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누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누비스는 고대 이집트 종교에서 묘지, 미라 제작, 사후 세계를 관장하는 신으로, 자칼 또는 개과 동물 머리를 한 인간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름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이집트어로는 '안푸' 또는 '인푸'로 불렸다. 아누비스는 죽은 자의 미라 제작을 감독하고, 죽은 자의 영혼을 저승으로 인도하며, 심장의 무게를 달아 사후 세계에서의 운명을 결정하는 역할을 했다. 초기에는 라의 아들로 여겨졌으나, 이후에는 네프티스와 오시리스의 아들로 묘사되었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에는 그리스 신 헤르메스와 결합하여 헤르마누비스로 숭배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늑대 - 카피톨리나 늑대상
카피톨리나 늑대상은 늑대가 로물루스와 레무스 형제를 젖 먹이는 모습을 묘사한 청동 조각상으로, 로마의 상징이며, 11~12세기에 제작되었고, 무솔리니에 의해 복제되어 여러 곳에서 사용되었다. - 신화의 늑대 - 늑대인간
늑대인간은 인간이 늑대로 변하거나 늑대 형상의 인간으로 변신하는 전설 속 존재로, 영어로는 "Werewolf", 고대 그리스어로는 "리칸트로피"라 불리며, 중세 유럽에서 마녀 재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으나 현대에는 공포 영화나 판타지 소설 등에서 공포의 대상으로 등장한다. - 저승의 남신 - 미노스
미노스는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크레타의 왕으로 제우스와 에우로파의 아들이며, 크노소스 궁전을 중심으로 에게해를 지배했고, 미노타우로스 신화와 관련되어 잔혹한 면모와 함께 저승의 심판관으로도 묘사되며, 여러 신화적 인물들과 관련되어 문학과 예술 작품에 등장하고 소행성의 이름으로도 남아있다. - 저승의 남신 - 토트
토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지혜, 마법, 달, 문자, 계산 등을 관장하는 신으로, 신들의 서기관이자 상형문자 발명가이며, 저승 세계의 심판에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다재다능한 존재이다. - 동물의 남신 - 포세이돈
포세이돈은 그리스 신화에서 바다, 지진, 말을 다스리는 중요한 신으로, 다양한 칭호를 가지고 있으며 그리스 전역과 이탈리아에서 숭배받았지만, 신화 속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적인 행위도 나타난다. - 동물의 남신 - 마르스
마르스는 로마 신화에서 전쟁과 농업을 관장하는 신으로, 주피터와 유노의 아들이자 용기를 상징하는 네리오와 배우자 관계이며, 생명력과 야생의 힘을 상징하는 존재로 로마에서 숭배받았다.
아누비스 | |
---|---|
기본 정보 | |
![]() | |
신화 체계 | 이집트 |
숭배 중심지 | 리코폴리스, 키노폴리스 |
상징 | 미라 붕대, 이미우트 주물, 자칼, 도리깨 |
그리스어 동등 | 하데스 또는 헤르메스 |
관련 문화 | 고대 이집트 |
이름 | |
신성 문자 | |
다른 이름 | , |
일본어 | アヌビス |
한국어 | 아누비스 |
가족 관계 | |
부모 | 네프티스와 오시리스 (중왕국 및 신왕국 시대), 또는 라 (고왕국 시대) |
배우자 | 안푸트, 네프티스 |
자녀 | 케베체트 |
역할 | |
역할 | 죽은 자의 수호신, 시체 방부 처리 |
주요 담당 | 묘지 보호, 미라 제작, 사후 세계 안내 |
신화적 정보 | |
기원 | 기원전 3100년 ~ 2890년경 |
2. 이름
"아누비스"는 이 신의 이집트어 이름을 그리스어로 표현한 것이다.[16] 그리스인들이 기원전 7세기경 이집트에 도착하기 전에는 이 신을 ''안푸'' 또는 ''인푸''라고 불렀다. 고대 이집트어에서 이 이름의 어원은 "왕족의 아이"를 의미한다. ''인푸''는 "썩다"를 의미하는 "inp"와 어원을 공유한다. 이 신은 또한 "서방인의 첫째", "성스러운 땅의 군주", "그의 신성한 산 위에 있는 자", "아홉 개의 활의 지배자", "수백만 명을 삼키는 개", "비밀의 주인", "미라 처리의 장소에 있는 자", "신성한 부스의 으뜸"으로도 알려졌다.[4] 그가 가졌던 지위는 "그의 산 위에 있는 자", "성스러운 땅의 군주", "서방인의 으뜸", "미라 처리의 장소에 있는 자"와 같은 칭호에도 반영되었다.[5]
아누비스는 이집트 신화에서 망자의 신으로, 비교적 오래전부터 숭배되었다. 개 또는 아프리카 황금 늑대의 머리를 가진 반수(半獸)의 모습이거나, 늑대 자체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고대 이집트에서 묘지 주위를 배회하는 개나 늑대의 모습이 마치 망자를 지켜주는 것처럼 여겨졌기 때문에 망자의 신이라는 이미지가 생겨났다.[21] 또한, 미라를 만들 때 방부 처리를 위해 시체에 타르를 발랐는데, 이와 관련하여 아누비스의 몸은 검게 표현된다.
구왕국 시대()에는 상형 문자로 그의 이름을 쓰는 표준 방식은 자칼 다음에 소리 부호 '''''inpw''''' 와 ''ḥtp'' 기호로 구성되었다. 높은 받침대에 자칼이 있는 새로운 형태는 구왕국 말기에 나타났고 그 이후 흔해졌다.
아누비스의 이름 ''jnpw''는 콥트어 ''Anoup''와 아카드어 표기 }}가 포함된 아마르나 서한 EA 315에 나오는 이름
3. 역사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100년경~기원전 2686년경)에 아누비스는 자칼 머리와 몸을 가진 완전한 동물 형태로 묘사되었다.[2] 자칼 신(아마도 아누비스)은 호르-아하, 제르 등 이집트 제1왕조 파라오 통치 기간의 석비에 묘사되어 있다.[3] 선왕조 시대 이집트부터 죽은 자들을 얕은 무덤에 매장했을 때, 자칼은 시체를 파헤쳐 먹는 습성이 있어 묘지와 강하게 연관되었다.[4] "유사한 것으로 싸운다"는 생각으로 자칼이 죽은 자를 보호하도록 선택되었는데, 그 이유는 "경작지 가장자리에서 살았던 자칼과 다른 야생 개들이 시체를 파내어 매장 직후에 파내는 것이 일반적인 문제였기 때문"이다.[5]
고왕국에서 아누비스는 죽은 자들의 가장 중요한 신이었으나, 이집트 중왕국(기원전 2000년~1700년) 시대에 오시리스에게 그 역할을 넘겨주었다.[6] 로마 시대(기원전 30년 시작)의 무덤 그림은 아누비스가 죽은 자의 손을 잡고 오시리스에게 인도하는 모습을 묘사한다.[7]
아누비스의 부모는 신화, 시대, 출처에 따라 달랐다. 초기 신화에서 그는 라의 아들로 묘사되었다.[10] 관문자에서, 제1중간기(기원전 2181년~2055년경)에 쓰여진, 아누비스는 암소 여신 헤사트 또는 고양이 머리 바스테트의 아들이다.[11] 또 다른 전통은 그를 라와 네프티스의 아들로 묘사했다.[12] 그리스의 플루타르코스(서기 40년~120년경)는 아누비스가 네프티스와 오시리스의 사생아였지만 오시리스의 아내 이시스에게 입양되었다는 전통을 기록했다.[13] 조지 하트는 이 이야기를 "독립적인 신 아누비스를 오시리아 신전에 통합하려는 시도"로 본다.[14] 로마 시대의 이집트 파피루스(서기 30년~380년)는 아누비스를 단순히 "이시스의 아들"이라고 불렀다.[15] 누비아에서 아누비스는 그의 어머니 네프티스의 남편으로 여겨졌다.[1]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이집트(기원전 350년~30년), 이집트가 그리스 파라오가 통치하는 헬레니즘 왕국이 되었을 때, 아누비스는 그리스 신 헤르메스와 합쳐져 헤르마누비스가 되었다.[8] 두 신은 모두 사후 세계로 영혼 인도자 역할을 했기 때문에 유사하다고 여겨졌다.[16] 이 컬트의 중심지는 "개의 도시"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이름을 가진 ''uten-ha''/''Sa-ka''/ 키노폴리스에 있었다. 아풀레이우스의 ''황금 당나귀'' 11권에서 이 신에 대한 숭배가 적어도 2세기까지 로마에서 계속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실제로 헤르마누비스는 연금술과 헤르메스주의 문학에서도 나타난다.
그리스인과 고대 로마인들은 일반적으로 이집트의 동물 머리 신들을 기괴하고 원시적인 존재로 멸시했지만 (아누비스는 그리스인들에게 "바커"라는 조롱을 받았다), 아누비스는 때때로 하늘의 시리우스와 지하 세계의 케르베로스 및 하데스와 연관되었다.[17] 플라톤은 그의 대화에서 종종 소크라테스가 "개에 맹세한다"(''kai me ton kuna''), "이집트의 개에 맹세한다", "이집트인의 신인 개에 맹세한다"는 맹세를 하여 강조하고 지하 세계에서 진실을 판단하는 아누비스에게 호소했다.[9]
4. 역할
아누비스는 초기에는 라의 아들로 기록되었으나, 이후 네프티스를 어머니로, 세트 혹은 오시리스를 아버지로 하는 전승이 나타났다. 오시리스가 세트에게 살해당했을 때, 아누비스는 그의 시신에 방부 처리를 하여 미라로 만들었다고 전해진다.[21] 이 때문에 미라 제작의 감독관으로 여겨졌으며, 죽은 인간의 영혼을 명계로 신속하게 인도하기 위해 다리가 매우 빠르다고 믿어졌다. 오시리스가 부활하여 명계를 지배하게 된 후에도, 아누비스는 그를 보좌하여 사망자를 인도하는 책임을 졌다. 이러한 모습은 사자의 서나 무덤 벽화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기원전 350–30년)에는 아누비스가 그리스 신화의 신 헤르메스와 결합하여 헤르마누비스가 되기도 했다.[8] 두 신 모두 영혼을 사후 세계로 인도하는 영혼 인도자 역할을 했기 때문이다. 후기 왕조 시대(기원전 664–332년)에 아누비스는 종종 산 자들의 세계에서 사후세계로 넘어가는 사람들을 인도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로마 시대의 그리스 작가들은 이 역할을 "프쉬코폼프"라고 불렀는데, 이는 그리스 종교에서 같은 역할을 했던 헤르메스를 지칭하는 표현이었다.
아누비스는 "저울의 수호자"로서, 사자의 서에 묘사된 '심장 계량' 장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12] 죽은 자의 심장을 마아트의 깃털과 비교하여 무게를 재어, 깃털보다 무거운 영혼은 암미트에게 잡아먹히고, 가벼운 영혼은 천상으로 올라간다고 믿어졌다.[12][13]
4. 1. 미라 제작
아누비스는 미라 제작의 신으로, 이집트에서 오래전부터 숭배받았다. 아프리카 황금 늑대의 머리를 가진 반수 또는 늑대 자체의 모습으로 묘사되었다.[21] 이는 고대 이집트에서 묘지 주변을 배회하는 개 또는 늑대의 모습을 보고, 죽은 자를 지켜주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 몸은 미라 제조 시 방부 처리를 위해 시신에 타르를 발라 검게 되는 것과 관련하여 새까맣다.
아누비스는 세트의 아내이자 여동생인 네프티스가 오빠인 오시리스와의 불륜으로 잉태한 아이로, 세트가 적대시하던 오시리스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태어난 직후 네프티스에 의해 갈대 숲에 숨겨졌다.
오시리스가 세트에게 살해당했을 때 오시리스의 유해에 방부 처리를 하여 미라로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이 때문에 아누비스는 미라 제작의 감독관으로 여겨졌다.[21]
실제로 미라를 만들거나 죽은 자를 명계로 인도하는 축사를 할 때 아누비스의 가면을 쓰고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미라 제조에 종사하는 가면을 쓴 장인 또는 신관은 '''스톰'''이라고 불렸다.) 나아가 의학의 신으로도 여겨진다.
4. 2. 무덤 수호
이집트에서도 비교적 오래 전부터 숭배되고 있던 신으로, 망자의 신이며 아프리카 황금 늑대 또는 그 머리 부분을 가지는 반수의 모습이거나 또는 늑대 그 자체의 모습으로 등장한다. 그 모습은 세트의 모델이 된 동물들과 닮고 있다. 망자의 신이라는 이미지는, 고대 이집트에서 사체의 고기를 요구해 묘지의 주위를 배회하는 개나 늑대의 모습이 마치 망자를 지켜주는 것이라고 착각되어 전해져 왔기 때문이라고 추측한다. 또한 그 몸은 미라를 만들 때에 방부 처리를 위해서 사체에 타르를 바르기 때문에 그와 관련해 검게 표현한다.
아누비스는 무덤과 묘지의 수호신이었다. 이집트 텍스트와 비문에 그의 이름에 붙은 몇몇 별칭들은 그러한 역할을 언급했다. "서부인들의 으뜸"을 의미하는 ''켄티-아멘티우''는 다른 개과 장례 신의 이름이기도 했는데, 죽은 자들이 보통 나일강 서쪽 둑에 묻혔기 때문에 그의 보호 기능을 암시했다.[11] 그는 그의 장례 역할과 관련하여 다른 이름들을 취했는데, 예를 들어 ''tpy-ḏw.f'' (테피-쥬에프)는 "그의 산 위에 있는 자"(즉, 위에서 무덤을 지킴)를, ''nb-t3-ḏsr'' (네브-타-제세르)는 "신성한 땅의 군주"를 의미하며, 이는 그를 사막 묘지의 신으로 지정한다.[10]
주미약 파피루스는 아누비스가 오시리스의 시신을 세트로부터 보호한 또 다른 이야기를 전한다. 세트는 표범으로 변신하여 오시리스의 시신을 공격하려 했다. 그러나 아누비스는 세트를 막고 제압했으며, 뜨거운 쇠막대로 세트의 피부에 낙인을 찍었다. 그러고 나서 아누비스는 세트의 껍질을 벗겨 그의 피부를 악당들이 죽은 자들의 무덤을 훼손하는 것에 대한 경고로 착용했다. 죽은 자들을 섬기는 사제들은 아누비스가 세트를 이긴 것을 기념하기 위해 표범 가죽을 입었다. 아누비스가 표범의 형태로 세트의 가죽에 낙인을 찍었다는 전설은 표범이 어떻게 점을 얻게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4. 3. 영혼 인도
아누비스는 오시리스가 세트에게 살해당했을 때 그의 시신에 방부 처리를 했다고 알려져 미라 제작의 감독관으로 표현된다.[21] 또한 죽은 인간의 영혼을 신속하게 명계로 옮겨야 했기 때문에 다리가 매우 빠르다고 여겨진다. 오시리스가 부활하여 명계를 지배하게 되었을 때에도 아누비스는 그를 보좌하여 사망자를 인도하는 책임을 맡았다. 그 모습은 사자의 서나 무덤 벽화 등에 그려져 있다.
프톨레마이오스 시대(기원전 350–30년), 이집트가 그리스인 파라오가 통치하는 헬레니즘 왕국이 되었을 때, 아누비스는 그리스 신 헤르메스와 합쳐져 헤르마누비스가 되었다.[8] 두 신은 모두 사후 세계로 영혼 인도자 역할을 했기 때문에 유사하다고 여겨졌다.
후기 왕조 시대(기원전 664–332년)에 이르러 아누비스는 종종 살아있는 세계에서 사후세계로 향하는 문턱을 넘어가는 사람들을 인도하는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로마 시대의 그리스 작가들은 이 역할을 "프쉬코폼프"라고 지칭했는데, 이는 "영혼의 인도자"를 의미하는 그리스어로, 그리스 종교에서 같은 역할을 했던 그들 자신의 신인 헤르메스를 지칭하는 데 사용했다. 그 시대의 장례 미술은 아누비스가 그리스 옷을 입은 남녀를 지하 세계의 지배자로서 아누비스를 오랫동안 대체한 오시리스 앞으로 인도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아누비스는 세트의 아내이자 여동생인 네프티스(이 여신 또한 죽은 자나 미라와 관련이 깊다)가 오빠인 오시리스와의 불륜으로 잉태한 아이로, 세트가 적대시하던 오시리스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태어난 직후 네프티스에 의해 갈대 숲에 숨겨졌다. 오시리스가 세트에게 살해당했을 때 오시리스의 유해에 방부 처리를 하여 미라로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이 때문에 아누비스는 미라 제작의 감독관으로 여겨졌고, 실제로 미라를 만들거나 죽은 자를 명계로 인도하는 축사를 할 때 아누비스의 가면을 쓰고 작업이 이루어졌다. 또한 죽은 인간의 영혼(바)을 재빨리 명계로 운반하기 위해 발이 매우 빠르다고 한다.
또한 오시리스가 명계 아알의 왕이 되기 전 명계를 지배, 관리했으며, 오시리스가 명계의 왕이 된 후에도 그를 보좌하여 라의 저울을 사용하여 죽은 자의 죄를 측정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그 모습은 『사자의 서』나 무덤의 벽면 등에 그려져 있다.
4. 4. 심장 무게 재기
아누비스의 역할 중 하나는 "저울의 수호자"였다.[12] 사자의 서에 묘사된 심장 계량의 중요한 장면은 아누비스가 그 사람의 사후 세계(두아트) 진입 자격을 결정하는 측정을 수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아누비스는 죽은 자의 심장을 종종 타조 깃털로 표현되는 마아트와 비교하여 무게를 잴으로써 영혼의 운명을 결정했다. 깃털보다 무거운 영혼은 암미트에게 잡아먹히고, 깃털보다 가벼운 영혼은 천상의 존재로 승천했다.[12][13]
오시리스가 명계 아알의 왕이 되기 전 명계를 지배, 관리했으며, 오시리스가 명계의 왕이 된 후에도 그를 보좌하여 라의 저울을 사용하여 죽은 자의 죄를 측정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 모습은 『사자의 서』나 무덤의 벽면 등에 그려져 있다.
5. 신화
아누비스는 초기에는 라의 아들로 기록되었으나, 이후 네프티스를 어머니로, 아버지는 네프티스의 남편인 세트 혹은 오시리스로 여겨졌다. 아누비스는 오시리스가 세트에게 살해당했을 때, 그의 시신에 방부 처리를 했다고 알려져 미라 만들기의 감독관으로 표현된다.[21] 또한 죽은 인간의 혼을 신속하게 명계로 옮겨야 했기 때문에 다리가 매우 빠르다고 여겨진다. 오시리스가 부활해 명계를 지배하게 될 때에도 그를 보좌해 사망자를 인도하는 책임을 졌으며, 그 모습은 사자의 서나 무덤의 벽면 등에 그려져 있다.
이집트 초기 왕조 시대(기원전 3100년경~기원전 2686년경)에 아누비스는 자칼 머리와 몸을 가진 완전한 동물 형태로 묘사되었다.[9] 자칼 신(아마도 아누비스)은 호르-아하, 제르, 그리고 제1왕조의 다른 파라오의 통치 기간 동안의 석비에 묘사되어 있다.[9] 선왕조 시대 이집트부터 죽은 자들을 얕은 무덤에 매장했을 때, 자칼은 시체를 파헤쳐 살을 먹는 청소동물이므로 묘지와 강하게 연관되었다.[9]
고왕국에서 아누비스는 죽은 자들의 가장 중요한 신이었다. 그는 이집트 중왕국(기원전 2000–1700년) 시대에 오시리스에게 그 역할을 넘겨주었다.[9] 로마 시대 무덤 그림은 그가 죽은 자의 손을 잡고 오시리스에게 인도하는 모습을 묘사한다.[9]
"아누비스"는 이 신의 이집트어 이름을 그리스어로 표현한 것이다.[16] 그리스인들이 기원전 7세기경 이집트에 도착하기 전에는 이 신을 ''안푸'' 또는 ''인푸''라고 불렀다. ''인푸''는 "썩다"를 의미하는 "inp"와 어원을 공유한다. 이 신은 또한 "서방인의 첫째", "성스러운 땅의 군주", "그의 신성한 산 위에 있는 자", "아홉 개의 활의 지배자", "수백만 명을 삼키는 개", "비밀의 주인", "미라 처리의 장소에 있는 자", "신성한 부스의 으뜸"으로도 알려졌다.[4] 그가 가졌던 지위는 "그의 산 위에 있는 자", "성스러운 땅의 군주", "서방인의 으뜸", "미라 처리의 장소에 있는 자"와 같은 칭호에도 반영되었다.[5]
프톨레마이오스 시대(기원전 350–30년), 이집트가 그리스 파라오가 통치하는 헬레니즘 왕국이 되었을 때, 아누비스는 그리스 신 헤르메스와 합쳐져 헤르마누비스가 되었다.[8] 두 신은 둘 다 사후 세계로 영혼 인도자 역할을 했기 때문에 유사하다고 여겨졌다.[9] 아풀레이우스의 ''황금 당나귀'' 11권에서 이 신에 대한 숭배가 적어도 2세기까지 로마에서 계속되었다는 증거가 있다.
5. 1. 오시리스 신화
아누비스는 초기에는 라의 아들로 기록되었으나, 이후 네프티스를 어머니로, 아버지는 네프티스의 남편인 세트 혹은 오시리스로 여겨졌다.아누비스는 오시리스가 세트에게 살해당했을 때, 그의 시신에 방부 처리를 했다고 알려져 미라 만들기의 감독관으로 표현된다.[21] 또한 죽은 인간의 혼을 신속하게 명계로 옮겨야 했기 때문에 다리가 매우 빠르다고 여겨진다.
오시리스가 부활해 명계를 지배하게 될 때에도 그를 보좌해 사망자를 인도하는 책임을 졌으며, 그 모습은 사자의 서나 무덤의 벽면 등에 그려져 있다.
아누비스는 세트의 아내이자 여동생인 네프티스가 오빠인 오시리스와의 불륜으로 잉태한 아이다. 세트는 오시리스를 적대시했기에, 네프티스는 아누비스를 낳은 직후 갈대 숲에 숨겼다.
오시리스가 세트에게 살해당했을 때, 아누비스는 오시리스의 유해에 방부 처리를 하여 미라로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이 때문에 아누비스는 미라 제작의 감독관으로 여겨졌고, 실제로 미라를 만들거나 죽은 자를 명계로 인도하는 축사를 할 때 아누비스의 가면을 쓰고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미라 제조에 종사하는 가면을 쓴 장인 또는 신관은 '''스톰'''이라고 불렸다.) 또한 의학의 신으로도 여겨진다. 아누비스는 죽은 인간의 영혼(바)을 재빨리 명계로 운반하기 위해 발이 매우 빠르다고 한다.
오시리스가 명계 아알의 왕이 되기 전, 아누비스는 명계를 지배, 관리했다. 오시리스가 명계의 왕이 된 후에도 아누비스는 그를 보좌하여 라의 저울을 사용해 죽은 자의 죄를 측정하는 역할을 맡았으며, 그 모습은 『사자의 서』나 무덤의 벽면 등에 그려져 있다.
5. 2. 탄생 신화
초기 신화에서 아누비스는 라의 아들로 묘사되었다.[21] 이후 기록에는 네프티스가 어머니이며, 아버지는 네프티스의 남편인 세트 혹은 오시리스이다. 아누비스는 오시리스가 세트에게 살해당했을 때, 그의 시신에 방부 처리를 했다고 알려져 미라 만들기의 감독관으로 표현된다.[21] 또한 죽은 인간의 혼을 신속하게 명계로 옮겨야 하기 때문에 다리가 매우 빠르다고 여겨진다.플루타르코스(서기 40–120년경)는 아누비스가 네프티스와 오시리스의 사생아였지만 오시리스의 아내 이시스에게 입양되었다는 전통을 보고했다.[9] 조지 하트는 이 이야기를 "독립적인 신 아누비스를 오시리아 신전에 통합하려는 시도"로 본다.[9] 로마 시대의 이집트 파피루스 (서기 30–380년)는 아누비스를 단순히 "이시스의 아들"이라고 불렀다.[9]
아누비스는 세트의 아내이자 여동생인 네프티스(이 여신 또한 죽은 자나 미라와 관련이 깊다)가 오빠인 오시리스와의 불륜으로 잉태한 아이로, 세트가 적대시하던 오시리스의 아들이었기 때문에 태어난 직후 네프티스에 의해 갈대 숲에 숨겨졌다.
오시리스가 세트에게 살해당했을 때 오시리스의 유해에 방부 처리를 하여 미라로 만들었다고 전해지며, 이 때문에 아누비스는 미라 제작의 감독관으로 여겨졌다. 실제로 미라를 만들거나 죽은 자를 명계로 인도하는 축사를 할 때 아누비스의 가면을 쓰고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미라 제조에 종사하는 가면을 쓴 장인 또는 신관은 '''스톰'''이라고 불렸다).
6. 헤르마누비스
이집트가 그리스에 병합되었을 때, 이집트 신화와 그리스 미술의 융합이 발생했다. 바티칸 미술관에는 헬레니즘에 의하여 표현된 아누비스 상이 있다. 인도자로서, 이것을 그리스의 전령의 신 헤르메스와 융합하여 '''헤르마누비스'''라고 부른다.[4] 그리스인들은 그를 죽은 자를 사후 세계로 인도하는 신인 헤르메스와 연결시켰다. 이 조합은 나중에 헤르마누비스로 알려지게 되었다. 아누비스는 현대의 믿음과는 달리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었기 때문에 숭배를 많이 받았다. 사람들은 죽음에서 그들의 시신이 존중받고, 그들의 영혼이 보호받으며 공정하게 심판받는다는 보장에 경외감을 느꼈다.[4]
7. 현대 문화
이집트가 그리스에 병합되었을 때, 이집트 신화와 그리스 미술의 융합이 일어났다. 바티칸 미술관에는 헬레니즘에 의하여 표현된 아누비스 상이 있는데, 인도자로서의 아누비스를 그리스의 전령의 신 헤르메스와 융합하여 '''헤르마누비스'''라고 부른다.[4]
아누비스는 많은 신화에 등장하지 않지만, 이집트인들과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매우 인기가 있었다.[4] 그리스인들은 그를 죽은 자를 사후 세계로 인도하는 신인 헤르메스와 연결시켰으며, 이 조합은 나중에 헤르마누비스로 알려지게 되었다. 아누비스는 현대의 믿음과는 달리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었기 때문에 숭배를 많이 받았다. 사람들은 죽음에서 그들의 시신이 존중받고, 그들의 영혼이 보호받으며 공정하게 심판받는다는 보장에 경외감을 느꼈다.[4]
참조
[1]
서적
Aspects of the Goddess Nephthys, Especially During the Graeco-Roman Period in Egypt
https://books.google[...]
UMI
2007
[2]
서적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Eleventh Edition
Merriam-Webster
2007
[3]
서적
The History of Hell
Harcourt Brace
[4]
백과사전
Anubis
https://www.worldhis[...]
2018-11-18
[5]
웹사이트
Anubis
https://academic.eb.[...]
2018
[6]
학술지
Genome-wide Evidence Reveals that African and Eurasian Golden Jackals Are Distinct Species
[7]
웹사이트
CDLI-Archival View
http://cdli.ucla.edu[...]
[8]
웹사이트
Hermanubis | English | Dictionary & Translation by Babylon
http://www.babylon.c[...]
Babylon.com
[9]
문서
E.g., Gorgias, 482b (Blackwood Crossett Long 1962 p=318), or The Republic, 399e, 567e, 592a (Hoerber 1963 p=268).
[10]
서적
Community and Identity in Ancient Egypt: The Old Kingdom Cemetery at Qubbet el-Hawa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4-10-27
[11]
웹사이트
The Gods of Ancient Egypt – Anubis
http://www.touregypt[...]
touregypt.net
[12]
웹사이트
Museum Explorer / Death in Ancient Egypt – Weighing the heart
https://www.britishm[...]
British Museum
[13]
웹사이트
Gods of Ancient Egypt: Anubis
https://www.britishm[...]
Britishmuseum.org
[14]
웹사이트
Ancient Egypt: the Mythology – Anubis
http://www.egyptianm[...]
Egyptianmyths.net
[15]
서적
Egyptian Mythology, A to Z
Infobase Publishing
[16]
웹사이트
Gods and Religion in Ancient Egypt – Anubis
http://www.ancient-e[...]
[17]
서적
Ancient Egypt - Pocket Museum
Thames & Hudson
2018
[18]
서적
Merriam-Webster's Collegiate Dictionary, Eleventh Edition
Merriam-Webster
2007
[19]
서적
The History of Hell
https://archive.org/[...]
Harcourt Brace
[20]
웹인용
Gods and Religion in Ancient Egypt – Anubis
http://www.ancient-e[...]
[21]
문서
실제로 미라를 만들거나 사망자를 명계로 이끄는 축사를 내리거나 할 때엔 아누비스의 가면을 쓴 자들(스톰)이 의식을 진행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