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리그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리그 챔피언십은 K리그의 우승팀을 결정하기 위한 토너먼트 방식으로, 1984년부터 2011년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초기에는 전후기 리그 우승팀이 챔피언 결정전을 치렀고, 이후 단일리그와 플레이오프를 거쳐 우승팀을 가리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2009년부터는 경기 최우수 선수(MVP)를 선정하여 상금을 수여했다. 역대 챔피언십 진출 클럽은 포항 스틸러스, 성남 FC, 수원 삼성 블루윙즈 등이 있으며, 수도권, 영남, 호남 등 지역별로 진출 횟수와 우승 횟수에 차이가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K리그 챔피언십 - 2010년 K리그 챔피언십
    2010년 K리그 챔피언십은 K리그 정규리그 상위 6개 팀이 토너먼트 방식으로 우승을 가리는 대회로, FC 서울이 제주 유나이티드를 챔피언 결정전에서 꺾고 귀네슈 감독, 데얀, 정조국, 김치우 등의 활약에 힘입어 우승을 차지했다.
  • K리그 챔피언십 - 2011년 K리그 챔피언십
    2011년 K리그 챔피언십은 정규 시즌 상위 6개 팀이 참가하는 토너먼트 대회로, 전북 현대 모터스가 울산 현대와의 챔피언 결정전에서 승리하여 우승을 차지했으며, 울산 현대는 플레이오프와 준플레이오프를 거쳐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했다.
  • K리그에 관한 - K리그2
    K리그2는 2012년 K리그 분할 시스템 도입으로 출범한 대한민국의 2부 프로 축구 리그로, 초기에는 K리그 챌린지로 불렸으나 2018년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승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K리그1 승격팀을 결정하고 단일 리그 방식을 유지하며, 2025년부터 외국인 선수 등록 규정 변경 및 홈그로운 선수, U-22 출전 의무 규정이 도입될 예정이다.
  • K리그에 관한 - 설기현
    설기현은 2002년 월드컵 이탈리아전 동점골로 유명한 대한민국의 전 축구 선수이자 감독으로, 유럽 및 아시아 여러 클럽에서 활약하며 A매치 82경기 19골을 기록했고, 은퇴 후에는 대학 및 프로팀 감독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축구에 관한 - 정몽준
    정몽준은 현대중공업 대표이사 사장, 7선 국회의원, 대한축구협회 회장, FIFA 부회장을 역임하고 2002년 FIFA 월드컵 유치에 기여했으며, 아산나눔재단을 설립하여 사회 공헌 활동을 한 대한민국의 기업인, 정치인, 축구 행정가이다.
  • 대한민국의 축구에 관한 - 대한축구협회
    1921년 전조선 축구대회를 시작으로 1933년 창립된 대한축구협회는 FIFA 가입 후 아시안컵 우승, K리그 출범, 월드컵 4강 등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승부조작 논란 등 부정적 사건을 겪었으며, 현재는 승부조작 근절과 유소년 축구 육성을 통해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K리그 챔피언십
대회 정보
정식 명칭K리그 챔피언십
로마자 표기K League Chempionship
종류축구 리그
국가대한민국
창설2004년
소멸2011년
참가 구단 수6개 팀 (2011년)
최근 우승 구단전북 현대 모터스 (2011년)
관련 정보
관련 문서K리그1

2. 경기 최우수 선수

KT가 2009년 챔피언십 후원사로 합류하면서, 2009년 챔피언십 대회 6강 플레이오프부터 챔피언 결정전까지 매 경기마다 최우수선수(MVP)를 선정하는 《olleh KT Man of the Match》를 시행하게 되었다. 6강 플레이오프부터 플레이오프까지는 경기당 100만씩, 챔피언 결정전 최우수선수에게는 200만의 상금이 주어진다.[7]

3. 역대 챔피언십 진행 방식

K리그 챔피언십은 여러 차례 진행 방식이 পরিবর্তন되었다.

크게 네 가지 방식으로 요약할 수 있다.

1. 전후기리그 + 챔피언 결정전 (1984, 1986, 1995, 1996): 정규 시즌을 전기와 후기, 두 개의 리그로 나누어 운영하고, 각 리그 우승팀이 챔피언 결정전에 진출하는 방식이다.

2. 단일리그 + 4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결정전 (1998, 1999, 2000): 정규 시즌을 단일리그로 운영하여 상위 4개 팀을 선발, 3위와 4위 팀 간의 준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승자와 2위 팀 간의 플레이오프를 거쳐 챔피언 결정전 진출 팀을 가리는 방식이다.

3. 전후기리그 + 4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결정전 (2004, 2005, 2006): 정규 시즌을 전기와 후기, 두 개의 리그로 나누어 운영하고, 각 리그 우승팀과 전후기 통합 승점 1, 2위 팀이 4강 플레이오프에 진출, 챔피언 결정전을 통해 우승팀을 결정하는 방식이다.

4. 단일리그 + 6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결정전 (2007, 2008, 2009, 2010, 2011): 정규 시즌을 단일리그로 운영하여 상위 6개 팀을 선발, 1위 팀은 챔피언 결정전에 직행하고, 3위-6위, 4위-5위 간의 6강 플레이오프, 6강 플레이오프 승자 간 준플레이오프, 준플레이오프 승자와 2위 팀 간의 플레이오프를 거쳐 챔피언 결정전 진출 팀을 가리는 방식이다.

3. 1. 전후기리그 + 챔피언 결정전 (1984, 1986, 1995, 1996)

(승점)후기리그 우승
(승점)11984유공 코끼리
(31)대우 로얄즈
(29)21986포항제철 아톰즈
(12)럭키금성 황소
(16)31995일화 천마
(33)포항 아톰즈
(29)41996울산 현대 호랑이
(36)수원 삼성 블루윙즈
(33)


3. 2. 단일리그 + 4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결정전 (1998, 1999, 2000)

(승점)리그 2위
(승점)리그 3위
(승점)리그 4위
(승점)51998수원 삼성 블루윙즈 (31)울산 현대 호랑이 (28)포항 스틸러스 (28)전남 드래곤즈 (26)61999수원 삼성 블루윙즈 (59)부천 SK (47)전남 드래곤즈 (38)부산 대우 로얄즈 (37)72000안양 LG 치타스 (53)성남 일화 천마 (42)전북 현대 모터스 (37)부천 SK (36)


3. 3. 전후기리그 + 4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결정전 (2004, 2005, 2006)

정규 시즌은 전기 리그와 후기 리그, 두 개의 리그로 운영되었으며, 각 리그 우승 팀과 이들을 제외한 전후기 통합 승점 1, 2위 팀이 4강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4강 플레이오프 승리 팀들은 챔피언 결정전을 치러 최종 우승 팀을 가렸다.[1]

횟수시즌전기 리그
우승
(승점)
후기 리그
우승
(승점)
전후기 통합 승점
1위
(승점)
전후기 통합 승점
2위
(승점)
82004포항 스틸러스
(23)
수원 삼성 블루윙즈
(23)
울산 현대 호랑이
(41)
전남 드래곤즈
(37)
92005부산 아이파크
(25)
성남 일화 천마
(27)
인천 유나이티드
(45)
울산 현대 호랑이
(43)
102006성남 일화 천마
(32)
수원 삼성 블루윙즈
(27)
포항 스틸러스
(47)
FC 서울
(39)


3. 4. 단일리그 + 6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결정전 (2007, 2008, 2009, 2010, 2011)

(승점)리그 2위
(승점)리그 3위
(승점)리그 4위
(승점)리그 5위
(승점)리그 6위
(승점)112007성남 일화 천마
(55)수원 삼성 블루윙즈
(51)울산 현대 호랑이
(45)경남 FC
(44)포항 스틸러스
(39)대전 시티즌
(37)122008수원 삼성 블루윙즈
(54)FC 서울
(54)성남 일화 천마
(51)울산 현대
(49)포항 스틸러스
(44)전북 현대 모터스
(37)132009전북 현대 모터스
(57)포항 스틸러스
(53)FC 서울
(53)성남 일화 천마
(45)인천 유나이티드
(43)전남 드래곤즈
(42)142010FC 서울
(62)제주 유나이티드
(59)전북 현대 모터스
(51)울산 현대
(50)성남 일화 천마
(48)경남 FC
(48)152011전북 현대 모터스
(63)포항 스틸러스
(59)FC 서울
(55)수원 삼성 블루윙즈
(55)부산 아이파크
(46)울산 현대
(46)


4. 역대 챔피언십 진출 클럽

(승점)후기 리그 우승
(승점)11984유공 코끼리
(31)대우 로얄즈
(29)21986포항제철 아톰즈
(12)럭키금성 황소
(16)31995일화 천마
(33)포항 아톰즈
(29)41996울산 현대 호랑이
(36)수원 삼성 블루윙즈
(33)



횟수시즌리그 1위
(승점)
리그 2위
(승점)
리그 3위
(승점)
리그 4위
(승점)
51998수원 삼성 블루윙즈
(31)
울산 현대 호랑이
(28)
포항 스틸러스
(28)
전남 드래곤즈
(26)
61999수원 삼성 블루윙즈
(59)
부천 SK
(47)
전남 드래곤즈
(38)
부산 대우 로얄즈
(37)
72000안양 LG 치타스
(53)
성남 일화 천마
(42)
전북 현대 모터스
(37)
부천 SK
(36)



횟수시즌전기리그
우승
(승점)
후기리그
우승
(승점)
전후기통합승점
1위
(승점)
전후기통합승점
2위
(승점)
82004포항 스틸러스 (23)수원 삼성 블루윙즈 (23)울산 현대 호랑이 (41)전남 드래곤즈 (37)
92005부산 아이파크 (25)성남 일화 천마 (27)인천 유나이티드 (45)울산 현대 호랑이 (43)
102006성남 일화 천마 (32)수원 삼성 블루윙즈 (27)포항 스틸러스 (47)FC 서울 (39)



횟수시즌리그 1위
(승점)
리그 2위
(승점)
리그 3위
(승점)
리그 4위
(승점)
리그 5위
(승점)
리그 6위
(승점)
112007성남 일화 천마
(55)
수원 삼성 블루윙즈
(51)
울산 현대 호랑이
(45)
경남 FC
(44)
포항 스틸러스
(39)
대전 시티즌
(37)
122008수원 삼성 블루윙즈
(54)
FC 서울
(54)
성남 일화 천마
(51)
울산 현대
(49)
포항 스틸러스
(44)
전북 현대 모터스
(37)
132009전북 현대 모터스
(57)
포항 스틸러스
(53)
FC 서울
(53)
성남 일화 천마
(45)
인천 유나이티드
(43)
전남 드래곤즈
(42)
142010FC 서울
(62)
제주 유나이티드
(59)
전북 현대 모터스
(51)
울산 현대
(50)
성남 일화 천마
(48)
경남 FC
(48)
152011전북 현대 모터스
(63)
포항 스틸러스
(59)
FC 서울
(55)
수원 삼성 블루윙즈
(55)
부산 아이파크
(46)
울산 현대
(46)


4. 1. 전후기리그 + 챔피언 결정전 방식 (1984, 1986, 1995, 1996)

(승점)후기 리그 우승
(승점)11984유공 코끼리
(31)대우 로얄즈
(29)21986포항제철 아톰즈
(12)럭키금성 황소
(16)31995일화 천마
(33)포항 아톰즈
(29)41996울산 현대 호랑이
(36)수원 삼성 블루윙즈
(33)


4. 2. 단일리그 + 4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결정전 방식 (1998, 1999, 2000)

(승점)리그 2위
(승점)리그 3위
(승점)리그 4위
(승점)51998수원 삼성 블루윙즈
(31)울산 현대 호랑이
(28)포항 스틸러스
(28)전남 드래곤즈
(26)61999수원 삼성 블루윙즈
(59)부천 SK
(47)전남 드래곤즈
(38)부산 대우 로얄즈
(37)72000안양 LG 치타스
(53)성남 일화 천마
(42)전북 현대 모터스
(37)부천 SK
(36)


4. 3. 전후기리그 + 4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결정전 방식 (2004, 2005, 2006)

우승
(승점)후기리그
우승
(승점)전후기통합승점
1위
(승점)전후기통합승점
2위
(승점)82004포항 스틸러스 (23)수원 삼성 블루윙즈 (23)울산 현대 호랑이 (41)전남 드래곤즈 (37)92005부산 아이파크 (25)성남 일화 천마 (27)인천 유나이티드 (45)울산 현대 호랑이 (43)102006성남 일화 천마 (32)수원 삼성 블루윙즈 (27)포항 스틸러스 (47)FC 서울 (39)


4. 4. 단일리그 + 6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결정전 방식 (2007, 2008, 2009, 2010, 2011)

정규시즌을 하나의 단일리그로 운영하여 리그 1위부터 6위까지 순위를 정한 다음 리그 1위는 챔피언 결정전에 직행하고, 3위팀과 6위팀, 4위팀과 5위팀이 6강 플레이오프를 하여 승자를 가린다. 승자들끼리 다시 한번 준플레이오프를 거쳐서 2위팀과 플레이오프를 치른다. 여기서 승자가 챔피언 결정전에 직행해 있는 1위팀과 다시 한번 격돌하는 방식이다.[1]

횟수시즌리그 1위
(승점)
리그 2위
(승점)
리그 3위
(승점)
리그 4위
(승점)
리그 5위
(승점)
리그 6위
(승점)
112007성남 일화 천마
(55)
수원 삼성 블루윙즈
(51)
울산 현대 호랑이
(45)
경남 FC
(44)
포항 스틸러스
(39)
대전 시티즌
(37)
122008수원 삼성 블루윙즈
(54)
FC 서울
(54)
성남 일화 천마
(51)
울산 현대
(49)
포항 스틸러스
(44)
전북 현대 모터스
(37)
132009전북 현대 모터스
(57)
포항 스틸러스
(53)
FC 서울
(53)
성남 일화 천마
(45)
인천 유나이티드
(43)
전남 드래곤즈
(42)
142010FC 서울
(62)
제주 유나이티드
(59)
전북 현대 모터스
(51)
울산 현대
(50)
성남 일화 천마
(48)
경남 FC
(48)
152011전북 현대 모터스
(63)
포항 스틸러스
(59)
FC 서울
(55)
수원 삼성 블루윙즈
(55)
부산 아이파크
(46)
울산 현대
(46)


5. 역대 챔피언십 - 챔피언 결정전 결과

합계준우승1차전
득점2차전
득점3차전
승부차기승무패
전적11984대우 로얄즈2-1유공 코끼리1-01-11승 1무21986포항제철 아톰즈2-1럭키금성 황소1-01-11승 1무31995일화 천마5-4포항 아톰즈1-13-31-01승 2무41996울산 현대 호랑이3-2수원 삼성 블루윙즈0-13-11승 1패51998수원 삼성 블루윙즈1-0울산 현대 호랑이1-00-01승 1무61999수원 삼성 블루윙즈4-2부산 대우 로얄즈2-12-1(연장전)2승72000안양 LG 치타스5-2부천 SK4-11-11승 1무82004수원 삼성 블루윙즈0-0포항 스틸러스0-00-04-32무92005울산 현대 호랑이6-3인천 유나이티드5-11-21승 1패102006성남 일화 천마3-1수원 삼성 블루윙즈1-02-12승112007포항 스틸러스4-1성남 일화 천마3-11-02승122008수원 삼성 블루윙즈3-2FC 서울1-12-11승 1무132009전북 현대 모터스3-1성남 일화 천마0-03-11승 1무142010FC 서울4-3제주 유나이티드2-22-11승 1무152011전북 현대 모터스4-2울산 현대2-12-12승



우승

준우승

6. 역대 챔피언십 진출 통계

K리그는 1987년부터 홈 앤드 어웨이 시스템을 도입했다.[3] K리그의 공식 기록은 전신 클럽의 기록을 최종 클럽이 승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3] K리그 챔피언십 진출 관련 통계는 하위 섹션에서 자세히 다루고 있다.

6. 1. 진출 횟수

K리그의 공식 기록은 전신 클럽의 기록을 최종 클럽이 승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3]

클럽진출 횟수
포항 스틸러스9 (1986, 1995, 1998, 2004, 2006, 2007, 2008, 2009, 2011)
성남 FC8 (1995,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수원 삼성 블루윙즈8 (1996, 1998, 1999, 2004, 2006, 2007, 2008, 2011)
울산 현대8 (1996, 1998, 2004, 2005, 2007, 2008, 2010, 2011)
FC 서울7 (1986, 2000, 2006, 2008, 2009, 2010, 2011)
전북 현대 모터스5 (2000, 2008, 2009, 2010, 2011)
제주 유나이티드4 (1984, 1999, 2000, 2010)
전남 드래곤즈4 (1998, 1999, 2004, 2009)
부산 아이파크4 (1984, 1999, 2005, 2011)
인천 유나이티드2 (2004, 2009)
경남 FC2 (2007, 2010)
대전 시티즌1 (2007)


6. 2. 연고지별 진출 횟수

K리그는 1987년부터 홈 앤드 어웨이 시스템을 도입했다.[3] K리그의 공식 기록은 최종 클럽이 전신 클럽의 기록을 승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3] 다음은 연고지별 챔피언십 진출 횟수를 정리한 표이다.

연고지진출 횟수
포항9 (1986, 1995, 1998, 2004, 2006, 2007, 2008, 2009, 2011)
성남8 (1995,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수원8 (1996, 1998, 1999, 2004, 2006, 2007, 2008, 2011)
울산8 (1996, 1998, 2004, 2005, 2007, 2008, 2010, 2011)
서울7 (1986, 2000, 2006, 2008, 2009, 2010, 2011)
전주5 (2000, 2008, 2009, 2010, 2011)
제주4 (1984, 1999, 2000, 2010)
광양4 (1998, 1999, 2004, 2009)
부산4 (1984, 1999, 2005, 2011)
인천2 (2004, 2009)
경남2 (2007, 2010)
대전1 (2007)


6. 3. 지역별 진출 횟수

K리그는 1987년부터 홈 앤드 어웨이 시스템을 도입했다.[3] K리그의 공식 기록은 최종 클럽이 전신 클럽의 기록을 승계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3]

지역진출 횟수
포항9 (1986, 1995, 1998, 2004, 2006, 2007, 2008, 2009, 2011)
성남8 (1995, 2000, 2005, 2006, 2007, 2008, 2009, 2010)
수원8 (1996, 1998, 1999, 2004, 2006, 2007, 2008, 2011)
울산8 (1996, 1998, 2004, 2005, 2007, 2008, 2010, 2011)
서울7 (1986, 2000, 2006, 2008, 2009, 2010, 2011)
전주5 (2000, 2008, 2009, 2010, 2011)
제주4 (1984, 1999, 2000, 2010)
광양4 (1998, 1999, 2004, 2009)
부산4 (1984, 1999, 2005, 2011)
인천2 (2004, 2009)
경남2 (2007, 2010)
대전1 (2007)


참조

[1] 뉴스 http://www.kleague.c[...] K League 2009-10-20
[2] 뉴스 https://news.naver.c[...] Edaily 2009-10-20
[3] 뉴스 The Official K-League Almanac K-League editorial division
[4] 뉴스인용 되돌아본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0년사 https://sports.news.[...] 조이뉴스24 2004-12-06
[5] 뉴스인용 K리그 포스트시즌 명칭 'K리그 챔피언십' https://news.naver.c[...] 이데일리 2009-10-20
[6] 뉴스인용 현대자동차, K-리그 챔피언십 2009 타이틀 스폰서 https://news.naver.c[...] 스포탈코리아 2009-11-20
[7] 뉴스인용 KT, K-리그 쏘나타 챔피언십 2009 공식 후원 http://sportalkorea.[...] 스포탈코리아 2009-11-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