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MG 17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MG 17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독일 항공기의 주력 고정 탑재 기관총이었다. 7.92×57mm 마우저탄을 사용하며, 분당 1200발의 발사 속도를 낸다. 1940년 이후 더 큰 구경의 기관총과 기관포로 대체되었으며, 이후 보병용으로 개조되기도 했다. 메서슈미트 Bf-109, 포케불프 Fw-190 등 다양한 항공기에 탑재되었다. 일본 제국 육군이 98식 고정 기관총으로 소량 도입하여 사용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항공기용 무장 - 어뢰
    어뢰는 수중에서 스스로 움직여 목표물을 공격하는 유도 무기로, 다양한 유도 및 추진 방식과 플랫폼을 통해 해상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각국 해군에서 개발 및 운용하고 있다.
  • 항공기용 무장 - 하드포인트
    하드포인트는 항공기, 특히 군용 항공기의 외부 무장 및 장비 장착을 위해 항공기 프레임에 설치된 특정 지점으로, 파일런을 통해 다양한 무기류 및 장비를 장착하며, 항공기의 성능, 스텔스 기능, 가변익기 활용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설계 및 운용된다.
  • 7.92 mm 기관총 - MG 08
    MG 08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사용한 수냉식 중기관총으로, 맥심 기관총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육군과 해군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파생형과 항공기 탑재형으로도 활용되었고, 전후에는 중국에서 복제 생산되어 여러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 7.92 mm 기관총 - MG 34
    MG 34는 독일 국방군이 1930년대부터 사용한 7.92mm 다목적 기관총으로, 보병 지원, 전차, 대공용으로 활용되었으며 벨트 및 드럼 탄창 급탄 방식을 지원하고, MG42로 대체되었지만 종전까지 사용된 화기이다.
  • 독일의 기관총 - MG 08
    MG 08은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이 사용한 수냉식 중기관총으로, 맥심 기관총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육군과 해군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파생형과 항공기 탑재형으로도 활용되었고, 전후에는 중국에서 복제 생산되어 여러 전쟁에서 사용되었다.
  • 독일의 기관총 - 라인메탈 MG 3
    라인메탈 MG 3은 MG 42 기관총을 기반으로 라인메탈에서 개발하여 7.62x51mm NATO 탄을 사용하는 다목적 기관총으로, 여러 차례 개량을 거쳐 1968년부터 양산되어 현재 터키와 파키스탄 등에서 생산되며 독일 연방군의 장갑차량 부무장으로 사용된다.
MG 17
기본 정보
MG 17 기관총
종류항공기 탑재용 기관총
원산지나치 독일
사용 국가나치 독일
사용 전쟁제2차 세계 대전
설계 및 생산
설계 년도1934년
제조사라인메탈-보르지히
생산 기간1934년-1944년
생산량최소 24,271정 (보병용으로 개조된 것 포함)
제원
무게10.2kg
전체 길이1,175mm
총열 길이600mm
구경7.92mm (7,9 +0,04)
탄약7.92×57mm 마우저
작동 방식반동 작동식, 폐쇄 노리쇠에서 발사
발사 속도1,200 rpm
총구 속도885m/s (인 "B" 탄약) ~ 905m/s (철갑 예광탄 "SmK L'spur" 탄약)
급탄 방식500발 벨트 급탄
조준 장치다양한 종류
변형
변형모듈식 설계

2. 역사

MG 17은 스위스의 졸로툰(Solothurn) 사와 독일의 라인메탈 사가 개발에 관여한 MG 30을 기반으로 발전한 기관총이다. 기존 MG 30의 작동 방식을 유지하면서 상자형 탄창 대신 탄띠 급탄 방식으로 변경한 것이 특징이다. 이는 베르사유 조약 하에서는 금지되었던 방식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재무장을 시작한 독일 공군은 MG 17을 항공기용 주력 고정 기관총으로 채택하였다. 이에 따라 메서슈미트 Bf 109, 융커스 Ju 87 등 다수의 독일 군용기에 기본 무장으로 탑재되었으며, 이들 항공기와 함께 다른 국가에도 수출되었다.

그러나 전쟁이 진행되면서 7.92mm 구경의 MG 17은 항공기용 무기로서 위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게 되었고, 1940년경부터 점차 더 구경이 큰 기관총이나 기관포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일부 기체에서는 종전까지 계속 사용되었으며, 공군에서 사용 빈도가 줄어든 기체들은 보병용으로 개조되어 지상 부대에서 활용되기도 했다.[2]

한편, 쇼와 13년(1938년) 대일본제국 육군에서도 MG 17을 소수 수입하여 98식 고정 기관총이라는 명칭으로 임시 채용하고 국산화를 시도하기도 했으나, 기술적인 문제로 양산에는 이르지 못했다.

2. 1. 독일에서의 사용

스위스의 졸로툰 사가 제조하고 라인메탈 사가 개발에 관여한 MG 30을 기반으로 개발된 MG 17은 작동 방식은 동일했으나, 베르사유 조약으로 금지되었던 탄띠 급탄 방식으로 변경되었다. 재무장을 시작한 독일 공군은 MG 17을 항공기의 주력 고정 기관총으로 채택했으며, 이는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이전 독일에서 생산된 항공기의 표준 무장이었다. MG 17은 독일 공군뿐 아니라 독일제 항공기를 구매한 다른 국가들에도 함께 수출되었다.

그러나 1940년경부터 항공기용 무기로서 위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기 시작하면서, 더 구경이 큰 기관총이나 기관포로 교체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Bf 109E 전투기의 경우 주익 무장이 MG FF 기관포로 변경되었다. 1941년에는 기수 고정 및 선회용으로 MG 131이 채택되어 MG 17과 MG 15를 대체해 나갔다. 그럼에도 일부 기체에서는 종전까지 MG 17이 계속 사용되었다. 1945년 즈음에는 MG 17을 탑재한 항공기는 소수에 불과했다.

MG 17을 탑재했던 주요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



공군에서 사용 빈도가 줄어든 MG 17은 보병용으로 개조되어 지상 부대에서 활용되었다.[2] 개조된 MG 17은 즉석에서 제작된 총가대(라페테)에 거치되어 지상 전투에 투입되었다. 1944년 1월 1일 기준으로 공식 집계된 개조 수량은 24,271정이며, 이후 추가적인 개조가 이루어졌을 가능성도 있다.[2][https://web.archive.org/web/19991007021234/http://www.geocities.com/Augusta/8172/panzerfaust5.htm]

2. 2. 일본에서의 사용

쇼와 13년(1938년), 대일본제국 육군은 MG 17 소수를 수입하여 비커스 계열의 89식 고정 기관총 후계 기종으로 삼고자 '''98식 고정 기관총'''이라는 이름으로 임시 제식 채용하였다.

당시 독일에서는 구형으로 취급받던 기종이었지만, 일본 육군은 기존에 사용하던 기관총보다 발사 속도가 빠르다는 점을 높이 평가했다. 이에 수입품을 바탕으로 국산화를 추진하였으나, 국산 스프링의 품질 문제와 프로펠러 동조 불량이 자주 발생하여 실제 양산에는 이르지 못했다. 수입된 MG 17은 1식 전투기 "하야부사"(키43)의 시제 1호기부터 3호기까지 탑재되었다.

3. 특징

MG 17은 스위스의 졸로툰(Solothurn) 사가 제조했으며, 라인메탈 사도 개발에 관여한 MG 30 기관총을 기반으로 발전시킨 모델이다. 작동 방식은 MG 30과 동일했으나,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금지되었던 벨트 급탄 방식을 채택한 것이 주요 변경점이다.

독일이 재무장을 추진하면서 루프트바페는 MG 17을 항공기의 표준 고정 기관총으로 채택하였다. 이후 독일제 항공기와 함께 다른 국가에도 수출되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이 진행됨에 따라 7.92mm 구경 기관총은 공중전에서 위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Bf 109E 전투기와 같은 기체에서는 주익 무장이 MG FF 20mm 기관포로 교체되었으며, 1941년부터는 기수 고정식 및 선회식 기관총으로 더 강력한 MG 131 13mm 기관총이 도입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기체에서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MG 17이 계속 사용되었다.

항공기 무장에서 점차 물러나게 된 MG 17은 지상 부대에서 재활용되기도 했다. 기존에 공군 지상 부대에서 사용되던 MG 15처럼, 잉여가 된 MG 17을 즉석에서 만든 총가대(라페테, Lafette)에 장착하여 지상 전투용으로 운용하였다.

3. 1. 기술 제원

항목제원
구경7.9mm ± 0.04mm
사용 탄약7.92×57mm IS
탄환 무게35.5g (탄약 24g, 탄두 11.5g)
총구 속도885 m/s (인광탄 "B"탄) ~ 905 m/s (철갑 소이탄 "SmK L'spur"탄)
발사 속도분당 1200발
길이1175mm
무게10.2kg
작동 방식반동 이용식
급탄 방식벨트 탄창
조준기원격 조준 (다양한 유형)


4. 탑재 기종

MG 17은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 생산된 독일 항공기의 주력 고정 탑재 기관총이었다. 하지만 1940년 무렵부터 점차 위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으며 구경이 더 큰 기관총이나 기관포로 대체되기 시작했다. 예를 들어, 메서슈미트 Bf 109E 전투기에서는 주익 무장이 MG FF 기관포로 변경되었고, 1941년에는 기수 고정식 및 선회식 기관총으로 MG 131이 채용되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일부 기체에서는 종전까지 계속 사용되었다.[2] 1945년 종전 시점에는 MG 17을 탑재한 항공기는 소수에 불과했다.

MG 17을 탑재했던 주요 항공기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많은 독일 공군 군용기와 해외에 수출된 항공기에 고정 탑재되었으나, 상당수는 이후 더 강력한 무장으로 교체되었다.

쇼와 13년(1938년)에는 대일본제국 육군이 소수의 MG 17을 수입하여 기존 89식 고정 기관총의 후계로 '''98식 고정 기관총'''이라는 이름으로 임시 제식 채용하기도 했다. 당시 독일에서는 구형으로 취급받던 기종이었지만, 기존 일본군 기관총에 비해 빠른 발사 속도가 주목받았다. 수입품을 바탕으로 국산화를 시도했으나, 일본제 스프링의 품질 문제와 프로펠러 동조 장치와의 연동 불량 문제가 겹쳐 실제 양산에는 이르지 못했다. 수입된 MG 17은 키43(1식 전투기 "하야부사")의 시제 1~3호기에 탑재되는 데 그쳤다.

참조

[1] 웹사이트 https://www.forgotte[...]
[2] 웹사이트 Machine Guns - Maschinengewehre https://web.archive.[...] 2022-0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