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가요대제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BC 가요대제전은 1966년 MBC 창사 5주년 기념으로 시작된 대한민국의 연말 가요 시상식이다. 1966년 '10대 가수 청백전'으로 시작하여 'MBC 10대 가수 가요제', 'MBC 가요대제전' 등 여러 차례 명칭 변경을 거쳤다. 12월 31일에 개최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2024년에는 제주항공 2216편 사고로 인해 녹화 방송으로 대체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누가누가 잘하나
《누가누가 잘하나》는 KBS에서 동요 공연, 뮤직톡톡 코너, 시상식으로 구성되어 캠벨 에이시아를 비롯한 진행자들이 이끄는 어린이 프로그램으로, 방송 시간 및 채널 변경, 결방과 편성 변경을 거치며 방송되고 있으며, 으뜸상 수상자를 배출하고 동요 대회와 연관되어 어린이 음악 문화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1960년대 대한민국의 텔레비전 프로그램 - 태평천하 (1969년 드라마)
1969년에 방영된 드라마 태평천하는 김순철, 윤여정, 안인숙, 박근형, 김상순 등이 주요 배역을 맡아 극을 이끈 대한민국의 드라마다. - 대한민국의 음악상 - KBS 가요대상
KBS 가요대상은 KBS에서 주최했던 가요 시상식이며, 1981년부터 2005년까지 개최되어 역대 MC와 수상자 목록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음악상 -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
싸이월드 디지털 뮤직 어워드는 싸이월드가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운영한 온라인 음악 시상식으로, 매월 '이달의 노래'와 '이달의 루키' 등을 선정하고 연말에는 올해의 아티스트와 노래 등을 시상했다.
MBC 가요대제전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장르 | 음악 |
국가 | 대한민국 |
언어 | 한국어 |
방송사 | 문화방송 (MBC) |
제작 | |
제작사 | 문화방송 예능본부 |
방송 횟수 | 51회 |
연출 | |
감독 | 연출자 정보 없음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정보 없음 |
방송 정보 | |
첫 방송 | 1966년 |
마지막 방송 | 1966년 |
관련 프로그램 | 관련 프로그램 정보 없음 |
기타 | |
위치 | 경기도 고양시 일산 MBC 드림센터 (2007년~) ,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 MBC 상암 신사옥 (2014년~2016년, 2018년~) ,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임진각 평화누리 (2006년~2012년, 2018년) |
2. 역사
1966년 12월 2일 문화방송 창사 5주년을 기념해 《10대 가수 청백전》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된 MBC 가요대제전은, 초기에는 MBC 라디오를 통해 세종문화회관의 전신인 서울시민회관에서 생방송되었다.[4] 1969년 8월 텔레비전 방송 개국 후 1970년 12월 2일부터는 라디오와 TV로도 방송되기 시작했다.
1972년 행사 직후 서울시민회관이 화재로 전소되자, 1973년부터 1987년까지 정동에 있었던 문화체육관에서 개최되었다. 1974년에는 방송 프로그램 이름이 《10대 가수 가요제》로 바뀌고 10월의 마지막 주 토요일에 열렸으나, 1975년에 한하여 문화방송이 경향신문과 합병된 것을 기념해 합병 기념일인 11월 1일에 열렸다. 1979년에는 10.26 사건으로 인해 그해 12월 31일로 연기된 것을 계기로 그 후 매년 12월 31일에 열리게 되었다.
1987년에는 《87 MBC 한국가요대제전》, 1988년에는 《88 MBC 가요대제전》이라는 이름으로 방송되기도 했다. 1988년부터 1989년까지 장충체육관에서 방송했다.
선정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공정성 시비 등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1993년부터 1995년까지는 《MBC 한국가요제전》, 1996년부터 1997년까지는 《MBC 한국가요대제전》이라는 이름으로 방송되었다.[38] 1998년에는 《98 MBC 가요제전》이라는 이름으로 30세 이상, 30세 미만으로 구분하여 최고 인기 가수상을 시상하였다.
1990년부터 1993년까지는 잠실실내체육관, 1994년부터 1995년까지는 KBS 88체육관, 1996년에는 올림픽체조경기장, 1997년부터 1998년까지는 장충체육관, 1999년에는 잠실학생체육관, 2000년부터 2005년까지는 장충체육관, 2011년에는 광명스피돔에서 방송하였다.
2005년 대부분의 출연 예정 가수들이 10대 가수로 선정되었으나 불참을 결정하면서, 38년 만에 10대 가수 가요제가 사실상 폐지되었다. 이에 가수들에 대한 경합 시상 없이 축제 형식으로 변경되었고, 《MBC 가요대제전》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12월 31일에 방송되었다.[3] 2006년에는 임진각 평화누리, 2007년부터는 일산 MBC 드림센터, 2014년부터는 상암 MBC와 이원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지상파 방송 3사에서 가요대상 폐지를 결정함에 따라 이러한 형태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매년 12월 31일에 열리는 제야의 종 타종 실황은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생방송 도중에 종로 보신각을 연결해 중계하였고, 2005년 《MBC 가요대제전》으로 바뀐 이후 2009년부터 2015년까지, 그리고 2017년에 다시 생방송 도중에 종로 보신각을 연결해 중계하였다.
소녀시대 멤버 윤아는 2015년부터 MC를 맡고 있다.[3] 2024년, 윤아는 올해 행사를 끝으로 MBC 가요대제전 MC 자리에서 졸업한다고 발표했다.[6]
연도 | 명칭 |
---|---|
1966–1973 | MBC 10대 가수 청백전 |
1974–1986, 1989–1992, 1999–2004 | MBC 10대 가수 가요제 |
1987 | 87 MBC 한국가요대제전 |
1988 | 88 MBC 가요대제전 |
1993–1995 | MBC 한국가요제전 |
1996–1997 | MBC 한국가요대제전 |
1998 | MBC 가요제전 |
2005–현재 | MBC 가요대제전 |
2. 1. 1966년 ~ 1973년: MBC 10대 가수 청백전
1966년 12월 2일 문화방송 창사 5주년을 기념해 《'''10대 가수 청백전'''》이라는 이름으로 MBC 라디오를 통해 지금의 세종문화회관 전신인 서울시민회관에서 생방송되었다. 그해 왕성하게 활동한 10명의 가수를 선정한 뒤 그중 한 가수를 뽑아 '10대 가수왕'으로 시상하는 행사였다. 1969년 8월 텔레비전 방송 개국 이후 1970년 12월 2일부터는 라디오와 TV로도 방송되기 시작했다.1972년 행사 직후 서울시민회관이 화재로 전소되자, 1973년부터 1987년까지 정동에 있었던 문화체육관에서 개최되었다.
개최년도 | 수상자 / 곡목 |
---|---|
1966년 | 최희준 - 하숙생 |
1967년 | 이미자 - 엘레지의 여왕 |
1968년 | 이미자 - 여자의 일생 |
1969년 | 펄시스터즈 - 님아 |
1970년 | 이미자 - 그리움은 가슴마다 |
1971년 | 남진 - 마음이 고와야지 |
1972년 | 남진 - 님과 함께 |
1973년 | 남진 - 그대여 변치 마오 |
2. 2. 1974년 ~ 1992년: MBC 10대 가수 가요제 (1기)
1966년 12월 2일 문화방송 창사 5주년 기념으로 《'''10대 가수 청백전'''》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MBC 라디오를 통해 세종문화회관의 전신인 서울시민회관에서 생방송되었다. 1970년 12월 2일부터는 라디오와 TV로도 방송되기 시작했다.1972년 행사 직후 서울시민회관 화재로 1973년부터 1987년까지 정동에 있었던 문화체육관에서 개최되었다. 1974년에는 방송 프로그램 이름이 《'''10대 가수 가요제'''》로 바뀌고 10월의 마지막 주 토요일에 열렸으나, 1975년에 한하여 문화방송과 경향신문의 합병 기념일인 11월 1일에 열렸다. 1979년에는 10.26 사건으로 인해 그해 12월 31일로 연기된 것을 계기로 그 후 매년 12월 31일에 열리게 되었다.
1987년에는 《'''87 MBC 한국가요대제전'''》, 1988년에는 《'''88 MBC 가요대제전'''》이라는 이름으로 방송되기도 했으나, 1988년을 제외하고는 시상식 형태가 아닌 가요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88년부터 1989년까지는 장충체육관에서 방송했다. 1990년부터 1992년까지는 잠실실내체육관에서 개최되었다.
다음은 1974년부터 1992년까지의 MBC 10대 가수 가요제 대상 수상자 목록이다.
개최년도 | 대상 수상자 | 수상곡 |
---|---|---|
1974년 | 하춘화 | 난생 처음 |
1975년 | 송창식 | 왜 불러 |
1976년 | 송대관 | 해 뜰 날 |
1977년 | 혜은이 | 당신만을 사랑해 |
1978년 | 최헌 | 앵두 |
1979년 | 혜은이 | 제3한강교 |
1980년 | 조용필 | 창밖의 여자 |
1981년 | 조용필 | 고추잠자리 |
1982년 | 이용 | 잊혀진 계절 |
1983년 | 조용필 | 나는 너 좋아 |
1984년 | 조용필 | 친구여 |
1985년 | 조용필 | 그대여 |
1986년 | 조용필 | 허공 |
1988년 | 주현미 | 신사동 그 사람 |
1989년 | 주현미 | 짝사랑 |
1990년 | 변진섭 | 희망사항 |
1991년 | 노사연 | 만남 |
1992년 | 서태지와 아이들 | 난 알아요 |
2. 3. 1993년 ~ 1997년: MBC 한국가요제전
선정 과정이나 결과에 대한 공정성 시비 등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1993년부터 1995년까지는 《'''MBC 한국가요제전'''》이라는 이름으로[38], 1996년부터 1997년까지는 《'''MBC 한국가요대제전'''》이라는 이름으로 방송되었다. 1993년에는 청백전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39], 1994년 최고 인기 가요상은 김건모의 〈핑계〉가, 1995년 최고 인기 가요상은 서태지와 아이들의 〈Comeback Home〉이 차지하였다.
1996년에는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대중가요 및 통일 노래 베스트 5를 소개하였고[40], 1997년에는 축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 1990년부터 1993년까지는 잠실실내체육관에서, 1994년부터 1995년까지는 KBS 88체육관에서, 1996년에는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1997년에는 장충체육관에서 방송하였다.
2. 4. 1998년 ~ 2004년: MBC 가요제전 / MBC 10대 가수 가요제 (2기)
1993년부터 1995년까지는 《MBC 한국가요제전》이라는 이름으로[38], 1996년부터 1997년까지는 《MBC 한국가요대제전》이라는 이름으로 방송되었다. 1993년에는 청백전 형식으로 진행되었으며, 1994년 최고 인기 가요상은 김건모의 〈핑계〉, 1995년 최고 인기 가요상은 서태지와 아이들의 〈컴백홈〉이 차지하였다. 1996년에는 60년대부터 90년대까지의 대중가요 및 통일 노래 베스트 5를 소개하였고, 1997년에는 축제 형식으로 진행되었다.1998년에는 《98 MBC 가요제전》이라는 이름으로 30세 이상, 30세 미만으로 구분하여 최고 인기 가수상을 시상하였다. 30세 이상 최고 인기 가수상은 김종환, 30세 미만 최고 인기 가수상은 H.O.T.가 차지하였다.
1999년에는 잠실학생체육관에서,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장충체육관에서 방송되었다.
1998년부터 2001년까지는 30대 이상 및 이하 최고 인기 가요상을, 2002년부터 2004년까지는 최고 인기 가요상을 시상하였다.
개최년도 | 수상자 / 곡목 | |
---|---|---|
30대 미만 최고 인기 가요상 | 30대 이상 최고 인기 가요상 | |
1998년 | H.O.T. - 빛 | 김종환 - 사랑을 위하여 |
1999년 | 조성모 - For Your Soul | 송대관 - 네박자 |
2000년 | 조성모 - 아시나요 | 태진아 - 사랑은 아무나 하나 |
2001년 | god - 길 | 태진아 - 잘났어 정말 |
2. 5. 2005년 ~ 현재: MBC 가요대제전
2005년 대부분의 출연 예정 가수들이 10대 가수로 선정되었으나 불참을 결정하면서, 38년 만에 10대 가수 가요제가 사실상 폐지되었다. 이에 가수들에 대한 경합 시상 없이 축제 형식으로 변경되었고, 《'''MBC 가요대제전'''》으로 명칭이 변경되어 12월 31일에 방송되었다.[3] 2006년에는 임진각 평화누리에서 개최되었으며, 2007년부터는 일산 MBC 드림센터에서, 2014년부터는 상암 MBC와 이원 생방송으로 진행되었다. 지상파 방송 3사에서 가요대상 폐지를 결정함에 따라 이러한 형태는 계속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소녀시대 멤버 윤아는 2015년부터 MC를 맡고 있다.[3] 2024년, 윤아는 올해 행사를 끝으로 MBC 가요대제전 MC 자리에서 졸업한다고 발표했다.[6]
3. 역대 MC
1998년 이문세, 김혜수 1999년 주병진, 이소라 2000년 류시원 2001년 신동호, 소유진 2002년 김용만, 장서희, 강호동 2003년 김용만, 하지원 2004년 김용만, 한지혜, 한예슬 2005년 김용만, 유재석 2006년 김성주, 김제동 2007년 유재석, 정형돈, 정준하, 박명수, 노홍철, 하하, 윤은혜 2008년 김구라, 김민정, 유세윤, 윤종신, 김성주, 붐 2009년 김구라, 이보영, 신정환 2010년 류시원, 티파니 (소녀시대), 유리 (소녀시대) 2011년 조권 (2AM), 가인 (브라운 아이드 걸스), 이특, 강소라, 닉쿤 (2PM), 빅토리아, 이장우, 은정 (티아라) 2012년 이휘재, 서현 (소녀시대), 붐, 이준 2013년 김성주, 박형식, 클라라, 정준하, 노홍철 2014년 김성주, 혜리, 이유리, 전현무, 소유 2015년 김성주, 윤아 (소녀시대)[7] 2016년 김성주, 윤아 (소녀시대)[8] 2017년 수호 (EXO), 윤아 (소녀시대), 차은우 (아스트로)[9] 2018년 노홍철, 윤아 (소녀시대), 민호 (샤이니), 차은우 (아스트로)[10] 2019년 장성규, 윤아 (소녀시대), 차은우 (아스트로)[11] 2020년 장성규, 윤아 (소녀시대), 김선호[12] 2021년 장성규, 윤아 (소녀시대), 준호 (2PM)[13] 2022년 장성규, 윤아 (소녀시대), 준호 (2PM)[14] 2023년 황민현, 윤아 (소녀시대), 민호 (샤이니)[15] 2024년 민호 (샤이니), 윤아 (소녀시대), 도훈 (TWS)[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