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검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총검도는 일본에서 창술을 바탕으로 발전한 무술로, 소총에 총검을 장착하여 사용하는 기술을 연마한다. 막부 말기에 서양식 총검술이 전해졌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프랑스식 총검술을 거쳐 일본식 총검술이 제정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총검도'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종전 후에는 전일본총검도연맹을 중심으로 재흥되었다. 현재는 자위대에서 훈련되고 있으며, 전일본총검도 선수권 대회 등 주요 대회가 개최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총검 - 총검술
총검술은 소총에 착검하여 백병전에 사용하는 기술로, 과거 중요 전투 기술이었으나 현대전에서는 중요성이 감소했지만, 일부 군대에서 훈련되고 소총 작동 불능 시 심리적 안정감을 주며, 대한민국 육군에서는 신병 훈련에서 제외되었지만 전투 훈련의 일부로 활용될 예정이다. - 총검 - OKC-3S 총검
OKC-3S 총검은 미 해병대에서 사용하는 총검으로, 2003년부터 생산 및 배포되었으며, 1095 고탄소강 칼날과 다이나플렉스 손잡이, 방탄복 관통 능력, MOLLE/PALS 호환 칼집을 특징으로 한다. - 일본 검술 - 오륜서
미야모토 무사시가 밀교의 오륜 사상을 바탕으로 자신의 유파인 니텐이치류의 검술과 전략, 철학을 담아 저술한 병법서인 오륜서는 땅, 물, 불, 바람, 공의 다섯 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일본 검술 - 북진일도류
북진일도류는 치바 슈사쿠가 창시한 막부 말 일본의 검술 유파로, 실전적인 기술 연마를 강조했으며 현무관을 중심으로 사카모토 료마, 신센구미 대원 등 많은 문하생을 배출하여 현재는 현대 검도로 흡수되었으나 그 맥이 이어지고 있다. - 일본의 무술 - 규도
규도는 일본의 전통적인 궁술로 정신 수양과 예의범절을 중시하며, 선사 시대부터 시작되어 무사 계급의 등장과 함께 발전했고, 다양한 유파와 전일본궁도연맹을 중심으로 현대 스포츠화되었으며, 사법팔절을 기본 동작으로 수련하고, 도구와 기술 단계를 거쳐 전 세계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 일본의 무술 - 공수도
공수도는 류큐 왕국의 무술에서 유래하여 중국 무술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다양한 유파와 수련 방식으로 구성되고, 2020년 하계 올림픽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한국의 태권도에도 영향을 미쳤다.
총검도 | |
---|---|
개요 | |
![]() | |
종류 | 총검술 |
경도 | 경쟁적 |
국가 | 일본 |
창시자 | 특정 창시자 없음 |
기원 | 역사적 |
올림픽 | 미개최 |
명칭 | |
명칭 | Jūkendō (총검도) |
특징 | |
주 무기 | 총검 |
역사 | |
기원 | 창술, 총검술 |
창시년도 | 1956년 (쇼와 31년) |
파생 종목 | 단검도 |
기술 | |
주요 기술 | 자돌 |
조직 | |
공식 웹사이트 | 전일본총검도연맹 |
2. 역사
일본에서는 막부 말기에 총검술이 전해졌다. 1841년(덴포 12년), 다카시마 슈한이 무슈 도쿠마루가하라(현 도쿄도 이타바시구 다카시마 평)에서 일본 최초의 서양식 총진 공개 연병을 할 때 총검 조련도 실연되었다.[1] 메이지 유신 이후 총검술이 본격적으로 채용되었다.
1874년 프랑스 육군에서 체조 교관으로 초빙된 쥬클로 군조가 프랑스식 검술, 총검술을 소개했지만, 본인이 전문이 아니었기 때문에 보급까지는 이르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19] 1884년에는 프랑스 육군의 육군 도야마 학교에 검술 교관으로 초빙된 드 빌라레이 중위, 키에르 군조가 정검술(펜싱의 플뢰레), 군도술(사브르), 총검술을 본격적으로 지도했다.
1887년(메이지 20년), 프랑스인 교관이 해고되어 귀국하자 펜싱과 서양식 총검술을 폐지하고 일본의 전통적인 검술과 창술을 바탕으로 한 독자적인 군도술·총검술을 제정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1890년(메이지 23년), 오쿠보 하루노 대좌는 도야마 학교장으로 프랑스식 검술·총검술 폐지와 일본식 군도술·총검술 제정을 결정했다. 1894년(메이지 27년), 쓰다 교슈 대위를 중심으로 호조인류와 사부리류 등의 일본 전통 창술을 바탕으로 한 일본 고유의 총검술이 제정되었다.[1]
1915년(다이쇼 4년)에는 창술의 막는 기술을 바탕으로 한 기술을 추가하는 등의 개정이 이루어졌고, 1921년(다이쇼 10년)에는 착검하지 않은 상태의 총검을 사용하는 전술로, 일본 전통 소타치술을 바탕으로 단검술(현·단검도)도 제정되었다.[1]
1940년(쇼와 15년), 기원 2600년 기념 가시하라 신궁 대회부터 '총검도'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듬해 1941년에는 대일본총검도진흥회가 설립되었다.[20] 태평양 전쟁 말기인 1944년경부터는 주로 남성을 중심으로 죽창 훈련이 실시되었는데, 이는 창술이 아닌 총검술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1953년 점령이 끝난 후, 구 육군 도야마 학교 관계자들이 도야마 검우회를 설립하고 훈련을 다시 시작하면서 총검도 재흥의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1956년 전일본총검도연맹이 결성되었고, 초대 회장으로 구 육군 대장 이마무라 히토시가 취임했다. 총검도는 구 군의 상징적 종목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해 냉대를 받았지만,[21] 이후 일본 체육 협회와 일본 무도 협의회에 가맹하여 무도로 다시 일어섰다.
경기 인구 대부분은 자위관이며, 임원 상당수도 전직 간부 자위관이다. 일반 부문도 전직 자위관이나 그 친족이 많아 사실상 '자위대 관계자의 경기'라는 상태이다.[22] 국사관 대학, 야마나시 가쿠인 대학 등 체육 계열 대학을 중심으로 총검도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고등학교 부활동으로는 전국에 10여 개 학교가 있다. 실업단 중에서는 ALSOK 총검도부가 거의 모든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24]
육상자위대에서는 자위대 총검 격투와 함께 총검도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전일본총검도연맹은 "전전의 전기술적 내용을 불식한 경기 무도"라고 밝히며 스포츠화를 추진하고 있다. 1998년 (헤이세이 10년)에는 검도와 같은 남색 하카마로 변경되었으나, 기존 격기복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2. 1. 막부 말기
일본에서는 막부 말기에 총검술이 전해졌다. 1841년(덴포 12년), 다카시마 슈한이 무슈 도쿠마루가하라(현 도쿄도 이타바시구 다카시마 평)에서 일본 최초의 서양식 총진 공개 연병을 할 때 총검 조련도 실연되었다.[1] 본격적인 채용은 메이지 유신 이후였다.[1]2. 2. 구 일본군 시대
일본에서는 막부 말기에 총검술이 전해졌다. 1841년(덴포 12년), 다카시마 슈한이 무슈 도쿠마루가하라(현 도쿄도 이타바시구 다카시마 평)에서 일본 최초의 서양식 총진 공개 연병을 할 때 총검 조련도 실연되었다. 메이지 유신 이후 총검술이 본격적으로 채용되었다.2. 2. 1. 프랑스식 총검술 채택기
1874년 프랑스 육군에서 체조 교관으로 초빙된 쥬클로 군조가 프랑스식 검술, 총검술을 소개했지만, 본인이 전문이 아니었기 때문에 보급까지는 이르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19]1884년 프랑스 육군에서 육군 도야마 학교에 검술 교관으로 초빙된 드 빌라레이 중위, 키에르 군조가 정검술(펜싱의 플뢰레), 군도술(사브르), 총검술을 본격적으로 지도했다.
2. 2. 2. 일본식 총검술 제정
1887년(메이지 20년), 프랑스인 교관이 해고되어 귀국하자 펜싱과 서양식 총검술을 폐지하고 일본의 전통적인 검술과 창술을 바탕으로 한 독자적인 군도술·총검술을 제정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총검술에 관해서는 아직 창술이 지도되고 있던 궁내성 제녕관에 도야마 학교 교관이 파견되어 창술이 연구되었다.[1]1890년(메이지 23년), 오쿠보 하루노 대좌는 도야마 학교장으로 프랑스식 검술·총검술 폐지와 일본식 군도술·총검술 제정을 결정했다. 그 후, 쓰다 교슈 대위를 중심으로 도야마 학교 체조과장으로 검술가(쓰다 잇덴류 2대) 이었으며, 호조인류 창술의 전서 등을 연구하여 1894년(메이지 27년), 호조인류와 사부리류 등의 일본 전통 창술을 바탕으로 한 일본 고유의 총검술이 제정되었다.[1]
1915년(다이쇼 4년), 창술의 막는 기술을 바탕으로 한 기술을 추가하는 등의 개정이 이루어졌고, 『육군 검술 교범』의 내용도 수정되었다. 1921년(다이쇼 10년)에는, 착검(총검을 소총에 장착)하지 않은 상태의 총검을 사용하는 전술로, 일본 전통의 소타치술을 바탕으로 단검술(현·단검도)도 제정되었다.[1]
2. 2. 3. 제2차 세계 대전 중의 총검도
1940년(쇼와 15년), 기원 2600년 기념 가시하라 신궁 대회부터 '총검도'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으며, 이듬해 1941년에는 대일본총검도진흥회가 설립되었다.[20]명칭 변경 후에도 총검도는 기법 면에서 총검술과 변함이 없었고, 교육기관에서도 계속 지도되었다. 태평양 전쟁(대동아 전쟁) 말기인 1944년경부터는 주로 남성을 중심으로 죽창 훈련이 실시되었는데(여성은 주로 나기나타 훈련), 이 훈련은 창술이 아닌 총검술을 바탕으로 한 것이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에도 연배가 있는 사람들은 전쟁 이전의 총검도와 죽창 훈련을 '총검술' 또는 '총창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2. 3. 현대의 총검도
1953년 점령이 끝난 후, 구 육군 도야마 학교 관계자들이 도야마 검우회를 설립하고 도쿄도 토츠카 경찰서의 검도장을 빌려 훈련을 다시 시작하면서 총검도 재흥의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각 현에서 총검도를 부흥하려는 움직임이 이에 호응했고, 자위대에서도 총검도가 체육의 일부로 채택되었다.[21]1956년 전일본총검도연맹이 결성되었고, 초대 회장으로 구 육군 대장 이마무라 히토시가 취임했다. 총검도는 구 군의 상징적 종목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해 사회 일반으로부터 냉대를 받았지만[21], 이후 일본 체육 협회와 일본 무도 협의회에 가맹하여 신체 육성 및 정신 수양을 목적으로 하는 무도로 다시 일어섰다.
경기 인구 대부분은 자위관이며, 임원 상당수도 전직 간부 자위관이다. 일반 부문도 전직 자위관이나 그 친족이 많아 사실상 '자위대 관계자의 경기'라는 상태이다.[22] 국사관 대학, 야마나시 가쿠인 대학, 쓰쿠바 대학, 도호쿠 복지 대학 등 체육 계열 대학을 중심으로 총검도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방위대학교와 함께 전일본 학생 선수권에 참가하고 있다. 고등학교 부활동으로는 전국에 10여 개 학교가 있으며, 검우회 등을 통해 전국 대회에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는 경우도 있다. 실업단 중에서는 ALSOK 총검도부가 거의 모든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24]
육상자위대에서는 자위대 총검 격투와 함께 총검도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항공자위대에서도 훈련이 이루어지며, 대원들은 대부분 단위를 취득한다. 전일본총검도연맹은 이러한 상황이 총검도에 전기적인 이미지를 줄 수 있다고 보고, "전전의 전기술적 내용을 불식한 경기 무도"라고 밝히며 스포츠화를 추진하고 있다. 1998년 (헤이세이 10년), 구 일본군의 체조복을 연상시키는 흰색 통수의 도기(격기복)에서 검도와 같은 남색 하카마로 변경되었으나, 기존 격기복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
2. 3. 1. 재흥
1953년 점령이 끝난 후, 구 육군 도야마 학교 관계자들이 도야마 검우회를 설립하고 도쿄도 토츠카 경찰서의 검도장을 빌려 훈련을 다시 시작했다. 각 현에서 총검도를 부흥하려는 움직임이 이에 호응했고, 자위대에서도 총검도가 체육의 일부로 채택되었다.[21]1956년 전일본총검도연맹이 총검도의 전국 조직으로 결성되었고, 초대 회장으로 구 육군 대장 이마무라 히토시가 취임했다. 총검도는 구 군의 상징적 종목이라는 부정적인 이미지로 인해 사회 일반으로부터 냉대를 받았지만[21], 이후 일본 체육 협회와 일본 무도 협의회에 가맹하여 신체 육성 및 정신 수양을 목적으로 하는 무도로 다시 일어섰다.
2. 3. 2. 경기자
경기 인구의 대부분은 자위관이며, 임원 상당수도 전직 간부 자위관이다. 일반 부문도 전직 자위관이나 그 친족이 많아 사실상 '자위대 관계자의 경기'라는 상태이다.[22] 참가자 대다수가 자위관이기 때문에 재해 파견 등으로 참가자가 급감하여 대회가 중단되는 사태가 자주 발생한다.[23]국사관 대학, 야마나시 가쿠인 대학, 쓰쿠바 대학, 도호쿠 복지 대학 등 체육 계열 대학을 중심으로 총검도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방위대학교와 함께 전일본 학생 선수권에 참가하고 있다.
고등학교 부활동으로는 전국에 10여 개 학교가 있으며, 검우회 등을 통해 전국 대회에 개인 자격으로 참가하는 경우도 있다.
실업단 중에서는 ALSOK 총검도부가 거의 모든 대회에 참가하고 있다.[24] 이 부원들은 단검도 유단자가 많아 단검도 대회에도 참가한다.[25]
2. 3. 3. 자위대와의 관계
육상자위대에서는 자위대 총검 격투와 함께 총검도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항공자위대에서도 훈련이 이루어지며, 대원들은 대부분 단위를 취득한다. 전일본총검도연맹은 이러한 상황이 총검도에 전기적인 이미지를 줄 수 있다고 보고, "전전의 전기술적 내용을 불식한 경기 무도"라고 밝히며 스포츠화를 추진하고 있다. 1998년 (헤이세이 10년), 구 일본군의 체조복을 연상시키는 흰색 통수의 도기(격기복)에서 검도와 같은 남색 하카마로 변경되었으나, 기존 격기복도 계속 사용되고 있다.3. 기술 특징
구 일본군 총검술은 창술을 참고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소총(보병총)의 길이를 살린 찌르기 기술을 중요시했고, 개머리판을 이용한 타격 기술은 덜 중요하게 여겼다. 이는 서양인과의 체격 차이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현대 총검도는 몇 차례 규칙 개정을 거쳐 왼손으로 쥘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었고, 접근했을 때 나무 총(목총)을 짧게 쥐거나 왼손을 미끄러뜨려 멀리 있는 상대에게 칼끝을 닿게 하는 "돌려 찌르기", 개머리판을 이용한 타격은 금지되어 있다.
3. 1. 구 일본군 총검술
일본군의 일본식 총검술은 창술을 참고하여 만들어졌기 때문에 소총(보병총)의 길이를 이용한 찌르기 기술이 가장 중요하게 여겨져 철저하게 훈련받았다. 반면 개머리판을 사용한 타격 기술 등은 그다지 중요하게 여겨지지 않았다. 이는 서양인과의 체격 차이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1]3. 2. 현대 총검도
일본군의 일본식 총검술은 창술을 참고해 만들어져 소총(보병총)의 길이를 활용한 찌르기 기술을 중요하게 여겼고, 개머리판 타격 기술은 덜 중요하게 다루었다. 이는 서양인과의 체격 차이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종전 후 여러 차례 규칙 개정을 거치면서, 현재는 왼손으로 쥘 수 있는 위치가 제한되었다. 접근 시 나무 총(목총)을 짧게 쥐는 것이나, 왼손을 미끄러뜨려 멀리 있는 상대에게 칼끝을 닿게 하는 "돌려 찌르기"(창을 쓸어내리는 동작), 개머리판에 해당하는 "개머리판"(しょうびばん)을 이용한 타격은 금지되어 있다.[1]
4. 시합
총검도의 시합은 대략 검도와 같은 호구에, 왼쪽 가슴을 보호하는 "우라부톤", 어깨를 보호하는 "어깨"를 착용하고, 10m 사방의 경기장 안에서 상대의 상체·하체(상하의 구분은 상대의 팔 위인지 아래인지에 따라 다르며, 둘 다 같은 왼쪽 가슴 부분임)·목·(왼쪽) 손목·어깨의 5개 부위를 목총(삼팔식 보병총에 총검을 착검한 길이로, 끝에 탄포를 붙인 나무로 만든 무기. 전체 길이 166cm)으로 찔러서 경기를 한다.
실제 격투전에서는 개머리판 부분으로 상대를 때리기도 하지만, 총검도에서 유효한 공격은 찌르기뿐이며, 경기자는 상대의 목총을 쳐내거나, 억누르거나, 혹은 피하는 등의 기술로 경쟁하여 승패를 결정한다. 유효한 찌르기는 "심(心)·기(氣)·체(體)"가 일치했을 경우에만 인정되며, 그 공격이 유효하거나 상대보다 우수하다고 심판원이 판정하면 "이폰"이 되어, 삼본 승부에서 이폰을 2번 먼저 얻은 자가 승리한다. 유효한 찌르기가 없는 경우에는, "심(心)·기(氣)·체(體)"가 더 우수하다고 판단된 경기자가 판정에 의해 우세승을 거둔다.
시합의 선수 호칭은 단체전 페이지의 선수 호칭을 참조한다.
5. 주요 대회
- 전일본 총검도 선수권 대회
- 전국 체육 대회 총검도 경기
- 전일본 소년 무도 (총검도) 연성 대회
- 전국 총검도 노미(이시카와현 노미시) 대회
6. 단급위제 및 칭호
참조
[1]
서적
The Founder, Ueshiba Morihei
North Atlantic
1985
[2]
간행물
A Sensei's story: Karate's Takayuki Kubota
1990
[3]
간행물
Training to fight Saddam's army: US troops prepared for hand-to-hand combat against Iraqis
1991
[4]
서적
The Karate way: Discovering the spirit of practice
Shambhala
2009
[5]
서적
Shotokan's secret: The hidden truth behind Karate's fighting origins
Black Belt Books
2004
[6]
서적
Samurai fighting arts: The spirit and the practice
Kodansha International
2003
[7]
웹사이트
Fighting Arts: Jukendo
http://www.fightinga[...]
2010-02-28
[8]
웹사이트
[Interview] Baptiste Tavernier - Jukendo, Budo & The Relevance of Martial Arts Today (Part 2/2)
https://www.youtube.[...]
2018-05-03
[9]
웹사이트
Aikido
http://www.hansdejon[...]
2010-02-28
[10]
서적
Sport in Asia and Africa: A comparative handbook
Greenwood
1989
[11]
웹사이트
All Japan Jukendo Federation
http://www.jukendo.i[...]
2010-02-28
[12]
웹사이트
'Bayonet techniques' to be taught to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ttp://www.japan-pre[...]
Shimbun Akahata
2017-04-02
[13]
뉴스
Japan's new education guidelines condemned for adding wartime military training item
http://www.xinhuanet[...]
2017-04-03
[14]
뉴스
Japan education reforms stir memories of wartime indoctrination
https://www.reuters.[...]
2017-04-06
[15]
뉴스
Japanese children can now learn 'jukendo' bayonet style fighting at school
https://www.scmp.com[...]
2017-04-24
[16]
뉴스
Prewar bayonetting martial art makes return to schools
https://www.japantim[...]
2017-04-24
[17]
뉴스
World War II practice bayonets discovered, evoking memories of Japan's wartime student military training
https://www.japantim[...]
2017-06-26
[18]
웹사이트
「銃剣道とは」 全日本銃剣道連盟
http://www.jukendo.i[...]
[19]
서적
日本武道協議会設立30周年記念日本の武道
日本武道館
[20]
웹사이트
ニュース映像 第42号
https://www2.nhk.or.[...]
[21]
서적
日本武道協議会設立30周年記念日本の武道
日本武道館
[22]
웹사이트
http://www.jukendo.i[...]
[23]
웹사이트
第60回全日本銃剣道優勝大会 開催中止について - 全日本銃剣道連盟
http://www.jukendo.i[...]
[24]
웹사이트
https://www.alsok.co[...]
[25]
웹사이트
銃剣道部
https://www.alsok.co[...]
[26]
뉴스
隊発足以来 銃剣道の訓練中自衛隊死者2人
https://www.jcp.or.j[...]
しんぶん赤旗
2017-07-05
[27]
웹사이트
第193回国会 衆議院 決算行政監視委員会第二分科会 第1号
https://kokkai.ndl.g[...]
2017-04-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