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9 총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9 총검은 1986년 미국 육군에 채택된 다목적 총검으로, 찰스 A. "미키" 핀이 설계했다. M7 총검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칼날, 와이어 커터, 병따개 등 다양한 기능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M9은 M16 소총 및 M4 카빈에 사용되며, 칼집과 결합하여 와이어 커터로도 활용할 수 있다. 주요 제조사로는 프로비스 III, 벅 나이프 등이 있으며,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고 있다. M11 EOD는 M9의 파생형으로 폭발물 처리용으로 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검 - OKC-3S 총검
    OKC-3S 총검은 미 해병대에서 사용하는 총검으로, 2003년부터 생산 및 배포되었으며, 1095 고탄소강 칼날과 다이나플렉스 손잡이, 방탄복 관통 능력, MOLLE/PALS 호환 칼집을 특징으로 한다.
  • 도검 - 검파두식
    검파두식은 고대 사회 칼의 칼자루 머리 부분 장식으로 권력과 지위를 상징하며, 형태에 따라 장식 대도, 환두대도, 원두대도 등으로 나뉘고, 칼의 기능성과 미적 가치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 총검 - 총검도
    총검도는 일본군이 프랑스군을 모방하여 도입한 총검술에서 유래되어 창술을 참고하여 발전한 일본 고유의 무도로, 소총에 착검한 총검을 사용하여 찌르는 기술을 겨루는 무도이다.
  • 총검 - 총검술
    총검술은 소총에 착검하여 백병전에 사용하는 기술로, 과거 중요 전투 기술이었으나 현대전에서는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일부 군대에서 훈련되고 소총 작동 불능 시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대한민국 육군에서는 신병 훈련에서 제외되었지만 전투 훈련의 일부로 활용될 예정이다.
M9 총검
개요
M9 총검이 [[M4 카빈]]에 부착된 모습
M4 카빈에 부착된 M9 총검
유형총검
제원
전체 길이30 cm
칼날 길이18 cm
칼날 형태클립 포인트
생산 및 사용
설계자찰스 A. "미키" 핀
설계 연도1984년
생산 회사백, 프로비스, 란케이, 온타리오 등
생산 기간1984년 - 현재
사용 국가미국 해병대, 미국 육군
사용 기간1984년 - 현재
사용된 전쟁걸프 전쟁
파나마 침공
대테러 전쟁
이라크 자유 작전
생산 수량405,000개 이상

2. 역사

M7 총검은 1964년에 도입되었으나 1973년 미군에 의해 퇴역되었다. 이는 변화하는 군사 전술과 첨단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미군은 절단 도구가 없게 되었다.[1]

M9 총검은 찰스 A. "미키" 핀이 그의 R&D 회사인 Qual-A-Tec에서 설계하고 개발했다.[2][3][4] 핀은 "야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스위스 아미 나이프"를 개발하고자 했다.[1] Qual-A-Tec의 M9 총검 디자인은 다른 49개의 경쟁 업체를 제치고, 계약 입찰에서 0%의 실패율을 기록한 유일한 제품이었다.[3] 이는 6H3 총검을 개선하고 정교하게 복제한 것이다.[5]

핀은 이후 Phrobis III라는 이름으로 M9을 생산하여 325,000개의 군사 계약을 체결했다. 벅 나이프(Buck Knives)는 300,000개를 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1997년까지 자체 브랜드로 상업용 버전을 판매했다.[6] 1989년, 핀은 특허를 받았지만, 아시아와 멕시코에서 무허가 복제품이 나와 그의 정당한 판매를 감소시켰다.

1989년 Phrobis III 총검 계약이 완료된 후, M9에 대한 권리는 미국 육군으로 귀속되었고, 이후 다른 회사에서 많은 버전이 출시되었다.

M9의 일부 생산분은 풀러가 있고 일부는 없는데, 이는 해당 배치 제조사의 계약자와 당시의 군사 사양에 따라 다르다. M9은 블레이드가 20% 더 두껍고, 생크의 두께가 약 0.60cm에서 약 0.50cm로 감소했으며, 블레이드 내 강철의 단면적은 M7보다 75% 더 크다.

총검을 사용한 근접전은 드물다. 미국군에서도 총검이 갖는 역할의 비중은 점점 감소하고 있었다. M7 총검은 짧은 칼날을 가지고 최소한의 자살 성능을 갖춘 간소한 모델이 채택되었으며, 총검이 사용되는 것은 총알이 떨어진 후의 최종적인 수단이나, 의전 등의 의례적인 경우에 착검되는 것이 상정되었다. 따라서 M9 총검은 총의 앞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만 휴대하는 것이 아니라, 야외 활동에 따른 다양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여러 용도를 부가하여 사용할 것을 상정하여 설계되었으며, M9MPBS(Multi Purpose Bayonet System: 다목적 총검 시스템)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발상은 1960년부터 만들어진 다기능 총검의 원조인 러시아의 6Kh3 총검을 바탕으로 하여, 이를 참고하여 개발이 진행되었다.

미키 핀(Mickey Finn)은 SEALS에서 테스트 사용되었던 BUCK사의 백마스터 184를 바탕으로 M9 총검을 디자인했으며, 32만 5,000정이 미군에 정식 납품되었다. 주요 생산은 백사(Buck), 플로비스사(Phrobis), 랭키사(LanCay), 온타리오사(Ontario) 등이다.

3. 구조

칼날은 클립 포인트, HRC 경도 53-58의 약 6mm 두께를 가진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었으며, 칼날 오른쪽 면에는 비교적 큰 블러드 그루브가 있다. 칼집과 조합하여 와이어 커터로 사용하기 위한 구멍이 칼날에 뚫려 있으며, 힐트에는 병따개로 사용하기 위한 홈이 있다. 강철 재질은 내로우 탱으로, 중공 핸들 내부를 샤프트를 통해 관통하며, 핸들 후부에서 육각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육각 렌치를 사용하여 분해 정비 및 부품 교체가 가능하다. 내로우 탱 제품과 마찬가지로 분해 가능한 구조의 세미 풀 탱 제품도 존재하며 이 역시 정식 채용되었지만 극히 드물다[9]. 플라스틱제 핸들은 원통형이며,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 있다.

M9 총검과 M10 총검 칼집(개량 생산형)


칼집과 조합하여 와이어 커터로 사용하는 상태


칼집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었으며, 뒷면에는 숫돌이 부착되어 있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나일론 벨트로 덮개처럼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칼집 내부에는 칼날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 흔들거나 거꾸로 해도 떨어지지 않는다. 칼집 앞면에는 나일론 파우치가 부착되어 M9 권총탄창이나 소품을 수납할 수 있다. 칼집 하단에는 칼날의 구멍과 조합하는 와이어 커터 기구와 일자 드라이버가 있다. 벨트에 부착하는 부분은 두꺼운 철사와 같은 클립으로 되어 있다. 벨트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와이어 커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벨트에 장착하는 부분과 칼집 본체는 패스텍스로 탈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4. 파생형

M11 나이프는 M11 EOD라고도 불리며, 폭발물 처리(EOD)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M9의 변형 모델이다. 미 육군 제52폭발물처리부대의 수요에 맞춰 제작되었다.[7] 해머 폼멜과 같은 몇 가지 추가 기능을 갖추고 있지만, M9과 동일한 칼날과 칼집을 사용한다. 총검 마운팅 걸쇠나 총구 링이 없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총검은 아니며, Phrobis XM-9 프로토타입 총검의 기반이 된 Buckmaster 184/188 나이프의 개정판에 가깝다.[7]

4. 1. M9

1986년 미 육군의 M16A2 전용으로 보급이 시작된 기본형이다. 여러 기능을 두루 확보한 전투용 총검이나, 현재 총검술 교리의 비중이 과거에 비해 많이 낮아지면서 훈련에서만 쓰인다.

1964년에 도입된 M7 총검이 1973년 미군에 의해 퇴역했는데, 이는 변화하는 군사 전술과 전투에서 총검 사용의 가능성을 낮추고 첨단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미군은 절단 도구가 없게 되었다.[1]

M9 총검은 찰스 A. "미키" 핀이 그의 R&D 회사인 Qual-A-Tec에서 설계하고 개발했다.[2][3][4] 핀은 실제 군사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칼을 통해 "야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스위스 아미 나이프"를 개발하고자 했다.[1] Qual-A-Tec의 M9 총검 디자인은 다른 49개의 경쟁 업체를 제치고, 계약 입찰에서 0%의 실패율을 기록한 유일한 제품이었다.[3] 이는 6H3 총검을 개선하고 정교하게 복제한 것으로, 소련AKM용으로 개발한 것이다.[5]

핀은 이후 Phrobis III라는 이름으로 M9을 생산하여 325,000개의 군사 계약을 체결했다. 벅 나이프(Buck Knives)는 300,000개를 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1997년까지 자체 브랜드로 상업용 버전을 판매했다. 핀의 디자인은 매우 인기가 높아 다른 제작업체에서 광범위하게 위조되어 불법적으로 판매되었다.[6] 1989년, 핀은 특허를 받았지만, 아시아와 멕시코에서 무허가 복제품이 나와 그의 정당한 판매를 감소시켰다.

1989년 Phrobis III 총검 계약이 완료된 후, M9에 대한 권리는 미국 육군으로 귀속되었고, 이후 다른 회사에서 많은 버전이 출시되었다. 이는 미군과 다른 국가에서 지급되었으며, 다양한 버전으로 상업적으로도 판매되었다.

M9의 일부 생산분은 풀러가 있고 일부는 없는데, 이는 해당 배치 제조사의 계약자와 당시의 군사 사양에 따라 다르다. M9이 구형 M7 총검보다 파손되기 쉽다는 주장이 있지만, M9은 블레이드가 20% 더 두껍고, 생크의 두께가 약 0.60cm에서 약 0.50cm으로 감소했으며, 블레이드 내 강철의 단면적은 M7보다 75% 더 크다.

대규모 화력을 가진 무기를 사용한 현대전에서 근거리에서 병사가 뒤섞여 벌이는 백병전투가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이며, 총검을 사용한 근접전은 드물다. 따라서 미국군에서도 총검이 갖는 역할의 비중은 점점 감소하고 있었다. M7 총검은 짧은 칼날을 가지고 최소한의 자살 성능을 갖춘 간소한 모델이 채택되었으며, 총검이 사용되는 것은 총알이 떨어진 후의 최종적인 수단이나, 의전 등의 의례적인 경우에 착검되는 것이 상정되었다. 따라서 M9 총검은 총의 앞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만 휴대하는 것이 아니라, 야외 활동에 따른 다양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여러 용도를 부가하여 사용할 것을 상정하여 설계되었으며, M9MPBS(Multi Purpose Bayonet System: 다목적 총검 시스템)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발상은 1960년부터 만들어진 다기능 총검의 원조인 러시아의 6Kh3 총검을 바탕으로 하여, 이를 참고하여 개발이 진행되었다.

발명가이자 미군의 무기 및 후에 골프 퍼터의 설계로도 알려진 미키 핀(Mickey Finn)에 의해 SEALS에서 테스트 사용되었던 BUCK사의 백마스터 184를 바탕으로 디자인되었으며, 32만 5,000정이 미군에 정식 납품되었다. 주요 생산은 백사(Buck), 플로비스사(Phrobis), 랭키사(LanCay), 온타리오사(Ontario) 등이다.

칼날은 클립 포인트, HRC 경도 53-58의 약 6mm 두께를 가진 스테인리스강으로 제작되었으며, 칼날 오른쪽 면에는 비교적 큰 블러드 그루브가 있다. 칼집과 조합하여 와이어 커터로 사용하기 위한 구멍이 칼날에 뚫려 있으며, 힐트에는 병따개로 사용하기 위한 홈이 있다. 강철 재질은 내로우 탱으로, 중공 핸들 내부를 샤프트를 통해 관통하며, 핸들 후부에서 육각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육각 렌치를 사용하여 분해 정비 및 부품 교체가 가능하다. 내로우 탱 제품과 마찬가지로 분해 가능한 구조의 세미 풀 탱 제품도 존재하며 이 역시 정식 채용되었지만 극히 드물다.[9] 플라스틱제 핸들은 원통형 또는 원통형이며, 미끄럼 방지 처리가 되어 있다.

칼집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었으며, 뒷면에는 숫돌이 부착되어 있으며, 사용하지 않을 때는 나일론 벨트로 덮개처럼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칼집 내부에는 칼날을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어, 흔들거나 거꾸로 해도 떨어지지 않는다. 칼집 앞면에는 나일론 파우치가 부착되어 있어, M9 권총탄창이나 소품을 수납할 수 있다. 칼집 하단에는 칼날의 구멍과 조합하는 와이어 커터 기구와 일자 드라이버가 있다. 벨트에 부착하는 부분은 두꺼운 철사와 같은 클립으로 되어 있다. 벨트에 부착한 상태에서도 와이어 커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벨트에 장착하는 부분과 칼집 본체는 패스텍스로 탈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모델의 영향은 커서, NATO군도 유사한 디자인의 총검을 채용했을 뿐만 아니라, 불법 복제된 것을 포함하여 본 모델에서 영감을 얻은 유사한 나이프가 많이 생산되었다. 공식 파생 모델로는 폭발물 처리에 사용되는 '''M11 EOD'''라고 불리는 M9과 유사한 나이프가 있으며, 이 역시 정식 채용되었다.

또한, 그 인지도 때문에 애니메이션이나 게임에도 M9으로 보이는 나이프가 컴뱃 나이프로 자주 등장한다.

M9 총검은 획기적인 총검이지만, 무겁고 (본체만 400g에 육박) 부피가 크다. 그 때문인지, 미국 해병대에서는 M9이 많이 사용되지 않는 듯하며, M9이 채용된 후에도 기존의 M7 총검이나 Ka-Bar 나이프를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해병대에서는 이 두 종류의 나이프를 통합하는 OKC-3S라는 신형 총검이 2003년에 채용되었다.

4. 2. M11

M11 나이프는 M11 EOD라고도 불리며, 폭발물 처리(EOD)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M9의 변형 모델이다. 미 육군 제52폭발물처리부대의 수요에 맞춰 제작되었다. 착검 기능은 없지만, 망치형 손잡이를 갖추고 있으며 칼날 재질은 M9과 동일하다.[7] 총검 마운팅 걸쇠나 총구 링이 없기 때문에 엄밀히 말하면 총검은 아니며, Phrobis XM-9 프로토타입 총검의 기반이 된 Buckmaster 184/188 나이프의 개정판에 가깝다.[7]

5. 제작사

M9 총검은 찰스 A. "미키" 핀이 그의 R&D 회사인 Qual-A-Tec에서 설계하고 개발했다.[2][3][4] 핀은 "야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스위스 아미 나이프"를 개발하고자 했다.[1] Qual-A-Tec의 M9 총검 디자인은 다른 49개의 경쟁 업체를 제치고, 계약 입찰에서 0%의 실패율을 기록한 유일한 제품이었다.[3] 이는 6H3 총검을 개선하고 정교하게 복제한 것이다.[5]

핀은 이후 Phrobis III라는 이름으로 M9을 생산하여 325,000개의 군사 계약을 체결했다. 벅 나이프(Buck Knives)는 300,000개를 생산하는 계약을 체결했고, 1997년까지 자체 브랜드로 상업용 버전을 판매했다.[6]

1989년 Phrobis III 총검 계약이 완료된 후, M9에 대한 권리는 미국 육군으로 귀속되었고, 이후 다른 회사에서 많은 버전이 출시되었다.

M9의 주요 제조사는 프로비스 III, 벅 나이프, 랜케이, 온타리오, 트라이-테크놀로지스이다.

제조사계약 내용 및 기간
프로비스 III1987년 초기 미 육군 계약, 벅 나이프에 하청
벅 나이프1987년 ~ 1989년 (프로비스 하청), 1997년까지 상업용 버전 판매
랜케이1992년 3월 첫 계약 (30,000개, 이후 50,000개로 증가), 1994년 개선된 M9 모델 100,000개 계약, 1999년 25,000개 계약 (온타리오와 분할)
온타리오1999년 25,000개 계약 (랜케이와 분할), 2005년 이후 지속 생산
트라이-테크놀로지스2012년 40,000개 계약[8]


6. 사용 국가

국가사용처
أبو ظبي|아부다비ar보안군, 아부다비 육군 - AR-15 계통 소총의 총검으로 채용.
Australia|오스트레일리아영어오스트레일리아 국방군, 호주 육군 - F88 소총의 총검으로 채용.
Chile|칠레es라우타로 특수 작전 여단
香港|홍콩중국어특별 임무 부대
Nederland|네덜란드nl네덜란드군, 네덜란드 육군/네덜란드 해병대 - C7/C8 소총의 총검으로 채용.
New Zealand|뉴질랜드영어뉴질랜드 국방군
新加坡|싱가포르중국어싱가포르군
ประเทศไทย|태국th태국군
United States of America|미국영어미국군 (OKC-3S 총검을 사용하는 해병대 제외)
भारत|인도hi인도 육군


7. M7 총검과의 비교



1964년에 도입된 M7 총검은 1973년 미군에서 퇴역했다. 이는 군사 전술의 변화와 첨단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전투에서 총검 사용의 필요성이 낮아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로 인해 미군은 절단 도구가 없게 되었다.[1]

M9 총검은 찰스 A. "미키" 핀이 그의 R&D 회사인 Qual-A-Tec에서 설계하고 개발했다.[2][3][4] 핀은 "야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일종의 스위스 아미 나이프"를 개발하고자 했다.[1] Qual-A-Tec의 M9 총검 디자인은 다른 49개의 경쟁 업체를 제치고, 계약 입찰에서 0%의 실패율을 기록한 유일한 제품이었다.[3] 이는 6H3 총검을 개선하고 정교하게 복제한 것이다.[5]

M9의 일부 생산분은 풀러가 있고 일부는 없는데, 이는 해당 배치 제조사의 계약자와 당시의 군사 사양에 따라 다르다. M9이 구형 M7 총검보다 파손되기 쉽다는 주장이 있지만, M9은 블레이드가 20% 더 두껍고, 생크의 두께가 약 0.60cm에서 약 0.50cm로 감소했으며, 블레이드 내 강철의 단면적은 M7보다 75% 더 크다.

M7 총검은 1964년에 도입되었으며, M16 소총, M4 카빈에 총검으로 사용되었고, 전투용 칼로도 사용되었다. M9 다목적 총검 시스템은 M16 소총 시리즈, M4 카빈 시리즈에 총검으로 사용되며, 전투용 칼, 일반 야전 및 유틸리티 칼, 전선 절단기로도 사용되며, 칼집과 함께 사용할 때는 톱으로도 사용된다. M7 및 M9 총검은 모스버그 590A1 샷건에도 장착할 수 있다.

지정명칭M7M9
육군 도입 년도1964년1986년
칼날 길이약 17.14cm약 17.78cm
전체 길이약 29.84cm약 30.48cm



대규모 화력을 가진 무기를 사용한 현대전에서 근거리에서 병사가 뒤섞여 벌이는 백병전투가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제한적이며, 총검을 사용한 근접전은 드물다. 따라서 미국군에서도 총검이 갖는 역할의 비중은 점점 감소하고 있었다. M7 총검은 짧은 칼날을 가지고 최소한의 기능을 갖춘 간소한 모델이 채택되었으며, 총검이 사용되는 것은 총알이 떨어진 후의 최종적인 수단이나, 의전 등의 의례적인 경우에 착검되는 것이 상정되었다. 따라서 M9 총검은 총의 앞에 장착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만 휴대하는 것이 아니라, 야외 활동에 따른 다양한 목적에 사용될 수 있도록 여러 용도를 부가하여 사용할 것을 상정하여 설계되었으며, M9MPBS(Multi Purpose Bayonet System: 다목적 총검 시스템)라고도 불린다.

이러한 발상은 1960년부터 만들어진 다기능 총검의 원조인 러시아의 6Kh3 총검을 바탕으로 하여, 이를 참고하여 개발이 진행되었다.

발명가이자 미군의 무기 및 후에 골프 퍼터의 설계로도 알려진 미키 핀(Mickey Finn)에 의해 SEALS에서 테스트 사용되었던 BUCK사의 백마스터 184를 바탕으로 디자인되었으며, 32만 5,000정이 미군에 정식 납품되었다.

8. 평가 및 비판

미국군에서 총검의 역할 비중이 감소하면서, M9 총검은 총기 부착 외 다양한 용도로 설계되었다. 이는 다기능 총검의 원조인 러시아의 6Kh3 총검을 참고한 것이다. M9 총검은 획기적인 총검이었지만, 무겁고(본체만 400g에 육박) 부피가 크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미국 해병대에서는 M9 총검 채용 후에도 기존의 M7 총검이나 Ka-Bar 나이프를 계속 사용했으며, 2003년에는 이 두 종류의 나이프를 통합한 OKC-3S라는 신형 총검을 채용했다.[9]

9. 같이 보기

참조

[1] 간행물 The New Bayonet Stabs, Slices and Even Dices, Thanks to Mickey Finn http://web.archive.o[...] Time Inc. 2016-11-23
[2] 뉴스 One-Time Delicatessen Owner Builds the Army a Better Bayonet https://www.latimes.[...] 2016-11-23
[3] 간행물 Phrobis and the M9 Bayonet http://mocityman.com[...] 2016-11-23
[4] 간행물 Army Selects New Bayonet. Phrobis III: The Winning Edge. http://mickeyfinngol[...]
[5] 웹사이트 AKM-47 Bayonet From Battle - Bayonet Knife Review http://www.tactical-[...] 2008-07-01
[6] 서적 Bayonets: An Illustrated History https://books.google[...] Krause Publications 2004-12-01
[7] 웹사이트 The M9 Bayonet http://www.old-smith[...]
[8] 웹사이트 Contract W56HZV-12-C-0327 http://government-co[...] 2012-09
[9] 웹사이트 M9バヨネット仕様書 https://mocityman.co[...] 2024-1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