류
IQ 범위 ("편차 IQ")IQ 분류
140 이상매우 영재 또는 매우 우수
130–140영재 또는 매우 우수
120–129우수
110–119높은 평균
90–109평균
80–89낮은 평균
70–79경계선상 지적 장애 또는 지연
55–69경도 지적 장애 또는 지연
40–54중등도 지적 장애 또는 지연


5. 3. 우드콕-존슨 인지 능력 검사(Woodcock-Johnson Tests of Cognitive Abilities)

리처드 W. 우드콕, 케빈 S. 맥그루, 낸시 매더가 개발하고 2007년 리버사이드에서 출판한 우드콕-존슨 III NU 인지 능력 검사(WJ III NU)에서는 WJ III 분류 용어를 적용하지 않는다.[34]

Woodcock–Johnson R
IQ 점수WJ III 분류
131 이상매우 우수
121 ~ 130우수
111 ~ 120평균 이상
90 ~ 110평균
80 ~ 89평균 이하
70 ~ 79낮음
69 이하매우 낮음


5. 4. 카우프만 지능 검사(Kaufman Tests)

앨런 S. 카우프만과 나딘 L. 카우프만이 개발하고 1993년 American Guidance Service에서 출판한 Kaufman Adolescent and Adult Intelligence Test(KAIT)는 카우프만 검사 점수를 "대칭적이고 비평가적인 방식"으로 분류한다. 즉, 분류에 사용되는 점수 범위는 평균 이상과 평균 이하 모두 동일하게 넓으며, 분류 라벨은 개인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다.

KAIT 1993 IQ 분류
130 이상최상위
120–129평균 이상
110–119평균보다 높음
90–109평균
80–89평균 이하
70–79평균 이하
69 이하최하위



앨런 S. 카우프만과 나딘 L. 카우프만이 개발하고 2004년 American Guidance Service에서 출판한 Kaufman 아동 지능 검사(KABC-II)의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

KABC-II 2004 설명적 범주
표준 점수 범위범주명
131–160최상위
116–130평균 이상
85–115평균
70–84평균 이하
40–69최하위


5. 5. 기타 지능 검사

인지 평가 시스템 (CAS) 검사는 잭 나글리에리(Jack Naglieri)와 J. P. 다스(J. P. Das)가 개발했으며, 1997년 리버사이드(Riverside)에서 출판했다.[34]

인지 평가 시스템 1997 전체 점수 분류
표준 점수분류
130 이상매우 우수
120–129우수
110–119상위 평균
90–109평균
80–89하위 평균
70–79평균 이하
69 이하매우 평균 이하


6. 낮은 IQ 분류

IQ 테스트 개발 이전에는 의학 및 법률 용어가 지능이 낮은 사람을 분류하는 데 사용되었다.[36][37] 법률 시스템은 인지 능력 손상으로 인해 일부 사람들이 저지른 범죄에 대한 책임이 없다는 개념을 인정했다. 의사들은 독립적인 생활이 불가능하고 자신의 욕구를 제어하기 어려운 성인 환자들을 관찰했다. 이러한 다양한 수준의 지적 장애를 분류하기 위해 여러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들 중 상당수는 현재 불쾌하거나 부적절한 것으로 간주된다.

오늘날 지적 장애 진단에서 IQ 점수는 결정적인 요소가 아니다. 최근 진단 표준은 개인의 적응 행동에 중점을 두며, IQ 점수는 적응 행동 척도와 함께 고려되는 요소일 뿐이다. 따라서 심리학자들은 IQ 테스트 결과를 해석할 때 다른 평가 자료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한다.[38]

6. 1. 역사적 용어와 문제점

지능이 낮은 사람을 분류하기 위한 최초의 용어는 IQ 테스트가 개발되기 이전의 의학, 법률용어였다.[36][37] 법률 시스템은 인지 능력이 손상된 일부 사람들이 저지른 범죄 행위에 대해 책임이 없다는 개념을 인정했다. 또한 의사들은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없는 성인 환자들을 보았고, 그들이 자신의 욕구를 제어하기 어려워함을 알았다. 이러한 다양한 수준의 지적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분류하기 위해 다양한 용어들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초기 용어들 중 많은 것들은 현재 불쾌하거나 부적절한 단어로 여겨지고 있다.

역사적으로 지적 장애를 나타내는 용어들은 결국 모욕적인 표현으로 인식되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완곡어법의 런닝머신이라고 알려진 과정이다.[4][5][6] 20세기 중반에는 "바보", "백치", "정신 박약자", "저능아" 등을 포함하는 이전 용어들을 대체하기 위해 "정신 지체"와 "정신 지체자"라는 용어가 널리 사용되었다.[7] 20세기 말까지 "지체"와 "저능아"는 모욕적이고 정치적으로 부적절한 용어로 널리 인식되었지만, 일부 임상 환경에서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8]

미국 정신 박약 연구 협회는 지적 결함이 있는 성인을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범주로 나누었다.

용어정의
백치정신 연령이 3세 미만인 가장 심각한 정도의 지적 장애
바보정신 연령이 3세에서 7세 사이인 지적 장애
저능아정신 연령이 8세에서 12세 사이인 사람



IQ를 기반으로 한 이러한 용어의 대체 정의도 사용되었다.

"크레틴"이라는 용어는 1770~80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기독교를 의미하는 방언 프랑스어에서 유래되었다.[10] 이는 심각한 지적 또는 발달 장애가 있는 사람들도 "여전히 인간"(또는 "여전히 기독교인")이며 기본적인 인간 존엄성을 받을 자격이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크레틴"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지만, "크레틴증"이라는 용어는 치료하지 않은 선천성 갑상선 기능 저하증으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장애를 지칭하는 데 여전히 사용된다.[10]

''몽골리즘''과 ''몽골족 백치''는 다운 증후군을 가진 사람을 식별하는 데 사용된 용어였다. 이 증후군을 처음 기술한 의사인 존 랭던 다운은 다운 증후군을 가진 아이들이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몽골 인종" 범주와 얼굴의 유사성을 공유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몽골 인민 공화국은 의료계에 이 용어의 사용 중단을 요청했고, 1960년 세계 보건 기구는 이 용어의 사용을 중단해야 한다고 동의했다.[11]

''저능아''는 라틴어 retardare|레타르다레la('늦추다, 지연시키다, 저지하다, 방해하다'라는 뜻)에서 유래되었으며, 따라서 ''정신 지체''는 ''정신 지연''과 같은 의미였다. 정신적으로 느린 것과 관련하여 저능아라는 용어가 처음 기록된 것은 1895년이다. ''백치'', ''저능아'', ''바보''와 같은 용어를 대체하기 위해 ''정신 지체자''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데, 이는 당시에는 ''저능아''가 경멸적인 용어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1960년대에 이르러 이 용어는 부분적으로 경멸적인 의미를 갖게 되었다. 명사 ''저능아''는 특히 비하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2003년 BBC 설문 조사에서는 장애 관련 단어 중 가장 모욕적인 단어로 꼽혔다.[12] ''정신 지체자''와 ''정신 지체''라는 용어는 여전히 비교적 흔하게 사용되지만, 스페셜 올림픽 및 베스트 버디와 같은 단체는 이러한 용어의 사용을 없애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종종 ''저능아''와 그 변형을 "r-word"라고 지칭한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미국 연방법인 로사 법이 제정되었으며, 이 법은 연방법에서 ''정신 지체자''라는 용어를 ''지적 장애''라는 용어로 대체했다.[13][14]

6. 2. 현대적 진단 기준

최근 IQ 점수는 지적 장애 진단의 결정적 요인이 아니다. 최근 채택된 진단 표준은 각 개인의 적응 행동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IQ 점수는 적응 행동 척도 외 진단의 한 요소일 뿐, 주로 IQ 점수로 정의되는 지적 장애 범주는 없다고 한다.[38]

따라서 심리학자들은 IQ 테스트가 항상 다른 평가를 염두에 두고 사용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결국, 모든 테스트 성능 향상 진단 의미의 모든 해석들은 다른 데이터 소스에 의해 뒷받침되고 때로는 경험적 때로는 의뢰에 명시된 난이도 영역과 논리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7. 높은 IQ 분류

프랜시스 골턴은 인간의 뛰어난 업적과 정신 테스트를 연구한 선구자였다. 그는 IQ 테스트가 개발되기 전 저술한 ''Hereditary Genius''에서 우등한 사람은 환경이 아니라 유전으로 탄생한다는 이론을 내세웠다.[39] 루이스 터먼은 1916년 스탠퍼드-비넷 테스트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분류로 "천재" 또는 "천재에 가까운"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 그러나 1937년 스탠퍼드-비넷 테스트 개정판 이후, 터먼은 더 이상 "천재"라는 용어를 IQ 분류로 사용하지 않았으며, 이후의 IQ 테스트도 마찬가지였다. 1939년, 웩슬러는 "지능 테스트 점수 하나로 사람을 천재라고 부르는 것을 조심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루이스 터먼의 캘리포니아 종단 연구는 천재가 IQ 점수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한 역사적 증거를 제공했다.[40] 이 연구에는 많은 캘리포니아 학생들이 참여했지만, IQ 점수가 낮아 연구에 포함되지 못한 두 명의 학생, 윌리엄 쇼클리루이스 월터 앨버레즈는 이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성장했다. 이 사례는 천재가 되기 위한 최소 IQ는 125이지만, 추진력과 끈기가 있다면 천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함을 보여준다.

7. 1. 프랜시스 골턴과 천재 연구

프랜시스 골턴


프랜시스 골턴(1822–1911)은 인간의 뛰어난 업적과 정신 능력 검사를 연구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다. 그는 IQ 검사가 개발되기 전 저술한 저서 ''천재 유전''에서 뛰어난 업적에 대한 유전적 영향이 강하며, 일반 인구에서 뛰어난 사람은 드물다고 주장했다. 즉, 우등한 사람은 환경이 아니라 유전으로 탄생한다는 이론을 내세웠다.

7. 2. 루이스 터먼과 천재의 유전 연구

프랜시스 골턴은 인간의 뛰어난 업적과 정신 능력 검사를 연구한 선구자였다. 그는 IQ 검사가 개발되기 전 저술한 ''천재 유전''에서 뛰어난 사람은 환경이 아니라 유전으로 탄생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 루이스 터먼은 1916년 스탠퍼드-비네 검사에서 가장 높은 등급의 분류로 "천재" 또는 "천재에 가까운"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39] 1926년, 터먼은 캘리포니아 학생들을 대상으로 IQ 검사를 의뢰받아 천재의 유전 연구(Genetic Studies of Genius)를 시작했고, 평생 동안 이 연구를 진행했다.

터먼의 종단 연구는 캘리포니아에서 진행되었으며, 천재성과 IQ 점수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 증거를 제공했다.[40] 이 연구에는 많은 캘리포니아 학생들이 참여했다. 그러나 이 연구에 포함되지 못했지만, 이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로 성장한 윌리엄 쇼클리와 루이스 월터 알바레즈가 있었다. 이러한 사례를 바탕으로, 천재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 IQ 125가 필요하지만, 추진력과 끈기가 있다면 천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7. 3. 영재성(Giftedness)

프랜시스 골턴은 인간의 뛰어난 업적과 정신 테스트를 연구한 선구자였다. 그는 저서 ''Hereditary Genius''에서 우등한 사람은 환경이 아닌 유전으로 탄생한다는 이론을 제시했다.[39] 루이스 터먼은 1916년 스탠퍼드-비넷 테스트에서 최상위 등급을 "근접한" 천재 또는 천재"로 분류했다.[39] 그러나 1937년 스탠퍼드-비넷 테스트 개정판 이후, 터먼은 더 이상 "천재"라는 용어를 IQ 분류로 사용하지 않았다.

캘리포니아의 Terman 종적 연구는 천재와 IQ 점수의 관련성에 대한 역사적 증거를 제공했다.[40] 이 연구에 포함되지 못한 윌리엄 쇼클리루이스 월터 앨버레즈는 이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가 되었다. 이를 통해 천재는 최소 IQ가 125이어야 하지만, 추진력과 끈기가 있다면 천재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음을 밝혔다.

일반적으로 영재에 대한 합의된 정의는 없다.[41] 학문적 정의는 없지만, 현실적으로 학교 영재 교육 프로그램 선발에는 IQ 점수가 활용된다. 미국의 많은 학군에서는 전국 인구의 상위 2~3%에 해당하는 IQ 130점을 기준으로 사용한다.

영재 수준의 차이를 구분하기 위해 M.U. Gross는 다음과 같이 다섯 가지로 영재를 분류했다.[42]

영재의 수준 (M.U. Gross)
분류IQ 범위σ
약간 영재 (Mildly gifted)115-129+1.00 -+1.99
적당한 영재 (Moderately gifted)130-144+2.00-+2.99
영재 (Highly gifted)145-159+3.00-+3.99
뛰어난 재능 (Exceptionally gifted)160-179+4.00-+5.33
엄청난 재능 (Profoundly gifted)180-+5.33



루이스 터먼은 IQ 점수가 높아질수록 추정 오류가 증가한다고 지적했다.[43] 현재 IQ 테스트도 높은 IQ 점수에는 큰 오차가 있다. "뛰어난 재능"과 "엄청난 재능" 사이의 구분은 명확하게 확립되지 않았으며, IQ 점수는 응시자의 성장 과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44]

8. 한국 사회와 IQ

한국 사회에서 IQ는 학업 성취, 직업적 성공, 심지어 배우자 선택의 기준 등 다양한 영역에서 개인의 능력을 평가하는 중요한 지표로 여겨져 왔다. 이러한 인식은 높은 교육열과 경쟁적인 사회 분위기와 맞물려 IQ에 대한 과도한 집착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하지만 IQ는 인간 지능의 한 단면만을 보여줄 뿐이며, 창의성, 문제 해결 능력, 공감 능력 등 다른 중요한 인지 능력들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또한, IQ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논란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최근에는 IQ보다는 정서 지능(EQ), 다중 지능 등 다양한 지능 개념이 주목받으면서, IQ에 대한 맹신적인 태도는 점차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참조

[1] 논문 Stability of the WISC-IV in a Sampl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hildren http://www.tandfonli[...] 2010-02-10
[2] 서적 The Wiley Encyclopedia of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http://dx.doi.org/10[...] 2020-09-18
[3] 서적 Intelligent Testing With the WISC-V John Wiley & Sons
[4] 서적 Pediatric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School Springer
[5] 논문 '"Special needs" is an ineffective euphemism' 2016-12-19
[6] 논문 What's in a name? Attitudes surrounding the use of the term 'mental retardation' 2012-02
[7] 서적 Creating Born Criminal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8
[8] 서적 Destructive trends in mental health: the well-intentioned path to harm Routledge
[9] 논문 The Feeble-Minded: Their Prevalence and Needs in the School Population of Arkansas https://www.jstor.or[...] 1916
[10] 웹사이트 cretin http://dictionary.re[...] Houghton Mifflin Company 2008-08-04
[11] 논문 On the diagnostic term "Down's disease" 1979-01
[12] 웹사이트 Worst Word Vote http://www.bbc.co.uk[...] BBC 2007-08-17
[13] 문서 Rosa's Law https://www.govinfo.[...] Pub. L. 111-256 2010
[14] 웹사이트 SpecialOlympics.org http://www.specialol[...] SpecialOlympics.org 2010-06-29
[15] 웹인용 IQ의 정의 https://terms.naver.[...]
[16] 저널 Human Intellig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17] 서적 Human Intellige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18] 서적 Psychological Testing 1997
[19] 서적 Anastasi & Urbina 2009
[20] 서적 The Measurement of Intelligence: An Explanation of and a Complete Guide to the Use of the Stanford Revision and Extension of the Binet–Simon Intelligence Scale. https://archive.org/[...] 1916
[21] 서적 The Measurement of Adult Intelligence https://archive.org/[...] 1939
[22] 서적 K-WISC-IV의 이해와 실제
[23] 웹인용 IQ https://terms.naver.[...]
[24]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Intelligence 1958
[25]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Intelligence 1972
[26] 서적 Psychological Testing and Assessment https://archive.org/[...]
[27] 문서 Anastasi & Urbina 1997, p. 32
[28] 서적 The Measurement of Adult Intelligence 1939
[29] 저널 IQs earned by preadolescents (ages 12–13) who were given three different IQ tests in the early 2000s 2009
[30] 서적 IQ and Human Intelligence 2011
[31] 서적 범죄자의 지적 장애에 대한 지능적 진단 : 생각을 위한 음식 2012
[32] 서적 Terman 's Kids : 영재가 자라는 방법에 대한 획기적인 연구 1992
[33] 서적 IQ tests are not intended to isolate and measure highly specific skills and knowledge. This is the job of suitably designed achievement tests 2009
[34] 서적 Major Examples of Current Intelligence Tests 2011
[35] 저널 Reynolds & Kaufman 1990 2005
[36] 논문 IQ는 연약함, 경계선 지능, 둔함, 정상 성, 우월한 지능, 천재 등과 같은 용어에서 무엇을 의미합니까?이 용어를 사용할 때 두 가지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합니다. (1) 이러한 그룹 간의 경계선은 절대적으로 임의적이며 정의의 문제 일뿐입니다. (2) 그룹 중 하나를 구성하는 개인이 동질적인 유형을 구성하지 않습니다 1916
[37] 논문 최초의 지능 분류는 매우 거친 분류였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그들은 의학적 법률 용어로 다양한 행동 패턴을 정의하려는 실제적인 시도였습니다 1939
[38] 논문 지적 발달 장애 2013
[39] 논문 지능 측정 : Binet–Simon 지능 척도 1916
[40] 서적 Measuring intelligence; a guide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new revised Stanford-Binet tests of intelligence https://archive.org/[...] 1998
[41] 서적 Theories of Giftedness 2010
[42] 서적 Exceptionally and profoundly gifted students: An underserved population 2000
[43] 논문 Measuring intelligence; a guide to the administration of the new revised Stanford-Binet tests of intelligence 1937
[44] 논문 Ability Testing & Talent Identification 20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