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Little Game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Little Games》는 1967년에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야드버즈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이다. 이 앨범은 밴드의 멤버 변동과 프로듀서 미키 모스트의 상업적 지향으로 인해 기존 음악 스타일과의 충돌을 겪었다. 앨범은 빌보드 200 차트에서 80위에 머물렀으며, 평론가들 사이에서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 앨범에는 지미 페이지의 어쿠스틱 기타 연주곡 "White Summer"와 실험적인 곡 "Glimpses"등이 수록되어 있다. 앨범 발매 후 야드버즈는 해체되었고, 지미 페이지는 레드 제플린을 결성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드버즈의 음반 - Birdland
    《Birdland》는 2003년에 발매된 야드버즈의 앨범으로, 1960년대 멤버들과 게스트 뮤지션들이 참여하여 기존 곡들의 리메이크와 새로운 곡들을 수록했다.
  • 야드버즈의 음반 - Having a Rave Up with the Yardbirds
    "Having a Rave Up with the Yardbirds"는 1965년 발매된 영국의 록 밴드 야드버즈의 두 번째 미국 앨범으로, 다양한 음악 스타일과 즉흥 연주 섹션 "레이브 업"을 담고 있으며, "Heart Full of Soul" 등의 대표곡과 에릭 클랩튼, 제프 벡 등 기타리스트들의 참여로 기타 중심의 록 음악 형성에 기여하며 빌보드 200 차트 53위에 올랐다.
  • 1967년 음반 - Axis: Bold as Love
    Axis: Bold as Love는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의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하드 록, 리듬 앤 블루스, 재즈를 혼합한 사운드와 헨드릭스의 실험적인 시도가 돋보이며, 힌두교 이미지 커버 논란에도 불구하고 상업적 성공과 음악적 영감을 주었다.
  • 1967년 음반 - After Bathing at Baxter's
    《After Bathing at Baxter's》는 제퍼슨 에어플레인의 세 번째 스튜디오 앨범으로, 실험적인 사운드, 사이키델릭 록, 애시드 록, 의식의 흐름 기법 등이 혼합된 복잡한 음악적 구성과 론 코브가 디자인한 독특한 커버 아트를 특징으로 한다.
  • 에픽 레코드 음반 - Supreme Clientele
    고스트페이스 킬라의 데뷔 음반인 《Supreme Clientele》는 RZA의 주도 하에 녹음 중단과 스튜디오 피해를 극복하고 아프리카 문화에서 영감을 받은 가사와 독특한 사운드로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롤링 스톤지의 "역대 최고 앨범 500장" 목록에 선정되기도 했지만, 피프티 센트 조롱과 작사권 논란도 있었다.
  • 에픽 레코드 음반 - Celine Dion
    셀린 디온의 1992년 앨범 "Celine Dion"은 "미녀와 야수"의 성공과 유명 작곡가들의 참여, 그리고 그래미상과 주노상 수상으로 평론과 상업적 성공을 거두며 셀린 디온을 북미 슈퍼스타로 만들었다.
Little Games - [음악]에 관한 문서
음반 정보
Little Games 음반 커버
Little Games 음반 커버
종류스튜디오
아티스트야드버즈
발매일1967년 7월
녹음일1967년 3월 5일
1967년 4월 29일 ~ 5월 1일
녹음 장소올림픽, 런던
드 레인 레아, 런던
장르
사이키델릭 록
길이30분 28초
레이블에픽
프로듀서미키 모스트
관련 음반
이전 음반The Yardbirds Greatest Hits (1967년)
다음 음반Featuring Performances By: Jeff Beck Eric Clapton Jimmy Page (1970년)
기타 정보
차트 순위80위 (미국)
감상평* Allmusic: https://www.allmusic.com/album/little-games-mw0000471492

2. 배경

야드버즈는 1965년 ''Having a Rave Up with The Yardbirds''와 1966년 ''Yardbirds/Over Under Sideways Down'' (일명 ''Roger the Engineer'')를 발표하며 상업적, 비평적 성공을 거두었다. 그러나 이 시기 밴드는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창립 멤버이자 베이시스트 겸 음악 감독이었던 폴 샘웰스미스가 음반 프로듀서 경력을 쌓기 위해 밴드를 떠난 것이다.[8] 그의 후임으로는 스튜디오 기타리스트였던 지미 페이지가 합류했다. 페이지는 원래 에릭 클랩튼의 후임으로 야드버즈가 영입하려 했던 인물이었다.

페이지는 처음에는 베이시스트로 활동했지만, 이는 잠시였고 곧 리듬 기타리스트였던 크리스 드레야가 베이스를 맡고 페이지는 제프 벡과 함께 트윈 리드 기타 체제를 이루었다. 1966년, 벡과 페이지의 듀얼 리드 기타 라인업은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의 영화 《욕망》(Blow-Up)에 출연하여 사이키델릭 곡 "Happenings Ten Years Time Ago", "Psycho Daisies", 그리고 "The Train Kept A-Rollin''"을 새롭게 편곡한 "Stroll On" 등을 선보였다. 하지만 1966년 말, 미국 투어 중 건강 문제로 제프 벡이 밴드에서 해고되었고,[13] 야드버즈는 페이지를 유일한 기타리스트로 하는 4인조로 재편되었다.[8]

한편, 1966년과 1967년 사이 록 음악계의 흐름은 톱 40 싱글 중심에서 앨범과 라이브 공연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었다. 야드버즈 역시 이러한 변화에 발맞춰 미국 전역을 돌며 필모어와 같은 유명 공연장에서 자주 공연했다. 이들은 조명 쇼, 영화 클립, 오디오 샘플 등을 활용하며 더욱 길고 즉흥적인 연주를 선보이는 등 실험적인 모습을 보였다. "Dazed and Confused", 페이지의 솔로 기타 연주곡 "White Summer", 벨벳 언더그라운드의 "I'm Waiting for the Man" 커버, 그리고 "I'm a Man"과 "Smokestack Lightning"을 재해석한 메들리 등 새로운 곡들을 레퍼토리에 추가하며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혀갔다.

이러한 음악적 변화 속에서, 페이지는 당시 매니저였던 사이먼 네피어-벨에게 불신을 느껴 오랜 지인이었던 피터 그랜트에게 매니지먼트를 맡겼다.[8] 그리고 그랜트의 소개로, 허만스 허밋도노반의 히트곡들을 제작하며 명성을 얻은 프로듀서 미키 모스트가 EMI에 의해 야드버즈의 새로운 음반 프로듀서로 영입되었다. 하지만 모스트는 당시 새롭게 부상하던 록 음악 트렌드에 익숙하지 않았고, 상업적인 싱글 히트를 최우선으로 여기는 그의 제작 방식은 밴드의 음악적 방향과 충돌을 일으켰다. 과거 모스트 밑에서 세션 기타리스트로 일했던 경험이 있는 페이지조차 모스트의 프로듀싱 방식에 불만을 가졌다고 전해진다.[1] 전기 작가 그레그 루소는 "모스트의 참여 결과, 야드버즈의 무대 위 모습과 음반 속 모습이 크게 달라지게 되었다"고 평가했다.[1]

3. 제작

지미 페이지 재적 중에 발매된 유일한, 그리고 그룹 해산 전 마지막 스튜디오 앨범이다. 1966년제프 벡이 해고된 후 페이지는 유일한 기타리스트가 되었다. 당시 매니저 사이먼 네피어-벨에 대한 불신으로 페이지는 옛 지인인 피터 그랜트에게 매니지먼트를 의뢰했다. 그랜트의 지인이자 허만스 허밋, 도노반 등의 히트곡 프로듀서로 명성을 얻고 있던 미키 모스트가 EMI에 의해 야드버즈의 새 음반 프로듀서로 영입되어 이 앨범 제작을 지휘했다.[8] 페이지는 과거 모스트의 세션 기타리스트로 일한 경험이 있었음에도, 모스트가 프로듀싱을 맡은 것에 불만을 품었다고 전해진다.[1]

모스트는 히트 싱글 제작을 최우선으로 여겼고, 상업적 성공을 위해 외부 작곡가를 기용하고 세션 연주자를 적극 활용하는 정책을 폈다. 당시 세션 연주자였고 후에 페이지와 레드 제플린에서 함께 활동하게 되는 존 폴 존스를 베이스 연주 및 편곡자로 초빙한 것도 모스트의 의향이었다.[8]

첫 녹음 세션은 1967년 3월 5일 런던의 올림픽 스튜디오에서 모스트의 주도로 진행되었다. 이 세션에서는 싱글 곡 "Little Games"[2]와 "Puzzles"가 제작되었다. "Little Games" 녹음에는 베이스를 맡게 된 크리스 드레야와 드러머 짐 매카티가 참여했지만, 모스트는 스튜디오 시간을 단축하고 상업적인 사운드를 얻기 위해 세션 뮤지션인 존 폴 존스(베이스 및 첼로 편곡)와 더기 라이트(드럼)를 주로 기용했다.

앨범의 나머지 곡들은 1967년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런던의 데 레인 리 스튜디오에서 단 3일간 녹음되었다. 이때도 세션 뮤지션들이 활용되었는데, 존 폴 존스("No Excess Baggage"의 베이스)와 롤링 스톤스의 로드 매니저이자 피아니스트인 이안 스튜어트("Drinking Muddy Water"의 피아노)가 참여했다.[8]

녹음 일정은 매우 촉박하여 멤버들은 종종 녹음 결과물을 들어보지도 못했다. 페이지는 "정말 정신없이 서둘렀어요. 믹키 모스트는 기본적으로 싱글에 관심이 있었고, 앨범 트랙을 제대로 만드는 데 시간을 투자할 가치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모든 것을 원 테이크로 끝냈죠"라고 회상했다. 이로 인해 많은 곡들이 시간 부족으로 수정하지 못한 데모 수준의 품질을 갖게 되었다고 평가된다. 팝 스타일의 곡 "Little Soldier Boy"는 원래 트럼펫 파트가 들어갈 예정이었으나, 시간이 부족하여 매카티가 임시로 부른 거친 가이드 보컬이 그대로 최종 버전에 실리기도 했다.

앨범은 모스트의 의향에 따라 팝적이고 상업적인 곡들이 포함되었지만, 당시 라이브 무대에서 보여주던 야드버즈의 실험적인 시도 또한 일부 반영되었다. 지미 페이지의 솔로 어쿠스틱 기타 연주곡인 "White Summer"는 데이비 그레이엄의 아일랜드 민요 편곡 "She Moved Through the Fair"를 바탕으로 페이지가 각색한 곡으로,[8] 인도 음악의 영향을 받아 "DADGAD" 튜닝을 사용했으며, 크리스 카란이 연주한 인도 타악기 타블라와 오보에 선율이 더해져 동양적인 분위기를 냈다. 이 곡은 후에 레드 제플린의 라이브에서도 주요 레퍼토리가 되었다.[8]

또 다른 실험적인 곡인 "Glimpses"는 4분 30초 길이의 기악 콜라주로, "야드버즈가 가장 실험적이고 영감을 받은 모습을 보여주는 훌륭한 사이키델릭 이미지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곡에는 페이지가 와와 페달, 보잉 주법, 각종 이펙트를 사용한 여러 기타 트랙과 일렉트릭 시타, 6/8 박자 리듬, 키스 렐프의 다중 녹음된 챈트 스타일 보컬, 음성 변조되어 거의 알아들을 수 없는 기계적인 목소리로 낭독되는 시("숲 속의 구름의 모습 / 우리 안에서 잘 살펴볼 수 있다 / 그리고 하나에 머물지 않는 것이 인생이다...")[8], 기차역과 놀이터 소리 샘플 등이 혼합되어 사이키델릭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Tinker Tailor Soldier Sailor"에서도 페이지의 특징적인 보잉 주법을 들을 수 있다.[8]

앨범 발매 이후 발표된 싱글들("Ha! Ha! Said the Clown", "Ten Little Indians", "Goodnight Sweet Josephine") 역시 모스트의 주도로 세션 뮤지션들을 대거 기용하여 제작되었다. 키스 렐프만이 맨프레드 맨의 곡을 커버한 "Ha Ha Said the Clown" 녹음에 참여했는데, 이마저도 미국에서 녹음된 세션 트랙 위에 보컬만 더빙하는 방식이었다. 나머지 멤버들은 거의 참여하지 못했으며, 존 폴 존스, 드러머 클렘 카티니, 피아니스트 니키 홉킨스 등 세션 연주자들이 주로 기용되었다. 유일하게 그룹 멤버 전체가 참여하여 녹음한 곡은 마지막 싱글의 B사이드 곡인 프로토 헤비메탈 성향의 "Think About It"으로, 이 곡에는 페이지가 라이브에서 연주하던 "Dazed and Confused"의 기타 솔로 일부가 포함되어 있다(이 솔로는 후에 레드 제플린 버전의 "Dazed and Confused"에서도 사용된다).

4. 평가

앨범 발매 당시 빌보드는 1967년 7월 29일 리뷰에서 《Little Games》가 "짧은 시간 안에 차트에 진입할 것"이라고 예측하며, 수록곡 중 블루스 록 곡인 'Drinking Muddy Water'와 'Smile On Max'를 "뛰어난 곡"으로 언급했다.[5] 그러나 앨범은 미국 빌보드 200 차트에서 80위에 머무르며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했고, 영국에서는 싱글 'Little Games'가 차트 진입에 실패하자 EMI는 앨범 발매를 취소했다.

현대의 평가는 엇갈린다. 올뮤직의 브루스 에더는 5점 만점에 3점을 주며 "결함은 있지만 훌륭한 60년대 후반의 사이키델릭/하드 록 유물"이라고 평가했지만, 동시에 야드버즈의 이전 작품들에 비하면 실망스러운 작품이라고 덧붙였다.[3] 확장판 ''Little Games Sessions & More'' 리뷰에서는 프로듀서 미키 모스트와의 작업이 "처음부터 형편없는 아이디어였다"고 비판했다.[4] ''The New Rolling Stone Album Guide'' 역시 5점 만점에 3점을 부여하며 "관습적인 팝에 대한 재앙적인 시도"라고 평가했다. 밴드 멤버들 스스로도 비판적이었는데, 지미 페이지는 앨범을 "끔찍하다"고 평했고, 짐 매카티는 프로듀서 미키 모스트를 "우리의 몰락의 주역"이라고 지목했다.

앨범 발매 이후 미키 모스트가 프로듀싱한 싱글들은 팝 시장을 공략하려는 시도였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Little Games》는 곧 절판되었지만, 지미 페이지레드 제플린으로 큰 성공을 거두면서 팬들과 수집가들 사이에서 재조명되었고, 이는 앨범 가격 상승과 위조 음반의 등장을 야기했다. 수록곡 중에서는 'Drinking Muddy Water', 지미 페이지의 연주곡 'White Summer', 그리고 'Glimpses'만이 야드버즈의 콘서트 레퍼토리로 연주되었다.

앨범 차트 성적
차트 (1967년)최고 순위
미국 빌보드 20080



싱글 차트 성적
년도싱글차트순위
1967"Little Games"미국 빌보드 핫 10051
미국 캐시박스 Top 100 싱글 차트48
미국 레코드 월드 100 Top Pop 차트44
호주 Go-Set Top 40 싱글 차트[7]27
"Ha Ha Said the Clown"미국 빌보드 핫 10045
미국 캐시박스 Top 10052
미국 레코드 월드 10045
"Ten Little Indians"미국 빌보드 핫 10096
미국 캐시박스 Top 10071
1968"Goodnight Sweet Josephine"미국 빌보드 "Bubbling Under the Hot 100"127


4. 1. 대한민국에서의 평가

''Little Games'' 앨범은 발매 당시 큰 성공을 거두지 못하고 곧 절판되었으나, 이후 야드버즈의 기타리스트였던 지미 페이지가 결성한 밴드 레드 제플린이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면서 대한민국에서도 뒤늦게 주목받기 시작했다.[3][4] 지미 페이지의 초기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팬들과 수집가들이 이 앨범을 찾기 시작했고, 이는 앨범의 가치 상승과 위조 음반의 등장으로 이어졌다.

특히 대한민국 팬들에게 이 앨범이 관심을 끈 주된 이유는 지미 페이지의 참여, 그중에서도 어쿠스틱 기타 연주곡 "White Summer"였다. 이 곡은 이후 레드 제플린의 공연에서 "Black Mountain Side"와 메들리로 연주되면서 팬들 사이에서 높은 관심을 받았다. "White Summer"는 지미 페이지의 독특한 기타 스타일과 음악적 아이디어가 담겨 있어, 그의 음악적 여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곡으로 평가받는다.

5. 곡 목록

이 앨범의 곡들은 야드버즈 멤버들이 직접 작곡한 곡들과 외부 작곡가들의 곡들이 혼합되어 있다. 타이틀 곡 "Little Games"는 해럴드 스피로(Harold Spiro)와 필 웨인먼(Phil Wainman)이 작곡했으며, "No Excess Baggage"는 애니멀스의 히트곡 "It's My Life"를 쓴 로저 앳킨스(Roger Atkins)와 칼 데리코(Carl D'Errico)의 작품이다. 이후 싱글로 발매된 "Ha Ha Said the Clown"과 "Goodnight Sweet Josephine"은 토니 해저드(Tony Hazzard)가, "Ten Little Indians"는 해리 닐슨(Harry Nilsson)이 작곡했다. 이는 이전 히트 싱글들을 주로 멤버들이 작곡했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밴드 멤버들이 작곡한 곡들은 다양한 스타일을 보여준다. 블루스 고전 "Rollin' and Tumblin'"을 재해석한 "Drinking Muddy Water"와 하울링 울프의 곡을 기반으로 한 "Smile on Me", 저그 밴드 스타일의 "Stealing Stealing"[17] 등이 있다. 지미 페이지의 기타 연주는 앨범 전반에 걸쳐 두드러진다. 아일랜드 민요를 기반으로 한 어쿠스틱 연주곡 "White Summer"에서는 DADGAD 튜닝과 인도 악기 타블라를 사용했고, "Tinker Tailor Soldier Sailor"에서는 기타 활 연주 기법을 선보였다. "Glimpses"는 사이키델릭 록 실험이 돋보이는 곡이며, 키스 렐프가 작곡한 "Only the Black Rose"는 서정적인 포크 스타일을 보여준다.

앨범 발매 과정에서 에픽 레코드의 실수로 몇 가지 오류가 발생했다. 크리스 드레야(Chris Dreja)의 성이 이전 앨범에 이어 또다시 "Ereja"로 잘못 표기되었으며, 이는 일부 싱글과 후속 컴필레이션 앨범에서도 반복되었다. 타이틀곡 "Little Games"의 미국 싱글에서는 작곡가 필 웨인먼(Phil Wainman)의 이름이 "Wienman"으로 잘못 기재되었다. 또한, 모노 버전 슬리브에 스테레오 버전 LP가 담겨 판매되거나, 모노 LP 라벨이 붙은 스테레오 프레싱이 유통되는 혼란도 있었다. 레코드 라벨과 LP 트레일 아웃 그루브의 마스터 번호 접두사("XEM"은 모노, "XSB"는 스테레오)를 통해 정확한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5. 1. 오리지널 버전 (1967년, 미국)

1967년 3월 5일, 런던올림픽 스튜디오에서 프로듀서 미키 모스트와 함께하는 첫 녹음 세션이 시작되었다. 이 세션에서는 싱글 "Little Games"[2]와 B사이드 곡 "Puzzles"가 만들어졌다. 밴드 멤버인 크리스 드레야와 드러머 짐 매카티가 "Little Games" 녹음에 참여했지만, 모스트는 스튜디오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존 폴 존스(베이스 및 첼로 편곡)와 더기 라이트(드럼) 같은 세션 음악가를 기용했다.

''Little Games'' 앨범의 나머지 곡들은 1967년 4월 29일부터 5월 1일까지 사흘간 런던의 데 레인 리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 이때도 존 폴 존스("No Excess Baggage"의 베이스)와 롤링 스톤스의 초기 멤버였던 이안 스튜어트("Drinking Muddy Water"의 피아노) 등 세션 음악가들이 참여했다.

앨범에는 지미 페이지의 독특한 기타 연주가 돋보이는 곡들이 포함되었다. 어쿠스틱 기타 연주곡 "White Summer", 와와 페달과 사운드 이펙트가 사용된 실험적인 곡 "Glimpses", 기타 활 연주 기법이 도입된 "Tinker Tailor Soldier Sailor", 슬라이드 기타 연주가 특징인 "Drinking Muddy Water" 등이 대표적이다.

하지만 녹음 일정은 매우 촉박했고, 밴드는 종종 녹음된 결과물을 제대로 확인하지도 못했다. 페이지는 모스트가 싱글 제작에만 집중하여 앨범 트랙 완성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지 않았다고 회상했다. 야드버즈 연구가 그레그 루소는 이러한 제작 환경 때문에 많은 곡들이 데모 수준의 품질에 머물렀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팝 스타일의 곡 "Little Soldier Boy"는 짐 매카티의 거친 보컬 가이드 트랙이 정식 트럼펫 파트를 대신하여 그대로 앨범에 실렸다.

앨범 발매 전후로 야드버즈가 녹음한 세 개의 싱글 역시 비슷한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키스 렐프만이 커버 곡 "Ha! Ha! Said the Clown" 녹음에 참여했으며, 나머지 파트는 세션 음악가들이 연주했다. 다른 커버 곡들인 "Ten Little Indians"와 "Goodnight Sweet Josephine" 녹음에도 존 폴 존스, 클렘 카티니, 니키 홉킨스 등 세션 연주자들이 기용되었다. 마지막 싱글의 B사이드 곡인 프로토 헤비메탈 성향의 "Think About It"만이 유일하게 밴드 멤버 전체가 함께 녹음한 곡이다. 이 곡에는 페이지가 라이브에서 "Dazed and Confused"를 연주할 때 사용했던 기타 솔로가 포함되어 있다.

5. 1. 1. Side One

Side one 트랙 리스트
번호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1Little Games해럴드 스피로, 필 웨인먼2:25
2Smile on Me크리스 드레야, 짐 매카티, 지미 페이지, 키스 렐프3:16
3White Summer페이지3:56
4Tinker, Tailor, Soldier, Sailor페이지, 매카티2:49
5Glimpses드레야, 매카티, 페이지, 렐프4:24



타이틀 곡 "Little Games"는 해럴드 스피로와 필 웨인먼이 작곡했으며, 이는 야드버즈의 이전 싱글들과 달리 외부 작곡가의 곡이다.[2] 이 곡의 녹음에는 존 폴 존스가 베이스 및 첼로 편곡을, 더기 라이트가 드럼 세션을 맡았다. "Smile on Me"는 밴드 멤버들이 작곡했으며, 하울링 울프의 "Shake for Me"를 기반으로 한 곡으로 페이지의 와와 페달을 사용한 기타 코다가 특징이다.

"White Summer"는 지미 페이지의 어쿠스틱 기타 솔로 연주곡으로, 데이비 그레이엄의 아일랜드 민요 "She Moved Through the Fair" 편곡 버전에서 영감을 받았다. 이 곡은 DADGAD 기타 튜닝을 사용하여 동양적인 느낌을 주며, 크리스 카란이 연주한 인도 타악기 타블라와 오보에 연주가 더해져 이러한 분위기를 강조한다. "Tinker, Tailor, Soldier, Sailor"는 페이지와 매카티가 작곡했으며, 페이지가 기타 활 연주 기법을 선보인 곡 중 하나이다.

"Glimpses"는 밴드 멤버 전원이 작곡에 참여한 곡으로, 페이지가 와와 페달을 사용한 기타 연주와 함께 음성 조작된 시 낭송, 기차역과 놀이터 소리 샘플링 등이 포함된 실험적인 사이키델릭 록 작품이다. 그레그 루소는 이 곡을 "야드버즈가 가장 실험적이고 영감을 받은 모습을 보여주는 훌륭한 사이키델릭 이미지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곡에는 여러 기타 트랙, 이펙트, 활 연주, 6/8 박자 리듬, 일렉트릭 시타 등이 사용되었으며, 키스 렐프는 여러 트랙에 걸쳐 창조적인 보컬을 더했다. 곡 중간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시가 낭독된다.

숲 속의 구름의 모습
우리 안에서 잘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하나에 머물지 않는 것이 인생이다
에너지는 근원으로부터 발산된다
우리 주변의 삶은 우리 자신의 반영일 뿐이다
끊임없이 무한한 무한함 속에서 흐르는
시간은 단지 누적된 한계일 뿐이다
한 번의 시선으로 극복할 수 있다
극복할 수 있다

5. 1. 2. Side Two

곡 번호제목작사/작곡재생 시간
1Drinking Muddy Water크리스 드레야, 짐 매카티, 지미 페이지, 키스 렐프2:53
2No Excess Baggage로저 앳킨스, 칼 데리코2:32
3Stealing Stealing드레야, 매카티, 페이지, 렐프[6]2:42
4Only the Black Rose렐프2:52
5Little Soldier Boy매카티, 페이지, 렐프2:39


  • '''Drinking Muddy Water''': 블루스 고전 "Rollin' and Tumblin'"을 재해석한 곡으로, 블루스 음악가 머디 워터스에게 헌정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지미 페이지의 슬라이드 기타 연주가 보컬 라인을 따라가는 것이 특징이며, 이는 이후 레드 제플린의 "You Shook Me"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로 나타난다. 세션 음악가 이안 스튜어트가 피아노 연주에 참여했다.
  • '''No Excess Baggage''': 애니멀스의 히트곡 "It's My Life"를 만들었던 브릴 빌딩 소속 작곡가 로저 앳킨스(Roger Atkins)와 칼 데리코(Carl D'Errico)가 작곡했다. 존 폴 존스가 베이스 기타를 연주했다.
  • '''Stealing Stealing''': 거스 캐넌의 저그 스톰퍼스(Gus Cannon's Jug Stompers)와 멤피스 저그 밴드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저그 밴드 스타일의 곡이다.[6]
  • '''Only the Black Rose''': 키스 렐프가 작사, 작곡한 사이키델릭 포크 스타일의 곡이다. 렐프의 보컬과 지미 페이지의 어쿠스틱 기타 연주, 절제된 퍼커션 효과가 특징이다. 음악 평론가 그레그 루소는 이 곡을 "성찰적"이고 "감정적"이라고 평가하며, 렐프와 짐 매카티가 이후 결성한 어쿠스틱 포크 듀오 투게더(Together)와 밴드 르네상스의 음악적 방향을 예고한다고 보았다.
  • '''Little Soldier Boy''': 팝 스타일의 곡으로, 앨범 녹음 일정이 매우 촉박하여 짐 매카티의 거친 보컬 가이드 트랙이 정식 트럼펫 연주 파트를 대신하여 그대로 수록되었다. 이는 당시 프로듀서 미키 모스트가 싱글 위주로 작업하며 앨범 트랙 완성도에 충분한 시간을 할애하지 않았던 제작 환경을 보여준다.

5. 2. 영국 버전 (1985년)

영국에서는 1985년 5월 EMI를 통해 발매되었다.[8] 이 영국판 앨범은 기존 미국판에 수록되지 않았던 싱글 곡 6곡('Puzzles', 'Ten Little Indians', 'Ha Ha Said the Clown', 'I Remember the Night', 'Think About It', 'Goodnight Sweet Josephine')을 추가하여 총 16곡으로 구성되었다. 앨범 재킷 디자인 또한 미국판의 팝 아트 스타일 일러스트 대신 멤버 4명의 사진을 사용한 보다 단순한 형태로 변경되었다.[12]

'''A면'''

번호곡 제목 (원제)작사/작곡가
1리틀 게임즈 (Little Games)해럴드 스파이로, 필 웨인먼
2퍼즐 (Puzzles)키스 렐프, 지미 페이지, 짐 매카티, 크리스 드레자
3스마일 온 미 (Smile on Me)크리스 드레자, 짐 매카티, 지미 페이지, 키스 렐프
4화이트 서머 (White Summer)지미 페이지
5팅커, 테일러, 솔저, 세일러 (Tinker, Tailor, Soldier, Sailor)지미 페이지, 짐 매카티
6글림시즈 (Glimpses)크리스 드레자, 짐 매카티, 지미 페이지, 키스 렐프
7텐 리틀 인디언 (Ten Little Indians)해리 닐슨
8하 하 세드 더 클라운 (Ha Ha Said the Clown)토니 해저드



'''B면'''

번호곡 제목 (원제)작사/작곡가
9드링킹 머디 워터 (Drinking Muddy Water)크리스 드레자, 짐 매카티, 지미 페이지, 키스 렐프
10노 엑세스 배기지 (No Excess Baggage)로저 앳킨스, 칼 데리코
11스틸링, 스틸링 (Stealing Stealing)크리스 드레자, 짐 매카티, 지미 페이지, 키스 렐프[6]
12온리 더 블랙 로즈 (Only the Black Rose)키스 렐프
13리틀 솔저 보이 (Little Soldier Boy)짐 매카티, 지미 페이지, 키스 렐프
14아이 리멤버 더 나이트 (I Remember the Night)앤서니 피롤로
15싱크 어바웃 잇 (Think About It)키스 렐프, 지미 페이지, 짐 매카티, 크리스 드레자
16굿나이트 스위트 조세핀 (Goodnight Sweet Josephine)토니 해저드


5. 3. 1992년 확장판

1992년 확장판인 ''Little Games Sessions & More''는 EMI 아메리카에서 발매된 2 디스크 세트이다. 이 확장판에는 오리지널 앨범 트랙 외에도 싱글로 발매되었던 "Ha Ha Said the Clown", "Ten Little Indians", "Goodnight Sweet Josephine" 등이 포함되었다.

또한 여러 아웃테이크와 대체 테이크/믹스도 수록되었다. 타악기와 호른이 없는 "White Summer"의 어쿠스틱 기타 솔로 믹스와 다른 오버더빙이 들어간 "Glimpses" 버전이 포함되었다. 특히, 지미 페이지 라인업 시기 야드버즈의 마지막 그룹 싱글 녹음이자 강력한 곡으로 평가받는 "Think About It"이 이 확장판을 통해 처음으로 공식 앨범에 수록되었다.

이 외에도 키스 렐프(Keith Relf)와 짐 매카티(Jim McCarty)가 결성했던 포크 듀오 투게더(Together)가 녹음한 미발표곡 세 곡과, 렐프와 매카티의 이름으로 된 네 곡도 함께 포함되었다.

'''트랙 목록'''

'''디스크 1'''
#제목작사/작곡길이비고
1Little Games해럴드 스피로 (Harold Spiro), 필 웨인먼 (Phil Wainman)2:37스테레오 믹스
2Smile on Me크리스 드레자 (Chris Dreja), 짐 매카티 (Jim McCarty), 지미 페이지 (Jimmy Page), 키스 렐프 (Keith Relf)3:15
3White Summer페이지3:571967년 LP 버전
4Tinker, Tailor, Soldier, Sailor페이지, 매카티2:511967년 LP 버전
5Glimpses드레자, 매카티, 페이지, 렐프4:211967년 LP 버전
6Drinking Muddy Water드레자, 매카티, 페이지, 렐프2:51스테레오 믹스
7No Excess Baggage로저 앳킨스(Roger Atkins), 칼 디에리코(Carl D'Errico)2:36
8Stealing Stealing드레자, 매카티, 페이지, 렐프2:33
9Only the Black Rose렐프2:48
10Little Soldier Boy매카티, 페이지, 렐프2:41
11Puzzles드레자, 매카티, 페이지, 렐프2:08
12I Remember the Night앤서니 피롤로(Anthony Pirollo)3:01
13Ha Ha Said the Clown토니 해저드 (Tony Hazzard)2:26모노
14Ten Little Indians해리 닐슨 (Harry Nilsson)2:13싱글 버전, 모노
15Goodnight Sweet Josephine해저드2:43싱글 버전, 모노
16Think About It드레자, 매카티, 페이지, 렐프3:46모노



'''디스크 2'''
#제목작사/작곡길이비고
1Little Games스피로, 웨인먼2:22모노 믹스
2You Stole My Love그레이엄 굴드먼 (Graham Gouldman)2:55기악 데모
3White Summer페이지3:51반주 없음
4Tinker, Tailor, Soldier, Sailor페이지, 매카티2:51기악 버전
5L.S.D.드레자, 매카티, 페이지1:00기악 데모
6Drinking Muddy Water드레자, 매카티, 페이지, 렐프2:50모노 믹스
7De Lane Lea Lee드레자, 매카티, 페이지2:33기악 데모
8Glimpses드레자, 매카티, 페이지, 렐프4:18다른 오버더빙이 있는 버전
9Never Mind드레자, 매카티, 페이지2:46기악 데모
10Ten Little Indians닐슨2:15기악 버전
11Goodnight Sweet Josephine해저드2:42대체 버전
12Henry's Coming Home매카티, 렐프2:57투게더 (Together)
13Love Mum and Dad매카티, 렐프3:48투게더 (Together)
14Together Now매카티, 렐프3:02투게더 (Together)
15Shining Where the Sun Has Been매카티, 렐프2:52매카티와 렐프
16Great Shakes1:01미국 라디오 광고


6. 해체와 유산

미키 모스트의 팝 노선은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다. 앨범 발매에 앞서 1967년 3월에 나온 싱글 Little Games영어는 미국 빌보드 차트 51위를 기록하는 데 그쳤고, 영국에서는 차트 진입에 실패하며 영국에서의 앨범 발매 계획 자체가 무산되었다.[8][10] 7월에는 미국 한정으로 앨범 미수록곡인 Ha Ha Said the Clown영어을 싱글로 발매하여 45위를 기록했고,[8] 8월 12일(혹은 7월 24일[11]) 발매된 앨범 《Little Games》 역시 미국 빌보드 앨범 차트 80위에 머무르며 전작들에 비해 크게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상업적 실패에도 불구하고 미키 모스트는 팝 노선을 고수했다. 1967년 9월에는 해리 닐슨의 곡을 커버한 Ten Little Indians영어를 녹음하여 10월에 미국 한정 싱글로 발매했으나 96위에 그쳤다.[8] 이듬해인 1968년 3월, 역시 미국에서만 발매된 싱글 Goodnight Sweet Josephine영어이 야드버즈의 마지막 싱글이 되었다.[8] 결국 1968년 7월 7일, 루턴 공업 대학교에서의 공연을 마지막으로 보컬 키스 렐프와 드러머 짐 매카티가 밴드 탈퇴를 선언하면서 야드버즈는 공식적으로 해체되었다.[8]

해체 후, 키스 렐프와 짐 매카티는 Together영어라는 새로운 밴드를 결성하고 폴 샘웰스미스를 프로듀서로 영입하여 1968년 11월 싱글을 발표했다.[8] 이 밴드는 이후 렐프의 여동생인 제인 렐프 등이 합류하며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르네상스( Renaissance영어)로 발전했다. 베이시스트였던 크리스 드레야는 음악계를 떠나 사진 작가로 전향했다. 한편, 지미 페이지는 기존의 공연 계약을 이행하기 위해 새로운 멤버들을 영입해야 했다. 그는 《Little Games》 앨범 작업에 참여했던 세션 뮤지션 존 폴 존스와 당시 무명이었던 보컬리스트 로버트 플랜트, 드러머 존 보넘을 영입하여 '뉴 야드버즈'( New Yardbirds영어)를 결성했다. 이 밴드는 곧 레드 제플린( Led Zeppelin영어)으로 이름을 바꾸고 세계적인 록 밴드로 성공하게 된다.[8]

7. 참여자

7. 1. 추가 인원


  • 클렘 카티니 – "Ten Little Indians"와 "Goodnight Sweet Josephine"의 드럼
  • 바비 그레그 – "Little Games" (오리지널 앨범)의 드럼
  • 니키 홉킨스 – "Goodnight Sweet Josephine" (버전 1)의 키보드
  • 존 폴 존스 – "Goodnight Sweet Josephine"과 "No Excess Baggage" (오리지널 앨범)의 베이스 기타, "Little Games" (오리지널 앨범)의 베이스 및 첼로 편곡, "Ten Little Indians"의 베이스 및 오케스트라 편곡
  • 크리스 카란 – "White Summer"의 타블라
  • 조 마초 – "Ha Ha Said the Clown"의 베이스
  • 릭 닐슨 – "Ha Ha Said the Clown"의 오르간
  • 이안 스튜어트 – "Drinking Muddy Water" (오리지널 앨범)의 피아노
  • 더기 라이트 – "Little Games" (오리지널 앨범)의 드럼
  • 미상 – "White Summer"의 오보에
  • 미키 모스트 – 프로듀서

참조

[1] 문헌
[2] 웹사이트 Little Games https://littlegames.[...] 2024-07-07
[3] 웹사이트 Little Games – Album Review "{{AllMusic|class=al[...] 2013-09-05
[4] 웹사이트 Little Games Sessions & More – Album Review http://www.allmusic.[...] 2013-09-05
[5] 간행물 Album Reviews 1967-07-29
[6] 문서
[7] 뉴스 Top 40 Singles — June 21, 1967 http://www.poparchiv[...] 2013-09-05
[8] 문서
[9] 문서
[10] 웹사이트 The Yardbirds - Chart history | Billboard http://www.billboard[...]
[11] 문서
[12] 웹사이트 The Yardbirds - Little Games (Vinyl, LP) at Discogs https://www.discogs.[...] 2017-09-18
[13] 문헌
[14] 웹인용 Little Games – Album Review "{{올뮤직|class=album|i[...] 2013-09-05
[15] 웹인용 Little Games Sessions & More – Album Review http://www.allmusic.[...] 2013-09-05
[16] 간행물 Album Reviews 1967-07-29
[17]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