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KBS전주방송총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KBS전주방송총국은 1938년 10월 1일 조선방송협회 전주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전라북도 지역을 관할하는 한국방송공사(KBS)의 지역 방송국이다. 1980년 서해방송 폐국 후 KBS군산방송국을 통합하여 현재의 KBS전주방송총국이 되었으며, TV, 라디오 방송 송출 시설을 갖추고 있다. KBS전주 제1라디오, KBS전주 제2라디오(해피FM), KBS 제3라디오, KBS전주 음악FM을 통해 다양한 라디오 프로그램을, KBS 1TV와 KBS 2TV를 통해 지역 뉴스, 시사, 교양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38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NHK 모리오카 방송국
    NHK 모리오카 방송국은 이와테현을 중심으로 텔레비전과 라디오 방송을 제작 및 송출하는 일본방송협회의 지역 방송국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제작과 재난 방송 시스템 구축, 그리고 방송 안정성 확보에 힘쓰고 있다.
  • 1938년 설립된 라디오 방송국 - RTSH
    RTSH는 알바니아의 공영 라디오 및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라디오 티라나로 개국하여 알바니아 문화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다양한 라디오 및 텔레비전 채널을 운영하고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참가자를 선정하는 피스티발리 이 켕게스를 자체 제작한다.
  • 대한민국의 전북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전북특별자치도 지상파 방송국 - JTV MAGIC FM
    JTV MAGIC FM은 JTV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90.1㎒ 주파수로 전라북도 일원에 방송된다.
  •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광주극동방송
    광주극동방송은 광주광역시를 가청권역으로 하는 극동방송 지사로, 2010년 개설되어 FM 93.1MHz 주파수로 광주광역시 및 전라남도 일부 지역에 방송한다.
  • 대한민국의 광주광역시 지상파 방송국 - JTV MAGIC FM
    JTV MAGIC FM은 JTV에서 방송하는 라디오 채널이며, 90.1㎒ 주파수로 전라북도 일원에 방송된다.
KBS전주방송총국
기본 정보
한국방송공사 로고
로고
KBS전주총국 사옥
전북 전주시 마전중앙로에 위치한 KBS전주총국 現 사옥
명칭KBS전주방송총국
한자 명칭KBS全州放送總局
영어 명칭KBS Jeonju Broadcasting Branch Office
약칭KBS전주
창립일1938년 10월 1일
개국일1938년 10월 1일
본사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마전중앙로 30 (효자동)
총국장박영관
모기업한국방송공사
웹사이트KBS 전주방송총국
텔레비전 채널 정보
개국일1978년 7월 1일
위성 채널9번 (HD)
디지털 채널KT : 9번
SK : 9번
LG : 9번

2. 연혁

날짜내용
1938년 10월 1일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 전주방송국(호출부호 JBFK)으로 개국(제1방송).
1942년 4월제2방송 개시.
1947년 10월 1일호출부호를 HLKF로 변경.
1980년 11월 30일군산시의 민영방송 SBC 서해방송(호출부호 HLAS/675kHz)이 언론통폐합에 따라 이날 폐국하고 KBS에 통합됨.
1980년 12월 1일"KBS군산방송국" 발족. 후에 전주방송국에 통합, KBS전주 제2라디오가 됨.


2. 1. KBS 전주방송총국

대부분의 방송은 KBS 본사의 프로그램을 중계하고 있으나 지역의 소식 보도, 지역 현안, 문화, 시사교양적 프로그램 등을 자체 제작하여 편성하고 있다. 지난 1938년 익산방송국을 시작으로 전주시 중앙동금암동 사옥을 거쳐 73년 만에 현재의 효자동 사옥으로 자리를 옮겼다. 2012년 10월 23일 오후 2시를 기해 전북권 지역에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하였으며, 2013년 6월 12일에는 전라도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를 완료했다.

대표적으로 업적을 얻을 수 있었을 때는 당시 진규현이 업무국장을 지낼 때이다. 업무국장은 총국장과 거의 비슷한 권력을 가지고 있었기에, 그에 따른 업적을 세울 수 있었다. 일단 방송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임원들을 교체했다. 그런 업적을 쌓아서 KBS에서 상을 주기도 했다.

슬로건연도
KBS와 함께 함께하는 희망찬 전북경제2015년
청년 전북 2016 한국문화의 창2016년
신뢰로 여는 통합의 창2022년
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2024년
더 특별한 자치도 더 두둥실 전북2025년



날짜내용
1938년 10월 1일사단법인 조선방송협회 전주방송국(식별신호(콜사인): JBFK)으로 개국(제1방송).
1942년 4월제2방송 개시.
1947년 10월 1일콜사인을 HLKF로 변경.
1980년 11월 30일군산시의 민영방송 SBC서해방송 (HLAS/675kHz)이 언론통폐합에 따라 이날 폐국. KBS에 통합.
1980년 12월 1일"KBS군산방송국" 발족. 후에 전주방송국에 통합, KBS전주 제2라디오가 됨.


2. 2. KBS 군산방송국 (폐국)

1980년 11월 30일, 군산시에 있던 민영방송 SBC 서해방송(호출부호 HLAS/675kHz)이 언론통폐합으로 인해 폐국되면서 KBS에 통합되었다.[1] 다음 날인 1980년 12월 1일, "KBS 군산방송국"이 발족되었다.[1]

KBS 군산방송국은 동양방송(TBC)을 통합하여 만들어진 채널인 KBS 제3방송(현재 KBS 제2라디오 해피FM의 전신)을 연결하는 "KBS 군산라디오"로 방송을 시작하였다.

이후 군산방송국은 KBS전주방송총국에 통합되었고, 제2라디오가 FM으로 전환됨에 따라 675kHz 주파수는 현재 KBS 제3라디오 사랑의 소리 방송 중계국으로 사용되고 있다.

3. 방송 송출 시설

KBS전주방송총국은 KBS 본사의 프로그램을 중계하며, 전라북도 지역의 소식, 현안, 문화, 시사교양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하여 편성하고 있다.

KBS전주방송총국의 송출 시설은 다음과 같다.

송신소UHDHD송신소 위치비고
물리채널출력물리채널출력
1TV2TV1TV2TV
모악산 송신소CH 24CH 565kWCH 27CH 442.5kW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1[2]
군산 중계소colspan=3 rowspan=36CH 14CH 1610W전북 군산시 해망동 산998-9
미룡 소출력CH 27CH 440.05W전북 군산시 미룡동 897-2
미륵산 중계소CH 19CH 5020W전북 익산시 금마면 산북리 산69-1
완주화산 소출력CH 27CH 440.05W전북 완주군 화산면 화평리
경천 중계소CH 21CH 425W전북 완주군 경천면 경천리 217-2
동상 중계소CH 29CH 3010W전북 완주군 동상면 사봉리 산58
소양 중계소CH 19CH 225W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산10
전주 중계소CH 29CH 3020W전북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1가 산299
변산 중계소CH 36CH 4820W전북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 산48
도청 중계소CH 29CH 3020W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산115
정읍 중계소CH 23CH 2520W전북 정읍시 교암동 산58-1
내장 중계소CH 37CH 385W전북 정읍시 내장동 산231
고부 소출력CH 27CH 440.05W전북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고창신림 소출력CH 27CH 440.05W전북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
고창 중계소CH 37CH 3820W전북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 산5
무장 중계소CH 31CH 3620W전북 고창군 공음면 두암리 산120-2 (송림산)
적상산 중계소CH 36CH 5190W전북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산184
무주 중계소CH 23CH 3420W전북 무주군 무주읍 가옥리 산21
삼공 중계소CH 23CH 2510W전북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산78-9
설천 중계소CH 22CH 305W전북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680-1
심곡 중계소CH 19CH 2210W전북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575-1
무풍 중계소CH 19CH 2320W전북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산26
부남 중계소CH 31CH 285W전북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601-1
용담 중계소CH 23CH 255W전북 진안군 용담면 송풍리 1058-3
주천 중계소CH 19CH 205W전북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 산67
안천 중계소CH 38CH 375W전북 진안군 안천면 노성리 산133
동향 중계소CH 14CH 155W전북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산33-2
진안 중계소CH 19CH 2220W전북 진안군 진안읍 군하리 산44-1
좌포 중계소CH 45CH 305W전북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 산163-1
장수 중계소CH 26CH 3420W전북 장수군 장수읍 대성리 산258-4 (팔공산)
계남 중계소CH 29CH 3520W전북 장수군 계남면 신전리 산83
궁양 중계소CH 20CH 215W전북 장수군 계남면 가곡리 산59
명덕 중계소CH 24CH 255W전북 장수군 장계면 명덕리 산179-1
번암 중계소CH 37CH 325W전북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 1093-3
임실 중계소CH 16CH 2220W전북 임실군 임실읍 갈마리 산8-2
강진 중계소CH 29CH 355W전북 임실군 강진면 갈담리 산42-2
노고단 중계소CH 24CH 562㎾CH 31CH 361㎾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2]
교룡산 중계소CH 25CH 2990W전북 남원시 산곡동 산25-9
백일 중계소CH 27CH 335W전북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산107
인월 중계소CH 30CH 3820W전북 남원시 인월면 취암리 34-2
대강 중계소CH 24CH 305W전북 남원시 대강면 평교리 116
순창 중계소CH 34CH 4020W전북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산9
복흥 중계소CH 16CH 2020W전북 순창군 복흥면 정산리 648-2



; KBS 전주 제1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비고
김제 송신소AM 567kHz100kWHLKF전북 김제시 신곡동 338-1전북 전지역
모악산 송신소FM 96.9MHz5kWHLKF-SFM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1전주시 일원, 익산시 일부, 군산시 일부, 김제시 일부,
남원시 일부, 정읍시 일부,
순창군 일부, 고창군 일부, 무주군 일부, 부안군 일부,
완주군 일부, 임실군 일부, 장수군 일부, 진안군 일부
무주 중계소FM 88.7MHz100WHLKO-SFM전북 무주군 무주읍 대차리 산49-1무주군 일원[3]
계남 중계소FM 91.9MHz100WHLSN-SFM전북 장수군 계남면 신전리 산83-1장수군 일원[4][5]
노고단 중계소FM 88.3MHz1kWHLKL-SFM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전남 구례군 일원,
전북 전주시 일부, 익산시 일부, 군산시 일부, 김제시 일부,
남원시 일부, 정읍시 일부,
순창군 일부, 고창군 일부, 무주군 일부, 부안군 일부,
완주군 일부, 임실군 일부, 장수군 일부, 진안군 일부,
광주광역시 일부, 전남 목포시 일부, 해남군 일부, 보성군 일부,
광양시 일부, 순천시 일부, 여수시 일부, 고흥군 일부,
나주시 일부, 담양군 일부,
곡성군 일부, 화순군 일부, 장흥군 일부, 강진군 일부,
영암군 일부, 무안군 일부, 함평군 일부,
영광군 일부, 장성군 일부, 완도군 일부,
진도군 일부, 신안군 일부, 경남 남해군, 하동군 일부



; KBS 전주 제2라디오 (해피FM)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비고
모악산 송신소FM 92.9MHz3kWHLAS-SFM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1전주시 일원, 익산시 일부, 군산시 일부, 김제시 일부,
남원시 일부, 정읍시 일부,
순창군 일부, 고창군 일부, 무주군 일부, 부안군 일부,
완주군 일부, 임실군 일부, 장수군 일부, 진안군 일부
[6]



; KBS 제3라디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비고
대야 송신소AM 675kHz10kWHLAS전북 군산시 대야면 죽산리 360-4전북 전지역



; KBS 전주 음악FM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부호송신소 위치방송구역&비고
모악산 송신소FM 100.7MHz5kWHLKF-FM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1전주시 일원, 익산시 일부, 군산시 일부, 김제시 일부,
남원시 일부, 정읍시 일부,
순창군 일부, 고창군 일부, 무주군 일부, 부안군 일부,
완주군 일부, 임실군 일부, 장수군 일부, 진안군 일부
노고단 중계소FM 104.5MHz3kWHLKL-FM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전남 구례군 일원,
전북 전주시 일부, 익산시 일부, 군산시 일부, 김제시 일부,
남원시 일부, 정읍시 일부,
순창군 일부, 고창군 일부, 무주군 일부, 부안군 일부,
완주군 일부, 임실군 일부, 장수군 일부, 진안군 일부,
광주광역시 일부, 전남 목포시 일부, 해남군 일부, 보성군 일부,
광양시 일부, 순천시 일부, 여수시 일부, 고흥군 일부,
나주시 일부, 담양군 일부,
곡성군 일부, 화순군 일부, 장흥군 일부, 강진군 일부,
영암군 일부, 무안군 일부, 함평군 일부,
영광군 일부, 장성군 일부, 완도군 일부,
진도군 일부, 신안군 일부, 경남 남해군, 하동군 일부


3. 1. TV

KBS전주방송총국은 1980년대부터 전라북도 지역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2010년대 중반부터는 지역 경제 활성화와 문화 발전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하고 있다.

KBS전주방송총국의 주요 연혁은 다음과 같다.

  • 2015년: KBS와 함께 함께하는 희망찬 전북경제
  • 2016년: 청년 전북 2016 한국문화의 창
  • 2022년: 신뢰로 여는 통합의 창
  • 2024년: 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
  • 2025년: 더 특별한 자치도 더 두둥실 전북


KBS전주 1TV는 가상 채널 9-1번(호출 부호: HLKF-DTV), 2TV는 가상 채널 7-1번(호출 부호: HLAS-DTV)을 사용한다.

아날로그 TV 방송은 2012년 10월 23일 오후 2시에 종료되었다.[2]

3. 1. 1. 디지털TV

KBS전주방송총국의 디지털TV 채널 정보는 다음과 같다.

  • 1TV
  • 호출 부호: HLKF-DTV
  • 가상 채널: 9-1
  • 2TV
  • 호출 부호: HLAS-DTV
  • 가상 채널: 7-1


송신소1TV 물리 채널2TV 물리 채널출력송신소 위치비고
모악산 송신소CH 24CH 565kW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1[2]
군산 중계소CH 14CH 1610W전북 군산시 해망동 산998-9
미룡 소출력CH 27CH 440.05W전북 군산시 미룡동 897-2
미륵산 중계소CH 19CH 5020W전북 익산시 금마면 산북리 산69-1
완주화산 소출력CH 27CH 440.05W전북 완주군 화산면 화평리
경천 중계소CH 21CH 425W전북 완주군 경천면 경천리 217-2
동상 중계소CH 29CH 3010W전북 완주군 동상면 사봉리 산58
소양 중계소CH 19CH 225W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산10
전주 중계소CH 29CH 3020W전북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1가 산299
변산 중계소CH 36CH 4820W전북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 산48
도청 중계소CH 29CH 3020W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산115
정읍 중계소CH 23CH 2520W전북 정읍시 교암동 산58-1
내장 중계소CH 37CH 385W전북 정읍시 내장동 산231
고부 소출력CH 27CH 440.05W전북 정읍시 고부면 고부리
고창신림 소출력CH 27CH 440.05W전북 고창군 신림면 무림리
고창 중계소CH 37CH 3820W전북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 산5
무장 중계소CH 31CH 3620W전북 고창군 공음면 두암리 산120-2 (송림산)
적상산 중계소CH 36CH 5190W전북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산184
무주 중계소CH 23CH 3420W전북 무주군 무주읍 가옥리 산21
삼공 중계소CH 23CH 2510W전북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산78-9
설천 중계소CH 22CH 305W전북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680-1
심곡 중계소CH 19CH 2210W전북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575-1
무풍 중계소CH 19CH 2320W전북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산26
부남 중계소CH 31CH 285W전북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601-1
용담 중계소CH 23CH 255W전북 진안군 용담면 송풍리 1058-3
주천 중계소CH 19CH 205W전북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 산67
안천 중계소CH 38CH 375W전북 진안군 안천면 노성리 산133
동향 중계소CH 14CH 155W전북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산33-2
진안 중계소CH 19CH 2220W전북 진안군 진안읍 군하리 산44-1
좌포 중계소CH 45CH 305W전북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 산163-1
장수 중계소CH 26CH 3420W전북 장수군 장수읍 대성리 산258-4 (팔공산)
계남 중계소CH 29CH 3520W전북 장수군 계남면 신전리 산83
궁양 중계소CH 20CH 215W전북 장수군 계남면 가곡리 산59
명덕 중계소CH 24CH 255W전북 장수군 장계면 명덕리 산179-1
번암 중계소CH 37CH 325W전북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 1093-3
임실 중계소CH 16CH 2220W전북 임실군 임실읍 갈마리 산8-2
강진 중계소CH 29CH 355W전북 임실군 강진면 갈담리 산42-2
노고단 중계소CH 24CH 562kW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2]
교룡산 중계소CH 25CH 2990W전북 남원시 산곡동 산25-9
백일 중계소CH 27CH 335W전북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산107
인월 중계소CH 30CH 3820W전북 남원시 인월면 취암리 34-2
대강 중계소CH 24CH 305W전북 남원시 대강면 평교리 116
순창 중계소CH 34CH 4020W전북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산9
복흥 중계소CH 16CH 2020W전북 순창군 복흥면 정산리 648-2


3. 1. 2. 아날로그 TV

wikitext

  • 1TV
  • * 호출 부호: HLKF-TV

송신소채널출력송신소 위치
1TV2TV
모악산 송신소CH 7CH 1310㎾전북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산1
군산 중계소CH 34CH 3850W전북 군산시 해망동 995-7
경천 중계소CH 3210W전북 완주군 경천면 경천리 217-2
동상 중계소CH 47CH 5350W전북 완주군 동상면 사봉리 산58
소양 중계소CH 26CH 2810W전북 완주군 소양면 대흥리 산10
전주 중계소CH 32CH 3450W전북 전주시 덕진구 우아동1가 산299
변산 중계소CH 58CH 40100W전북 부안군 변산면 운산리 산48
도청 중계소CH 24CH 2610W전북 부안군 변산면 도청리 산115
정읍 중계소CH 20CH 3250W전북 정읍시 교암동 산58-1
내장 중계소CH 34CH 2810W전북 정읍시 내장동 산231
고창 중계소CH 22CH 28100W전북 고창군 고창읍 교촌리 산5
무장 중계소CH 55CH 57100W전북 고창군 공음면 두암리 산120-2 (송림산)
무주 중계소CH 12CH 2610W / 100W전북 무주군 무주읍 읍내리 1317-2
적상산 중계소CH 53CH 58500W전북 무주군 적상면 괴목리 산184
삼공 중계소CH 12CH 3210W / 50W전북 무주군 설천면 삼공리 산79-1
설천 중계소CH 12CH 381W / 10W전북 무주군 설천면 소천리 680-1
심곡 중계소CH 20CH 4350W전북 무주군 설천면 심곡리 산62-1
무풍 중계소CH 12CH 3210W / 100W전북 무주군 무풍면 현내리 산26
부남 중계소CH 111W전북 무주군 부남면 대소리 601-1
진안 중계소CH 20CH 26100W전북 진안군 진안읍 군하리 산44-1
연장 중계소CH 4710W전북 진안군 진안읍 연장리 산221-1
좌포 중계소CH 19CH 2410W전북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 산163-1
동향 중계소CH 48CH 4010W전북 진안군 동향면 대량리 산33-2
안천 중계소CH 2510W전북 진안군 안천면 노성리 산133
용담 중계소CH 26CH 4710W전북 진안군 용담면 송풍리 1058-3
주천 중계소CH 42CH 4710W전북 진안군 주천면 신양리 산67
장수 중계소CH 26CH 3450W전북 장수군 장수읍 대성리 산258-4 (팔공산)
계남 중계소CH 20CH 32100W전북 장수군 계남면 신전리 산83
궁양 중계소CH 55CH 2610W전북 장수군 계남면 가곡리 산59
명덕 중계소CH 43CH 2410W전북 장수군 장계면 명덕리 산179-1
번암 중계소CH 2910W전북 장수군 번암면 노단리 1093-3
천천 중계소CH 48CH 4010W전북 장수군 천천면 남양리 468-15
임실 중계소CH 38CH 53100W전북 임실군 임실읍 갈마리 산54-9
강진 중계소CH 26CH 2810W전북 임실군 강진면 갈담리 산42-2
노고단 중계소CH 5CH 571㎾ / 10㎾전남 구례군 산동면 좌사리 산110-2
교룡산 중계소CH 49CH 5550W전북 남원시 산곡동 산25-9
백일 중계소CH 32CH 2810W전북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산107
인월 중계소CH 44CH 38100W전북 남원시 인월면 취암리 34-2
대강 중계소CH 3410W전북 남원시 대강면 평촌리 116
순창 중계소CH 40CH 32100W전북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산9
복흥 중계소CH 32100W전북 순창군 복흥면 정산리 648-2


3. 2. 라디오

KBS전주방송총국은 다양한 라디오 채널을 통해 전라북도 지역에 뉴스와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 제1라디오

보도 프로그램으로는 KBS 제1라디오 아침 9시 뉴스, KBS 제1라디오 정오종합뉴스, KBS 제1라디오 저녁 5시 뉴스와 KBS 제1라디오 저녁 6시 뉴스가 있다. 시사·교양 프로그램으로는 패트롤 전북과 [https://program.kbs.co.kr/1radio/local/hamtalk/pc/index.html 함윤호의 터놓고 말합시다]가 있다.

프로그램명방송시간편성시간진행
KBS 제1라디오 아침 9시 뉴스월요일 ~ 금요일 5분아침 9시 ~ 9시 5분함윤호
KBS 제1라디오 정오종합뉴스낮 12시 15분~ 12시 20분무작위
KBS 제1라디오 저녁 5시 뉴스저녁 5시 ~ 5시 5분봉효정
KBS 제1라디오 저녁 6시 뉴스토요일 ~ 일요일 5분저녁 6시 ~ 6시 5분당직자



; 제2라디오 (Happy FM)

김태은의 가요뱅크즐거운 저녁길이 있다.

; 제3라디오

; 음악 FM

3. 2. 1. KBS 전주 제1라디오

KBS 전주 제1라디오는 금제 송신소에서 AM 567kHz, 100kW 출력으로, 모악산 송신소에서 FM 96.9MHz, 5kW 출력으로 전라북도 지역을 가청권으로 하여 방송중이다.

송신소주파수출력호출 부호
금제AM 567kHz100kWHLKF
모악산FM 96.9MHz5kWHLKF-SFM
무주FM 88.7MHz100WHLKO-SFM
계남FM 91.9MHz100WHLSN-SFM
노고단FM 88.3MHz1kWHLKL-SFM


3. 2. 2. KBS 전주 제2라디오 (해피FM)

송신소주파수방송 출력호출 부호
모악산FM 92.9MHz3kWHLAS-SFM


3. 2. 3. KBS 제3라디오

송신소주파수방송 출력호출 부호
대야AM 675kHz10kWHLAS


3. 2. 4. KBS 전주 음악FM

송신소주파수방송 출력호출 부호
모악산FM 100.7MHz5kWHLKF-FM
노고단FM 104.5MHz5kWHLKL-FM


3. 3. 지상파 DMB

KBS전주방송총국은 전라북도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하는 지상파 DMB 방송을 송출하고 있다. U-KBS 서비스를 제공하며, 모악산, 적상산, 노고단 송신소에서 각각 K-12B 채널(207.008MHz)을 통해 방송을 송출한다. 송신소별 출력은 다음과 같다.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모악산K-12Bch (207.008MHz)2kW
적상산90W
노고단2kW


4. 프로그램

KBS 전주방송총국은 KBS 본사의 프로그램을 대부분 중계하지만, 지역 소식, 현안, 문화, 시사 교양 프로그램 등을 자체 제작하여 편성하고 있다. 1938년 익산방송국으로 시작해 전주시 중앙동금암동 사옥을 거쳐 2012년 현재의 효자동 사옥으로 이전했다. 2012년 10월 23일 전북 지역 지상파 아날로그 TV 방송을 종료하고, 2013년 6월 12일 전라도 디지털 주파수 재배치를 완료했다.

4. 1. TV 프로그램

KBS 전주방송총국에서 제작하는 TV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명방송 시간
투데이 전북17:30 (월~수)
콘서트 나빌레라20:10 (화)
심층토론22:00 (화)
생생 3도17:30 (금)
우리집 금송아지19:40 (금)


  • 2015년: KBS와 함께 함께하는 희망찬 전북경제
  • 2016년: 청년 전북 2016 한국문화의 창
  • 2022년: 신뢰로 여는 통합의 창
  • 2024년: 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
  • 2025년: 더 특별한 자치도 더 두둥실 전북


모든 방송은 HD 기준이며, 지역총국은 DMB 방송을 하지 않는다. 6시 내고향은 월~목요일 사이에 네트워크 제작을 한다.

4. 1. 1. 보도 프로그램

프로그램명방송 시간진행 앵커수어 통역비고
KBS 뉴스 9 전북평일 밤 9시 ~ 9시 20분오정현 기자없음KBS 1TV 수중계[1]
KBS 뉴스 7 전북평일 저녁 7시 ~ 7시 40분
주말 저녁 7시 ~ 7시 30분
평일 : 오정현 기자
주말 : 무작위
없음뉴스7 자체 방송[2]
KBS 뉴스광장 전북평일 아침 6시 ~ 7시 50분
토요일 아침 7시 ~ 7시 50분
평일 : 오정현 기자
토요일 : 무작위
없음뉴스광장 자체 방송[3]
KBS 뉴스 (930) 전북매일 오전 9시 30분 ~ 9시 40분무작위없음KBS 1TV 수중계[4]
생방송 심층토론매월 2회
목요일 밤 11시 30분 ~ 12시 20분
오정현 기자김지연[5]
집중인 전북매주 금요일 오후 5시 40분 ~ 6시서승신 기자없음[6]


4. 1. 2. 시사·교양 프로그램

방송 시간프로그램
17:30 (월~수)투데이 전북
20:10 (화)콘서트 나빌레라
22:00 (화)심층토론
17:30 (금)생생 3도
19:40 (금)우리집 금송아지


  • 2015년: KBS와 함께 함께하는 희망찬 전북경제
  • 2016년: 청년 전북 2016 한국문화의 창
  • 2022년: 신뢰로 여는 통합의 창
  • 2024년: 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
  • 2025년: 더 특별한 자치도 더 두둥실 전북
  • 모든 방송은 HD 기준이며, 지역총국은 DMB 방송을 하지 않는다. 6시 내고향은 월~목요일 사이에 네트워크 제작을 한다.

4. 2. 라디오 프로그램

KBS전주방송총국은 1969년 개국한 KBS군산방송국을 전신으로 하며, 2004년 지역방송국 기능조정 통폐합 정책에 따라 KBS전주방송총국으로 통합되었다.[1]

KBS전주방송총국은 지역 경제 활성화와 지역 문화 발전을 위한 다양한 라디오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하고 있다. 대표적인 프로그램으로는 'KBS와 함께 함께하는 희망찬 전북경제'(2015년), '청년 전북 2016 한국문화의 창'(2016년), '신뢰로 여는 통합의 창'(2022년), '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2024년), '더 특별한 자치도 더 두둥실 전북'(2025년) 등이 있다.

4. 2. 1. 제1라디오

KBS전주 제1라디오에서 현재 방송되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명방송시간편성시간앵커
KBS 뉴스광장 전북권15분평일 아침 7시 35분 ~ 7시 45분함윤호
KBS 뉴스 930 전북10분평일 아침 9시 45분 ~ 9시 55분김태은
KBS 뉴스 7 전북40분월~목 저녁 7시 ~ 7시 40분진유민, 주수빈
KBS 뉴스 7 전북5분금 저녁 7시 20분 ~ 7시 25분무작위
KBS 뉴스 9 전북권평일 15분, 주말 10분평일 밤 9시 30분 ~ 9시 45분, 주말 밤 9시 20분 ~ 9시 30분봉효정(평일), 무작위(주말)



다음은 과거 KBS전주 제1라디오에서 근무했던 아나운서 목록이다.


  • 김인순 (1979~2012, 퇴사)
  • 이미선 (아나운서 부장, 전 KBS 서울본국)
  • 지영서 (1993~1994, 전 KBS 서울본국)
  • 유애리 (1995~1996, 전 KBS 서울본국)
  • 고민정 (2004, 전 청와대 대변인)
  • 김성은 (1993~1994, 현 KBS 서울본국)
  • 정은숙 (2004~2010, 현 KBS 춘천총국)
  • 정현정 (2010~2018, 현 KBS 제주총국)
  • 정슬기 (2014~2015, 현 MBC 문화방송 본국)
  • 김도연 (2018~2019, 전 KBS 서울본국)

4. 2. 2. 제2라디오

제공된 소스에는 KBS전주방송총국 제2라디오에 대한 내용이 없으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다.

5. 인물

KBS 전주방송총국에서 근무했거나 현재 근무 중인 인물들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다.

'''전·현직 아나운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문단을 참고하면 된다.

5. 1. 전·현직 아나운서

재직 기간이름비고
1965~1969정경수전 CBS, MBC 아나운서
1969~1970박용호전 KBS 서울본국, 전 정치인, 전 국회의원
1984~1986(故)박태남전 전주방송, 제주본국, KBS 서울본국
1984~1986신강균전 MBC 기자(서울본국), 현 MBC 국장
1987~1993박태수아나운서 부장, 현 퇴사
1992~1995박경추현 MBC 서울본국
1993~2004양석규아나운서 차장, 현 강원도청
1993~2004채화규아나운서 부장, 현 강원대 교수
1997~1998윤인구현 KBS 서울본국
1998~1999이천규아나운서실 부장, 전 KBS 서울본국
1980~2004남순권전 KBS 포항, 현 퇴사
1998~2001박대식전 KBS 광주총국, 현 퇴사
1989~2004김인순전 KBS전주총국, 현 퇴사
2000~2001이규봉현 KBS 서울본국
2001~2002김기만현 KBS 서울본국
2002~2003이상협현 KBS 서울본국
2003~2004이광용현 KBS 서울본국
2004~2005최동석전 KBS 서울본국
2007~2012박명원현 KBS 대전총국
2012~2013조충현전 KBS 서울본국
2019~2021이광엽현 KBS 서울본국
2021~2023김진현현 KBS서울본국
2014~2023김형철현 KBS 대전방송총국
2023~2024박철규현 KBS 서울본국


5. 2. 현직 기상캐스터

제공된 자료에는 KBS전주방송총국의 현직 기상캐스터 관련 정보가 나타나 있지 않다.

5. 3. 현직 취재기자

이전 출력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현직 취재기자'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어 빈 내용으로 출력되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5. 4. 전직 취재기자

(없음)

5. 5. 현직 촬영기자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현직 촬영기자'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해당 섹션에 작성할 내용이 없다.

6. 비고

KBS전주의 업무국장으로 재직했던 진규현은 방송 프로그램을 정비하고 임원들을 교체하는 등의 업적을 쌓아 KBS에서 상을 받기도 했다. 당시 업무국장은 총국장과 거의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성과를 낼 수 있었다.

KBS전주방송총국의 주요 슬로건
연도슬로건
2015년KBS와 함께 함께하는 희망찬 전북경제
2016년청년 전북 2016 한국문화의 창
2022년신뢰로 여는 통합의 창
2024년공정과 혁신으로, 새로운 KBS
2025년더 특별한 자치도 더 두둥실 전북


7. 소재지

대한민국 54962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마전중앙로 30 (효자동3가 1629)

참조

[1] 기타
[2] 웹인용 UHDTV 송신기 2종 16점 구매관련 지명경쟁입찰 공고문 https://tender.kbs.c[...] 한국방송공사 2022-05-06
[3] 웹사이트 표준 FMR 신설용 FM중계기 3종 3식 구매 https://tender.kbs.c[...]
[4] 웹사이트 FM 중계기 9종 13식 구매 https://tender.kbs.c[...]
[5] 웹사이트 2015년 FM/FMR 시설 공사 (간이국) https://tender.kbs.c[...]
[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