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메틸-D-아스파르트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N-메틸-D-아스파르트산(NMDA)은 N-메틸 치환기와 D-입체배치를 갖는 아스파르트산 유도체로, 척삭동물에서 신경전달물질 및 신경내분비 조절인자로 작용한다. NMDA 수용체는 글루탐산이 시냅스에 있고 시냅스 후 막이 탈분극된 경우에 열리며,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켜 다양한 세포 신호전달 경로에 관여한다. NMDA 수용체의 길항제로는 APV, 아만타딘, 덱스트로메토르판, 케타민 등이 있으며, 알츠하이머병, 파킨슨병, 뇌졸중 등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제로 연구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글루탐산 (신경전달물질) - 글루타민
글루타민은 인체 내 가장 풍부한 아미노산으로 단백질 합성, 에너지 생산, 질소 대사 등 생화학적 과정에 필수적이며 암세포 성장과 관련이 있고, 주로 근육에서 생성되며 의약품 및 건강 보조제로 사용되지만 일부 암 환자에게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 글루탐산 (신경전달물질) - AMPA
AMPA는 위키백과 문서의 제목으로, 해당 내용에 대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개요를 작성할 수 없다. - 이차 아미노산 - 글리포세이트
글리포세이트는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제초제의 활성 성분으로, 농업, 임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지만, 장기적인 환경 및 건강 영향에 대한 우려와 안전성 논란, 저항성 잡초 문제로 사용 규제 논의가 지속되고 있다. - 이차 아미노산 - 프롤린
프롤린은 고리형 곁사슬을 가진 아미노산으로, 단백질 구조의 독특한 입체구조적 특성, 글루탐산으로부터의 생합성, 콜라겐 안정성 기여, 식물 스트레스 반응 관여, 유기촉매 반응에서의 비대칭 촉매 역할, 그리고 프롤린 섭취와 우울증 위험 간의 연관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 아미노산 유도체 - 아세틸시스테인
아세틸시스테인(NAC)은 점액 용해 작용을 하는 약물로, 파라세타몰 해독, 호흡기 질환 치료, 간 보호, 항균 효과가 있으며, 일부 부작용과 고용량 투여 시 위험이 존재하고, 현재 다양한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 연구가 진행 중이다. - 아미노산 유도체 - 아스파탐
아스파탐은 L-아스파르트산과 L-페닐알라닌의 디펩타이드 메틸 에스터로 이루어진 설탕의 약 180~200배 단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로, 안전성 논란이 있었으나 현재는 일일 섭취 허용량 범위 내에서 섭취 시 안전하다고 평가되지만 페닐케톤뇨증 환자는 섭취에 주의해야 한다.
| N-메틸-D-아스파르트산 | |
|---|---|
| N-메틸-D-아스파르트산 | |
![]() | |
![]() | |
![]() | |
| 식별 정보 | |
| IUPHAR 리간드 | 4268 |
| CAS 등록번호 | 6384-92-5 |
| UNII | 1903B9Q6PI |
| PubChem CID | 22880 |
| ChemSpider ID | 21436 |
| KEGG | C12269 |
| MeSH 이름 | N-메틸아스파르트산 |
| ChEBI | 31882 |
| ChEMBL | 291278 |
| RTECS | CI9457000 |
| Beilstein 등록번호 | 1724431 |
| SMILES | CN[C@H](CC(=O)O)C(=O)O |
| 표준 InChI | 1 S/C5H9NO4/c1-6-3(5(9)10)2-4(7)8/h3,6H,2H2,1H3,(H,7,8)(H,9,10)/t3-/m1/s1 |
| 표준 InChIKey | HOKKHZGPKSLGJE-GSVOUGTGSA-N |
| 속성 | |
| 분자식 | C5H9NO4 |
| 겉모습 | 흰색의 불투명한 결정 |
| 냄새 | 무취 |
| 녹는점 | 189-190 °C |
| LogP | 1.39 |
| pKa | 2.206 |
| pKb | 11.791 |
| 위험성 | |
| LD50 | 137 mg kg−1 (복강 내, 쥐) |
| 관련 화합물 | |
| 아미노산 유도체 | 사르코신 다이메틸글리신 베타-메틸아미노-L-알라닌 |
| 기타 화합물 |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
| 명명법 | |
| IUPAC 이름 | N-메틸-D-아스파르트산 |
| 체계적 이름 | (2R)-2-(메틸아미노)부탄디오산 |
| 다른 이름 | N-메틸아스파르트산 N-메틸-D-아스파르트산 NMDA |
2. 생물학적 기능
NMDA는 항상성 조절에서 신경전달물질이자 신경내분비 조절인자로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6] 적정 농도에서는 신경 보호 효과를 나타내지만, 과도한 양은 흥분 독소로 작용한다. 행동 신경과학 연구에서는 NMDA 흥분독성을 이용하여 동물의 뇌 또는 척수의 특정 영역에 병변을 유도하고 행동 변화를 연구한다.[7]
2. 1. NMDA 수용체의 구조와 발견
1962년에 J. C. 왓킨스(J. C. Watkins)는 이전에 알려진 N-메틸-DL-아스파르트산의 이성질체인 NMDA를 합성했다고 보고했다.[2][3] NMDA는 수용성 D-α-아미노산으로, N-메틸 치환기와 D-입체배치를 가지고 있는 아스파르트산 유도체이며, 창고기부터 포유류에 이르기까지 모든 척삭동물에서 발견된다.[4][5]2. 2. NMDA 수용체의 활성화 기전
NMDA 수용체는 특정 작용제가 NR2 소단위체에 결합하면 비특이적인 양이온 통로가 열리고, 이를 통해 세포 안으로 Ca2+와 Na+가 유입되며, 세포 밖으로는 K+가 유출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8] NMDA 수용체는 글루탐산이 시냅스에 존재하고 시냅스 후 막이 탈분극된 상태일 때만 열리는데, 이는 신경 수준에서 동시발생 감지기 역할을 하는 것이다.[8] 활성화된 NMDA 수용체는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EPSP)를 생성하고, 세포 내 Ca2+ 농도를 증가시킨다. 이 Ca2+는 다양한 세포 신호전달 경로에서 2차 전달자로 기능한다.[9][10][11][12] 이러한 과정은 여러 내인성 및 외인성 화합물에 의해 조절되며, 기억과 같은 생리학적 과정이나 흥분독성과 같은 병리학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2. 3. NMDA 수용체의 생리적 역할
NMDA는 수용성 D-α-아미노산으로, N-메틸 치환기와 D-입체배치를 가지고 있는 아스파르트산 유도체이며, 창고기부터 포유류에 이르기까지 모든 척삭동물에서 발견된다.[4][5] 항상성 조절에서 NMDA는 신경전달물질이자 신경내분비 조절인자로서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6]NMDA 수용체의 작용 메커니즘은 특정 작용제가 NR2 소단위체에 결합한 후 비특이적인 양이온 통로가 열려 세포 내로 Ca2+와 Na+가 유입되고, 세포 밖으로 K+가 유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NMDA 수용체는 글루탐산이 시냅스에 있고, 동시에 시냅스 후 막이 이미 탈분극되어 있는 경우에만 열린다. 이는 신경 수준에서 동시발생 감지기 역할을 한다.[8] NMDA 수용체의 활성화로 생성되는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EPSP)는 또한 세포 내 Ca2+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Ca2+는 다양한 세포 신호전달 경로에서 2차 전달자로 기능할 수 있다.[9][10][11][12] 이 과정은 여러 가지 내인성 및 외인성 화합물에 의해 조절되며 광범위한 생리학적(예: 기억) 및 병리학적 과정(예: 흥분독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2. 4. NMDA 수용체의 조절 기작
NMDA 수용체의 작용 기전은 특정 작용제가 NR2 소단위체에 결합한 후 비특이적인 양이온 통로가 열려 세포 내로 Ca2+와 Na+가 유입되고, 세포 밖으로 K+가 유출되는 것이다. 따라서 NMDA 수용체는 글루탐산이 시냅스에 있고, 동시에 시냅스 후 막이 이미 탈분극되어 있는 경우에만 열린다. 이는 신경 수준에서 동시발생 감지기 역할을 한다.[8] NMDA 수용체의 활성화로 생성되는 흥분성 시냅스 후 전위(EPSP)는 또한 세포 내 Ca2+의 농도를 증가시킨다. Ca2+는 다양한 세포 신호전달 경로에서 2차 전달자로 기능할 수 있다.[9][10][11][12] 이 과정은 여러 가지 내인성 및 외인성 화합물에 의해 조절되며 광범위한 생리학적(예: 기억) 및 병리학적 과정(예: 흥분독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3. 길항제
NMDA 수용체의 길항제는 수용체 통로를 차단한다. APV, 아만타딘, 덱스트로메토르판(DXM), 케타민, 마그네슘,[13] 틸레타민, 펜시클리딘(PCP), 릴루졸, 메만틴, 메톡세타민(MXE), 메톡페니딘(MXP), 키뉴렌산 등이 그 예이다. 디조실핀은 일반적인 NMDA 수용체 차단제로 연구에 사용되지만, 동물 연구에서 신경독성이 나타났으며 이는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3. 1. NMDA 수용체 길항제의 종류
NMDA 수용체의 길항제 예로는 APV, 아만타딘, 덱스트로메토르판(DXM), 케타민, 마그네슘,[13] 틸레타민, 펜시클리딘(PCP), 릴루졸, 메만틴, 메톡세타민(MXE), 메톡페니딘(MXP), 키뉴렌산 등이 있다. 디조실핀은 일반적으로 전형적인 NMDA 수용체 차단제로 간주되며 연구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제이지만, 동물 연구에서는 어느 정도의 신경독성이 나타났으며 이는 인간에게도 나타날 수 있고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NMDA 수용체 길항제라고 한다.3. 2. NMDA 수용체 길항제의 작용 기전
NMDA 수용체 길항제에는 APV, 아만타딘, 덱스트로메토르판(DXM), 케타민, 마그네슘,[13] 틸레타민, 펜시클리딘(PCP), 릴루졸, 메만틴, 메톡세타민(MXE), 메톡페니딘(MXP), 키뉴렌산 등이 있다. 디조실핀은 전형적인 NMDA 수용체 차단제로 연구에 많이 사용되지만, 동물 연구에서 신경독성이 나타났으며 이는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을 일반적으로 NMDA 수용체 길항제라고 한다.3. 3. NMDA 수용체 길항제의 의학적 응용
NMDA 수용체의 길항제에는 APV, 아만타딘, 덱스트로메토르판(DXM), 케타민, 마그네슘,[13] 틸레타민, 펜시클리딘(PCP), 릴루졸, 메만틴, 메톡세타민(MXE), 메톡페니딘(MXP), 키뉴렌산 등이 있다. 디조실핀은 연구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제제이지만, 동물 연구에서 어느 정도의 신경독성이 나타났으며 이는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참조
[1]
웹인용
N-Methylaspartate - Compound Summary
https://pubchem.ncbi[...]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005-06-24
[2]
저널
The synthesis of some acidic amino acids possessing neuropharmacological activity
1962-11
[3]
저널
The excitation and depression of spinal neurones by structurally related amino acids
1960-09
[4]
저널
Determination of ''N''-methyl-{{sc|D}}-aspartic in tissues of bivalve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1999-05
[5]
저널
A specific enzymati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to determine ''N''-methyl-{{sc|D}}-aspartic acid in biological tissues
2002-09
[6]
저널
A specific enzymati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 to determine ''N''-methyl-{{sc|D}}-aspartic acid in biological tissues
http://www.sciencedi[...]
2002-09-01
[7]
저널
NMDA-induced lesions of the nucleus accumbens or the ventral pallidum increase the rewarding efficacy of food to deprived rats
1996-05
[8]
저널
Clocks within Clocks: Timing by Coincidence Detection
2016-04
[9]
저널
The glutamate receptor ion channels
1999-03
[10]
저널
Recent development in NMDA receptors
2000-10
[11]
저널
NMDA receptor subunits: diversity, development and disease
2001-06
[12]
저널
NMDA receptor subunits: function and pharmacology
https://hal.archives[...]
2007-02
[13]
저널
Magnesium and Affective Disorders
2002-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